KR102404913B1 -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913B1
KR102404913B1 KR1020220029222A KR20220029222A KR102404913B1 KR 102404913 B1 KR102404913 B1 KR 102404913B1 KR 1020220029222 A KR1020220029222 A KR 1020220029222A KR 20220029222 A KR20220029222 A KR 20220029222A KR 102404913 B1 KR102404913 B1 KR 10240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rce
nft
partial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22002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913B1/ko
Priority to KR1020220063418A priority patent/KR20230132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ethics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에서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음원 NFT 발급 및 등록하고 부분 음원들에 대한 개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 NFT를 발급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MUSIC NFT issue SERVICE PERFORMED ON A SERVER PROVIDING PLATFORM FOR TRADING MUSIC USING BLOCKCHAIN-BASED NF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에서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음원 NFT 발급 및 등록하고 부분 음원들에 대한 개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 NFT를 발급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콘텐츠나 상품 등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자산 가치가 생겨나고, 이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거나 투자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음원, 음악, 소리와 같은 객체는 실질적인 자산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과거에 비해 현 상황에서 자산적인 가치가 급증하여 투자의 대상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음원 등의 객체의 경우,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제3 기관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제3 기관들을 통해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가 평가되어 투자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안내되고 있다. 또한, 제3 기관들에 의해 판단된 자산적인 가치를 넘어서 해당 객체를 소유하기 위한 경매 절차를 진행하여 자산적인 가치에 상응하는 가격이 결정되기도 한다.
다만, 해당 객체는 자산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어, 타인과의 거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객체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다만,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NFT에 대해 위변조와 같은 악의 또는 착오에 의한 중복 발급 가능성 등 안정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성을 없애기 위한 명확한 방법은 제안된 바 없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에서 NFT의 발급하고 음원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거나 중복 발급을 방지하는 방법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7171호(2020.09.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에서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음원 NFT를 발급 및 등록하고 부분 음원들에 대한 개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기 플랫폼의 등록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음원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및 파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을 분할 및 그룹화하여 복수의 부분 음원들을 생성하고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음원에 대한 상기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및 부분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단계;
(d) 상기 음원의 상기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NFT가 발급된 음원을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f) 상기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을 통해 발생된 거래의 횟수에 대한 정보, 상기 발생된 거래의 일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음원이 거래된 거래 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을 현재 시점에서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유자의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트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복수의 파트들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b-1) 상기 음원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을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 중 동일한 파트에 해당하는 제1차 부분 음원들끼리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부분 음원 정보가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수,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의 재생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번호를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e-1) 상기 거래 횟수의 합 값, 상기 거래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 및 상기 거래 금액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의 합을 거래 식별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e-2)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소유자의 식별을 위해 미리 설정한 일련 번호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 및 상기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의 합을 소유권 식별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e-3) 상기 거래 식별 값 및 상기 소유권 식별 값에 대하여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산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e-4) 상기 산출된 고유한 식별 값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f-1) 상기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NFT들의 복호화를 통해 상기 미리 등록된 NFT들과 관련된 음원들의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f-2)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 중 상기 감지 정보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 값과 동일한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NFT가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이고, 상기 부분 소유권 정보는 대응되는 NFT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파트는 전주(Intro) 파트, 벌스(Verse) 파트, 사비(Sabi) 파트, 간주(Interlude) 파트, 브릿지(Bridge) 파트, 후주(Outro) 파트 및 기타 파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기타 파트는 상기 전주, 벌스, 사비, 간주, 브릿지 및 후주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에서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음원 NFT를 발급 및 등록할 수 있고 NFT의 중복 발급 및 음원의 중복 등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분 음원들에 대한 개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또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음원'은 음악 저작물로서 소리 형식으로 표현 및 저장된 모든 저작물을 의미할 수 있고, 특히 대중음악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또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100)는 등록 및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등록 및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의 환경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플랫폼을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라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음원'과 같은 '저작물'을 객체로 하여 NFT를 발급하는 역할이나 발급된 NFT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유권' 및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음원'에 대한 등록 및 거래 등과 같은 서비스 및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서버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제공하거나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400)와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제공하거나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경우, 별도의 블록체인 관리 서버(400)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은 객체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할 수 있고, 발급된 NFT를 등록하여 객체에 대하여 발급된 NFT를 관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고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며 플랫폼에 NFT가 발급된 음원을 등록하고 상기 음원의 관리 및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버(100)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버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명된 서버 및 서비스 제공 서버 등과 같이 플랫폼을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장치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서버는 '음원'을 객체로 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발급된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플랫폼에 NFT가 발급된 음원을 등록하며 상기 음원의 관리 및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의 서버에서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의 서버는 플랫폼의 등록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음원 정보를 획득하여 음원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음원 정보에 포함된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및 파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 플랫폼으로의 음원의 등록이나 NFT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하는 음원인 등록 대상 음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음원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을 기반으로 음원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음원 정보에 대한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파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정보는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음원을 통해 발생된 거래의 횟수에 대한 정보, 발생된 거래의 일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음원이 거래된 거래 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래 정보는 이하의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정보는 음원이 상기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하기 전에 타 플랫폼 등에서 거래된 내용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타 플랫폼 등에 의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구분 회차 거래 일자 금액
1 1 2021.01.23 580,600원
2 2 2021.06.17 565,300원
3 3 2021.11.02 590,700원
?? ?? ?? ??
또한, 소유권 정보는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음원을 현재 시점에서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소유자의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유권 정보는 이하의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소유권 정보는 음원이 상기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하기 전에 타 플랫폼 등에서 소유권이 변동된 내용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타 플랫폼 등에 의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구분 소유자 등록 일자
1 홍길동 2021.01.26
2 강감찬 2021.06.18
3 이순신 2021.11.02
?? ?? ??
또한, 파트 정보는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음원에 포함된 복수의 파트들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트 정보는 음원이 상기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하기 전에 타 플랫폼 등에 의해 자동으로 베이터베이스화된 정보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등록 대상이 되는 음원은 위와 같은 파트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일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등록 대상이 되는 음원을 분할 및 그룹화하여 복수의 부분 음원들을 생성하고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먼저 음원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란 플랫폼의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일정한 재생 시간(running time)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분인 음원인 경우 미리 설정된 크기가 10초라면 각각의 재생 시간이 10초인 총 6개의 제1차 부분 음원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가장 마지막 재생 구간을 포함하는 제1차 부분 음원은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일 수 있다.
이후, 파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 중 동일한 파트에 해당하는 제1차 부분 음원들끼리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을 결정할 수 있다. 파트란 음원의 재생 내용을 음악학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하며, 전주(Intro) 파트, 벌스(Verse) 파트, 사비(Sabi) 파트, 간주(Interlude) 파트, 브릿지(Bridge) 파트, 후주(Outro) 파트 및 기타 파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기타 파트란 전주, 벌스, 사비, 간주, 브릿지 및 후주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파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차 부분 음원들은 음원 정보를 분석하여 음원 정보에 포함된 파트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2분인 음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가 10초이고 아래 표 3과 같은 구조를 갖는 음원이라면, 총 6개의 제1차 부분 음원들과 총 4개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어떤 제1차 부분 음원이 2개 이상의 파트를 포함한다면, 해당 제1차 부분 음원은 재생 시간이 더 긴 쪽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2차 부분 음원에 속할 수 있다.
재생 구간 제1차 부분 음원 파트 제2차 부분 음원
0-10 제1차 부분 음원(1) 전주 제2차 부분 음원(1)
10-20 제1차 부분 음원(2) 벌스 제2차 부분 음원(2)
20-30 제1차 부분 음원(3) 사비 제2차 부분 음원(3)
30-40 제1차 부분 음원(4)
40-50 제1차 부분 음원(5) 브릿지 제2차 부분 음원(4)
50-60 제1차 부분 음원(6)
이때, 각 제1차 또는 제2차 부분 음원은 재생 순서에 따른 일련번호를 부과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차 부분 음원들은 각각 KA1-001, KA1-002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일련번호가 부과될 수 있고, 제2차 부분 음원들은 KA2-001, KA2-002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일련번호가 부과될 수 있다.이후, 부분 음원 정보가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수,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의 재생 시간 및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번호를 포함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분 음원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기 위하여 상기 NFT에 포함되는 정보로 사용됨으로써 NFT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특성상 특정 음원에서 각 파트별로 중요도와 거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음원에 대한 부분 음원들(특히, 제2차 부분 음원들)을 거래할 수 있도록 부분 음원들에 대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할 때, 부분 음원 정보를 음원의 NFT와 매칭시키는데 활용함으로써 부분 소유권 정보의 안정성 및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원을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차 부분 음원들로 1차적으로 분할한 다음 제2차 부분 음원들로 그룹화함으로써 제2차 부분 음원들의 가치를 산정하기 위한 정량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재생 시간에 비례한 가치와 파트에 따른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재생 시간에 비례한 가치와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해당 음원의 가치로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원의 재생 시간에 따른 가치가 10초/1원이고 파트에 따른 가중치가 전주는 1배, 벌스는 2배, 사비는 3배인 경우, 제2차 부분 음원(1)은 1(= 10초 x 1배)원, 제2차 부분 음원(2)은 2(= 10초 x 2배)원, 제2차 부분 음원(3)은 6(= 20초 x 3배)원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음원이라도 음원 앞단 또는 후단의 공백 영역 차이에 의한 근소한 재생 시간 차이나 사용자에 의한 특정 재생 구간의 파트 분류가 미소하게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NFT 중복 발급 여부의 판단에는 부분 음원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부분 음원 정보,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포함하여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정보,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 중 하나 이상은 암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S330).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에 대하여 발급되는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여기서,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횟수의 합 값, 거래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 및 거래 금액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의 합을 거래 식별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의 서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의 거래 정보에서 거래의 횟수에 대한 합의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표 1을 예로 들면 '1', '2' 및 '3'을 합하여 거래의 횟수에 대한 합의 값 '6'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표 1을 예로 들면 미리 설정된 자릿 수가 '월의 일의 자리'인 경우, 1회차의 거래 일자인 '2021.01.23'에서 '01'월의 일의 자리인 '1'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플랫폼의 서버는 '1', '6' 및 '1'의 평균 값으로 '2.7'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금액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표 1을 예로 들면 미리 설정된 자릿 수가 '백의 자리'인 경우, 1회차의 금액인 '580,600원'에서 '백의 자리'인 '6'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플랫폼의 서버는 '6', '3' 및 '7'의 평균 값으로 '5.3'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각 값인 '6', '2.7' 및 '5.3'에 대한 합으로 '4.6'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4.6'의 값을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거래 식별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플랫폼에서 소유자의 식별을 위해 미리 설정한 일련 번호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과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값의 합을 소유권 식별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의 서버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의 소유권 정보에서 소유자의 식별을 위한 일련 번호의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홍길동'에 대한 일련 번호는 '202101260001'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강감찬'에 대한 일련 번호는 '202106180006'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순신'에 대한 일련 번호는 '202111020017'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의 서버는 소유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 번호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일련 번호를 각 소유자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 번호는 플랫폼 내에서 고유한 값으로 서로 동일한 값을 존재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각 소유자에 대하여 설정된 일련 번호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자릿 수가 '일의 자리'인 경우, '1', '6' 및 '7'의 평균 값으로 '4.6'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각 소유자에 대한 등록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일의 자리'인 경우, '2021.01.26'에서 일의 자리인 '6'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플랫폼의 서버는 '6', '8' 및 '2'의 평균 값으로 '5.3'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각 값인 '4.6' 및 '5.3'에 대한 합으로 '9.9'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9.9'의 값을 소유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유권 식별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식별 값 및 소유권 식별 값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산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할 수 있다(S323).
여기서, 플랫폼의 서버는 거래 식별 값 및 소유권 식별 값을 특정한 '수'로 산출하거나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산출되거나 결정된 '수'를 기반으로 새로운 '수'를 산출할 수 있는 산출 알고리즘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산출 알고리즘은 단순 합 알고리즘, 단순 곱 알고리즘, 단순 평균 알고리즘 및 해당 수를 입력 값으로 하는 난수 생성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산출된 고유한 식별 값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여 음원에 대하여 발급되는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의 서버는 산출된 고유한 식별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코드의 형태를 가지는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플랫폼의 서버는 고유한 식별 값에 상응하는 '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여 감지 정보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생성된 감지 정보는 플랫폼의 서버에 의해 플랫폼에 등록된 객체의 NFT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의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의 서버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발급된 NFT 및 각 NFT와 연계하여 생성된 감지 정보를 서로 매칭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NFT와 연계하여 'NFT-감지 정보'의 형태로 매칭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후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경우 NFT가 발급된 음원을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S3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으로부터 사용된 개별 악기 각각에 대응되는 파생 음원을 추출하고, 추출된 파생 음원에 파생 음원에 대한 파생 소유권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생 음원은 원 음원에서 사용된 악기(예를 들어, 기타, 드럼, 베이스 등등) 별 곡에 대한 연주 결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컬의 음역대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파생 소유권 정보도 앞서 설명된 부분 음원과 같이 NFT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파생 소유권 정보 역시 원음원의 NFT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NFT들의 복호화를 통해 미리 등록된 NFT들과 관련된 음원들의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의 서버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NFT들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복호화된 NFT들에서 음원의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복수의 NFT들이란 상기 플랫폼에 먼저 등록된 모든 음원들에 대한 NFT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의 서버에 의해 추출되는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는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미리 등록된 NFT들에 대하여 추출된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등록된 NFT들에 대한 고유한 식별 값을 의미할 수 있는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의 서버에 의해 산출되는 비교 대상 식별 값은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산출된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 중 상기 감지 정보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 값과 동일한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NFT가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미리 등록된 NFT들 중 식별 값이 상기 음원의 고유한 식별 값과 동일한 것이 있다면 상기 NFT가 중복 발급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다면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플랫폼에 음원 등록)로 넘어갈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의 서버는 미리 구축된 NFT 및 NFT와 연계하여 감지 정보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확인이 필요한 'NFT-감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NFT-감지 정보'의 값을 기반으로 미리 등록된 NFT들에 대한 비교 대상 식별 값들과 고유한 식별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NFT-감지 정보들' 중 미리 등록된 NFT에 대응하는 NFT에 대한 'NFT-감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NFT에 대한 'NFT-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등록된 NFT에 대한 비교 대상 식별 값과 고유한 식별 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 내에 착오나 위변조 등의 악의로 동일한 NFT가 중복 발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NFT가 중복 발급이 아닐 경우에만 음원 등록과 부분 음원의 소유권 정보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랫폼에 등록되는 NFT에 대한 안전성,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발급된 NFT에 포함된 정보와 매칭하여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예와 같다.
상술한 것처럼, 음원의 특성상 특정 음원에서 각 파트별로 중요도와 거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음원에 대한 부분 음원들(특히, 제2차 부분 음원들)을 거래할 수 있도록 부분 음원들에 대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부분 음원 정보를 음원의 NFT와 매칭시키는데 활용함으로써 부분 소유권 정보의 안정성 및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는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차 부분 음원에 대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는 음원의 '거래 정보 + 소유권 정보 + 부분 음원 정보'가 포함된 형태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는 음원(=원 음원)의 소유권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와 음원(=원 음원)의 NFT은 매핑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바 있는 플랫폼의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미리 설명된 바 있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필요한 정보인 감지 정보,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로 전송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음원 플랫폼의 서버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송수신 장치
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60: 저장 장치 170: 버스

Claims (2)

  1.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한 음원의 등록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플랫폼의 등록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음원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및 파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을 분할 및 그룹화하여 복수의 부분 음원들을 생성하고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음원에 대한 상기 거래 정보, 소유권 정보 및 부분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단계;
    (d) 상기 음원의 상기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NFT가 발급된 음원을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f) 상기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부분 소유권 정보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트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복수의 파트들 각각의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b-1) 상기 음원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을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1차 부분 음원들 중 동일한 파트에 해당하는 제1차 부분 음원들끼리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부분 음원 정보가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수,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의 재생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번호를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트는 전주(Intro) 파트, 벌스(Verse) 파트, 사비(Sabi) 파트, 간주(Interlude) 파트, 브릿지(Bridge) 파트, 후주(Outro) 파트 및 기타 파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기타 파트는 상기 전주, 벌스, 사비, 간주, 브릿지 및 후주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파트이고,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 각각에 대해 재생 시간에 비례한 가치와 파트에 따른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재생 시간에 비례한 가치와 가중치를 곱한 값을 각 음원의 가치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2차 부분 음원들의 거래를 위한 NFT 기반의 부분 소유권 정보이고, 상기 부분 소유권 정보는 대응되는 NFT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을 통해 발생된 거래의 횟수에 대한 정보, 상기 발생된 거래의 일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음원이 거래된 거래 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 정보는,
    상기 음원 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음원을 현재 시점에서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유자의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e-1) 상기 거래 횟수의 합 값, 상기 거래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 및 상기 거래 금액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의 합을 거래 식별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e-2)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소유자의 식별을 위해 미리 설정한 일련 번호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 및 상기 소유권이 등록된 일자에 포함된 복수의 수들 중 미리 설정된 자릿 수의 평균 값의 합을 소유권 식별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e-3) 상기 거래 식별 값 및 상기 소유권 식별 값에 대하여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산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고유한 식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e-4) 상기 산출된 고유한 식별 값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T의 중복 발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f-1) 상기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NFT들의 복호화를 통해 상기 미리 등록된 NFT들과 관련된 음원들의 거래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f-2)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식별 값들 중 상기 감지 정보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 값과 동일한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NFT가 중복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29222A 2022-03-08 2022-03-08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0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22A KR102404913B1 (ko) 2022-03-08 2022-03-08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63418A KR20230132334A (ko) 2022-03-08 2022-05-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22A KR102404913B1 (ko) 2022-03-08 2022-03-08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18A Division KR20230132334A (ko) 2022-03-08 2022-05-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913B1 true KR102404913B1 (ko) 2022-06-02

Family

ID=819855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22A KR102404913B1 (ko) 2022-03-08 2022-03-08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63418A KR20230132334A (ko) 2022-03-08 2022-05-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18A KR20230132334A (ko) 2022-03-08 2022-05-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491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95340B1 (ko) 2022-10-17 2023-02-06 조영삼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5344B1 (ko) 2022-10-17 2023-02-07 조영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의 nft화 및 nft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4844B1 (ko) 2022-10-31 2023-05-30 주식회사제이엠쥐 Nft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586414B1 (ko) * 2022-07-04 2023-10-10 이범준 아티스트 그룹 단위의 nft 제작 방법 및 nft보유자의 거래 성향 파악에 대응하는 정성적/정량적 데이터 분석 및 생성 방법
KR20230145906A (ko) 2022-04-08 2023-10-18 이정엽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체인 기반 탑승좌석 nft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3848A (ko)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71B1 (ko) 2020-04-07 2020-09-17 송은하 소유권자 불특정 공동자산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지분 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0340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타키온 음원 중개 방법, 음원 중개 서버 및 음원 중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40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타키온 음원 중개 방법, 음원 중개 서버 및 음원 중개 시스템
KR102157171B1 (ko) 2020-04-07 2020-09-17 송은하 소유권자 불특정 공동자산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지분 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906A (ko) 2022-04-08 2023-10-18 이정엽 스마트컨트랙트 블록체인 기반 탑승좌석 nft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6414B1 (ko) * 2022-07-04 2023-10-10 이범준 아티스트 그룹 단위의 nft 제작 방법 및 nft보유자의 거래 성향 파악에 대응하는 정성적/정량적 데이터 분석 및 생성 방법
KR20240003848A (ko)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10233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95340B1 (ko) 2022-10-17 2023-02-06 조영삼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5344B1 (ko) 2022-10-17 2023-02-07 조영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의 nft화 및 nft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34844B1 (ko) 2022-10-31 2023-05-30 주식회사제이엠쥐 Nft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334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91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4058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TWI723658B (zh) 基於區塊鏈中智慧合約保護交易活動敏感資料的方法和設備
US11481786B2 (en) Genuine instance of digital goods
KR102400524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US20230135256A1 (en) Apparatus for proportional calculation regarding non-fungible tokens
JP683838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302955B1 (ko) 자산의 토큰화를 통해 현물 자산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및 클라우드 기반의 자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2819466A (zh) 数字通证的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7464111B (zh) 基于音频的区块链钱包地址生成方法、支付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189122B (zh) 为区块链上的数据锚定时间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210319510A1 (en) Blockchain-based system for providing mergers and acquisitions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070043679A1 (en) N-tier license distribution
KR20210062858A (ko) 증권형 토큰 기반의 부동산 투자 중개 처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15700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ng immutability of blockchains
US11095456B2 (en) Distributed tiered data exchanges within a blockchain network
US11816251B2 (en) Method for managing data asset in data bank and data bank system
CN112529647B (zh) 基于区块链的商品交易方法、装置、计算机设备
KR102322983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현물 자산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자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0240873A1 (ja) 検証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検証プログラム
CN109934015B (zh) 区块数据增信方法、区块链节点及存储介质
US20230267476A1 (en) Forgery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forgery of nft performed by server of platform using blockchain-based nft
KR20190128410A (ko) 시세 변동성이 제어되고 해킹에 따른 소유자 변경이 방지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거래 중개 서버 및 거래 중개 방법
US20240086503A1 (en) User Verification with Non-Fungible Tokens
KR102204207B1 (ko) 기업의 주가 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유사한 기업들 간의 군집화가 가능한 기업 군집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