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584A - 치핑용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치핑용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584A
KR20200057584A KR1020190033719A KR20190033719A KR20200057584A KR 20200057584 A KR20200057584 A KR 20200057584A KR 1020190033719 A KR1020190033719 A KR 1020190033719A KR 20190033719 A KR20190033719 A KR 20190033719A KR 20200057584 A KR20200057584 A KR 2020005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unit
rotating gear
wat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061B1 (ko
Inventor
박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박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박경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90033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치핑용 분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핑용 분사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와, 연결관로부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와, 연결관로부가 양측에 연결되며 상측에는 장착홈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커넥터부에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기어부와,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기어부가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부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를 감싸며 커넥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핑용 분사장치{INJECTION DEVICE FOR CHIPPING}
본 발명은 치핑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핑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핑(Chipping)은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물체의 표면을 깎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데, 콘크리트의 경우 양생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되는 레이턴스(Laitance)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도포되는 페인트는 부착력을 약하게 하고 수밀성(水密性, 물의 침투, 흡수, 투과를 막는 성질)을 나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부분의 제거가 필히 수행되어야 했다.
특히, 노반(路盤)의 지지력 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펌핑현상이나 균열, 차량의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 등과 같이 노면의 상태가 불량해진 경우, 기존의 불량한 노면을 깨서 걷어낸 후 그 위에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을 한다. 이때 부착력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장에 앞서 워터젯 시스템을 이용한 치핑 작업이 진행된다.
워터젯 시스템은, 초고압수를 생성시키는 파워팩과, 이 파워팩으로부터 초고압수를 전달받는 고압호스와, 고압호스를 통해 이동된 초고압수가 작업 대상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으로, 진동 및 충격의 발생을 줄이고,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의 손상을 방지하며, 보수가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치핑 작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분사노즐을 회전시키며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작업을 반복하므로 부품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물의 누수가 발생되며, 치핑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5356호(2007.04.09. 등록, 발명의 명칭: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핑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와, 연결관로부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와, 연결관로부가 양측에 연결되며 상측에는 장착홈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커넥터부에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기어부와,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기어부가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부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를 감싸며 커넥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관로부는, 커넥터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연결체결부 및 연결체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관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즐부는, 연결관로몸체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단부에 삽입되며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노즐 및 가이드노즐을 감싸며 제2연결부에 고정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연결부는, 연결관로몸체의 출구부에 체결되는 연결돌기와, 연결돌기에서 연장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연결몸체 및 제1연결몸체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머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연결부는, 머리부재를 감싸며 제1연결몸체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2연결몸체 및 제2연결몸체에서 연장되며 가이드노즐이 삽입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부재는, 돌출부에 가이드노즐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노즐을 감싸며 돌출부에 체결되며, 가이드노즐의 단부와 연통되는 노즐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부는, 외측에는 제2고정부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장착홈부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회전기어부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고 하측을 향하여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에 구비되는 커넥터돌기부 및 커넥터돌기부에 연결되며 양측에는 연결관로부가 체결되고 커넥터돌기부의 내측으로 이동된 물을 연결관로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커넥터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기어부는,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커넥터돌기부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돌기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고정부가 체결되는 회전기어축 및 회전기어축의 외측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회전기어축과 결합돌기의 내측을 관통하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부는, 회전기어축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이며 회전기어축과 마주하는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회전기어축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고정부는, 제1고정부가 커넥터돌기부의 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제1고정부를 감싸며 커넥터돌기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는, 회전기어부가 커넥터부에 1차 결합되며, 제2고정부가 제1고정부를 감싸며 커넥터부에 2차 결합되므로, 회전기어부와 커넥터부의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1고정부가 커넥터부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기어부를 커넥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회전기어부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부가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손상된 부품만 분해하여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에서 물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가 연결관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에 제2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에 가이드노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가 제2연결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에 제2고정부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에 제1고정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가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커넥터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커넥터부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에서 물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가 연결관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에 제2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에 가이드노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가 제2연결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에 제2고정부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에 제1고정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가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커넥터부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커넥터부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1)는,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10)와, 연결관로부(10)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20)와, 연결관로부(10)가 양측에 연결되며 상측에는 장착홈부(74)가 구비되는 커넥터부(70)와, 장착홈부(74)에 삽입되어 커넥터부(70)에 체결되며 구동모터(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10)에 맞물려서 회전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기어부(80)와, 회전기어부(8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기어부(80)가 커넥터부(70)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부(70)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90) 및 회전기어부(8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90)를 감싸며 커넥터부(70)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95)를 포함한다.
커넥터부(70)의 양측에 체결되는 연결관로부(10)는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부(10)는 내측에 중공이 구비된 파이프 형상이며, 연결체결부(12)와 연결관로몸체(14)를 포함한다.
연결체결부(12)는 커넥터부(7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연결관로몸체(14)는 연결체결부(1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을 따라 연장된다.
연결관로몸체(14)의 일측에 연결관로부(10)가 연결되며, 연결관로몸체(14)의 타측에는 노즐부(20)와 연결되기 위해 암나사산이 구비된 출구부(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체결부(12)와 연결관로몸체(14)의 내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커넥터부(70)로 전달된 물은 연결관로부(10)의 내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노즐부(20)로 이동한다.
노즐부(20)는 연결관로부(10)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20)는, 연결관로몸체(14)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30)와, 제1연결부(30)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부(40)와, 제2연결부(40)의 단부에 삽입되며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노즐(50) 및 가이드노즐(50)을 감싸며 제2연결부(40)에 고정되는 캡부재(60)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30)는 연결관로부(10)에 연결되며, 연결관로부(10)를 따라 이동되는 물을 전달받아 제2연결부(40)로 다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30)는, 연결관로몸체(14)의 출구부(16)에 체결되는 연결돌기(32)와, 연결돌기(32)에서 연장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연결몸체(34) 및 제1연결몸체(34)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머리부재(36)를 포함한다.
연결돌기(32)의 외측에는 오른나사가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는 연결관로부(10)에도 오른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출구부(16)에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돌기(32)와 제1연결몸체(34)와 머리부재(36)를 관통하는 관로가 구비되므로, 제1연결부(30)의 내측을 따라 물의 이동이 안내된다.
연결돌기(32)에서 연장되며, 연결돌기(32)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제1연결몸체(34)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연결몸체(34)의 외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된다.
제1연결몸체(34)에서 연장되는 머리부재(36)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연결부(30)가 제2연결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때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기밀성을 향상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40)와 마주하는 머리부재(36)의 단부에는 동와셔가 추가로 설치되므로, 제1연결부(30)와 제2연결부(4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한다.
제2연결부(40)는 제1연결부(30)의 단부를 감싸며 제1연결부(30)의 외측에 고정되며, 가이드노즐(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캡부와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40)는, 머리부재(36)를 감싸며 제1연결몸체(34)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2연결몸체(42) 및 제2연결몸체(42)에서 연장되며 가이드노즐(50)이 삽입되는 장착홀부(45)를 구비하는 돌출부(44)를 포함한다.
제1연결몸체(34)의 외측과 마주하는 제2연결몸체(42)의 내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므로, 제2연결부(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연결부(30)에 체결된다. 머리부재(36)가 삽입되는 제1연결몸체(34)의 내측은 머리부재(36)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부(30)와 제2연결부(40)는 면접촉된다.
돌출부(44)의 내측에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는 제2연결몸체(42)의 내측 공간과 연통된다. 또한 제2연결몸체(4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머리부재(36)에 구비된 출수공과 돌출부(44)의 내측에 구비된 중공의 관로는 서로 연통되어 물을 전달받는다.
또한 돌출부(44)의 단부에는 가이드노즐(5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부(45)가 구비되며, 이러한 장착홀부(45)는 돌출부(44)의 내측에 위치하는 관로에 연통되어 물을 전달받는다.
가이드노즐(50)은 장착홀부(45)에 걸리기 위한 걸림판이 외측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노즐이다. 가이드노즐(50)의 단부에는 작은 직경의 분사공이 구비되므로, 가이드노즐(50)을 통과한 물은 가이드노즐(50)의 외측으로 분사되어 치핑 작업을 한다.
캡부재(60)는, 돌출부(44)에 가이드노즐(5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노즐(50)을 감싸며 돌출부(44)에 체결되며, 가이드노즐(50)의 단부와 연통되는 노즐공(62)을 구비한다. 캡부재(60)가 가이드노즐(5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치핑작업시 튀어오르는 이물질에 의해 가이드노즐(50)이 파손됨을 방지하며, 가이드노즐(50)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부(70)는 연결관로부(10)가 양측에 연결되며, 상측에는 장착홈부(74)가 구비되어 회전기어부(8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70)는 커넥터돌기부(72)와 커넥터몸체부(76)를 포함한다.
커넥터돌기부(72)의 외측에는 제2고정부(95)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장착홈부(74)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회전기어부(8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된다. 커넥터돌기부(72)는 하측을 향하여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이다. 커넥터돌기부(72)의 상측에는 회전기어축(84)의 하단이 삽입되며 체결이 이루어지는 장착홈부(74)가 구비된다. 장착홈부(74)와 마주하는 커넥터돌기부(72)의 내측에는 왼나사 홈이 구비되며, 커넥터돌기부(72)의 외측에도 왼나사가 형성되어 제2고정부(95)가 체결된다.
커넥터돌기부(72)의 하측에 연결되는 커넥터몸체부(76)는 커넥터돌기부(72)에 연결되며, 커넥터몸체부(76)의 양측에는 연결관로부(10)가 체결된다. 커넥터돌기부(72)의 내측으로 이동된 물은 커넥터몸체부(76)의 내측에 구비된 관로를 통해 연결관로부(10)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커넥터돌기부(72)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로가 구비되며, 커넥터몸체부(76)의 내측에는 "ㅗ"자 형상의 관로가 구비되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물은 좌우 양측으로 이동된다.
회전기어부(80)는 장착홈부(74)에 삽입되어 커넥터부(70)에 체결되며, 구동모터(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10)에 맞물려서 회전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80)는 결합돌기(82)와 회전기어축(84)과 종동기어(86)를 포함한다.
원기둥 형상의 결합돌기(8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장착홈부(74)에 삽입되어 커넥터돌기부(72)와 나사 결합된다. 결합돌기(82)의 외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며, 결합돌기(82)의 단부에는 동와셔가 설치된다. 따라서 결합돌기(82)가 장착홈부(7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때, 동와셔가 커넥터부(70)에 접하며 압축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기어축(84)은 결합돌기(82)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고정부(90)가 체결된다. 회전기어축(8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며, 결합돌기(82)와 마주하는 회전기어축(84)의 하측에는 왼나사가 구비되어 제1고정부(90)와 결합된다.
종동기어(86)는 회전기어축(84)의 외측에 고정되며, 구동기어(110)에 맞물려 회전된다. 종동기어(86)는 원판 형상이며,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되므로 구동기어(110)에 맞물려 돌아간다.
이러한 회전기어부(80)는 회전기어축(84)과 결합돌기(82)의 내측을 관통하며 커넥터부(70)의 내측으로 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고정부(90)는 회전기어부(8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기어부(80)가 커넥터부(70)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부(70)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제1고정부(90)는, 회전기어축(84)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이며, 회전기어축(84)과 마주하는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회전기어축(84)에 나사 결합된다. 제1고정부(90)의 내측에는 왼나사가 구비되므로, 회전기어축(84)의 하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체결된다.
제2고정부(95)는 회전기어부(8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90)를 감싸며 커넥터부(7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95)는, 제1고정부(90)가 커넥터돌기부(72)의 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제1고정부(90)를 감싸며 커넥터돌기부(72)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고정부(95)는 하측이 개구되며 중앙에 구비된 구멍에는 회전기어축(84)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95)는 회전기어축(8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돌기부(72)의 외측과 마주하는 제2고정부(95)의 내측에는 왼나사가 구비된다.
한편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0)의 출력축은 구동기어(110)에 연결되며, 구동기어(110)는 종동기어(86)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80)를 회전시킨다.
치핑용 분사장치(1)는 하측면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치핑장치의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부에 구동모터(100)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00)의 동작으로 구동기어(110)가 회전된다.
치핑용 분사장치(1)는 고압호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고압수가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부(20)를 통해 배출되는 고압수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보다 용이하게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노즐부(20)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20)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연결관로부(10)의 내측방향을 마이너스 각도로 한정하며, 연결관로부(10)의 외측방향을 플러스 각도로 한정한 경우 -20°내지 +20°의 범위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분사장치(1)의 조립순서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넥터부(70)의 양측에 연결관로부(10)가 체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로부(10)의 출구부(16)에 제1연결부(30)가 체결된 후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1연결부(30)의 단부에 동와셔를 설치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0)를 감싸며 제2연결부(40)가 설치된다. 제2연결부(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연결부(30)에 고정되므로 작업중 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40)의 장착홀부(45)에 가이드노즐(50)을 삽입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60)가 가이드노즐(50)을 감싸며 돌출부(44)의 외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어축(84)에 제2고정부(95)를 끼운 상태에서 제1고정부(90)가 회전기어축(84)의 하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어부(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돌기(82)가 장착홈부(74)의 내측에 체결된다. 이때 결합돌기(82)의 단부에는 동와셔가 설치되므로 결합돌기(82)와 커넥터부(70)의 사이에 압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9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회전기어축(84)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커넥터돌기부(72)의 상측에 접한 상태에서 제1고정부(90)의 이동이 정지된다. 결합돌기(82)가 장착홈부(74)의 내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90)가 회전기어부(8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하므로, 커넥터부(70)에 고정된 결합돌기(82)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90)가 커넥터부(70)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되면, 제2고정부(95)를 하강시킨 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넥터돌기부(72)의 외측에 고정된다.
회전기어부(80)와 제1고정부(90)와 제2고정부(95)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되므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연결관로부(10)와 노즐부(20)와 커넥터부(70)와 회전기어부(80)가 회전될 때 부품의 풀림을 방지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0)가 회전되면, 구동모터(100)의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110)가 종동기어(86)를 회전시키며, 회전기어부(80)에 연결된 커넥터부(70)가 회전된다. 커넥터부(70)의 회전으로 연결관로부(10)와 노즐부(20)가 함께 회전하며 물을 분사한다.
한편 회전기어부(80)의 내측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된 물은 커넥터부(70)를 통해 양측 수평방향으로 안내된다. 커넥터부(70)로 이동된 물은 연결관로부(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1연결부(30)와 제2연결부(40)를 차례로 통과하며 가이드노즐(50)로 이동한다.
가이드노즐(50)로 이동된 물은 캡부재(60)의 노즐공(62)을 통해 외측으로 분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기어부(80)가 커넥터부(70)에 1차 결합되며, 제2고정부(95)가 제1고정부(90)를 감싸며 커넥터부(70)에 2차 결합되므로, 회전기어부(80)와 커넥터부(70)의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기어부(80)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1고정부(90)가 커넥터부(70)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기어부(80)를 커넥터부(7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회전기어부(80)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0)가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손상된 부품만 분해하여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치핑용 분사장치
10: 연결관로부 12: 연결체결부 14: 연결관로몸체 16: 출구부
20: 노즐부 30: 제1연결부 32: 연결돌기 34: 제1연결몸체 36: 머리부재 40: 제2연결부 42: 제2연결몸체 44: 돌출부 45: 장착홀부 50: 가이드노즐 60: 캡부재 62: 노즐공
70: 커넥터부 72: 커넥터돌기부 74: 장착홈부 76: 커넥터몸체부
80: 회전기어부 82: 결합돌기 84: 회전기어축 86: 종동기어
90: 제1고정부 95: 제2고정부
100: 구동모터 110: 구동기어

Claims (5)

  1. 수평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
    상기 연결관로부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연결관로부가 양측에 연결되며, 상측에는 장착홈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기어부;
    상기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부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의 단부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고정부를 감싸며 상기 커넥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연결체결부; 및
    상기 연결체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관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분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연결관로몸체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에 삽입되며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노즐; 및
    상기 가이드노즐을 감싸며 상기 제2연결부에 고정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연결관로몸체의 출구부에 체결되는 연결돌기;
    상기 연결돌기에서 연장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연결몸체; 및
    상기 제1연결몸체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머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머리부재를 감싸며 상기 제1연결몸체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2연결몸체; 및
    상기 제2연결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노즐이 삽입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분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상기 가이드노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노즐을 감싸며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노즐의 단부와 연통되는 노즐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분사장치.
KR1020190033719A 2019-03-25 2019-03-25 치핑용 분사장치 KR10212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19A KR102124061B1 (ko) 2019-03-25 2019-03-25 치핑용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19A KR102124061B1 (ko) 2019-03-25 2019-03-25 치핑용 분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69A Division KR101968210B1 (ko) 2018-11-16 2018-11-16 치핑용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584A true KR20200057584A (ko) 2020-05-26
KR102124061B1 KR102124061B1 (ko) 2020-06-17

Family

ID=7091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19A KR102124061B1 (ko) 2019-03-25 2019-03-25 치핑용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0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3720U (ko) * 1974-12-09 1976-06-10
JP2727371B2 (ja) * 1990-08-13 1998-03-11 株式会社熊谷組 水中コンクリート打継面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200344307Y1 (ko) * 2003-12-19 2004-03-09 박실상 관체연결구
KR20050095510A (ko) * 2004-04-19 2005-09-29 이종오 버너의 연료분사 노즐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3720U (ko) * 1974-12-09 1976-06-10
JP2727371B2 (ja) * 1990-08-13 1998-03-11 株式会社熊谷組 水中コンクリート打継面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200344307Y1 (ko) * 2003-12-19 2004-03-09 박실상 관체연결구
KR20050095510A (ko) * 2004-04-19 2005-09-29 이종오 버너의 연료분사 노즐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061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262B1 (ko)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KR100964818B1 (ko) 살수차용 노즐 장치
KR101008345B1 (ko) 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2124061B1 (ko) 치핑용 분사장치
KR101968210B1 (ko) 치핑용 분사장치
JP2011184852A (ja) 矢板の圧入工法及び圧入機材、並びにその圧入工法に使用される矢板
KR101709528B1 (ko) 스케일 제거장치
JP5474900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内の空隙の洗浄方法
KR200383909Y1 (ko) 레미콘 호퍼 세척장치
KR100807356B1 (ko)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분사노즐
KR100784464B1 (ko) 워터젯 시스템의 분사노즐 회전장치
CN214832686U (zh) 一种高压灌浆设备的灌嘴
CN102913257B (zh) 一种用于喷射机输料软管的旋转连接结构
KR200428523Y1 (ko) 회전노즐을 이용한 세차장치
KR100877442B1 (ko) 잔류엔진오일 제거장치
CN210995696U (zh) 一种容器清洗机构、料斗输送装置和螺杆洞封堵机器人
JP5288620B2 (ja) オイル塗布装置
CN212882933U (zh) 一种鼓动溜槽的卸料装置
CN209618014U (zh) 液压喷水联合破拱装置
CN211936750U (zh) 一种混料机用三通喷吹装置
JP3565512B1 (ja) 既設アンカー部材の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ならびに改修方法
KR20120073062A (ko) 직관 및 곡관의 2액형 도장장치
KR200321731Y1 (ko) 앵커체인 세척용 노즐
KR20160031322A (ko) 회동식 분수장치
KR200309352Y1 (ko) 이물질제거용 모래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