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95A -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395A
KR20200057395A KR1020180141738A KR20180141738A KR20200057395A KR 20200057395 A KR20200057395 A KR 20200057395A KR 1020180141738 A KR1020180141738 A KR 1020180141738A KR 20180141738 A KR20180141738 A KR 20180141738A KR 20200057395 A KR20200057395 A KR 2020005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input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311B1 (ko
Inventor
주영웅
윤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11B1/ko
Priority to EP19884115.7A priority patent/EP3839704A4/en
Priority to US17/284,701 priority patent/US11836305B2/en
Priority to CN201980075753.XA priority patent/CN113039512B/zh
Priority to PCT/KR2019/015310 priority patent/WO2020101315A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는 조리 장치는,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가열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갖는 입력 장치, 및 터치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기능 명령의 수행이 결정되면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터치 영역에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 영역 및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되면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 OF}
본 개시는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장치는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 장치로서,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가스 오븐,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 레인지,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장치 등일 수 있다.
최근에 조리 장치는 터치 키를 구비하고, 터치 키를 이용하여 조작 명령을 입력받고 있다. 그러나 터치 키는 비교적 간단한 접촉에 의해서도 동작되는 경우가 있었고,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조리 장치가 동작되는 경우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리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에 의해서 동작하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조리장치는,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상기 가열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갖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기능 명령의 수행이 결정되면 상기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에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 센서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터치 센서의 영역 중 상기 일 영역 외각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각각은, 사용자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신호 값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기설정된 제1 값 이상이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3개 이상의 제2 터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2개 이상의 제2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외각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에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전부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갖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명령의 수행이 결정되면, 상기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은, 3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 중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능 명령에 따라 상기 조리 장치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입력 장치(150)와, 가열 장치(130), 및 프로세서(110)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조리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50)는 가열 장치(130)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명령은 조리 장치(100)의 턴온/턴오프 명령, 세기, 타이머 등일 수 있다.
터치 영역은 해당 입력 장치의 주요한 기능을 입력 받기 위한 영역이고,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술한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인지 아니면 의도하지 않은 터치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영역이다. 터치 영역과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형태 및 기능은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입력 장치(150)는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의 기설정된 영역은 상술한 터치 영역으로 동작하고, 터치 영역의 주변의 외각 영역은 오동작 방지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50)는 복수의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와 상술한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터치 센서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50)의 터치 영역과 오동작 방지 영역의 형상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가열 장치(130)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능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10)로 출력할 수 있다.
가열 장치(130)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쿡탑, 조리실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조리실 내부에 가열된 증기를 방출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열 장치(130)가 히터, 쿡탑, 마이크로파 발생기, 스팀 발생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조리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가열 장치(130)는 히터, 쿡탑, 마이크로파 발생기, 스팀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조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입력 장치(150)로부터 기능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조리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0)는 입력 장치(150)를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이 의도한 조작인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터치 영역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의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영역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도 함께 조작이 입력되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에는 비교적 정교하게 입력장치의 터치 영역만을 터치하는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강아지 또는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에 의한 입력 장치의 터치의 경우 터치 영역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도 함께 터치될 경우가 높다.
이와 같이 터치 영역과 오동작 방지 영역이 같이 터치된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으로 구분하여 입력된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조리 장치(100)가 오동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50)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이 의도한 조작인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지를 구분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조리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조리 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조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컨트롤 패널(15), 가열 장치(130), 통신 장치(180), 조리 장치(100)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190) 및 조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5)은 입력 장치(150)와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5)은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의 여러 가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 및 키패드 등으로 이루어진 입력 장치(150)와 조리 장치(10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0)가 마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가열 장치(130)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가열 장치(130)는 사용자 조작이 의도한 조작인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150)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한 경우에만 동작한다. 가열 장치(130)는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조리 장치(1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통신 장치180)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0)는 조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0)는 조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입력 장치(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조작 입력 및 기능 명령, 프로세서(11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등을 기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90)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설정값, 기능 명령 등을 처리하고, 가열 장치(1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잇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입력 장치(150)로부터 기능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기능 명령에 따라 조리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도록 조리 장치(100)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입력된 기능 명령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가열 장치(13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가열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측에 위치하는 오븐(131)과 조리 장치(100)의 상단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133a, 133b, 133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30)는 오븐(131)을 구성하는 히터와 인덕션(133)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133a, 133b, 133c)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가 오븐인 경우 가열 장치(130) 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장치(100)가 인덕션인 경우 가열 장치(130)는 ?탑을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장치(100)가 전자 레인지인 경우 가열 장치(13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장치(100)가 스팀 오븐인 경우 가열 장치(130)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 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븐(131)은 박스형태로 본체(10) 내측에 마련되고 조리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오븐(131)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히터가 마련될 수 있다. 오븐(131)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 하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40)의 전면의 상단부에는 도어(4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의 쿡탑(133) 위에 조리 장치(100)에 제어에 관한 각종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 장치(150)와 조리 장치(10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5)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쿡탑(133) 위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 패널(11)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고 본체의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의 상부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5)은 오븐(131)의 가열 장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고, 쿡탑(133) 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5)은 인덕션(133)의 가열 장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전제품은 입력 장치가 적용되는 조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제품은 조리 장치로 명시할 수 있다.
오븐(131)에 기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5)과 인덕션(133)에 기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5)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쿡탑(133) 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5)에 대해 설명하고, 전면 패널(11)의 상부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5)은 쿡탑(133) 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5)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컨트롤 패널(15)은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진 입력 장치(150)뿐만 아니라 조리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조작 버튼 및 다이얼(15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조리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한 전원 키(151)와 복수의 쿡탑(133a, 133b, 133c) 중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조절할 대상이 되는 쿡탑(133a, 133b, 133c)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 키(155a, 155b, 155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157)은 회전에 의해 가열 장치(130)의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 키(151) 및 복수의 선택 키(155a, 155b, 155c) 각각은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터치 영역과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인지 아니면 의도하지 않은 터치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원 키(151)로부터 조리 장치(100)의 턴온 또는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턴온 또는 턴오프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턴온 또는 턴오프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조리 장치(100) 내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선택 키(155a, 155b, 155c)로부터 복수의 가열 장치(133a, 133b, 133c) 중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조절할 대상이 되는 가열 장치(130)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선택 키(155a)로부터 제1 쿡탑(133a)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1 쿡탑(133a)에 대한 선택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가열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기능 명령을 입력 받은 후, 프로세서(110)는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입력 장치(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조작이 사용자가 의도한 조작인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터치 영역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의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영역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도 함께 조작이 입력되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이 의도한 조작인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150)에 의해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리 장치(1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후술하는 구체적인 터치 영역 및 오동작 방지 영역의 배치 구조는 입력 장치(150)의 일 구성인 전원 키(151)의 형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입력 장치(150)를 전원 키(151)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선택 키(155a, 155b, 155c)에도 입력 장치(150)의 배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50)를 이용한 조리 장치(100)의 특징 및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의 입력 장치(150)는 입력 장치의 주요한 기능을 입력 받기 위한 터치 영역(152) 및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인지 아니면 의도하지 않은 터치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영역(152)은 입력 장치(15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153)은 터치 영역(15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15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153)은 내부에 터치 영역(152)이 배치되도록 터치 영역(152)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153)은 터치 영역(152)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50)는 터치 좌표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영역(152)은 터치 패드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오동작 방지 영역(153)은 터치 패드의 영역 중 일 영역의 외각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50)를 터치하면 입력 장치(150)로부터 출력된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좌표와 터치 영역(1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153)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터치 영역(152)에만 입력된 것인지 터치 영역(1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같이 입력된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검출된 터치 좌표가 터치 영역(152)에만 해당하는 경우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의 수행을 결정하고,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가열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검출된 터치 좌표가 터치 영역(152)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도 해당하는 경우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에 터치가 감지되면 출력된 터치 좌표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출력된 터치 좌표가 터치 영역(152)에만 해당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출력된 터치 좌표가 터치 영역(152)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도 함께 해당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불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50)는 터치 영역(1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153)이 별개의 독립적인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기 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터치 영역(152)에 해당하고,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도록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터치 센서는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152)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 각각은 사용자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신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기 설정된 제1 값 이상이면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2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기 설정된 제2 값 이상이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터치 센서의 기 설정된 제2 값은 제1 터치 센서의 기 설정된 제1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 센서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센서에서만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응되는 제2 터치 센서에서도 함께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불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도한 조작인 경우 비교적 정교하게 입력 장치(150)의 터치 영역(152)만을 터치하기 때문에 터치 영역(152)과 인접하게 배치된 오동작 방지 영역(153)을 통해 입력 장치(150)의 터치가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인지 아니면 의도하지 않은 터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0)는 애완동물의 발바닥 또는 혀에 의한 터치 및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터치 등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250)는 도 4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5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오동작 방지 영역(253)이 복수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50)는 도 4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50)와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오동작 방지 영역(253)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터치 영역(252)은 입력 장치(25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253)은 터치 영역(252) 외각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25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253)은 터치 영역(252)의 상측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과 터치 영역(252)의 하측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오동작 방지 영역(25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과 제2 오동작 방지 영역(253b)은 각각 터치 영역(252)의 상측 일부 및 하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은 터치 영역(252)의 좌측 일부를 둘러싸고 제2 오동작 방지 영역(253b)은 터치 영역(252)의 우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252)의 외주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과 제2 오동작 방지 영역(253b)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과 제2 오동작 방지 영역(253b)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250)의 오동작 방지 영역(253)은 별개의 독립적인 복수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기설정된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터치 영역(252)에 해당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오동작 방지 영역(253)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252)에 대응되도록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각각 오동작 방지 영역(253a, 253b)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252) 외각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253a, 253b)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253a, 253b)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2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영역(252)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253a)을 동시에 터치하면 터치 영역(2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2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2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입력 장치(250)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 센서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252)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센서에서만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252)뿐만 아니라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253a, 253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253a, 253b)에 대응되는 제2 터치 센서에서도 함께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불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350)는 도 5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25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오동작 방지 영역(353)이 3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350)는 도 5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250)와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오동작 방지 영역(353)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터치 영역(352)은 입력 장치(35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353)은 터치 영역(352) 외각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353)은 터치 영역(352)의 외주를 4등분한 제1 오동작 방지 영역(353a), 제2 오동작 방지 영역(353b), 제3 오동작 방지 영역(353c) 및 제4 오동작 방지 영역(35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이 4개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동작 방지 영역(353)은 3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353)은 터치 영역(352)의 좌측 상부를 둘러싸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353a)과, 터치 영역(352)의 좌측 하부를 둘러싸는 제2 오동작 방지 영역(353b)과, 터치 영역(352)의 우측 하부를 둘러싸는 제3 오동작 방지 영역(353c) 및 터치 영역(352)의 우측 상부를 둘러싸는 제4 오동작 방지 영역(35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제2, 제3 및 제4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은 터치 영역(352)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352)의 외주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 내지 제4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들 각각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350)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은 별개의 독립적인 복수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350)는 기설정된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터치 영역(352)에 해당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각각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터치 센서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3개 이상의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 중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3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352)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353a)이 동시에 터치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3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터치 영역(352)에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3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영역(352), 제1 오동작 방지 영역(353a) 및 제2 오동작 방지 영역(353b)이 동시에 터치되면 터치 영역(3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3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3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입력 장치(350)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 센서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352)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센서에서만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감지된 터치가 터치 영역(352)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에 대응되는 제2 터치 센서에서도 함께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불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353a, 353b, 353c, 353d)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450)는 도 6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35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터치 영역(452)이 복수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450)는 도 6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350)와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터치 영역(452)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터치 영역(452)은 입력 장치(45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453)은 터치 영역(452) 외각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452)은 반원형으로 형성된 제1 터치 영역(452a)과 제2 터치 영역(45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영역(452a)과 제2 터치 영역(452b)으로 이루어진 터치 영역(45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터치 영역(452)이 제1 터치 영역(452a)과 제2 터치 영역(452b) 2 개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터치 영역(452)은 오동작 방지 영역(453)으로 둘러싸인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453)은 복수의 터치 영역(452a, 452b)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잇다. 터치 영역(452)의 외주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 내지 제4 오동작 방지 영역(453a, 453b, 453c, 453d)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영역(452a)과 제2 터치 영역(452b)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450)의 터치 영역(452a, 452b) 및 오동작 방지 영역(453a, 453b, 453c, 453d)은 별개의 독립적인 복수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450)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 각각은 복수의 터치 영역(452a, 452b)에 해당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 각각은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453a, 453b, 453c, 453d)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터치 영역(452a, 452b) 전부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 영역(3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영역(452a)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453a)이 동시에 터치되면 터치 영역(45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4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영역(452a), 제2 터치 영역(452b) 및 제1 오동작 방지 영역(453a)이 동시에 터치되면 터치 영역(45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오동작 방지 영역(4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4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영역(452a) 및 제2 터치 영역(452b), 제1 오동작 방지 영역(453a) 및 제2 오동작 방지 영역(453b)이 동시에 터치되면 터치 영역(4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4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4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입력 장치(450)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 센서에 따라 가열 장치(130)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된 터치가 복수의 터치 영역(452a, 452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전부에서만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감지된 터치가 복수의 터치 영역(452a, 452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453a, 453b, 453c, 453d)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453a, 453b, 453c, 453d)에 대응되는 제2 터치 센서에서도 함께 감지되면 가열 장치(130)는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불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550)는 도 4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5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터치 영역(552)의 형상 및 오동작 방지 영역(553)의 배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550)는 도 4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50)와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터치 영역(552)의 형상 및 오동작 방지 영역(553)의 배치 구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터치 영역(552)은 입력 장치(55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오동작 방지 영역(553)은 터치 영역(552) 외각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영역(552)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553)은 터치 영역(552)의 에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오동작 방지 영역(553a), 제 2 오동작 방지 영역(553b), 제3 오동작 방지 영역(553c) 및 제4 오동작 방지 영역(55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영역(552)의 에지 영역은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550)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은 별개의 독립적인 복수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550)는 기설정된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터치 영역(552)에 해당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552)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각각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552) 에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552)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553a)을 동시에 터치되면 터치 영역(5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5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a, 553b, 553c, 553d)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영역(552)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553a)을 동시에 터치되더라도 터치 영역(552)에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5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영역(552)과 제1 오동작 방지 영역(553a) 및 제2 오동작 방지 영역(553b)이 동시데 터치된 경우 터치 영역(5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 장치(100)는 터치 영역(5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650)는 도 8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55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오동작 방지 영역(653)의 배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650)는 도 8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550)와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오동작 방지 영역(653)의 배치 구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터치 영역(652)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653)은 터치 영역(652)의 네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오동작 방지 영역(653a), 제2 오동작 방지 영역(653b), 제3 오동작 방지 영역(653c) 및 제4 오동작 방지 영역(65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영역(652)의 네 측면은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650)의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은 별개의 독립적인 복수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장치(650)는 기설정된 제1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터치 영역(652)에 해당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은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652)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각각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552)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653)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6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653a, 653b, 653c, 653d)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5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의 입력 장치(150)에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1010). 사용자 조작은 입력 장치(150)에 터치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었다면, 이러한 사용자 조작이 터치 영역(15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020). 구체적으로, 터치 영역(152)의 터치 면적 또는 터치 신호를 통해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152)의 터치 면적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면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152)에 기 설정된 제1 값 이상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영역(152)이 복수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터치 영역(152) 전부가 일정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거나, 제1 값 이상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영역(152)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경우,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030). 구체적으로, 터치 영역(15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오동작 방지 영역(153)의 터치 면적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기 설정된 제2 값 이상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153)이 복수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153)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153)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거나, 제2 값 이상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153)이 3개 이상의 복수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153) 중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터치 영역(152)에 대한 신호만 감지되었으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사용자 조작으로 보아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040).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조리 장치(100)는 결정된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50).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능 명령에 의해 조리 장치(100)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는 기능 명령에 따라 가열 장치(130)를 동작시키거나 가열 장치(13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능 명령에 의해 조리 장치(100)는 복수의 가열 장치(130) 중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조절할 대상이 되는 가열 장치(130)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는 기능 명령에 의해 선택된 가열 장치(130)를 동작시키거나 가열 장치(13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반대로,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터치 영역(152) 및 오동작 방지 영역(15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S106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조리 장치(100)가 동작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제어가 되는 터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150)는 터치 영역(152)의 주변에 배치된 오동작 방지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동작 방지 영역(153) 및 터치 영역(15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에 의한 조작으로 보아 터치 영역(152)에 대응되는 기능을 불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0)는 입력 장치(150)를 통해 입력된 기능 명령이 사용자가 의도한 사용자 조작에 의한 것인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 또는 동물들에 의한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도한 사용자 조작만을 인식하여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리 장치(100)의 안전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리 장치 110: 프로세서
130: 가열 장치 150: 입력 장치
152, 252, 352, 452, 552, 652: 터치 영역
153, 253, 353, 453, 553, 653: 오동작 방지 영역

Claims (15)

  1.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상기 가열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갖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기능 명령의 수행이 결정되면 상기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에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 터치 좌표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 패드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터치 패드의 영역 중 상기 일 영역 외각의 영역에 배치되는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인 조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각각은, 사용자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신호 값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기설정된 제1 값 이상이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신호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인 조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3개 이상의 제2 터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2개 이상의 제2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외각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조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에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조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이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의 상부 영역인 조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전부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중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 장치.
  12.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오동작 방지 영역을 갖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명령의 수행이 결정되면, 상기 기능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만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같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은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은,
    3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동작 방지 영역 중 2개 이상의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오동작 방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능 명령에 따라 상기 조리 장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141738A 2018-11-16 2018-11-16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3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38A KR102563311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9884115.7A EP3839704A4 (en) 2018-11-16 2019-11-12 COOKING DEVICE AND ITS CONTROL PROCESS
US17/284,701 US11836305B2 (en) 2018-11-16 2019-11-12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75753.XA CN113039512B (zh) 2018-11-16 2019-11-12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9/015310 WO2020101315A1 (ko) 2018-11-16 2019-11-12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38A KR102563311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95A true KR20200057395A (ko) 2020-05-26
KR102563311B1 KR102563311B1 (ko) 2023-08-04

Family

ID=7073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738A KR102563311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6305B2 (ko)
EP (1) EP3839704A4 (ko)
KR (1) KR102563311B1 (ko)
WO (1) WO2020101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713B2 (en) 2020-08-11 2022-04-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touch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857A (ja) * 2005-10-27 2007-05-17 Osaka Gas Co Ltd 加熱調理機器
JP2010266133A (ja) * 2009-05-15 2010-11-25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KR101206561B1 (ko) * 2008-03-28 2012-11-29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9227A (en) * 1971-02-15 1973-06-06 Ibm Movement control system
JPS579093A (en) 1980-06-17 198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JP3136287B2 (ja) * 1998-08-07 2001-02-19 株式会社八木熊 フォールディング移動柵
KR101332547B1 (ko) 2006-11-13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의 오동작 방지방법
ES2526818T3 (es) 2007-01-22 2015-01-15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vo para cocinar
US8093534B2 (en) 2007-06-22 2012-01-10 Panason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JP4902467B2 (ja) 2007-08-24 2012-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442542B1 (ko) * 2007-08-28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8487898B2 (en) * 2008-04-25 2013-07-16 Apple Inc. Ground guard for capacitive sensing
KR100971501B1 (ko) * 2008-10-24 2010-07-21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센서 장치
JP5675324B2 (ja) 2010-12-24 2015-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5799646B2 (ja) 2011-08-08 2015-10-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TWI487012B (zh) * 2012-04-09 2015-06-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電容式觸控面板的電極結構
US10275049B2 (en) * 2013-04-10 2019-04-30 Nvidia Corporation Stylus signaling for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s
KR102037932B1 (ko) 2013-04-19 2019-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6490B1 (ko) * 2014-12-17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728522A (zh) * 2017-10-26 2018-02-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防误触按键结构、防误触方法以及家用电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857A (ja) * 2005-10-27 2007-05-17 Osaka Gas Co Ltd 加熱調理機器
KR101206561B1 (ko) * 2008-03-28 2012-11-29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JP2010266133A (ja) * 2009-05-15 2010-11-25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713B2 (en) 2020-08-11 2022-04-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touch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8766A1 (en) 2021-11-11
KR102563311B1 (ko) 2023-08-04
EP3839704A1 (en) 2021-06-23
WO2020101315A1 (ko) 2020-05-22
EP3839704A4 (en) 2021-12-08
US11836305B2 (en) 2023-12-05
CN113039512A (zh)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44B1 (ko) 렌지
JP2017512366A (ja) 通信機能付き誘導調理テーブルおよびテーブル上の通信機能付き調理器具の探索および追跡の方法
JP4251140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20007284A1 (zh) 电器和用于在安全关键操作中操作它的方法
KR20110008423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39510A (ko) 인덕션 레인지
KR102563311B1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98544B1 (ko) 렌지
KR101413983B1 (ko) 가스레인지의 노브 위치 자동 판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열방지 제어방법
CN108348088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039512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87706B1 (ko) 사용자에게 잠금 기능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
KR20120001883A (ko)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92186B2 (en) Cooking appliance with multi-mode burner group
KR102215443B1 (ko) 전기레인지
SE502882C2 (sv) Mikrovågsugn med undervärme
KR102150904B1 (ko) 조리 기기
KR102105924B1 (ko) 조리기기의 터치스위치 오조작 판단방법
KR102404375B1 (ko)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KR20020030425A (ko)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KR200481289Y1 (ko) 가열 조리장치
KR20200101166A (ko) 스캔 타입의 키 입력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조리기기
JP2007285558A (ja) 加熱調理装置
JP6998262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102646390B1 (ko) 화구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