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75B1 -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 Google Patents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75B1
KR102404375B1 KR1020210162857A KR20210162857A KR102404375B1 KR 102404375 B1 KR102404375 B1 KR 102404375B1 KR 1020210162857 A KR1020210162857 A KR 1020210162857A KR 20210162857 A KR20210162857 A KR 20210162857A KR 102404375 B1 KR102404375 B1 KR 102404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rol
remote
zon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화
송용승
황대호
Original Assignee
서덕화
송용승
황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화, 송용승, 황대호 filed Critical 서덕화
Priority to KR102021016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을 통해 전원을 온(ON)하는 방법과 제어패널을 통해 전원을 온(ON)하는 방법을 구분하여 반려동물이나 어린이가 의도치않은 오조작으로 인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Induction with remote control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본 발명은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가열을 하고 양념을 하며 다지고 끓이는 등의 다수 과정을 거쳐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용 장치 중에 특히 가열 장치는 전자렌지, 가스렌지, 오븐, 찜기, 전기밥솥, 기타차를 끓이기 위한 포트 등 다양한 가열도구가 있다.
이러한 가열도구들은 오래전 나무를 연소시키거나 석유를 연소시키는 방식보다 훨씬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청결하기 때문에 근래 들어 주로 이용하게 된 것이다.
특히 소득수준이 점점 더 높아지고, 연소를 하는 방식보다는 전기와 같이 연소과정이 없는 조리용구가 더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전기오븐, 전자렌지, 근래 들어 핫플레이트렌지, 하이라이트렌지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많이 보급되어 있는 가스렌지의 경우 대부분 싱크대와 같이 설치되어 조리가 편리한 점이 있으나, 자동 온도조절이라던가 조리의 선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 불꽃이 있기 때문에 자칫 부주의 상황에서는 화재의 염려도 있어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점차로 싱크대에 설치되어 가스렌인지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전기오븐, 전자렌지, 전기밥솥 등과 같이 조리시 화재의 염려도 적으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로 점차 핫플레이트렌지, 하이라이트렌지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핫플레이트렌지, 하이라이트렌지 등은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하게 되었지만, 장치 내부의 가열코일로 조리용기를 놓는 부분의 판이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한번 가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된 판은 쉽게 식지 않는 등 조리할 때 음식의 온도를 원하는 데로 조절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있다.
또한 한번 가열된 가열판은 쉽게 식지 않고 최소 수 십분이 경과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리가 끝난 가열판에 행주나, 옷깃, 음식물, 음식물 포장지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도 있고,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사람들 은 화상의 위험도 있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유도전류 발생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의 인덕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인덕션은 버튼의 조작만으로 작동이 시작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이나 어린이가 의도치 않게 버튼을 조작할 경우, 화재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70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4514호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나 어린이가 의도치않은 오조작으로 인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덕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100); 상기 메인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통해 유도전류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모듈(10);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모듈(10)을 제어하는 제어패널(20);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가열모듈(10) 및 제어패널(20)을 제어하는 리모콘(200);을 포함하는 인덕션을 제공한다.
상기 가열모듈(10)은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패널(20)은, 상기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온버튼(21); 상기 대기상태를 차단하는 오프버튼(22); 상기 가열모듈(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화구선택버튼(23); 상기 가열모듈(10) 중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화구선택버튼(24);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상기 나머지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화력조절버튼(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은, 리모콘케이스(210);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원격온버튼(221);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대기상태를 차단하는 원격오프버튼(222);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원격화구선택버튼(223);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 중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원격화구선택버튼(224);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원격화력조절버튼(225);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나머지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원격화력조절버튼(226); 상기 리모콘케이스(210)의 저면(212)에 배치된 영구자석(230); 상기 각 버튼의 신호를 무선신호로 상기 제어패널(20)에 전송하는 무선모듈; 상기 무선모듈 및 각 버튼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20)에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230)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기감지센서(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감지센서(240)는, 상기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제 2 화력조절버튼(26)에 배치된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및 제 4 자기센서(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력조절버튼(25)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1-1 구역(25a), 제 1-2 구역(25b), 제 1-3 구역(25c) 및 제 1-4 구역(25d)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화력조절버튼(26)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2-1 구역(26a), 제 2-2 구역(26b), 제 2-3 구역(26c) 및 제 2-4 구역(26d)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기센서(241)가 상기 제 1-1 구역(25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기센서(242)가 상기 제 1-4 구역(25d)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자기센서(243)가 상기 제 2-1 구역(26a)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자기센서(244)가 상기 제 2-4 구역(226d)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리모콘을 통해 전원을 온(ON)하는 방법과 제어패널을 통해 전원을 온(ON)하는 방법을 구분하여 반려동물이나 어린이가 의도치않은 오조작으로 인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리모콘이 제어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와 리모콘 및 제어패널이 분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리모콘이 제어패널에 부착될 경우 리모콘이 무선충전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의 제 1 사용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의 제 2 사용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의 제 1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의 제 2 사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은, 메인케이스(100)와, 상기 메인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통해 유도전류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모듈(10)과,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모듈(10)을 제어하는 제어패널(20)과,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가열모듈(10) 및 제어패널(20)을 제어하는 리모콘(2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케이스(100)는 싱크대의 상판에 거치되거나 싱크대에 빌트인으로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적어도 상면(101)이 노출되고, 상기 제어패널(20)은 상측면(10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메인케이스(100)는 상면(101)을 형성하는 상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10)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10)은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스크래치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101)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측면(102) 및 저면(미도시)은 싱크대 내부로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10)은 상기 리모콘(200) 또는 제어패널(2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가열모듈(1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도전류가 상판(110)을 통과하여 조리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20)은 상기 상판(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상판(110)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스크린(120)이 사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측에 상기 제어패널(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20)에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20)은, 상기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온버튼(21), 상기 대기상태를 차단하는 오프버튼(22), 상기 가열모듈(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화구선택버튼(23), 상기 가열모듈(10) 중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화구선택버튼(24),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상기 나머지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화력조절버튼(26)을 포함한다.
상기 온버튼(21)을 적어도 활성화시간인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인덕션 작동의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온버튼(21)이 눌려진 시간을 제 1 입력시간이라 정의하고, 상기 온버튼(21)에 대한 활성화시간을 제 1 활성화시간이라 정의한다.
상기 온버튼(21)을 짧게 터치하거나 누를 경우, 애완동물 또는 어린이 등에 의한 의도치 않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화구선택버튼(23), 제 2 화구선택버튼(24),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제 2 화력조절버튼(26)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 온버튼(21)이 활성화된 이후에, 오프버튼(22), 제 1 화구선택버튼(23), 제 2 화구선택버튼(24), 제 1 화력조절버튼(25) 또는 제 2 화력조절버튼(26)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버튼(21)이 활성화될 경우, LED와 같은 광원소자를 발광시켜 활성화를 표시한다.
상기 오프버튼(22)을 터치할 경우, 상기 제 1 화구선택버튼(23), 제 2 화구선택버튼(24),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제 2 화력조절버튼(26)이 전체 오프된다.
상기 오프버튼(22)은 0.1초 이하의 짧은 활성화시간으로 형성되고, 짧은 터치 및 누름만으로도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한다.
상기 오프버튼(22)에 비해 상기 온버튼(21)의 활성화시간이 적어도 20배 내지 50배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구선택버튼(23) 또는 제 2 화구선택버튼(24)은 복수개의 가열모듈(10)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온버튼(21)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는 상기 제 1 화구선택버튼(23) 또는 제 2 화구선택버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화구에 따라 제 1 화력조절버튼(25) 또는 제 2 화력조절버튼(26)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력조절버튼(25)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1-1 구역(25a), 제 1-2 구역(25b), 제 1-3 구역(25c) 및 제 1-4 구역(25d)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화력조절버튼(26)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2-1 구역(26a), 제 2-2 구역(26b), 제 2-3 구역(26c) 및 제 2-4 구역(26d)을 포함한다.
제어패널(20)의 제어부가 각 구역의 터치를 감지하여 각 가열모듈(10)의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리모콘(200)은, 상기 제어패널(20)과 유사한 구성이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콘(200) 및 제어패널(20)의 면적 및 형상이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는 제어패널(20) 위에 리모콘(200)을 부착할 경우를 고려한 설계이다.
상기 리모콘(200)은, 리모콘케이스(210)와, 상기 리모콘케이스(210)의 상면(211)에 배치된 원격온버튼(221), 원격오프버튼(222), 제 1 원격화구선택버튼(223), 제 2 원격화구선택버튼(224), 제 1 원격화력조절버튼(225) 및 제 2 원격화력조절버튼(226)와, 상기 리모콘케이스(210)의 저면(212)에 배치된 영구자석(230)과, 상기 각 버튼의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20)에 전송하는 무선모듈(미도시)과, 상기 무선모듈 및 각 버튼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각 버튼은 원격온버튼(221), 원격오프버튼(222), 원격 제 1 화구선택버튼(223), 원격 제 2 화구선택버튼(224), 원격 제 1 화력조절버튼(225) 및 원격 제 2 화력조절버튼(226)일 수 있다.
상기 원격온버튼(221)은 상기 온버튼(21)과 달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경우, 즉시 상기 인덕션의 전원을 온(ON)시킨다.
상기 원격온버튼(221)의 입력시간을 제 2 입력시간이라 정의하고, 상기 원격온버튼(221)의 활성화시간을 제 2 활성화시간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활성화시간은 0.1초 내지 0.5초 일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을 통해 인덕션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것을 더 안전한 방법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활성화시간이 제 1 활성화시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은 상기 영구자석(230)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2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시 신호 시,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제어패널(20)보다 제어 우선권을 갖고, 이를 통해 의도치 않은 오조작으로 인한 화재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제어패널(20) 상측면에 부착될 경우, 상기 리모콘(200)을 통해서만 인덕션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이 벽이나 냉장고에 부착될 경우, 리모콘(200) 및 제어패널(20) 모두를 통해 가열모듈(10)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200)은 저면에 배치된 영구자석을 통해 주방벽이나 냉장고 등에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인덕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리모콘(200)을 애완동물이나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벽에 부착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원격화력조절버튼(225)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1-1 구역(225a), 제 1-2 구역(225b), 제 1-3 구역(225c) 및 제 1-4 구역(225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구역(225a), 제 1-2 구역(225b), 제 1-3 구역(225c) 및 제 1-4 구역(225d)의 위치가 상기 제어패널(20)의 제 1-1 구역(25a), 제 1-2 구역(25b), 제 1-3 구역(25c) 및 제 1-4 구역(25d)의 위치와 대응되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원격화력조절버튼(226)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2-1 구역(226a), 제 2-2 구역(226b), 제 2-3 구역(226c) 및 제 2-4 구역(226d)을 포함한다.
상기 제 2-1 구역(226a), 제 2-2 구역(226b), 제 2-3 구역(226c) 및 제 2-4 구역(226d)의 위치가 상기 제어패널(20)의 제 2-1 구역(26a), 제 2-2 구역(26b), 제 2-3 구역(26c) 및 제 2-4 구역(26d)의 위치와 대응되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230)은, 제 1 자기부재(231), 제 2 자기부재(232), 제 3 자기부재(233) 및 제 4 자기부재(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기부재(231)는 제 1-1 구역(225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기부재(232)는 제 1-4 구역(225d)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자기부재(223)는 제 2-1 구역(226a)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자기부재(234)는 제 2-4 구역(226d) 하측에 배치된다.
제 1 자기부재(231) 및 제 2 자기부재(23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3 자기부재(233) 및 제 4 자기부재(234)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자기부재(231)의 하측에 제 3 자기부재(233)가 배치되고, 제 2 자기부재(232)의 하측에 제 4 자기부재(234)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자기부재(231), 제 2 자기부재(232), 제 3 자기부재(233) 및 제 4 자기부재(234)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2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감지센서(240)는 상기 영구자석(230)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감지센서(240)는,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및 제 4 자기센서(244)를 포함한다.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및 제 4 자기센서(244)는 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기센서(241)가 제 1-1 구역(25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기센서(242)가 제 1-4 구역(25d)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자기센서(243)가 제 2-1 구역(26a)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자기센서(244)가 제 2-4 구역(226d) 하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및 제 4 자기센서(2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 자기부재(230)가 위치될 경우, 제어패널(20)의 제어부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또는 제 4 자기센서(244) 중 적어도 2개에서 자기력을 감지할 경우 리모콘(200)이 제어패널(20) 상측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제어패널(20)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가지고 온다.
이는 리모콘(200)의 자기부재가 아닌 일반 자석 또는 병따개 등이 제어패널(20) 상측에 부착되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리모콘(200)을 제어패널(20)에 정확히 위치시키지 않더라고 상기 자기센서(240) 및 자기부재(230)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자기센서(240) 및 자기부재(230)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판(110)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패널(20)의 상기 제 1-2 구역(25b) 및 제 1-3 구역(25c) 하측에 상기 리모콘(200)의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기코일(2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의 상기 제 1-2 구역(225b) 및 제 1-3 구역(225c) 하측에 상기 리모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코일(2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20)의 상기 제 2-2 구역(26b) 및 제 2-3 구역(26c) 하측에 상기 리모콘(200)의 무선충전을 충전기코일(2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의 상기 제 2-2 구역(226b) 및 제 2-3 구역(226c) 하측에 상기 리모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코일(250)이 배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 범위를 넓히기 위해, 제 1-2 구역(25b), 제 1-3 구역(25c), 제 2-2 구역(26b) 및 제 2-3 구역(26c)에 송신코일(240)이 배치되고, 제 1-2 구역(225b), 제 1-3 구역(225c), 제 2-2 구역(226b) 및 제 2-3 구역(226c)에 수신코일(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200)은 조리를 하지 않을 때에는 벽에 부착하여 의도치 않은 오조작으로 인한 화재위험을 낮출 수 있고, 조리할 때에는 제어패널(20)에 부착하여 가열모듈(10)을 조작하는 것은 물로 무선충전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방법은 제어패널(20)에 배치된 자기센서(241)(242)(243)(244) 중 적어도 2개에서 자기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리모콘(200)이 제어패널(2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제어패널(20)의 입력을 차단하고, 상기 리모콘(200)에 제어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방법은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리모콘(200)의 원격온버튼(221)의 온(ON)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원격온버튼(221)에 대한 제 2 입력시간이 제 2 활성화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인덕션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S5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S60 단계는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S60 단계 이후에 화구선택버튼 또는 화력조절버튼에 조작신호가 입력될 경우, 가열모듈(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S40 내지 S60의 단계는 리모콘을 통한 인덕션의 활성화 로직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방법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패널(20)의 온버튼(21)의 온(ON)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온버튼(21)에 대한 제 1 입력시간이 제 1 활성화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80)와, 상기 S8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인덕션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될 수 있고, 리모콘(200)을 통한 로직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상기 S8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S7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활성화시간은 3초이고, 상기 제 1 입력시간이 3초 이상일 경우 인덕션의 가열모듈(10)을 온(ON) 시킬 수 있다.
상기 S90 단계는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S90 단계 이후에 화구선택버튼 또는 화력조절버튼에 조작신호가 입력될 경우, 가열모듈(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S70 내지 S90의 단계는 제어패널(20)을 통한 인덕션의 활성화 로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가열모듈 20 : 제어패널
21 : 온버튼 22 : 오프버튼
23 : 제 1 화구선택버튼 24 : 제 2 화구선택버튼
25 : 제 1 화력조절버튼 26 : 제 2 화력조절버튼
100 : 메인케이스 200 : 리모콘
221 : 원격온버튼 222 : 원격오프버튼
223 : 제 1 원격화구선택버튼 224 : 제 2 원격화구선택버튼
225 : 제 1 원격화력조절버튼 226 : 제 2 원격화력조절버튼

Claims (5)

  1. 메인케이스(100); 상기 메인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통해 유도전류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모듈(10);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모듈(10)을 제어하는 제어패널(20); 상기 메인케이스(1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가열모듈(10) 및 제어패널(20)을 제어하는 리모콘(2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10)은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패널(20)은, 상기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온버튼(21); 상기 대기상태를 차단하는 오프버튼(22); 상기 가열모듈(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화구선택버튼(23); 상기 가열모듈(10) 중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화구선택버튼(24);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상기 나머지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화력조절버튼(26);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200)은, 리모콘케이스(210);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원격온버튼(221);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대기상태를 차단하는 원격오프버튼(222);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원격화구선택버튼(223);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모듈(10) 중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원격화구선택버튼(224);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원격화력조절버튼(225); 상기 리모콘케이스(210)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나머지 하나의 가열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원격화력조절버튼(226); 상기 리모콘케이스(210)의 저면(212)에 배치된 영구자석(230); 상기 각 버튼의 신호를 무선신호로 상기 제어패널(20)에 전송하는 무선모듈; 및 상기 무선모듈 및 각 버튼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20)에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230)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기감지센서(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제어패널(20) 상측에 거치될 경우, 상기 영구자석(230)을 통한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상기 제어패널(20)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230)은, 제 1 자기부재(231), 제 2 자기부재(232), 제 3 자기부재(233) 및 제 4 자기부재(234)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감지센서(240)는, 상기 제 1 화력조절버튼(25) 및 제 2 화력조절버튼(26)에 배치된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및 제 4 자기센서(2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력조절버튼(25)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1-1 구역(25a), 제 1-2 구역(25b), 제 1-3 구역(25c) 및 제 1-4 구역(25d)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화력조절버튼(26)은 4단계로 화력을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 2-1 구역(26a), 제 2-2 구역(26b), 제 2-3 구역(26c) 및 제 2-4 구역(26d)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기부재(231)가 상기 제 1-1 구역(225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기부재(232)가 상기 제 1-4 구역(225d)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자기부재(223)가 상기 제 2-1 구역(226a)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자기부재(234)가 상기 제 2-4 구역(226d)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기센서(241)가 상기 제 1-1 구역(25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기센서(242)가 상기 제 1-4 구역(25d)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자기센서(243)가 상기 제 2-1 구역(26a)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자기센서(244)가 상기 제 2-4 구역(26d)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패널(20)에 배치된 상기 제 1 자기센서(241), 제 2 자기센서(242), 제 3 자기센서(243) 또는 제 4 자기센서(244) 중 적어도 2개에서 자기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리모콘(200)이 제어패널(2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패널(20)의 입력을 차단하고, 상기 리모콘(200)에 제어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S30);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리모콘(200)의 상기 원격온버튼(221)의 온(ON)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원격온버튼(221)에 대한 제 2 입력시간이 제 2 활성화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인덕션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되는 인덕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2857A 2021-11-24 2021-11-24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KR102404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57A KR102404375B1 (ko) 2021-11-24 2021-11-24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57A KR102404375B1 (ko) 2021-11-24 2021-11-24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375B1 true KR102404375B1 (ko) 2022-06-02

Family

ID=8198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857A KR102404375B1 (ko) 2021-11-24 2021-11-24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25U (ko) * 1998-07-31 2000-02-25 전주범 리모콘의 수납으로 전원이 온오프되는 브이시알
KR20120107059A (ko) 2012-09-18 2012-09-28 김진영 고주파 유도가열 기술을 이용한 인덕션렌지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JP2018186106A (ja) * 2018-09-03 2018-11-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21105461A (ja) * 2019-12-26 2021-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25U (ko) * 1998-07-31 2000-02-25 전주범 리모콘의 수납으로 전원이 온오프되는 브이시알
KR20120107059A (ko) 2012-09-18 2012-09-28 김진영 고주파 유도가열 기술을 이용한 인덕션렌지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JP2018186106A (ja) * 2018-09-03 2018-11-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21105461A (ja) * 2019-12-26 2021-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7561B (zh) 感应装置及温度调节方法
AU2014261735B2 (en) Hob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a hob
CN101563953B (zh) 家用设备
US8389912B2 (en) Induction cooker
JP496833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00039510A (ko) 인덕션 레인지
US11255548B2 (en) Cooktop appliance control system
ES2331778A1 (es) Campo de coccion con un sensor de temperatura y una interfaz de usuario con un visualizador grafico y procedimiento para el accionamiento de un campo de coccion.
US20020113062A1 (en) Timer controlled stove/oven
KR200465232Y1 (ko) 화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레인지
EP3555529A1 (en) Cooking hob with a monitoring device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404375B1 (ko) 오조작방지를 위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인덕션
JP2008218280A (ja) 加熱機器
CN206491647U (zh) 烹饪器具
KR102563311B1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137385B (zh) 感测烹饪器具的用户使用行为的方法、设备和烹饪器具
KR102150904B1 (ko) 조리 기기
EP1931174A4 (en) CONTROL DEVICE FOR COOKING EQUIPMENT AND ACCESSORY DEVICE
JP2007285558A (ja) 加熱調理装置
JP2006078079A (ja) 調理装置とプログラム
CN110701639A (zh) 一种自动识别不同锅具的智能化煲汤方法及控制装置
JP4064942B2 (ja) コンロ
KR102388092B1 (ko) 스마트 인공 지능 유도 가열 장치
JP200405520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