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239A -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239A
KR20200057239A KR1020180141334A KR20180141334A KR20200057239A KR 20200057239 A KR20200057239 A KR 20200057239A KR 1020180141334 A KR1020180141334 A KR 1020180141334A KR 20180141334 A KR20180141334 A KR 20180141334A KR 20200057239 A KR20200057239 A KR 2020005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llicle
unit
hair
linear motion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564B1 (ko
Inventor
김태희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to KR102018014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5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2Skin grafting apparatus
    • A61B2017/3225Skin grafting apparatus with processing of harvested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탈모 환자로부터 추출한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모낭 이송 장치는, 직선 왕복 운동을 통해, 상기 결합조직을 상기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Hair-Follicle Conveying Device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적인 변화가 생기거나, 유전적인 영향, 호르몬의 영향, 식습관,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환경적인 요인 등의 다양한 이유로 두피에서 머리가 빠지는 탈모현상을 겪게 된다. 이러한 탈모환자는 세계 인구의 약 20%~30%를 차지하며 그 비중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를 중요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머리숱은 외형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가 발생하면 자신감이 낮아지고, 연령에 비해 나이가 많아 보이는 등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탈모의 단계에 따라 두피 관리, 탈모용 샴푸의 사용, 약물치료, 자가 모발 이식 등 다양한 종류의 탈모 관리법이 제안되고 있다.
자가 모발 이식은 탈모 유전자가 없는 머리 뒷부분에서 모낭을 채취하여 탈모 부위에 이식한다. 그러므로, 자가 이식한 모발은 영구적으로 탈모가 되지 않고, 단기간 내에 육안으로 확연한 효과를 보여준다. 최근 들어서는 외형적으로 젊어 보이고 자신감을 상승시키기 위해 또는 이마의 헤어 라인을 정리하는 미용의 용도로 젊은 층의 모발 이식 수술도 증가하고 있다.
자가 모발 이식은 환자 자신의 두피의 일정 부분을 떼어내는 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과, 모낭만을 일일이 뽑아내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은 환자의 뒷머리에서 두피의 일정 부분을 절개하여 떼어낸 후 탈모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여러 명의 모낭 분리사가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모낭을 분리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모낭을 분리하는 속도에 큰 차이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모낭이 불규칙하게 분리되며, 동일한 작업자라 할지라도 당일의 컨디션에 따라 모낭 분리의 질이 달라지고, 수술 시간이 길어져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모낭 분리사의 인건비로 인해 환자의 수술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비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은 모낭을 뽑아낸 후 두피에 이식이 용이하도록 뽑아낸 모낭의 결합조직을 절단해서 손질해야 하므로 의사와 환자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의사의 피로 누적으로 인해 집중력이 저하됨에 따라 모낭 채취 시 건강한 모낭의 절단과 같은 손상을 초래하여 생착률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은 모낭 분리사 없이도 절개식 모발 이식 또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이 가능한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자동 모낭 분리 장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부와 모낭 분리 제어부로 구성된다.
자동 모낭 분리 장치부는 탈모환자로부터 절개한 두피를 스캐닝하여 피부조직에 형성된 결합조직에서 모낭 단위를 분리하고, 모낭 단위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이는 컨베이어 벨트부, 두피 데이터 분석부, 제1 절단장치부, 제2 절단장치부, 모낭 선별공급부로 구성된다.
컨베이어 벨트부는 전방 끝단에서 후방 끝단까지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 형상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직선단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지 및 직선단일방향 이동을 통해 상단에 위치한 모낭 단위가 포함된 결합조직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0036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회전 이동을 하는 컨베이어 벨트부가 아닌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직선운동부를 통해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모낭 작업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모낭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위와 같은 모낭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탈모 환자로부터 추출한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모낭 이송 장치에 있어서, 직선 왕복 운동을 통해, 상기 결합조직을 상기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를 구비하는, 모낭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압 또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압력발생부로부터 발생한 상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자력발생부로부터 발생한 상기 자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제1변환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제1변환부는 랙앤피니언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 이송 장치는, 직선운동을 발생시키는 직진구동부 및 상기 직진구동부의 직선운동을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를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낭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직선운동부를 통해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모낭 작업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모낭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모낭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모낭분리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압력발생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자력발생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회전운동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직진운동부에 의한 회전을 수행하는 회전운동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조직이란 환자의 탈모유전자가 없는 뒷머리에서 일정 부분을 절개하여 떼어낸 조직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합조직(또는 결체조직)이란 피부조직에서 모낭 단위를 감싸며 지지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모낭분리 장치부(100)의 사시도이다.
모낭분리 장치부(100)는 탈모환자로부터(예를 들어, 뒷머리에서) 절개한 두피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정보 및 수치를 수집하고,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단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절개하여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된 모낭단위에 형성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선별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모낭분리 장치부(100)는 컨베이어 벨트부(110),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 제1 절단장치부(130), 제2 절단장치부(140), 모낭 선별공급부(150)로 구성된다.
컨베이어 벨트부(110)는 전방 끝단에서 후방 끝단까지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 형상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직선단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지 및 직선단일방향 이동을 통해 상단에 위치한 모낭단위가 포함된 결합조직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낭단위가 포함된 결합조직은 항균 처리된 모낭 분리판(미도시)에 놓여 지게 되고 모낭 분리판은 컨베이어 벨트부(110)에 끼워져 이동한다.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는 탈모환자의 뒷머리에서 절개한 피부조직을 스캐닝하여 두피 내에 형성된 모발의 평균밀도를 측정하고, 피부조직의 끝단 일측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핀을 찔러 삽입되는 피부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며 데이터화 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는 절개된 피부조직을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모낭 분포도를 식별하며 모낭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피부조직 내의 모발의 평균밀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절단장치부(130)는 컨베이어 벨트 진행방향으로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의 후단에 위치하여 두피 데이터에서 측정된 밀도에 따라 절단날의 이동간격을 설정하고, 두피조직을 슬라이스 형태로 얇게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절단장치부(140)는 컨베이어 벨트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제1 절단장치부(130)의 후단방향에 직립되어 형성되고, 컨베이어 벨트의 수직방향으로 절단날이 왕복 이동되며, 제1 절단장치부(130)에서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된 피부조직의 각각의 모낭단위를 스캔하여 좌·우 측면부분을 각각 절개함으로써 모낭단위를 개별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모낭 선별공급부(150)는 컨베이어 벨트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제2 절단장치부(140)의 후단방향에 위치하여 모낭단위 형태로 절단된 각각의 모낭을 집어 올려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분리된 모낭단위에 형성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각각 선별하여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200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모낭 이송 장치(2000)로 대체하였다.
본 발명의 모낭 이송 장치(2000)는 탈모 환자의 뒷머리에서 추출한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두피데이터 분석부(120), 제1 절단 장치부(130), 제2 절단 장치부(140) 및 모낭 선별 공급부(150)의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모낭 이송 장치(2000)는 컨베이어 벨트부(110)와는 다르게 직선왕복운동을 통해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모낭 작업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낭 이송 장치(2000)는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모낭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2100)를 포함한다.
탈모 환자의 뒷머리에서 추출한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은 모낭작업판(2200)에 놓이고, 모낭작업판(2200)은 직선운동부(2100) 위에 고정되어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모낭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는 직선운동부(2100)와 연결되어 직선운동부(2100)를 초기 위치로부터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모낭 작업 위치로 작업순서에 맞춰 이동시키고,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모낭 분류 작업 1사이클이 종료되면 직선운동부(210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작업순서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의 두피데이터 분석부(120)에서 첫번째 작업이 수행되고, 제1 절단 장치부(130)에서 두번째 작업이 수행되고, 제2 절단 장치부(140)에서 세번째 작업이 수행되고, 모낭 선별 공급부(150)에서 네번째 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초기 위치는 두피데이터 분석부(120)의 작업 위치가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모낭 이송 장치(2000)에는 이송 장치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어 이송 장치 제어부가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를 제어하여 직선운동부(2100)가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두피데이터 분석부(120)의 작업 위치, 제1 절단 장치부(130)의 작업 위치, 제2 절단 장치부(140)의 작업 위치 및 모낭 선별 공급부(150)의 작업 위치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송 장치 제어부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100)에서 두피데이터 분석부(120), 제1 절단 장치부(130), 제2 절단 장치부(140) 및 모낭 선별 공급부(150)의 작업순서를 거쳐 1사이클의 모낭의 분리 및 선별 작업이 종료되면, 직선운동부(2100)를 상술한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 다음 사이클의 모낭 분리 및 선별의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는 전기모터, 공기압, 유압, 자력 등과 같은 다양한 동력원을 이용하여 직선운동부(2100)를 작업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3000)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압력발생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압력발생부(31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3000)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압력발생부(31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3000)로 대체하였다.
압력발생부(3100)는 공기압, 유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는 장치로 상술한 압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에 압력을 전달한다. 이후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는 전달받은 압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부(2100)를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작업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발생부(3100)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어 상세한 구조와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4000)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자력발생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자력발생부(41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4000)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자력발생부(41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4000)로 대체하였다.
자력발생부(4100)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력을 발생시는 장치로 자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를 통해 직선운동부(2100)를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작업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는 솔레노이드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력발생부(4100)에 의해서 발생한 자력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구조를 직선 왕복 운동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5000)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회전운동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낭 이송 장치(50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5100)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520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컨베이어 벨트부(110)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5100)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52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5000)로 대체하였다.
회전구동부(5100)는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구동부(5100)는 제1변환부(5200)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변환부(5200)는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제1변환부(5200)는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부(2100)를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작업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전구동부(5100) 및 제1변환부(5200)는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로 형성된다.
즉, 회전운동부(5100)가 모터에 의해 회전운동을 시작하면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와 제1변환부(5200)의 직선운동 축에 형성된 톱니가 맞물려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변환부(5200)의 직선운동이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이송 장치(6000)의 개념도로, 직선운동부가 직진구동부와 제2변환부 및 회전운동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낭 이송 장치(60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6100)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6200) 및 직선운동을 발생시키는 직진구동부(6300)와 직진구동부(6300)의 직선운동을 회전구동부(61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640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컨베이어 벨트부(110)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6100)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6200) 및 직선운동을 발생시키는 직진구동부(6300)와 직진구동부(6300)의 직선운동을 회전구동부(61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6400)를 더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6000)로 대체하였다.
직진구동부(6300)는 직선운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직진구동부(6300)는 공기압, 유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수행하거나 전자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변환부(6400)는 일측이 직진구동부(63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구동부(6100)와 연결되어 직진구동부(6300)의 직선운동을 회전구동부(61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이후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6100)는 제1변환부(6200)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변환부(6200)는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또한, 제1변환부(6200)는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230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부(2100)를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작업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0, 3000, 4000, 5000, 6000: 모낭 이송 장치
2100: 직선운동부 2200: 모낭 분리판
2300: 직선운동 동력전달장치 3100: 압력발생부
4100: 자력발생부 5100, 6100: 회전구동부
5200, 6200: 제1변환부 6300: 직진구동부
6400: 제2변환부

Claims (7)

  1. 탈모 환자로부터 추출한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모낭 이송 장치에 있어서,
    직선 왕복 운동을 통해, 상기 결합조직을 상기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각 부의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를 구비하는,
    모낭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압 또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압력발생부로부터 발생한 상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모낭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자력발생부로부터 발생한 상기 자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모낭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제1변환부에 결합되는,
    모낭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제1변환부는 랙앤피니언 구조를 포함하는,
    모낭 이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직선운동을 발생시키는 직진구동부, 및
    상기 직진구동부의 직선운동을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모낭 이송 장치.
  7. 제1항에서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낭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1020180141334A 2018-11-16 2018-11-16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10242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34A KR102425564B1 (ko) 2018-11-16 2018-11-16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34A KR102425564B1 (ko) 2018-11-16 2018-11-16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239A true KR20200057239A (ko) 2020-05-26
KR102425564B1 KR102425564B1 (ko) 2022-07-25

Family

ID=7091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34A KR102425564B1 (ko) 2018-11-16 2018-11-16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704A (ja) * 1998-03-10 1999-09-24 Minolta Co Ltd 直線送り機構
KR100232839B1 (ko) * 1994-04-25 2000-03-02 올라브 엘. 아아스베르그 모근이식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해 모근들을 컨베이어벨트에 위치시키는 장비
KR101529035B1 (ko) * 2014-02-24 2015-06-24 주식회사 코리아로보테크 시일리스 고속 공압 이송장치
KR101647900B1 (ko) * 2011-09-09 2016-08-11 벤타나 메디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슬라이드 이송 디바이스
KR101800365B1 (ko) 2017-08-09 2017-11-22 김태희 자동 모낭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839B1 (ko) * 1994-04-25 2000-03-02 올라브 엘. 아아스베르그 모근이식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해 모근들을 컨베이어벨트에 위치시키는 장비
JPH11258704A (ja) * 1998-03-10 1999-09-24 Minolta Co Ltd 直線送り機構
KR101647900B1 (ko) * 2011-09-09 2016-08-11 벤타나 메디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슬라이드 이송 디바이스
KR101529035B1 (ko) * 2014-02-24 2015-06-24 주식회사 코리아로보테크 시일리스 고속 공압 이송장치
KR101800365B1 (ko) 2017-08-09 2017-11-22 김태희 자동 모낭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564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8498B2 (ja) 自動毛包分離装置
KR102324240B1 (ko) 모발 식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Bicknell et al. Follicular unit extraction hair transplant harvest: a review of current recommendations and future considerations
KR20210077665A (ko) 불량 모낭 선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hanna Hair transplantation surgery
KR20200057239A (ko)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Epstein et al. Ethnic considerations in hair restoration surgery
Rassman et al. 17 Follicular Unit Extraction
RU2550428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лантации волос
US20230041440A1 (en) Hair identifying device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e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JP3953709B2 (ja) 育毛剤又は養毛剤成分の候補物質の評価法および脱毛症モデル
KR20200057238A (ko)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US11883060B2 (en) Versatile follicular transplant method and system
WO2018231169A1 (en) Apparatus with needle for the extraction of long hair follicles
US20190282260A1 (en) Apparatus with needle for the extraction of hair follicles in long form
KR102324236B1 (ko) 자동 식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SE1650588A1 (en) Multi-layer dermatome
Bernstein et al. Follicular unit hair transplantation
KR102324235B1 (ko) 자동 모낭분리판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Watkins A BRIEF HISTORY OF DONOR HARVESTING
US20230044177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Defective Hair Follicle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CN214856990U (zh) 一种植发中固定假发的装置
Gupta et al. Concepts, Terminology, and Innovations in Follicular Unit Excision Hair Restoration Surgery
Vong Eyebrow transplant
Anastassakis Strip Excision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