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238A -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238A
KR20200057238A KR1020180141333A KR20180141333A KR20200057238A KR 20200057238 A KR20200057238 A KR 20200057238A KR 1020180141333 A KR1020180141333 A KR 1020180141333A KR 20180141333 A KR20180141333 A KR 20180141333A KR 20200057238 A KR20200057238 A KR 20200057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llicle
hair
unit
separating
hair foll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to KR102018014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7238A/ko
Publication of KR2020005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95Packages or dispensers for prostheses or othe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2Skin grafting apparatus
    • A61B2017/3225Skin grafting apparatus with processing of harvest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두피에서 분리한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이 놓여, 상기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여,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 분리판은, 상기 결합조직이 위치하여 모낭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모낭분리부 및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분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Plate for Separating Hair Follicle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적인 변화가 생기거나, 유전적인 영향, 호르몬의 영향, 식습관,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환경적인 요인 등의 다양한 이유로 두피에서 머리가 빠지는 탈모현상을 겪게 된다. 이러한 탈모환자는 세계 인구의 약 20%~30%를 차지하며 그 비중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를 중요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머리숱은 외형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가 발생하면 자신감이 낮아지고, 연령에 비해 나이가 많아 보이는 등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탈모의 단계에 따라 두피 관리, 탈모용 샴푸의 사용, 약물치료, 자가 모발 이식 등 다양한 종류의 탈모 관리법이 제안되고 있다.
자가 모발 이식은 탈모 유전자가 없는 머리 뒷부분에서 모낭을 채취하여 탈모 부위에 이식한다. 그러므로, 자가 이식한 모발은 영구적으로 탈모가 되지 않고, 단기간 내에 육안으로 확연한 효과를 보여준다. 최근 들어서는 외형적으로 젊어 보이고 자신감을 상승시키기 위해 또는 이마의 헤어 라인을 정리하는 미용의 용도로 젊은 층의 모발 이식 수술도 증가하고 있다.
자가 모발 이식은 환자 자신의 두피의 일정 부분을 떼어내는 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과, 모낭만을 일일이 뽑아내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은 환자의 뒷머리에서 두피의 일정 부분을 절개하여 떼어낸 후 탈모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여러 명의 모낭 분리사가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모낭을 분리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모낭을 분리하는 속도에 큰 차이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모낭이 불규칙하게 분리되며, 동일한 작업자라 할지라도 당일의 컨디션에 따라 모낭 분리의 질이 달라지고, 수술 시간이 길어져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모낭 분리사의 인건비로 인해 환자의 수술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비절개식 모발 이식 방법은 모낭을 뽑아낸 후 두피에 이식이 용이하도록 뽑아낸 모낭의 결합조직을 절단해서 손질해야 하므로 의사와 환자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의사의 피로 누적으로 인해 집중력이 저하됨에 따라 모낭 채취 시 건강한 모낭의 절단과 같은 손상을 초래하여 생착률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은 모낭 분리사 없이도 절개식 모발 이식 또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이 가능한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두피는 두피 표면으로부터 표피층, 진피층, 제1 지방층, 및 제2 지방층으로 구성된다. 모낭은 대부분의 경우 제1 지방층까지 뻗어 있으며, 제2 지방층에는 혈관과 신경망 등이 있어서 이식을 위한 모낭의 분리는 메스 등을 사용하여 제1 지방층까지 절개하는 과정을 거친다.
절개된 두피는 모낭 분리판에 올려놓고 모낭 분리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모낭 단위로 두피를 분리한 후에 각각의 모낭 주변의 불필요한 피부조직을 제거한다.
즉, 두피에서 분리된 모낭에는 여전히 모낭 주변에 표피층, 진피층, 및 제1 지방층을 포함하는 불필요한 피부조직이 붙어 있어서, 모낭 분리사가 핀셋과 메스를 사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손질하여 모낭에서 불필요한 피부조직을 제거한다.
기존에 모낭분리사가 사용하는 모낭 분리판은 단순히 나무재질로 된 가로세로 15 cm x 10 cm 정도의 판으로 되어 모낭이 포함된 결합조직을 분리하는 작업만 수행되는 단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에 모낭분리사가 사용하는 모낭 분리판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자동 모낭 분리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0036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절개식 모발 이식 또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시에 절개한 두피를 모낭 단위로 분리할 때, 탈모환자의 두피로부터 떼어낸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는 작업 및 분리된 모낭을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모낭 분리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위와 같은 모낭 분리판을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의 두피에서 분리한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이 놓여, 상기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여,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결합조직이 위치하여 모낭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모낭분리부 및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분류부를 구비하는, 모낭 분리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낭분리부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상기 모낭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덴트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덴트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분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 분리판은 상층과 하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은 나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하층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바닥면은 마찰력이 커지도록 복수의 마찰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분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낭 분리판을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식 모발 이식 또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시에 절개한 두피를 모낭 단위로 분리할 때, 탈모환자의 두피로부터 떼어낸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는 작업 및 분리된 모낭을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모낭 분리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모낭 분리판을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분리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분류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모낭분류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분리 장치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데이터 분석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절단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절단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조직이란 환자의 탈모유전자가 없는 뒷머리에서 일정 부분을 절개하여 떼어낸 조직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합조직(또는 결체조직)이란 피부조직에서 모낭 단위를 감싸며 지지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분리판(3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낭 분리판(300)은 환자의 두피에서 분리한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T)이 놓이고, 결합조직(T)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판을 의미한다. 또한, 모낭 분리판은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T)으로부터 분리된 모낭을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모낭 분리판은 모낭분리부(310) 및 모낭분류부(320)을 포함한다.
모낭분리부(310)은 상기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T)이 위치하며,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T)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는 모낭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구역이다.
모낭분류부(320)은 모낭분리부(310)에서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T)으로부터 분리된 모낭을 분류하는 구역이다.
모낭분류부(320)는, 예를 들면 덴트(Dent)가 될 수 있다.
모낭 분리를 수행하는 작업자는 결합조직(T)으로부터 분리된 모낭을 모발의 개수에 따라 덴트(321,322,323)에 분류한다.
여기서, 덴트(321,322,323)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낭분류부인 덴트(321,322,323)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가 최대 3개인 경우에는 덴트(321,322,323)를 3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맞게 덴트의 개수를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분리된 모낭을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덴트(321,322,323)에 분류한다. 여기서, 덴트(321,322,323)에는 생리 식염수가 표면장력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공급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낭 분리판(300)은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모낭분리부(310)이 모낭 분리판(300)의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모낭분류부(320)은 모낭 분리판(300)의 상면의 상측에 위치한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이 오른손잡이인 것을 감안하여 모낭분류부인 덴트(321,322,323)은 모낭 분리판(300)의 상면의 상측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왼손잡이인 작업자를 고려하여 모낭분류부인 덴트(321,322,323)은 모낭 분리판(300)의 상면의 상측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낭분류부인 덴트(321,322,323)은 모낭 분리판(300)의 상면의 상측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분리판(300)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낭 분리판(300)은 단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단층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나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무 재질 및 실리콘 재질의 표면에는 항균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모낭 분리판(300)이 2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층(A)은 나무로 구성되며, 하층(B)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층(A)을 나무로 구성하는 이유는 나무의 항균 작용으로 인해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잘 번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나무 중에서도 항균작용이 뛰어난 소나무(pine), 참나무 (oak)를 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항균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상층(A)인 나무의 표면에는 항균 처리가 추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하층(B)을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하는 이유는 모낭 분리판(300)을 작업대에 놓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 모낭 분리판(300)이 작업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하층(B)의 바닥면은 마찰력이 커지도록 복수의 마찰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마찰구조는 작은 돌기 구조나 지그재그 형식으로 파여진 덴트 등과 같은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는 고정된 작업대 일 수 있으며, 자동 모낭 분리 장치에서 이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나 수평 이동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낭 분리판(300)은 고정된 작업대에 놓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모낭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자동 모낭 분리 장치의 이동 장치에 놓여 기계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모낭 분리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분류부(3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모낭분류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낭을 분류하기 위한 구조로 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모낭분류부의 상측면도로 모낭분류부인 덴트가 원형(321-1), 사각형(322-1), 삼각형(323-1)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모낭분류부의 형상을 원형, 사각형, 삼각형 형상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외 타원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모낭분류부를 삼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가 포함된 모낭을 역삼각형의 모낭분류부에 분류하는 경우에 역삼각형의 구조로 인해 모낭은 역삼각형의 하부 꼭지점에 수렴하게 되고, 모낭에 포함되어 있는 모는 역삼각형의 상부의 양측 꼭지점을 향해서 벌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모낭분류부에서 하나의 모낭을 분리하는 경우에 보다 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모낭분류부인 덴트는 도 3(b),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깊이가 가장 깊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낭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b),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깊이가 가장 깊도록 형성되어 있는 덴트에 모낭이 분류되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는 덴트의 외측 방향으로 눕혀지게 되어 작업자가 모낭 분리 구조인 덴트에서 모낭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낭분류부인 덴트의 깊이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낭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면, 모는 모낭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눕혀지게 되어 작업자가 모낭 분리판의 외측면으로부터 모에 접근하여 덴트에 포함된 모낭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모낭분류부(42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모낭분류부(420)이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모낭 분리판(40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서 모낭분류부(420)은 모낭 분리판(40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는 슬라이드방식의 구조일 수 있으며, 끼움 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모낭분류부(420)은 모낭 작업 구역(410)과 동일한 나무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비용적인 측면을 위해서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낭분류부(420)은 결합조직(T)에서 분리된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 또는 작업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모낭분류부 및 위치가 상술한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낭 분리판 상에서 모낭 단위로 분리되어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모낭은 모낭 이식 수술을 위해 의사에게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1)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1)는 모낭분리 장치부(10) 및 모낭분리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자동 모낭 분리판 클리닝 장치(30)는 모낭분리 장치부(1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분리 장치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낭분리 장치부(10)는 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100)와 비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200)로 구성된다.
모낭분리 장치부(10)는 탈모환자로부터 절개한 두피를 스캐닝하여 스캐닝한 이미지의 각종 정보 및 수치를 수집하고,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 단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분리한 후, 각각의 분리된 모낭 단위에 형성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모낭을 선별하여 저장하게 된다.
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100)는 절개식 모발 이식 시에 탈모환자로부터(예를 들어, 뒷머리에서) 절개한 두피를 스캐닝하여 피부조직에 형성된 결합조직에서 모낭 단위를 각각 분리하고, 모낭 단위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모낭을 선별하는 것이다.
비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200)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시에 탈모환자로부터(예를 들어, 뒷머리에서) 직접 낱개로 뽑아낸 모낭 단위의 측면 부분에 붙어있는 결합조직을 모낭 단위로 각각 절단하여 분리하고, 모낭 단위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별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낭 분리 장치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100)는 모낭 단위를 이송하는 이송부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컨베이어벨트부(110),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 제1 절단 장치부(130), 제2 절단 장치부(140) 및 모낭 선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부(110)는 전방 끝단에서 후방 끝단까지 수평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 형상으로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직선 단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모낭분리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한 모낭 단위가 포함된 결합조직을 이동시킨다.
컨베이어벨트부(110)에는 벨트 레일의 좌우측 둘레 끝단이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중앙 둘레를 따라 항균 절단판(미 도시)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항균 절단판은 모낭이 포함된 피부조직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컨베이어벨트부(110)의 회전에 따라 피부조직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항균 절단판은 전진 방향 상측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벨트로 멸균 처리가 이루어지고, 항균성 및 내식성을 가지며, 예컨대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항균 절단판은 환자에게서 떼어낸 결합조직이 직접 접촉되는 면으로 세균에 노출되어 감염되는 것을 차단하여 모낭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항균 절단판은 위생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모낭 분리가 완료되면 폐기하는 일회용 소모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는 절개된 피부조직을 스캐닝하여 두피 내에 형성된 모발의 평균 밀도를 측정하고, 피부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며 데이터화 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는 스캐닝부(321), 모니터부(322) 및 피부 경도 측정부(323)로 구성된다.
스캐닝부(321)는 컨베이어벨트부의 상단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스캐닝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며 절개된 피부조직을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모낭 분포를 파악하며 모낭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피부조직 내의 모발의 평균 밀도를 측정한다.
스캐닝부(321)는 절개된 피부조직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며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피부조직을 스캐닝하고,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의 줌인/아웃(zoom in/out)이 가능하여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된 화면을 모니터부(322)에 제공한다.
모니터부(322)는 스캐닝부(321)에서 스캔한 화면을 확대 표시하고, 피부 경도 측정부(323)에서 측정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즉 모니터부(322)는 절개된 피부조직의 전체적인 상태를 의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피부 경도 측정부(323)에서 측정된 피부 경도의 정보를 제공한다.
피부 경도 측정부(323)는 컨베이어벨트부의 좌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위치하고, 컨베이어벨트부의 상단 방향으로 피부 경도 측정 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 방향으로 피부조직 감지 센서에 최초로 피부조직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하단 끝단에 위치한 피부 경도 측정 핀이 두피 조직에 관통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절단 장치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단 장치부(130)는 제1 절단 스캐닝부(131), 제1 모니터부(132), 제1 핀 고정부(133) 및 제1 절단날 모낭분리 제어부(134)로 구성된다.
제1 절단 스캐닝부(131)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컨베이어벨트부의 상단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스캐닝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며 절개된 피부조직의 전방을 스캔하여 절단 위치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피부조직이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되는 영상을 촬영한다.
제1 절단 스캐닝부(131)는 가변되는 절단 위치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피부조직을 스캐닝하고,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의 줌인/아웃(zoom in/out)이 가능하여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된 화면을 제1 모니터부(132)에 제공한다.
제1 모니터부(132)는 제1 절단 스캐닝부(131)에서 스캔한 화면을 확대 표시하여, 피부조직 전방의 상태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되는 화면 정보를 의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제1 핀 고정부(133)는 컨베이어벨트부의 좌측면 일측에 지지되어 위치하고, 제1 절단 스캐닝부(131)에서 스캔으로 식별된 피부조직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방과 후방의 좌우측에 위치한 수직 지지 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각각의 수직 지지 핀에 결합된 피부조직 감지 센서에 피부조직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피부조직을 고정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절단 장치부(14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절단 장치부(140)는 절개한 각각의 모낭 단위의 측면 부분에 붙어있는 조직을 더 제거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자동 모낭 분리 장치(1)는 제2 절단 장치부(140)와 모낭 선별부(150) 사이에 절개한 각각의 모낭 단위의 측면 부분에 붙어있는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절단 장치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단 장치부(140)는 제2 절단 스캐닝부(141), 제2 모니터부(142) 및 제2 절단날 모낭분리 제어부(143)로 구성된다.
제2 절단 스캐닝부(141)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컨베이어벨트부의 상단 일측 중앙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스캐닝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여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된 결합조직을 스캐닝하여 모낭 단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모낭 단위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모낭분리 제어부에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슬라이스 형상의 두피 조직이 모낭 단위 형태로 절단되는 영상을 촬영한다.
제2 절단 스캐닝부(141)는 가변되는 절단 위치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며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슬라이스 형상의 결합조직을 스캐닝하고,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의 줌인/아웃(zoom in/out)이 가능하여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된 화면을 제2 모니터부(142)에 제공한다.
제2 모니터부(142)는 직립된 제2 절단 장치부(140)의 좌측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절단 스캐닝부(141)에서 스캔한 화면을 확대 표시하여, 슬라이스 형태의 결합조직의 상태와, 모낭 단위로 절단되는 화면 정보를 의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제2 절단날 모낭분리 제어부(143)는 컨베이어벨트부의 상단을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ㄷ"자 (스테이플) 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의 하단 방향으로 절단날이 왕복 이동하여 슬라이스 형태의 결합조직에 포함된 모낭 단위의 좌우 측면을 일정한 이격을 두고 절단하여 모낭 단위로 개별적으로 분리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낭분리 장치부(10)는 비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200)를 포함한다.
비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200)는 탈모환자로부터 직접 낱개로 뽑아낸 모낭 단위의 측면 부분에 붙어있는 결합조직을 모낭 단위로 각각 절단하여 분리하고, 모낭 단위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부(110), 제1 절단 장치부(140) 및 모낭 선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절개식 모낭 분리 장치부(200)는 환자로부터 뽑아낸 모낭 및 결합조직을 컨베이어 벨트부의 진행 방향으로 제1 절단 장치부(130)의 후단에 1열로 위치시키고, 제2 절단 장치부(140)와 모낭 선별부(150)를 통해 절개식 모낭 분리 장치부와 동일한 구동 순서로 모낭과 결합조직을 분리시킨다.
비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200)는 절개식 모낭분리 장치부(100)에서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와 제1 절단 장치부(130)를 OFF 시킨 상태로 사용하거나,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와 제1 절단 장치부(130)를 제거하여 모낭분리 장치부(10)의 길이를 줄인 컴팩트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와 제1 절단 장치부(130)를 제거한 형태로 사용할 경우, 비절개식 모낭 분리 장치 기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고, 기기의 구성 요소가 줄어들어 기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모낭분리 제어부는 스캐닝한 두피 이미지 정보 및 수치를 데이터화 하여 모니터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나타내고, 컨베이어벨트부(110), 두피 데이터 분석부(120), 제1 절단 장치부(130), 모낭 선별부(150) 등을 포함하는 모낭분리 장치부(10)의 반응속도 및 이동속도와 같은 설정 값을 조절하며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1) 내에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낭 분리판(300)은, 절개식 모발 이식 또는 비절개식 모발 이식 시에 절개한 두피를 모낭 단위로 분리할 때, 모낭 분리판(2) 상에 놓고 사용하거나 모낭 분리판(2)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피부조직 감지 센서, 모낭 위치 감지 센서, 모낭 선별 감지 센서 등의 각종 센서는 광센서, 초음파 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적절한 형태의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절단날, 제2 절단날 등의 절단날에 블레이드 형태의 칼날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워터젯이나 레이저 등을 사용해서 피부조직을 절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피부조직의 이송 수단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부조직을 올려놓기 위한 시료판과 랙앤피니언 장치를 사용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시료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상의 피부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핀 고정부에 실린더 타입 장치를 사용하여 핀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피에조 장치 또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사용해서 핀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끼움 결합식 또는 나사 결합식 등의 결합 방식은 필요에 따라 상호 교환될 수도 있으며, 끼움 결합식에는 클릭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300, 400: 모낭 분리판
310, 410: 모낭분리부 320, 420: 모낭분류부
321, 321-1, 322, 322-1, 323, 323-1: 덴트

Claims (10)

  1. 환자의 두피에서 분리한 모낭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이 놓여, 상기 결합조직으로부터 모낭을 분리하여,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결합조직이 위치하여 모낭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모낭분리부; 및
    분리된 모낭을 상기 모낭에 포함된 모발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모낭분류부
    를 구비하는,
    모낭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낭분리부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모낭 분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상기 모낭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덴트를 포함하는,
    모낭 분리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덴트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모낭 분리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덴트는, 상기 모낭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
    모낭 분리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분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낭 분리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 분리판은 상층과 하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은 나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하층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된,
    모낭 분리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바닥면은 마찰력이 커지도록 복수의 마찰구조가 형성된,
    모낭 분리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분류부는 분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낭 분리판.
  10. 제1항에서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낭 분리판을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1020180141333A 2018-11-16 2018-11-16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20200057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33A KR20200057238A (ko) 2018-11-16 2018-11-16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33A KR20200057238A (ko) 2018-11-16 2018-11-16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238A true KR20200057238A (ko) 2020-05-26

Family

ID=7091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33A KR20200057238A (ko) 2018-11-16 2018-11-16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7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1550A (zh) * 2020-06-18 2020-09-18 昆明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毛发移植手术专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65B1 (ko) 2017-08-09 2017-11-22 김태희 자동 모낭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65B1 (ko) 2017-08-09 2017-11-22 김태희 자동 모낭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1550A (zh) * 2020-06-18 2020-09-18 昆明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毛发移植手术专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41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hair follicles
KR102324240B1 (ko) 모발 식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JP5843295B2 (ja) 皮膚移植片採取装置
Moy et al. Wide-field functional imaging of blood flow and hemoglobin oxygen saturation in the rodent dorsal window chamber
KR20210077665A (ko) 불량 모낭 선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JP2011522601A (ja) 採取用の毛嚢ユニット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otrschal et al. Ontogeny of the solitary chemosensory cells in the zebrafish, Danio rerio
KR20200057238A (ko) 모낭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US5046606A (en) Container for nail clippings
Lahiri et al. The concept of stability of vitiligo: A reappraisal
US20230041440A1 (en) Hair identifying device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e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Al-Ghoul et al. Light microscopic variation of fiber cell size, shape and ordering in the equatorial plane of bovine and human lenses
KR102324236B1 (ko) 자동 식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102324235B1 (ko) 자동 모낭분리판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US20230044177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Defective Hair Follicle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Hair Follicles Including the Same
KR101965792B1 (ko) 장기간 보관용 인공피부의 제조방법
JP3953709B2 (ja) 育毛剤又は養毛剤成分の候補物質の評価法および脱毛症モデル
KR102267682B1 (ko) 모발 이식수술용 모발 품질평가장치
KR20210012733A (ko) 자동 모낭 쉐이핑 장치
Tainton-Heap et al. Whole-Brain Calcium Imaging in Drosophila during Sleep and Wake
KR20200057239A (ko) 모낭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102234006B1 (ko) 모낭 정보 측정 및 수집 방법
KR20210012728A (ko) 자동 모낭 분리 장치
US7789268B2 (en) Sterilizable dispenser for sterilizable lancets for bleeding mice
RU56802U1 (ru) Дерма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