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722A -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722A
KR20200056722A KR1020180140737A KR20180140737A KR20200056722A KR 20200056722 A KR20200056722 A KR 20200056722A KR 1020180140737 A KR1020180140737 A KR 1020180140737A KR 20180140737 A KR20180140737 A KR 20180140737A KR 20200056722 A KR20200056722 A KR 2020005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o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790B1 (ko
Inventor
엄기훈
강기훈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790B1/ko
Priority to US16/685,449 priority patent/US10802043B2/en
Priority to PCT/KR2019/015670 priority patent/WO2020101435A1/en
Publication of KR2020005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6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 및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METHOD FOR DETECTING EXTERNAL SHOCK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과 같이 일반 소비자가 항상 휴대하고 사용하는 전자 장치는 외부의 충격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일정 이상의 충격에 취약하여, 심하게는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 폭발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인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떨어뜨릴 수도 있으며, 습관적으로 전자 장치에 계속적으로 충격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에는 다양한 형태의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렇게 가해진 충격은 전자 장치에 실장되어 있는 부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충격을 인식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전자 장치에 얼마만큼의 중력 가속도가 걸리는 지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3축 가속도 센서는 X, Y, Z 3축의 각각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의 크기를 반환한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 일반적으로 실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의 경우 최대 4G(4 gravitational acceleration, 1G=9.8m/s2)까지밖에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충격 센서를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 제시되고 있는 충격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여 추가로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가 필요하고, 신호 처리 프로세스가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는 속도가 13kHz 이상 동작하여야 하여, 전자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높고, 사이즈가 크고, 구현하는데 회로 구성이 복잡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충격 센서를 제시하고, 이러한 충격 센서가 가져야 하는 최소한의 기능과 동작 방식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충격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 및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범위의 가속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범위보다 높은 제2 범위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충격 데이터 및 상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는 종래에 적용이 힘들었던 충격 센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해 정밀한 충격 감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량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외부 충격에 의한 전자 장치의 충격 상태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사후 서비스시 시간을 절약하여 줄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가 수집하여 전달한 외부 충격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센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의 분석 및 알림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예상하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생성 후 외부 충격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알림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표시 장치에 알림을 표시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embedded)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면(또는 전면)(210A), 제2 면(또는 후면)(210B), 및 제1 면(210A) 및 제2 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0C)을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2의 제1 면(210A), 제2 면(210B) 및 측면(2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2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2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2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210C)은, 전면 플레이트(202) 및 후면 플레이트(2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2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211) 및 측면 베젤 구조(2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는, 상기 제1 면(2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1 영역(2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3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2 면(2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2 영역(2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가 상기 제1 영역(210D)들(또는 상기 제2 영역(2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210D)들 또는 제2 영역(2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218)는, 상기와 같은 제1 영역(210D)들 또는 제2 영역(210E)들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210D)들 또는 제2 영역(210E)들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01), 오디오 모듈(203, 207, 214), 센서 모듈(204, 219), 카메라 모듈(205, 212, 213), 키 입력 장치(215, 216, 217), 인디케이터(206), 및 커넥터 홀(208, 2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215, 216, 217), 또는 인디케이터(2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면(210A), 및 상기 측면(210C)의 제1 영역(210D)들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2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204, 2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215, 216, 2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210D)들, 및/또는 상기 제2 영역(2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3, 207, 214)은, 마이크 홀(203) 및 스피커 홀(207, 2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2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207, 214)은, 외부 스피커 홀(2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207, 214)과 마이크 홀(203)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207, 2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204, 219)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 219)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2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210)의 제2 면(210B)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219)(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예: 홈 키 버튼(215)) 뿐만 아니라 제2 면(2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2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5, 212, 213)은, 전자 장치(101)의 제1 면(2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205), 및 제2 면(2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212), 및/또는 플래시(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205, 2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2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1)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215, 216, 217)는,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된 홈 키 버튼(215), 홈 키 버튼(215) 주변에 배치된 터치 패드(216), 및/또는 하우징(210)의 측면(210C)에 배치된 사이드 키 버튼(2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215, 216, 2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5, 216, 217)는 디스플레이(2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06)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208, 2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2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2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400)이다.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모듈(190), 전원 모듈(189), 유저 인터페이스(430), 제1 센서(410) 및 제2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모듈(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모듈(189)은 외부 전원을 전자 장치(101)가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제공하여 줄 수 있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제1 센서(410) 또는 제2 센서(4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가 받은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3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와 같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60)일 수 있으며, 또는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리시버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155)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430)는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일반적인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6축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측정(예: 500Hz)을 수행하고,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충격이 있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센서(410)는 3축 (x, y, z)에 대해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가 모두 200mG이하로 유지되는 상황 또는 전자 장치(101)가 일정한 시간이상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상황(예: 자이로 센서의 3축 중 1축이라도 6ms(millisecond)이상 동안 500dps(degree per second)이상 유지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1)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낙하하는 경우 가속도가 급격히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센서(410)에 해당하는 종래의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경우 4G 정도의 충격까지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가 충격을 받았을 때(예: 낙하 충격) 발생할 수 있는 1000~2000G의 충격가속도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센서(410)는 측정을 통해 순간적으로 4G이상의 가속도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센서(410)는 제2 센서(420)와 연결된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활성화(enable)시킴으로써 제2 센서(420)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전달하여, 시간 지연없이 바로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센서(410)는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전자 장치(101)에 초기 충격이 가해진 후 더 이상 충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벤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410)는 측정된 3축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의 벡터 합(vector sum)이 0.8G 내지 1.2G인 상황이 10ms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벤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이벤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제2 센서(420)와 연결된 인터럽트 신호를 디스에이블(disable) 시킴으로써 제2 센서(420)로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420)는 고 충격 센서로 기존의 가속도 센서에 비해 더 큰 측정 스케일을 가지는 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경우 최대 4G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지만 고 충격 센서는 8000G까지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낙하에 의한 경우 1000~2000G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가속도 센서로는 충격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2 센서(420)는 가속도 센서로는 감지 불가능한 충격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센서(420)는 센서 프로세서(421)와 센서 메모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420)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제1 센서(410)로부터 오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동안, 충격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수집하도록 제2 센서(42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420)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측정한 충격 데이터를 센서 메모리(423)에 저장하였다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따르면 충격 데이터는 매 샘플링 시간에서 측정된 충격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420)가 수집하여 전달한 외부 충격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500)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제2 센서(420)는 x축(510), y축(520), z축(530)의 3개 축에 대한 각 축별 충격량 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 샘플링 시간에서 x축(510), y축(520), z축(53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고 센서 메모리(423)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420)가 비활성화되면 센서 메모리(423)에 저장되어 있던 충격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센서(420)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활성화된 동안 수집된 충격 데이터를 절대값으로 적분하여 충격 이벤트 동안 발생된 총 충격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420)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일정한 주기의 샘플링 시간에서 충격량을 측정하고, 그 값에 대하여 절대값을 취하고, 주기를 곱하여, 샘플링 시간 사이의 간격인 한 주기에서의 충격량을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충격량을 이벤트 구간동안 더하여 총 충격량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제1 센서(410) 또는 제2 센서(42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센서(420)로부터 오는 충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420)로부터 전달받은 충격 데이터를 분석하여 충격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충격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20)는 충격 데이터 분석 결과, 한 번의 큰 충격 이후 작은 충격만 감지되었다고 하면 자유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충격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여러 번에 걸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전자 장치(101)가 낙하 후 바닥에서 계속적인 충격을 받는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충격 데이터 분석 시에 시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충격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분석하여,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전자 장치(101)가 한 번 낙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길면 낙하한 후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표시 장치(160)에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분석을 통해 판단한 충격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시 장치(160)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떤 충격 상황이 발생하였는 지를 인지시켜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420)로부터 수신한 총 충격량 및/또는 충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가 받은 충격량을 누적하여 계속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20)는 누적된 충격량이 일정한 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배터리를 점검하라는 알림을 줄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센서(42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600)이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센서(420)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부(627) 및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부(625)를 포함할 수 있다. ASIC부(625)는 도2에 도시된 센서 프로세서(421)와 센서 메모리(4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EMS부(627)는 센서에 전달되는 가속도에 따라 센서 내부의 MEMS 구조물 형태 변화가 일어나고, 형태 변화에 의한 센서 내부의 커패시터(capacitor) 값의 변화를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MEMS부(627) 내에 있는 MEMS 구조물은 3차원 구조물로서 X, Y, Z축의 3차원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각각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SIC부(625)는 MEMS부(627)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세서(120)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가공하여 프로세서(120)에 전달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가속도 측정 범위와 민감도, 데이터 전달 속도와 같은 측정 파라미터의 변경 및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SIC부(625) 또는 ASIC부에 포함된 센서 프로세서(421)는 MEMS부(62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X, Y 및 Z축 각각에 대한 충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EMS부(627)는 X, Y 및 Z축의 3축에 대한 충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1개의 축, 2개의 축, 또는 4개 이상의 축에 대한 충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SIC부(625)는 구동되고 있지 않다가 제1 센서(410)로부터 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되어 주기적으로 MEMS부(62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샘플링하되, 제1 센서(410)로부터 비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샘플링할 수 있다. 이때 샘플링 주기는 13kHz 이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 프로세서(421)와 센서 메모리(423)를 포함하는 ASIC부(625) 및 MEMS부(627)로 구성된 제2 센서(420)를 위한 충격 센서를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충격 센서는 IC 형태의 MEMS부(627) 및 ASIC부(62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외부 부품없이 전자 장치(101)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MEMS부(627)와 ASCI부(625)가 합쳐져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처럼 모듈화된 충격 센서는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범위의 가속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범위보다 높은 제2 범위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상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외부 충격 상황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수신된 인터럽트 신호의 활성화(enable) 여부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모니터링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활르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모니터링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는 상기 가속도가 x, y, z의 3축에 대해 모두 0.2G(gravitational acceleration)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한 시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미만인 경우는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x, y, z의 3축에 대한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벡터 합(vector sum)이 0.8G 내지 1.2G의 범위 이내로 있는 시간이 0.01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와 연결된 인터럽트 핀, 상기 제2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센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센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부 및 상기 센서 메모리 및 상기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럽트 핀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가 활성화되는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MEMS부가 출력하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샘플링(sampling)하여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럽트 핀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 중 충격량이 가장 큰 데이터, 및/또는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데이터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센서가 제1 주기로 상기 가속도를 모니터링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제2 주기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101)가 순간적으로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과거의 충격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충격에 관한 정보를 팝업 알람 또는 알람 바 형태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101)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동작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700)이다. 도 7에 예시된 흐름도(7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제1 센서(410), 및/또는 제2 센서(420))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410)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측정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가속도 정보는 X, Y 및 Z축 각각에 대한 가속도 정보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가속도 정보를 일정한 주기(예: 제1 주기, 500Hz)로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측정된 가속도가 설정된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충격이 있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가 x, y, z의 3축에 대해 모두 200mG 이하로 유지되는 상황 또는 자이로 센서의 3축 중 1축이라도 6ms이상 동안 500dps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황과 같은 전자 장치(101)가 일정한 시간 이상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상황, 또는 측정된 가속도가 급격히 커지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전자 장치(101)가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7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벤트가 생성되면 외부 충격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101)는 활성화된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충격 데이터는 샘플링 시간에서 측정된 충격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샘플링 시간은 이벤트가 생성되어 있는 동안 동일한 주기(예: 제2 주기, 13kHz)로 반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격 데이터는 x축(510), y축(520), z축(530)의 3개 축에 대한 각 축별 충격량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데이터는 3개 축에 대한 각 축별 충격량에 대한 벡터 합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데이터는 이벤트가 생성된 동안에 측정된 충격량 중에서 가장 큰 충격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되는 충격 데이터는 이벤트가 생성된 동안에 받은 모든 충격을 누적한 누적 충격량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7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충격 데이터 및 충격 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충격 데이터를 기초로 하우징의 어느 분할 영역이 충격을 받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충격 데이터와 이 충격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한 하우징(210)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전자 장치(101)는 제1 센서(410)에 의하여 이벤트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생성된 이벤트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제2 센서(420)에 의하여 충격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전자 장치(101)가 받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101)의 분석 및 알림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8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1) (예: 프로세서(120))는 추가적으로 메모리(130)에 저장된 충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충격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또는 제2 센서(420)로부터 전달된 충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분석된 충격 패턴을 기초로 충격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1)는 한 번의 큰 충격 이후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작은 충격만 감지되었다고 하면, 자유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충격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여러 번에 걸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전자 장치(101)가 낙하 후 바닥에서 계속적인 충격을 받는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충격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분석하여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전자 장치(101)가 한 번 낙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길면 낙하한 후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03에서, 전자 장치(101) (예: 프로세서(120))는 충격을 받았다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43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1)는 순간적으로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측정된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알림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과거의 충격량을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43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팝업의 형태로 또는 알림 바에 표시하는 형태로 또는 음향 출력 장치(155)로 음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알림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격을 예상하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900)이다. 도 9에 예시된 흐름도(900)는 도 8의 동작 801의 일 실시예로서,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제1 센서(410))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센서(410)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101)(예: 제1 센서(410))는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센서(410)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으며, 500Hz이상 또는 2ms이하의 제1 주기를 가지고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집한 가속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충격이 예상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외부 충격이 예상되는 조건을 만족하면,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충격이 예상되는 조건은 전자 장치(101)의 제1 센서(410)에서 모니터링한 가속도 데이터가 제1 범위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이벤트 생성 후에도, 동작 907에서, 전자 장치(101)는 가속도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수집하고, 동작 909에서, 외부 충격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조건이 만족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지 아니하면 계속해서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가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충격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조건이 만족되면, 동작 911에서, 생성된 이벤트를 소멸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충격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조건은 전자 장치(101)의 제1 센서(410)에서 모니터링한 가속도 데이터가 제1 범위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벤트의 생성 및 소멸은 인터럽트 신호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1(high)로 되면 이벤트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내고,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0(low))으로 되면 이벤트가 생성되지 않았음을 또는 소멸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생성 후 외부 충격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1000)이다. 도 10에 예시된 흐름도(1000)는 도 8의 동작 803의 일 실시예로서,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제2 센서(420))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센서(420)는 8000G까지의 큰 스케일의 중력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고 충격 센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101)(예: 제2 센서(420))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2 센서(420)는 이벤트가 생성 또는 발생하기 전까지는 비활성화되어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아니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제2 센서(420)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1(high)로 되면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0(low)로 되면 이벤트가 소멸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0(low)으로 되면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인터럽트 신호가 로직 1(high)로 되면 이벤트가 소멸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센서(42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3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전자 장치(101)의 제2 센서(420)는 충격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2 센서(420)는 13kHz 이상 또는 76.9us 이하의 제2 주기의 샘플링 시간마다 충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충격 데이터는 제2 센서(420)의 센서 메모리(423)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서(420)는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한 모든 충격 데이터를 센서 메모리(423)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한 충격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충격량이 가장 큰 데이터를 충격 데이터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한 충격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충격량을 충격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벤트가 소멸되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의 생성과 소멸이 제1 센서(410)가 드라이브(drive)하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인터럽트 신호가 이벤트가 소멸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로직 1 또는 로직 0일 수 있음)로 전환되면 이벤트가 소멸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벤트가 소멸되면, 동작 1007에서, 제2 센서(420)(예: 도 4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충격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되는 충격 데이터는 이벤트가 생성되어 있는 동안 센서 메모리(423)에 저장되어 있던 충격 데이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제2 센서(420)(예: 도 4의 센서 프로세서(421))는 이벤트가 소멸된 후 충격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한 뒤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에 알림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1100)이다. 도 11에 예시된 흐름도(1100)는 도 8의 동작 807의 일 실시예로서,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충격 데이터를 기초로 알림 생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1)는 순간적으로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또는 과거의 충격량을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 알림을 생성하여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충격에 대한 알림 기준을 복수의 단계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일시적인 충격량이 1000G 이상이면, 표시 장치(160)와 글라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충격량이 2000G 이상이면, 통신 안테나 모듈, 카메라 렌즈, 센서 등과 같은 부품들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충격량이 3000G 이상인 경우, 메인 보드(main board), 배터리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1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알림을 유저 인터페이스(4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장치(101)는 알림을 팝업의 형태로 또는 알림 바에 표시하는 형태로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전자 장치(101)는 알림을 음향의 형태로 음향 출력 장치(155)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표시 장치(160)에 알림을 표시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1200)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순간적으로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도 12의 12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팝업 (1211) 형태로 표시 장치(160)에 전자 장치(101)에 이상이 있을 수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측정된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팝업(1211) 형태의 알림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누적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한번의 충격이 아닌 과거의 충격량을 누적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 도 12의 1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60)의 알림 바에 알림을 표시(1221)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제1 센서(410)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 및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제2 센서(420)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42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로 외부 충격 상황을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제1 범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 이후,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제1 범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소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센서를 활성화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충격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센서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소멸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소멸한 경우, 상기 제2센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충격데이터를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순간적으로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알림 정보 및/또는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거의 충격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는 전자 장치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좀 더 정밀하게 충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외부 충격에 의한 전자 장치에 이상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미리 조치를 취하여 A/S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범위의 가속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범위보다 높은 제2 범위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데이터 및 상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외부 충격 상황을 분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수신된 인터럽트 신호의 활성화(enable) 여부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모니터링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모니터링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이상인 경우는,
    상기 가속도가 x, y, z의 3축에 대해 모두 0.2G(gravitational acceleration)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한 시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제1 범위 미만인 경우는,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x, y, z의 3축에 대한 상기 가속도의 벡터 합(vector sum)이 0.8G 내지 1.2G의 범위 이내로 있는 시간이 0.01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와 연결된 인터럽트 핀;
    상기 제2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센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센서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부; 및
    상기 센서 메모리 및 상기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럽트 핀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가 활성화되는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MEMS부가 출력하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샘플링(sampling)하여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럽트 핀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로세서는,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 중 충격량이 가장 큰 데이터 및/또는 각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모든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센서가 제1 주기로 상기 가속도를 모니터링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제2 주기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순간적으로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을 받은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과거의 충격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충격에 관한 정보를 팝업 알람 또는 알람 바 형태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외부 충격 상황을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제1 범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제1 범위 이상인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 이후, 상기 모니터링한 가속도가 제1 범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이벤트를 소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순간적으로 일정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알림 정보 및/또는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점검을 권장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거의 충격 데이터를 누적한 누적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누적 충격량 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하우징의 부분들에 대한 상기 외부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40737A 2018-11-15 2018-11-15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0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37A KR102607790B1 (ko) 2018-11-15 2018-11-15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6/685,449 US10802043B2 (en) 2018-11-15 2019-11-15 Method for sensing external shoc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PCT/KR2019/015670 WO2020101435A1 (en) 2018-11-15 2019-11-15 Method for sensing external shoc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37A KR102607790B1 (ko) 2018-11-15 2018-11-15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22A true KR20200056722A (ko) 2020-05-25
KR102607790B1 KR102607790B1 (ko) 2023-11-30

Family

ID=7072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737A KR102607790B1 (ko) 2018-11-15 2018-11-15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2043B2 (ko)
KR (1) KR102607790B1 (ko)
WO (1) WO20201014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62A1 (ko) * 2020-08-10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격 감지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229189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들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788B1 (ko) * 2018-10-2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충격의 영향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63765A (ko) * 2018-11-28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893A (ko) * 2012-08-27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KR20160090554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892A (ja) * 2004-02-27 2005-09-08 Dowango:Kk 携帯端末、携帯端末の音報知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の音報知方法
JP4438733B2 (ja) 2005-10-26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018031A (ko) 2009-08-17 2011-02-23 송윤원 충격 센서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
JP5067816B2 (ja) * 2010-05-21 2012-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458832B1 (en) * 2010-11-29 2019-01-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impacts in handheld devices using an acoustic transducer
CN104106081B (zh) * 2012-01-26 2017-10-31 韩美爱提株式会社 货架扫描仪、扫描装置及扫描方法
KR20140100294A (ko) * 2013-02-06 2014-08-14 정형덕 주변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102114613B1 (ko) * 2013-07-10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52804B2 (ja) 2013-08-27 2016-12-2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通報制御方法、及び、通報システム
US10525991B2 (en) 2016-04-28 2020-01-07 Ge Global Sourc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detected wheel condition
WO2019203575A1 (en) * 2018-04-17 2019-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ple fixing members to fix biometric sensor to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893A (ko) * 2012-08-27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KR20160090554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62A1 (ko) * 2020-08-10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격 감지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229189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들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8752A1 (en) 2020-05-21
US10802043B2 (en) 2020-10-13
KR102607790B1 (ko) 2023-11-30
WO2020101435A1 (en)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790B1 (ko)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63281B1 (ko)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43248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KR102469470B1 (ko) 전자 장치의 온도 관측을 위한 구조
KR10237121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KR102551686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움직임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05849A (ko) 외부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40597A (ko) 터치 입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 조건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278174B1 (en) A monitoring system of the position of a head mounted device
KR20160090554A (ko) 이동 단말기
KR20210015638A (ko) 센서를 이용한 저전력 낙상 감지 방법 및 장치
US20170277888A1 (en) Security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KR20210017094A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07788B1 (ko) 외부 충격의 영향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57522B1 (ko) 저혈압의 발생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20190023638A (ko) 충돌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6376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KR20210045768A (ko) 전력 관리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
KR20210063786A (ko) 하드웨어 리셋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71211B1 (ko) 하우징의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283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지타이저 패널 제어 방법
JP2022037142A (ja)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KR20230004093A (ko) 배터리 이탈 감지용 압력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