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372A -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372A
KR20200056372A KR1020200057787A KR20200057787A KR20200056372A KR 20200056372 A KR20200056372 A KR 20200056372A KR 1020200057787 A KR1020200057787 A KR 1020200057787A KR 20200057787 A KR20200057787 A KR 20200057787A KR 20200056372 A KR20200056372 A KR 2020005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950B1 (ko
Inventor
문희철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커버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여, 제2커버가 작동되었을 경우 윈도우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커버가 작동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전자 장치들로는 소위 '스마트 폰'이라 대별되는 이동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대화면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대방과의 통신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음악,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점차 고성능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컨버젼스 기능을 좀더 빠르게 수행하도록 진보되고 있어, 상대방과의 통신이라는 주된 기능은 오히려 부가 기능으로 여겨질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고가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은 사용시 장치의 외관을 보호하며, 그립감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전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대체적으로 우수한 질감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며, 폴더 타입으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 케이스의 커버를 개방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노출시켜 사용하고,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를 폐쇄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음으로써 장치 전체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획일적으로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데만 주력할 뿐 여타 다른 기능을 구비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연결 또는 부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커버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에 결착 가능하도록(detachable) 구성된 결착부(connector) 및 상기 결착부에 연결된 커버(cover)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capable of covering)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인 판(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분 내장(embedded)된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분 내장(embedded)된 전자 집적회로(I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제 1 층(first layer), 제 2 층(second layer), 및 상기 제 1층 및 제 2 층 사이에 위치한(interposed)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제 3 층 (third layer)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 각각은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위치에 개구부(open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층은,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분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부분(por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결착부 및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linking par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선택된 값의 구부러짐 (bendability), 텐션 (tension),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층의 가장자리(periphery) 및 제 2 층의 가장자리 (periphery) 사이에 제 3 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층은,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끼어서 (interposed), 상기 선택된 값의 구부러짐 (bendability), 텐션 (tension),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부여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층의 가장자리(periphery) 및 제 2 층의 가장자리 (periphery) 는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결착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장 하우징 (external housing)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 또는 전자석이 상기 전자장치의 일부분에 결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external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결착가능하게 결착된(detachably connected)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 또는 터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덮혀져 있을 때,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만의 표시를 턴온하고,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의 표시를 턴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기 외부 하우징에 인접할 때, 디스플레이를 제 1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를 제 2 모드로 동작시키며, 상기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는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통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턴온시키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를 턴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기 외부 하우징에 인접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를 제 1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자석, 전자석, 또는 IC 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졌을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를 제 2 모드로 동작시키며, 상기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는 상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및 그와 유사한 사용자 입력 모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을 때, 디스플레이쪽의 반대로 향하는 제1면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을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면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입력에 반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은, 직접 터치 입력 또는 직접 터치하지 않은 비-터치(hovering)입력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body); 상기 본체에 내장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본체 외부의 물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만에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턴온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물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인접 또는 덮지 않을 때에는, 제 1 모드; 또는 상기 물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인접하거나 또는 덮을 때에는, 제 2 모드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이한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인접(hovering)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내장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외부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결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의 물체는 상기 커버에 적어도 일부분 내장된 자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착가능하게 부착된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와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capable of covering) 구성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 커버에 포함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촉할 수 있는 면을 형성하는 내피층과, 상기 내피층과 반대쪽을 향하는 외피층 및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 사이에 끼워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수용하는 별도의 보호 커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는 예컨대, PC, PC_ABS, PC_GF, CFRP, GFRP, Glass, 러버,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버의 상기 터치 스크린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전자 장치에 노출되거나 돌출된 키 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버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2커버가 작동되었을 경우, 개방이 용이하도록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에는 일정 길이의 연결체가 설치되며, 상기 제2커버의 연결부가 상기 제1커버와 연결체 사이에 개재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 형성되는 연결체 장착부와, 상기 연결체 장착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 돌기 및 상기 장착 돌기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체에 대응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커버의 연결부는 대응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에 상기 장착 돌기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가조립되며, 상기 장착 돌기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기 연결체의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최종 조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에 적층되며, 작동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하는 내피층 및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내피층 및 외피층 보다 크지 않도록 개재되어 상기 내피층 및 외피층은 테두리를 따라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회피하여 접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피층에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는 상기 안착부의 보강 플레이트 안착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의 테두리와 상기 내피층의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 보다 높게 형성된 테두리가 접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에 의해 상기 내피층의 상기 터치 스크린과 접하는 면의 테두리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은 예컨대, 가죽, 인조 가죽, 모직, CFRP, GFRP, PC, Glass, 사파이어 등과 같은 재질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는 상기 윈도우를 위한 윈도우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윈도우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의 상호 대응 위치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윈도우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윈도우부는 상기 외피층 또는 내피층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개구의 깊이 만큼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윈도우부는 상기 내피층에 형성된 개구에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가 작동되더라도 상기 윈도우부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회피하여 테두리를 따라 열압착 성형 또는 본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의 연결부까지의 열압착 성형 정도에 따라 상기 제2커버의 작동에 따른 작동 속도,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의 연결부와 상기 내피층의 연결부를 접합할 때, 그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를 개재시켜 상기 제2커버의 작동에 따른 작동 속도,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2커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 사이에는 피 감지 수단이 더 개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 감지 수단은 마그네트이며,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 또는 리드 스위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는 상기 제2커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커버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는 상기 제2커버의 폴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커버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외피층과 보강 플레이트 사이 또는 상기 내피층과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면에 형성된 마그네트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트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커버의 작동 속도,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피층과 접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피층과 보강 플레이트가 접합될 때, 상기 요홈 부분이 함몰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버튼 수용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와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면 커버의 일부와 연결 고정시켜주는 연결체 및 상기 후면 커버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제2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에 적층되며, 작동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하는 내피층 및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 방식으로 회동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커버의 작동에 따라 커버의 상부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에 구비된 피 감지 수단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에 구비된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에 포함된 윈도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송수신 감도, 메시지 송 수신 정보 등)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의 상부에 입력된 터치에 따른 대응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 기능은 상기 커버에 포함된 윈도우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전자 장치의 각종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음향 등의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진동과 같은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터치 모드 중 일정 시간 동안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커버 터치 모드 또는 전자 장치를 비활성화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터치 모드 또는 전자 장치가 비활성화된 후에, 커버 터치 모드 또는 전자 장치가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커버 터치 모드를 재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터치 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확인 동작은 출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요구를 수용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 다른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 전자 장치 자체에서 발생된 알림 메시지, 알림 소리, 알림 진동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정보는 호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 표시일 수 있다. 예컨대, 호 발신인 또는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수신할 지, 거절 할 지, 거절과 동시에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할 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터치 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확인 동작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키 버튼의 입력이 감지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커버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커버의 작동에 따라 커버의 상부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커버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커버의 작동에 따라 커버의 상부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보호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보호 케이스의 평면도;
도 4a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의 위치에 따라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의 개폐 작용을 설명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연결부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 터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직접 터치 모드와 커버 터치 모드에 따른 감도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과정과, 표시부를 통한 표시 과정을 물리적인 한 화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표시부"라는 용어는 용어는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도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장치 구성에서 표시부와 입력 장치는 따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표시부를 표현하는 경우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거나, 입력장치를 표시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장치)으로 기술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더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한 예로 표시부와 입력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 구분되어 있는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표시부로써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보호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 즉,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보호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보호 케이스(200)의 보호를 받는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01)과, 터치 스크린(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피커 모듈(102)과 스피커 모듈(102)의 일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센서들(103)과, 센서들(103)의 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104) 및 터치 스크린 장치(101)의 하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10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성 요소들 이외에 별도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더 추가되어도 무방하며, 상술한 구성 요소들 중 터치 스크린을 제외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가 배제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폴더 타입(floder type) 또는 플립 타입(flip type)으로 결합 또는 부착된 보호 케이스(200)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보호 케이스(200)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보호 케이스(20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커버(230)와,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 커버(23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23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면 커버(210)는 후면 커버(230)와 연결부(220)에 의해 연결되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2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을 보호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101)의 상부에 전면 커버(210)가 올려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 커버(210)가 후면 커버(23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과 겹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를 폐쇄되었다고 기술할 것이며, 전면 커버(210)가 후면 커버(23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210)을 직접 터치에 의해 사용하기 용이한 도 1의 상태일 경우를 개방되었다고 기술할 것이다.
한편, 전면 커버(210)에는 투명 윈도우(2101)가 설치됨으로써 폐쇄되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의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고 투명 윈도우(2101)와 상응하는 터치 스크린(101)의 영역에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면 커버(21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투명 윈도우(2101)를 통해 전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투명 윈도우(2101)가 전면 커버(210)의 상부 일측에 1개소가 배치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운용 방법에 따라 다수개의 투명 윈도우가 전면 커버(2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투명 윈도우(2101)는 전면 커버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를 넘지 않는 면적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명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면적의 약 5%,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약 80%, 약 85%, 약 90%, 약 95%, 또는 약 10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윈도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면적은, 상기 나열된 퍼센트들 중 임의의 두 값을 최대치 및 최소치로 하는 범위 (예를 들어, 약 20-50%, 약 30-60%, 약 40-80%) 내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의 터치 스크린(101)과 접하는 면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 수용홈(2103)이 형성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 돌출되는 키 버튼(106)이 전면 커버(210)의 폐쇄에 의해 임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커버(210)의 터치 스크린(101)과 접하는 면의 테두리에는 단차부(2135)를 형성하여,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손톱 등으로 단차부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전면 커버(21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면 커버(210)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210)의 단부를 좀더 연장되고, 절곡 가능하게 형성시켜,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측면(107)까지 보호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210), 연결부(220) 및 하부 커버(230)는 전자 장치(100)에 적용된 각종 키 버튼,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성 요소들, 관통이 필요한 구성 요소들과 상응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역시, 보호 케이스(200)는 방수 가공이 적용될 수도 있다.
후면 커버(230)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텐션 돌기(2301)가 특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텐션 돌기(2301)가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대응 형성되는 탄성홈(미도시 됨)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후면 커버(230)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금속 재질, GFRP, CFRP, 러버, 실리콘, PC, PC_ABS, PC_GF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커버(23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직접 조립되는 배터리 커버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는 전자 장치(1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수용하는 별도의 사출물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230)에는 개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231)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노출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 커버(23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효과용 필터, 화이트 밸런스용 그레이 카드 등 다양한 부가물이 개구(231)를 통하여 더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에는 마그네트(2128)가 설치되며, 전자 장치(100)의 대응 위치에는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자력 감지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 감지 수단은 전면 커버(210)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와 접하도록 폐쇄되었을 경우,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자력 감지 수단은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 리드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20)의 유연성에 의하여 전면 커버(2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를 덮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210)의 후면 커버(230)를 뒤쪽에서 덮는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210)에 설치된 마그네트(2128)의 자력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전면 커버가 폐쇄되지 않고 후면 커버(230)의 뒤쪽을 덮는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이를 전면 커버(210)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면 커버(210)가 후면 커버(230)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에는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차폐 수단(2302, 2129)이 요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차폐 수단(23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10)가 후면 커버(230)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 전면 커버(210)의 마그네트(2128)와 상응하는 후면 커버(230)의 위치에 차폐 수단(2302)을 배치시킬 수 있다. 차폐 수단(2302)으로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층을 갖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으로는 후면 커버(230)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쉬트(sheet) 형태의 차폐제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이 쉬트 형태로 적용될 경우, 단일 쉬트로써 그 두께는 0.2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는 다수개의 쉬트가 적층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0.05mm의 두께를 갖는 쉬트 4장을 적층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의 재질로는 Fe계 합금(비정질) 또는 Ni계, Co계 합금 등 자기적 투자율을 가진 여타 다른 함급들도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 발생 수단으로 DC 자기장이 발생하는 마그네트 또는 DC 전류를 이용한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원 라인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경우, 이를 차폐 하기 위한 차폐 수단으로 자성체(Fe, Co, Ni) 또는 자성체 합금을 이용하여 자기력선의 경로를 우회시킴으로서 차폐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DC 자기장이 발생하는 마그네트 또는 DC 전류를 이용한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원 라인과 같은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쇄하는 방법으로 차폐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 발생 수단으로 AC 자기장이 발생하는 AC 전류를 이용한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원 라인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경우, 이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 수단으로 전도체를 적용하여 AC 자기장에 의하여 전도체 표면에 유동되는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차폐 수단(212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10)의 마그네트(2128)가 설치된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차폐 수단(2129)은 전면 커버(210)가 전자 장치(100)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에만,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129)은 마그네트(2128)를 기준으로 마그네트(2128)와 전면 커버(210)의 외피층(도 4a의 21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 2129)은 전면 커버(210) 또는 후면 커버(230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의 대응 위치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a 및 도 4b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는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보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b는 전면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보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면 커버(210)는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과 접하는 내피층(213), 내피층(213)의 상부에 적층되는 외피층(211) 및 내피층(213)과 외피층(211)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플레이트(212)를 포함한다.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은 예컨대, 가죽, 인조 가죽, 모직, CFRP, GFRP, PC, Glass, 사파이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피층(211) 및 내피층(213)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장 등에 의한 다양한 표면 처리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보강 플레이트(212)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 에폭시, CFRP, GFRP, PC,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 Glass, 사파이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은 그 사이에 개재된 보강 플레이트(212)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피층(213)에는 보강 플레이트(21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1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부(2131)의 테두리(2134)는 안착부(2131)의 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01)과 접하는 내피층(213)의 면의 테두리에는 자연스럽게 단차부(도 7의 2135)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외피층(211)에는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1면(2121)에 돌출 형성된 제1윈도우부(2122)가 노출될 수 있는 제1개구(2112)가 대응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피층(213)의 안착부(2131)에 역시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2면(2124)에 돌출 형성된 제2윈도우부(2125)가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 위치에 제2개구(2132)가 형성될 수 있다.
외피층(211)과 내피층(213) 및 보강 플레이트(212)의 상호 대응 위치에는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 모듈(102)에서 출사되는 스피커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1, 2, 3방출구(2113, 2133, 2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역시, 외피층(211)의 외피층 연결부(221)와, 내피층(213)의 내피층 연결부(223)는 서로 결합되어 도 1의 연결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층 연결부(221)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1관통구(222)가 형성되며, 내피층 연결부(223)에 역시 제2관통구(224)가 형성되어,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이 조립될 경우 각 관통구(222, 22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나의 관통구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층(213)의 안착부(2131)와 접하는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2면(2124)에는 제2윈도우부(21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면(2124)의 적소에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트(2128)가 장착될 수 있는 마그네트 장착홈(21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장착홈(2126)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장착되는 마그네트(2128)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2128)가 내피층(213)과 접하는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2면(2124)에 설치되고 있으나, 외피층(211)과 접하는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1면(2121)의 적소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마그네트 장착홈은 보강 플레이트의 제1면(2121)에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2128)는 보호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을 경우 이를 전자 장치(100)의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하기 위한 피 감지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감지 수단으로는 마그네트(2128)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리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전면 커버(210)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212)의 제2면(2124)에는 일정 깊이의 요홈(2127)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2127)은 보호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었을 경우 전면 커버(210)와 접하는 전자 장치(100)의 면에 돌출 설치되는 키 버튼(106)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요홈(2127)은 내피층(213)과 보강 플레이트(212)가 조립될 경우 전자 장치(100)의 키 버튼(106)과 대응되는 내피층(213)의 위치가 함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수용홈(2103)이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호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210)가 폐쇄되더라도 버튼 수용홈(2103)에 전자 장치(100)의 키 버튼(106)이 수용되기 때문에 임의로 키 버튼(106)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12)는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의 제1, 2 개구(2112, 2132))에 각각 노출되어 도 1의 투명 윈도우(2101) 기능을 수행하는 제1윈도우부(2122)와 제2윈도우부(2125)가 비가공부로 형성되며,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에 각각 접촉되는 제1, 2면(2121, 2124)의 부분은 가공부로 형성될 수 있다. 가공부는 외피층(211) 및 내피층(213)과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내피층(213) 및 외피층(211)은 그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212)를 개재시키고 테두리를 따라 열압착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접착제에 의한 본딩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내피층(213)과 외피층(211)이 열압착될 경우, 외피층(211)의 테두리와 내피층(213)의 안착부(2131)를 제외한 테두리(2134)가 직접 맞닿아 조립되기 때문에 오랜 사용으로 인한 보강 플레이트(212)의 외부 노출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체(240)는 후면 커버(230)에 형성되는 연결체 장착부(232)에 장착되기 위한 길이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241)과, 연결체 장착부(232)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장착 돌기(233)에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 돌기(2412)가 플레이트부(241)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체(240)를 후면 커버(230)의 연결체 장착부(232)에 장착하면, 연결체(240)의 플레이트부(241)의 상면은 후면 커버(230)의 내측면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플레이트부(241)의 삽입 돌기(2412)가 형성된 면과 반대의 면에 역시 일정 간격으로 텐션 돌기(2411)가 형성되어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된 탄성홈에 조립될 수 있다. 연결체(240)는 PC, PC_ABS, PC_G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12)가 개재된 외피층(211)과 내피층(213)을 열압착 성형하면 외피층 연결부(221)에 형성된 제1관통구들(222)과 내피층 연결부(223)에 형성된 제2관통구들(224)은 서로 대응되어 최종 관통구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구들에 후면 커버(230)의 연결체 장착부(232)에 형성된 장착 돌기(233)가 관통하는 방식으로 가조립되고, 그 상부에 연결체(240)를 조립함으로써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장착 돌기(233)에는 각각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홈에 연결체(240)의 삽입 돌기들(2412)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4b를 참고하면, 후면 커버(230)에는 차폐 수단(2302)이 적용되기 위한 차폐 수단 장착홈(230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수단(2302)은 후면 커버(230)에 본딩, 접착 등의 공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차폐 수단(2302)은 후면 커버(230)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어, 전면 커버(210)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128)의 자력이 전자 장치(100)의 뒤쪽에서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의 위치에 따라 보호 케이스 전면 커버의 개폐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전면 커버(21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2128)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면 커버(210)의 개방되려는 방향과 폐쇄되려는 방향 사이의 변곡되는 각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곡 각도 θ를 기준으로 전면 커버(210)는 개방되려는 방향(도 7b의 ①방향)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도 7b의 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변곡 각도 θ를 기준으로 마그네트(2128)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면 커버의 개폐 방향에 따른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2128)를 전면 커버(210)의 B영역에 설치하였을 경우보다 연결부(220)에서 먼 B영역에 설치하였을 경우 변곡 각도 θ를 기준으로 여닫음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2128)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변곡 각도가 약간 변화될 수도 있다. 즉, 마그네트(2128)를 웨이트(weight)로써 사용하여 그 설치 위치를 정의함으로써 변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연결부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의 변곡 각도, 텐션, 개폐 속도 등은 보호 전면 커버(210)의 연결부(2200의 구성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210)를 개방되려는 방향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전면 커버의 편리한 개폐를 유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10-1)의 연결부(220-1) 중 일부까지 열 압착 영역(2135-1)을 확대하여 전면 커버(210-1)의 개폐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a의 경우 보다 전면 커버(210-2)의 열 압착 영역(2135-2)을 더 넓혀 전면 커버(210-2)의 여닫음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20-1, 220-2)에 대한 열 압착 영역(2135-1, 2135-2)을 조절하여 전면 커버(210-1, 210-2)의 개폐 방향에 따른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소재(2202, 2203)를 연결부(220-3, 220-4) 내부에 개재시켜 전면 커버(210-3, 210-4))의 개폐 방향에 따른 변곡 각도, 텐션, 단단함(stiffness), 유연성(flexiblity)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9c는 전면 커버(210-3)의 연결부(220-3)에 특정 간격으로 다수의 소재(2202)를 개재시키거나, 하나의 소재(2203)에 특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릿(2203-1)을 형성시켜 연결부(220-4)에 개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외피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210-5)에는 2개소의 보강 플레이트(212-1, 212-2)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제1보강 플레이트(212-1)에는 투명 윈도우(2101-1)가 형성되어 외피층과 내피층에 각각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는 제2보강 플레이트(212-2)가 외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1보강 플레이트(212-1)는 투명 윈도우(2101)를 위하여 비가공 상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제2보강 플레이트(212-2)는 외피층 및 내피층과의 접착력 강화를 위하여 가공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일 보강 플레이트에 비가공 부분과 가공 부분을 함께 처리하던 공정상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미 설명된 부호 220-5는 연결부이며, 2102-1은 스피커 음 방출구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비록 본 도면에서 외피층, 내피층 및 보강 플레이트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각각 다른 부호를 기재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전술한 전면 커버의 내, 외피층 및 보강 플레이트와 대체적인 구성이 동일하며 투명 윈도우부에 적용되는 구성만 상이함을 알려둔다.
도 11a를 참고하면, 외피층(250)과 내피층(270)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260)가 개재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60)는 외피층(250)의 외피층 개구(251)와 내피층(270)의 내피층 개구(271)를 통해 노출되는 윈도우부(262)와, 외피층(250) 및 내피층(270)과 접합되는 접합층(261)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내피층(270)과 보강 플레이트(260) 사이에 보조 플레이트(280)가 더 개재된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280)는 보강 플레이트(260)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데, 특히 보강 플레이트(260)가 투명 아크릴과 같은 연성 부분을 가질 경우 이를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280)로는 GFRP 또는 CFRP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외피층(250-1)과 내피층(270-1)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260-1)가 개재되며, 이때 보강 플레이트(260-1)는 별도의 돌출된 윈도우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외피층(250-1) 및 내피층(270-1)에 각각 형성된 개구(251-1, 271-1)의 두께 만큼의 단차가 투명 윈도우에 발생할 수 있다.
도 11c는 외피층(250-2)과 내피층(270-2)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260-2)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때, 보강 플레이트(260-2)는 접합부(261-2)에서 내피층(270-2)의 개구(271-2) 만큼 돌출된 윈도우부(262-2)만을 가지며, 외피층(250-2)의 개구 만큼의 단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차를 극복하고자 단차부의 테두리를 붙박 시방한 부분(252-2)으로 형성하여 외관 단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1d는 외피층(250-3)과 내피층(270-3)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260-3)가 적용되되, 외피층(250-3)과 내피층(270-3)의 개구(251-2, 271-3)와 동일한 크기로 보강 플레이트(260-3) 역시 개구(261-3)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윈도우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가 폐쇄될 경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이 외피층(250-3), 내피층(270-3) 및 보강 플레이트(260-3)의 개구(261-3)를 통해 직접 노출될 수 있다.
도 11e는 외피층(250-4)과 내피층(270-4)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260-4)가 적용되되, 접합부(261-4)에서 외피층(250-4)의 개구 만큼 돌출된 윈도우부(262-4)만을 가지며, 내피층(270-4)의 개구(271-4) 만큼의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극복하고자 단차의 테두리를 붙박 시방한 부분(272-4)으로 형성하여 외관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피층(270-4)에 접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면이 보강 플레이트(260-4)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면 커버의 잦은 개폐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스크래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에 설치된 마그네트의 자력을 전자 장치의 대응 위치에 설치된 홀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에 설치된 근접 센서에 의해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커버에 설치된 다른 피 감지 수단을 감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대응 감지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입출력 처리부(130), 표시부(131), 입력 장치(132), 오디오 처리부(133) 및 통신 시스템(136)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108)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으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2)에는 프로세서(122)가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117)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관련 프로그램들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 프로그램들을 표시부(131)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의 동작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응용 프로그램(11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114), 통신 제어 프로그램(115),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6) 및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1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113)은 전자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GUI 프로그램(114)은 표시부(131)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 프로그램(113)은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117)을 통해 커버 터치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결정되면 GUI 프로그램(113)은 전면 커버의 투명 윈도우와 상응한 표시부(131)의 영역에만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117) 커버 터치 모드로 진입하고 전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입력된 터치 정보가 결정되면, 이에 대응되는 표시 정보를 투명 윈도우와 상응한 표시부(131)의 영역에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 제어 프로그램(115)은 통신 시스템(136)을 이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 프로그램(115)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통신 연결을 위한 다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경우, 통신 제어 프로그램(115)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한다(connection set up). 이후, 통신 제어 프로그램(115)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성능 검색(capability discovery) 및 세션 성립(Sess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136)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입력 장치(132)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117)은 프로세서(122)의 제어를 받아 커버 터치 모드가 활성화되면 전면 커버의 상부에서 입력되는 터치 정보에 따른 대응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터치 모드에 따라 표시부의 투명 윈도우 영역과 상응한 영역에만 표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대응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10)는 한 개 이상,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저장부(111)만의 기능을 할 수도, 데이터 저장부(112)만의 기능을 할 수도, 두 가지 모두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장치 특성상 메모리(110) 내부의 물리적 영역 구분은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입출력 처리부(130)을 통해 표시부(131)로 전자 장치의 GUI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입력 장치(132)로 전자 장치(100) 외부로부터의 입력받은 명령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3)는 스피커(134) 및 마이크로폰(135)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36)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36)은 기지국을 통하는 등의 이동 통신, 적외선 무선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랜 통신,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출력 처리부(130)는 표시부(131) 및 입력 장치(132)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부(13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32)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다른 예를 들어, 입력 장치(13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입력 장치(132)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표시부(131)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 방식은 정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과, 감압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프로세서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받아 입출력 처리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터치 인식 모드(전면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직접 터치 모드 또는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커버 터치 모드)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서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2)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3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부(131)의 기능과, 입력 장치(132)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홀 센서(13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전면 커버에 설치된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홀 센서는 전면 커버의 폐쇄시,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전면 커버의 폐쇄시, 전면 커버가 터치 스크린에 근접되었음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8)는 전면 커버의 폐쇄시, 전면 커버가 터치 스크린에 근접되었음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139)는 전면 커버의 폐쇄시, 전면 커버가 터치 스크린에 근접되었음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22)는 터치 인식 제어부(150), GUI 제어부(160) 및 응용프로그램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식 제어부(15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터치 인식 제어 프로그램(117)을 실행하여 전면 커버의 개폐에 따른 터치 모드를 고려함으로써 직접 터치 입력 또는 커버 터치 입력에 따른 대응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전면 커버가 폐쇄됨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따라, 표시부(131)의 투명 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제어부(150)는 슬립 모드에서 외부 키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GUI 제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송수신 감도 등 기본 정보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 및 확인을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터치 인식 제어부(150)는 전면 커버가 폐쇄됨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만일 전면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거나 터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면 커버의 상면을 터치하여도 감지할 수 있는 커버 터치 모로 변경 수행할 수도 있다.
GUI 제어부(16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GUI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표시부(131)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GUI 제어부(160)는 응용프로그램 구동부(170)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치 인식 제어부(150)에서 커버 터치 모드가 결정된 경우, 표시 정보를 표시부(131)의 전면 커버에 포함된 투명 윈도우 영역과 상응한 영역에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구동부(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정보에 따른 터치 기능을 결정하는 별도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커버 폐쇄를 확인할 수 있다(1401). 여기서 커버 폐쇄는 전자 장치에 함께 구비된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가 폐쇄되어 터치 스크린 상부에 겹쳐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가 폐쇄될 때 커버에 구비된 피 감지 수단을 소정의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한 감지 신호에 따라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 감지 수단으로는 전면 커버의 적소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일 수 있으며, 감지 수단은 전자 장치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홀 센서 또는 리드 스위치일 수 있다.
전면 커버의 폐쇄를 감지한 후,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1403). 커버 터치 모드는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의 상부에서 수행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터치 스크린의 기준 감도값을 도 16a 및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전면 커버의 개방 및 폐쇄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동작 감도 및 동작 모드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커버 터치 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 장치는 일정 호버링(hovering) 감도 이상이 감지되면, 호버링 입력을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 터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커버가 폐쇄었는지 검사할 수 있다(1501). 커버가 폐쇄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1503). 여기서, 커버 터치 모드는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입력된 터치를 감지하여 대응 상태 정보를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컨대, 커버 터치 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 장치는 일정 호버링 감도 이상이 감지되면, 호버링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일 수 있다. 커버 터치 모드는 전면 커버의 투명 윈도우와 상응한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만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동작일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컨대,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송수신 감도 등 기본 정보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시지 수신 및 확인을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만일, 1501 동작에서 커버가 폐쇄되었음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는 일반 터치 모드를 수행한다(1505). 일반 터치 모드는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이 직접 접촉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직접 접촉에 의한 터치 모드일 수 있다. 일반 터치 모드는 전자 장치내에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 패널과 별도로 구비되는 펜 터치 패널(일명 '디지타이저')의 감지를 통한 터치 스크린의 직접 터치 또는 터치 스크린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호버링 입력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호버링 입력은 전면 커버가 개방된 일반 터치 모드에서 프리뷰(preview)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가 수행되는 동안에 커버 터치 모드에 따른 터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1507).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면 커버의 상부에서 수용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에 따른 대응 기능을 출력할 수 있다(151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기능은 전면 커버의 투명 윈도우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전자 장치의 각종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기능은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음향 등의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기능은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진동과 같은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에서 전면 커버의 윈도우 이외의 영역에서도 터치 입력에 따른 대응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호 수신시,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서 기존의 호 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의 터치 영역과 상응한 전면 커버의 영역을 드래그 등의 동작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대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1507 동작에서 커버 터치 모드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1509). 일정 시간이 경과 되지 않았으면 1503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음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 또는 전자 장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1513). 이는 보호 케이스의 전면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손에 파지하고 휴대하는 것에 기인한다. 만일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커버 터치 모드가 수행된다면, 휴대하기 위하여 손에 파지하였을 경우에도 이를 커버 터치로 인식하여 원치 않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커버 터치 모드에서의 터치 입력을 특정 동작, 예를 들어, 그립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하기 위하여 손에 파지하였을 때는 감지될 수 없는 동작, 으로 정의하여 원치 않는 임의의 터치 입력을 배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가 비활성화되었더라도 다시 커버 터치 모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1515). 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에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전면 커버의 투명창과 상응한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다시 커버 터치 모드를 수행하는 15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일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다른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수신된 정보는 전자 장치 자체에서 발생된 알림 메시지, 알림 소리, 알림 진동 등 다양한 출력 요구에 따른 정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커버 터치 모드가 비활성화되었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키 버튼 등의 입력을 감지하여 다시 커버 터치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자 장치 200: 보호 케이스
210: 전면 커버 211: 외피층
212: 보강 플레이트 213: 내피층
220: 연결부 230: 후면 커버

Claims (20)

  1.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터치 감도에 기초하여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부착되고,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전면에 대응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에 대응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기준으로 커버의 개방되었는지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터치 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기 커버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터치 감도와 다른 제2 터치 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 커버에 입력되는 제2 입력을 감지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입력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상태 정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일 영역은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일 영역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일 영역은 반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일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반투명한 물질을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외부에서 보여지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폐쇄되었다고 판단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상태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전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일 영역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된 전화를 수락하는 제1 메뉴와 상기 수신된 전화를 거절하는 제2 메뉴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이 감지되면, 전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메뉴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전화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휴대용 통신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된 전화에 대응되는 발신자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폐쇄되었다고 판단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 커버에 입력되는 제3 입력을 무시(ignore)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 커버에 입력되는 제4 입력을 감지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는, 문자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 진동의 수신, 및 알림 소리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에 배치된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감지하고,
    상기 자력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4.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을 덮고,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기준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기준으로 개방되었는지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일 영역은,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폐쇄된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이 상기 커버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커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일 영역은,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plate)를 포함하는, 커버.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커버.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의 자력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면 커버에서부터 상기 후면 커버까지 연장되는, 커버.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외부 하우징(external housing)의 적어도 일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
KR1020200057787A 2020-05-14 2020-05-14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14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87A KR102147950B1 (ko) 2020-05-14 2020-05-14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87A KR102147950B1 (ko) 2020-05-14 2020-05-14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316A Division KR102113269B1 (ko) 2019-12-23 2019-12-23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372A true KR20200056372A (ko) 2020-05-22
KR102147950B1 KR102147950B1 (ko) 2020-08-25

Family

ID=7091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87A KR102147950B1 (ko) 2020-05-14 2020-05-14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687A1 (en) * 2007-06-06 2008-12-25 Richardson Curtis R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00048268A1 (en) * 2008-08-20 2010-02-25 O'neill Patrick Mobile device accessories and methods of attachment to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687A1 (en) * 2007-06-06 2008-12-25 Richardson Curtis R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00048268A1 (en) * 2008-08-20 2010-02-25 O'neill Patrick Mobile device accessories and methods of attachment to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50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756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01895625B (zh) 移动终端以及使用该移动终端执行呼叫功能的方法
JP4937677B2 (ja) タッチパッドを備えた携帯端末機
JP4828632B2 (ja) 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ポータブル機器用の筐体構成
US20090124308A1 (en)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8054142A (ja) 電子機器
WO2014129565A1 (ja) 装置
WO2018233396A1 (zh) 一种扬声器及电子设备
JP200914160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音声入出力制御方法
WO2014061679A1 (ja) 携帯電子機器
KR102113269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147950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918987B1 (ko) 이동 단말기
JP2008054103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4760758B2 (ja) 視覚障害者(盲人)用の携帯電話
KR20090042095A (ko)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47577A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JP5474594B2 (ja) 携帯電子機器
JP6117965B1 (ja) 携帯情報端末カバー及び携帯情報端末プログラム
US20130210495A1 (en) Mobile telephone and its display control method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14093611A (ja) 電子機器
KR20150009197A (ko) 보조 패널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