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09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095A
KR20090042095A KR1020070108002A KR20070108002A KR20090042095A KR 20090042095 A KR20090042095 A KR 20090042095A KR 1020070108002 A KR1020070108002 A KR 1020070108002A KR 20070108002 A KR20070108002 A KR 20070108002A KR 20090042095 A KR20090042095 A KR 2009004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ortable terminal
adhesive member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2095A/ko
Publication of KR2009004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와 프레임이 밀착되거나 그들 사이에 수분이 끼인 경우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와 프레임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입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부품의 작동 방식이나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원치 않는 변형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윈도우가 프레임 등과 간섭을 일으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불명확하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프레임과, 윈도우와, 접착부재 및 공기 유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본체에는 프레임이 결합 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프레임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면 측에 적층 배치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윈도우를 상기 프레임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윈도우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과 윈도우 및 접착부재에 의해서는 공간이 한정된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밀착 또는 근접되거나 그들 사이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공기 유입에 의해 해결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프레임과 윈도우 및 접착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외부의 공기와 연통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통 채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투명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감싸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공이 형성된 불투명한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일 수 있고,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테이프에 일정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부(cutout portion)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에 상기 개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관통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공간과 상기 관통 영역을 연통시키도록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연통 채널은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통 채널에 통기성 부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부재는 상기 연통 채널 없이도 상기 접착 부재에 바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식 가능한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이거나, 정전 용량 방식 등의 다른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프레임과 윈도우 및 접착부재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상기 공기 유입부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게 구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윈도우에 대한 터치 등에 의해 상기 윈도우가 상기 프레임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밀착 또는 근접되거나 그들 사이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완화 또는 해소 또는 방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접착부재에 연통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상기 효과가 달성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통기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공기 유입 중에 이물질 등이 상기 공간으로 함께 유입되는 것을 걸러줄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에는 제1 조작부(12), 디스플레이부(13), 제1 음향출 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음향 입력부(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25, 도 3)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윈도우(120, 도 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참조 번호 14는 단순히 리시버를 외부 공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리시버홀을 지칭하는 것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제1 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조 번호 15 또한 카메라 모듈 전방의 투명한 영역을 지칭하기 위하여서도 사용된다.
상기 음향 입력부(1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21)에는 전원공급부(22),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3), 제2 조작부(24), 인터페이스(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2)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 스(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2)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3)는 리어 케이스(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24)는 리어 케이스(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2)와 더불어 제2 조작부(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2)는 시작, 종료, 전송 등과 같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4)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5)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21)에는 제2 음향출력부(26)와 제2 영상입력부(27)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26)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7)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8)와 거울부(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8)는 제2 영상입력부(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2) 등은 프론트 케이스(11)에, 제2 조작부(24) 등은 리어 케이스(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24)가 제1 조작부(12)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중앙부(121)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40)이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40)의 일 면에는 프레임(110)이 장착된다. 회로기판(40)은 제어부(40, 도 8)를 구조적 형태로 파악한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중앙부(111)에는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전자 소재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1)를 감싸는 주변부(112)에는 리시버 설치부 및 카메라 설치부가 리세스될(recessed) 수 있다. 상기 설치부들에는 각각 제1 음향입력부 또는 리시버와, 제1 영상입력부 또는 카메라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리시버 및 카메라 모듈은 회로기판(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의 위쪽에 놓이게 되는 윈도우(120)는 프레임(110)을 감싸게 된다. 윈도우(120)는 프론트 케이스(11)에 결합 되거나, 프론트 케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25)에 대응하며 대체로 투명한 영역을 이루는 중앙부(121)와, 중앙부(121)를 감싸며 대체로 불투명한 주변부(12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부(12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정보를 입력받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일정 간격 이격된 두 장의 감지 레이어(121a), 예를 들어 2장의 ITO(인-주석 산화물) 필름들을 포함한다. 상기 ITO 필름들은 플렉시블 피씨비(FPCB, 121d) 등에 의해 회로기판(40)의 구동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받아, 사용자가 중앙부(121)의 일정 지점을 터치하는 것을 인식한다. 상기 윈도우(120)는 상기 필름들의 외면들을 각각 감싸는 지지 필름들(121b, 121c), 예를 들어 PET 또는 PC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25)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주변부(122)에는 리시버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개구공 또는 리시버홀(14)이 형성되고, 또한 카메라 모듈을 위해 투명한 채로 남겨 지는 카메라 전방 영역(15)이 형성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120)와 프레임(110)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부재(130)가 배치된다. 접착부재(130)는 윈도우(120)의 주변부(122) 및 프레임(110)의 주변부(112)에 대응하는 면적 및 형태를 가져서 그 부분들과 각각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130)의 일 측에는 각각 카메라 모듈 및 리시버에 대응하는 카메라 영역(132) 및 리시버 영역(131)이 관통 개구 된다. 접착부재(130)는 상기 공간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면에 각각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 접착성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과 윈도우(120) 및 접착부재(130)에 의해 한정된 상기 공간 내로의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기 유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14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터치 센서를 반복적으로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윈도우(120)가 디스플레이 모듈(125)에 밀착되거나 상기 공간 내로 습기 등이 유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5)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불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 상기 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그러한 상황들이 수리, 교체 등의 다른 조작 없이도 해소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 유입부(14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상황들이 미연에 방지 또는 예방되는 이점도 있다. (===> 실시예 마지막에서 두 번째 단락에 '방지'라고 기재한 부분을 보다 명확히 기재하였습니다.)
상기 공기 유입부(140)는, 본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 채널(141)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 채널(141)이 접착부재(130)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통 채널(14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윈도우(120)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 채널(141)은 접착부재(130)의 일 부분을 잘라낸 형태, 다시 말해서 일정 폭을 가지는 컷아웃(cutout)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통 채널(141)은 접착부재(130)에 의한 접착력 또는 밀폐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접착부재(130)의 어느 위치에라도 개수에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 채널(141)이 리시버 영역 또는 관통 영역(131)과 상기 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채널(141a)이라면, 상기 채널(141a)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시에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일단 리시버 홀(14)에서 일정 수준 걸러지기에, 상기 이물질의 공간 내로의 유입을 저감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 채널(141)에는 통기성 부재(15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통기성 부재(150)는 우레탄 등과 같이 일정 수준으로 압착된 상태에서도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통기성 부재(150)를 채용함에 따라, 상기 공간 내로의 공기의 유동은 허용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공간 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화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프레임(110)과 접착부재(130)와 윈도우(120)가 차례로 적층된 단면을 도시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통 채널(141)에 배치되는 통기성 부재(150)가 접착부재(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진다면, 상기 접착부재(130)에 의한 상기 공간의 밀폐 정도가 통기성 부재(150)를 추가함에 따라 저하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나아가, 통기성 부재(150)가 상기 연통 채널(141)의 폭 보다 길어 일 부분이 프레임(110)과 접착부재(130), 또는 윈도우(120)와 접착부재(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고 하여도, 상기 통기성 부재(150)가 압착되어 최소한의 부피를 갖게 되므로 상기 접착부재(130)에 의한 접착력에 대한 제약은 미약한 수준에 불과하다.
도 6은 도 3의 연통 채널(141)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통 채널(141')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서 외부와 상기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절곡부(142)를 예 시하고 있다. 절곡부(142) 중 어느 한 곳에서는 일 측으로 다른 곳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확대부(14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142) 및 확대부(143)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은 연통 채널(141') 내에서 쌓이게 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공간까지 진행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10)과 윈도우(120) 등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프레임(110)과 윈도우(120)를 접착시켜 닫히 공간을 형성하는 접착부재(130')에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연통 채널(141, 도 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공기 유입부로서 통기성 부재(150')가 바로 접착부재(130')의 적어도 일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부재(15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공을 가지는 연성의 부재, 예를 들어 우레탄을 실처럼 뽑아 엮어서 만든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통기성 부재(150')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밀착된 채로 접착부재(130')와 프레임(110) 또는 접착부재(130')와 윈도우(120) 사이에 배치되기에, 상기 부재들(110,120,130) 간의 접착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나아가, 밀착된 상태에서 통기성 부재(150')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간 내로 유입되게 하는 통공을 유지함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통기성 부재(150')를 접착부재(130')에 바로 부착하게 되면, 앞선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공간에 대한 밀폐성은 다소 낮아지더라도 접착부재(130)에 연통 채널(141)를 형성해야 하는 하나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2,24), 영상 입력부(15,27), 음향입력부(16),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26),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5),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2),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을 포함한다.
조작부(12,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2,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5,27)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7)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26)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6)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2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2)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26),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2)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를 이용하여 부정형의 이미지나 도형 등을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5)에 의해 표현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이용한 입력을 위해 윈도우(120)를 누르게 되어 중앙부(121)가 디스플레이 모듈(125)과 밀착되게 되는 경우라도, 공기 유입부(150, 150')에 의해 윈도우(120)와 디스플레이 모듈(125)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부(121)와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다시 적정한 간격을 갖게 이격시키게 된다.
그 결과로, 윈도우(120)에 터치 센서가 내장되는 형태라도, 윈도우(120)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25)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불명확하게 표현되는 것을 방지 또는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윈도우의 중앙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프레임과 접착부재와 윈도우가 차례로 적층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연통 채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1)

  1. 본체에 결합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 면에 적층 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상기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윈도우 및 접착부재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프레임과 윈도우 및 접착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연통 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통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감싸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공이 형성된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테이프에 일정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부인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에는 상기 개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공간과 상기 관통 영역을 연통시키도록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채널은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채널에 배치되는 통기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접착부재의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윈도우와 마주하는 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인식 가능한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본체의 일 면을 이루는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08002A 2007-10-25 2007-10-25 휴대 단말기 KR20090042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002A KR20090042095A (ko) 2007-10-25 2007-10-25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002A KR20090042095A (ko) 2007-10-25 2007-10-25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95A true KR20090042095A (ko) 2009-04-29

Family

ID=4076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002A KR20090042095A (ko) 2007-10-25 2007-10-25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0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721A (ko) * 2010-08-1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30119577A (ko) * 2012-04-24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14096A (ko) * 2013-03-18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1495180B1 (ko) * 2008-10-0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80B1 (ko) * 2008-10-0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21721A (ko) * 2010-08-1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30119577A (ko) * 2012-04-24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14096A (ko) * 2013-03-18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32014A (ko) 휴대 단말기
KR20110103761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20090042095A (ko)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925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290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45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37982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1552A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90110A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0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4155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2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51B1 (ko) 휴대 단말기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