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005A -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 Google Patents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005A
KR20200056005A KR1020180139796A KR20180139796A KR20200056005A KR 20200056005 A KR20200056005 A KR 20200056005A KR 1020180139796 A KR1020180139796 A KR 1020180139796A KR 20180139796 A KR20180139796 A KR 20180139796A KR 20200056005 A KR20200056005 A KR 2020005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ict
common
packaging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336B1 (ko
Inventor
김헌성
이재훈
Original Assignee
김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성 filed Critical 김헌성
Priority to KR102018013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9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alternative medicines, e.g. homeopathy or oriental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ICT 기반 탕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이 개시된다. (a) 의료기관으로부터 공동탕전실로 처방전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을 수신한 공동탕전실의 관리실은 처방전 내용 및 작업지시사항을 제1 NFC 카드로 등록하는 단계; (c) 공동탕전실의 조제실에서 상기 관리실에서 등록된 내용을 조회 후 약 꾸러미를 생성하고 조제 상황을 제1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d) 공동탕전실의 탕전실에서 상기 조제실에서 조제된 약 꾸러미를 받아 탕전하여 탕약을 만드는 단계; (e) 공동탕전실의 포장실에서 상기 탕약을 포장하고 포장 상황을 제2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및 (f) 상기 포장실은 상기 포장된 탕약을 상기 의료기관 또는 환자의 주소지 중 어느 하나로 직접 배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전송과 NFC를 통한 처방 추적 관리를 할 수 있고, 공동 탕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전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Medicinal decoctions method for based on ICT}
본 발명은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앱을 통해 손쉽게 처방전 및 조제지시사항을 전송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탕전 업무는 의료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공동 탕전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이를 기준으로 공동 탕전실을 구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 탕전실은 한의원에서 처방한 약을 달여주는 한약 조제 및 탕전 전문기관이며, 한의원 외에 있다고 하여 원외 탕전실로도 불린다. 공동 탕전실에 대한 이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현행 탕전실에 대한 전산 관리시스템이 부재하여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2492호 : 탕전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탕전 조제 공정 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2327호 : 전자 약재구매를 지원하는 한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전자 약재구매 대행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웹 전송과 NFC를 통한 처방 추적 관리를 할 수 있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공동 탕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전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ICT 기반 탕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에 있어서, (a) 의료기관으로부터 공동탕전실로 처방전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을 수신한 공동탕전실의 관리실은 처방전 내용 및 작업지시사항을 제1 NFC 카드로 등록하는 단계; (c) 공동탕전실의 조제실에서 상기 관리실에서 등록된 내용을 조회 후 약 꾸러미를 생성하고 조제 상황을 제1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d) 공동탕전실의 탕전실에서 상기 조제실에서 조제된 약 꾸러미를 받아 탕전하여 탕약을 만드는 단계; (e) 공동탕전실의 포장실에서 상기 탕약을 포장하고 포장 상황을 제2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및 (f) 상기 포장실은 상기 포장된 탕약을 상기 의료기관 또는 환자의 주소지 중 어느 하나로 직접 배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에 의하면, 웹 전송과 NFC를 통한 처방 추적 관리를 할 수 있고, 공동 탕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전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탕전실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공동 탕전실의 이용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기존 공동 탕전실의 전산 관리 시스템이 부재함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 탕전실(원외 탕전실)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즉, 공동 탕전실은 한의원에서 처방한 약을 달여주는 한약 조제 및 탕전 전문기관으로서, 한의원 외에 있다고 하여 원외 탕전실로도 불리운다. 이러한 공동 탕전실은 공동 탕전실 분리법안(한방의료기관 공동탕전실 법안, 2008.09, '의료법 시행규칙 별표 3' 근거) 및 공동 탕전실 운영 법안(탕전실 운영에 대한 법안 개정, 2008.09, '의료기관의 시행 규칙 별표 4' 근거) 등 정부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탕전실 이용량은 증가하고 있다. 다만, 공동 탕전실의 이용량은 증가함에 비해, 현행 탕전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산 관리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도 3 참조). 따라서 공동 탕전실을 온라인(웹/앱)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는 ICT 공동 탕전 시스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ICT 기반 탕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ICT 기반 탕전 시스템은 의료기관(예를 들어, 한의원 등)- 공동탕전실-환자의 세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각 의료기관(예를 들어, 한의원 등)- 공동탕전실-환자에 웹/앱의 형태로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의료기관(예를 들어, 한의원)에서 공동 탕전실의 관리실로 처방전을 전송한다(S100). 공동 탕전실의 관리실은 한의원에서 전송한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확인하여 접수하고, 각 단계별로 작업지시를 내리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한의사 및 한약사가 작업을 지시하게 되며, 탕전실에서 발생하는 문서, 약재 관리 및 약재 주문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처방전은 환자의 정보와 처방한 처방명 및 약재 리스트 정보가 있는 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처방전을 수신한 공동 탕전실의 관리실은 처방전 내용 및 작업지시사항을 제1 NFC 카드에 등록한다(S200). 제1 NFC 카드에 등록되는 작업지시사항에는 조제 지시서, 탕전 지시서 또는 포장 지시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조제 지시서는 처방한 약재를 어떻게(어떤 방법으로) 조제 및 탕전해야 하는지 해당 지시 내용이 담긴 문서를 의미하고, 탕전 지시서는 선입, 후아 등 조제 및 탕전 작업시 발생하는 작업 지시 내용이 담긴 문서를 의미하며, 포장 지시서는 포장 작업시 발생하는 작업 지시 내용이 담긴 문서를 말한다.
공동 탕전실의 조제실은 공동 탕전실의 관리실로부터 제1 NFC 카드를 넘겨받는다(S210). 공동 탕전실의 조제실은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예를 들어, 조제 지시서)을 확인하여 한약사가 직접 탕전할 약재 리스트를 담는 곳이다. 조제실의 제1 작업자는 제1 작업자의 개인용 제1 NFC 밴드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로그인하고(S300),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S310)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약 꾸러미를 조제/생성한다(S320). 약 꾸러미 조제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 버튼을 이용하여 약 꾸러미에 대한 제1 사진을 촬영한다(S330). 이때, 조제실은 약재 봉지 안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해당 약재 봉지를 모두 다 사용했음을 기록하여 약재 재고를 관리하며, 외부 제약회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약재를 주문하여 약재 재고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S340).
공동 탕전실의 탕전실은 공동 탕전실의 조제실로부터 제1 NFC 카드 및 생성된 약 꾸러미를 넘겨받는다(S350). 공동 탕전실의 탕전실은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예를 들어, 탕전 지시서)을 확인하여 약 꾸러미의 약재 묶음을 실제 탕전 기기를 통해 탕전하는 곳이다. 탕전실의 제2 작업자는 제2 작업자의 개인용 제2 NFC 밴드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로그인하고(S400),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S410)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탕약을 탕전한다(S420). 이때,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작업 시작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한 작업 일지를 기록한다(S430). 탕전실은 NFC 스티커가 부착된 탕전 장비를 관리 단말기에 태깅하여 탕전 장비 상태를 기록하여 관리한다(S440).
공동 탕전실의 포장실은 공동 탕전실의 탕전실로부터 제1 NFC 카드 및 탕전된 탕약을 넘겨받는다(S450). 공동 탕전실의 포장실은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예를 들어, 조제 지시서)을 확인하여 탕전된 약재를 각 포장 용기에 담는 곳이다. 포장실의 제3 작업자는 제3 작업자의 개인용 제3 NFC 밴드로 제3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로그인하고(S500),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S510)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탕약을 포장한다(S520). 탕약 포장시 제3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 버튼을 이용하여 탕약 포장 상황에 대한 제2 사진을 촬영한다(S530).
공동 탕전실의 포장실은 모든 포장 작업이 완료되면, 포장된 탕약을 의료기관(S700) 또는 환자(S600)의 주소지 중 어느 하나로 직접 배달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처방전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약 꾸러미의 조제 상황을 촬영한 제1 사진 및 탕약의 포장 상황을 촬영한 제2 사진, 그리고 전체적인 탕전 작업 내용 및 탕약 배달 경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공동 탕전실의 관리실에서도 웹/앱을 통해 작업사항, 즉, 처방추적관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처방추적관리는 처방전을 근거로 하여 각 단계별(조제실, 탕전실 및 포장실)별로 진행되는 진행상황 및 특이사항 등을 웹/앱을 통해 확인하는 관리 내용을 말한다. 나아가, 환자도 처방전 및 탕전 작업 내용 및 탕약 배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동 탕전실의 각 단계(관리실, 조제실, 탕전실 및 포장실)별로 작업 일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일지에 기록되는 내용은 각 단계의 각 작업자들이 확인한 작업지시사항, 실제 작업한 내용 및 특이사항을 일지로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록한 내용을 말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ICT 기반 탕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에 있어서,
    (a) 의료기관으로부터 공동탕전실로 처방전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을 수신한 공동탕전실의 관리실은 처방전 내용 및 작업지시사항을 제1 NFC 카드로 등록하는 단계;
    (c) 공동탕전실의 조제실에서 상기 관리실에서 등록된 내용을 조회 후 약 꾸러미를 생성하고 조제 상황을 제1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d) 공동탕전실의 탕전실에서 상기 조제실에서 조제된 약 꾸러미를 받아 탕전하여 탕약을 만드는 단계;
    (e) 공동탕전실의 포장실에서 상기 탕약을 포장하고 포장 상황을 제2 사진으로 촬영하는 단계; 및
    (f) 상기 포장실은 상기 포장된 탕약을 상기 의료기관 또는 환자의 주소지 중 어느 하나로 직접 배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g) 상기 (a) 단계에서 처방전을 전송한 상기 의료기관에서 상기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사진, 그리고 상기 (d) 단계에서 수행된 탕전 작업 내용 및 탕약 배달 경로를 실시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NFC 카드에 등록되는 작업지시사항은 조제 지시서, 탕전 지시서 또는 포장 지시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관리실에서 상기 (c) 단계의 조제실로 상기 제1 NFC 카드를 넘겨주고, 상기 조제실의 제1 작업자는 상기 제1 작업자의 개인용 제1 NFC 밴드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로그인하고 상기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약 꾸러미를 조제/생성하며, 상기 약 꾸러미 조제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 버튼을 이용하여 약 꾸러미에 대한 제1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조제실에서 상기 (d) 단계의 탕전실로 상기 제1 NFC 카드와 상기 약 꾸러미를 넘겨주고, 상기 탕전실의 제2 작업자는 상기 제2 작업자의 개인용 제2 NFC 밴드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로그인하고 상기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탕약을 탕전하며,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작업 시작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한 작업일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탕전실에서 상기 (e) 단계의 포장실로 상기 제1 NFC 카드와 탕전된 탕약을 넘겨주고, 상기 포장실의 제3 작업자는 상기 제3 작업자의 개인용 제3 NFC 밴드로 제3 모바일 디바이스에 로그인하고 상기 제1 NFC 카드를 태깅하여 처방전 및 작업지시사항을 조회하여 상기 탕약을 포장하고, 상기 탕약 포장시 상기 제3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 버튼을 이용하여 제2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공동탕전실의 조제실은 약재 봉지 안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해당 약재 봉지를 모두 다 사용했음을 기록하여 약재 재고를 관리하며, 외부 제약회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약재를 주문하여 약재 재고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공동탕전실의 탕전실은 NFC 스티커가 부착된 탕전 장비를 관리 단말기에 태깅하여 탕전 장비 상태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상기 처방전 및 상기 (d) 단계에서 수행된 탕전 작업 내용 및 탕약 배달 경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KR1020180139796A 2018-11-14 2018-11-14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KR10227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96A KR102272336B1 (ko) 2018-11-14 2018-11-14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96A KR102272336B1 (ko) 2018-11-14 2018-11-14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05A true KR20200056005A (ko) 2020-05-22
KR102272336B1 KR102272336B1 (ko) 2021-07-02

Family

ID=7091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796A KR102272336B1 (ko) 2018-11-14 2018-11-14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65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채움생 완전 분리식 연결호스를 구비한 원외 탕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86A (ko) * 2000-09-22 2001-04-06 서무수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172327B1 (ko) 2011-06-14 2012-08-08 티엔에이치(주) 전자 약재구매를 지원하는 한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전자 약재구매 대행방법
KR20160111606A (ko) * 2015-03-16 2016-09-27 (주)옥천당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86A (ko) * 2000-09-22 2001-04-06 서무수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172327B1 (ko) 2011-06-14 2012-08-08 티엔에이치(주) 전자 약재구매를 지원하는 한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전자 약재구매 대행방법
KR20160111606A (ko) * 2015-03-16 2016-09-27 (주)옥천당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KR101762492B1 (ko) 2015-03-16 2017-07-28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65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채움생 완전 분리식 연결호스를 구비한 원외 탕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336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8913B2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and health-related facilities
JP7381979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10470977B2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KR101674195B1 (ko) 약국의 보유약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20090085054A (ko) 의료용 제품의 추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822617B1 (ko)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JP2017142658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25386A (ja) 服薬アラームシステム
KR20200056005A (ko)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US11348672B2 (en) Medical order entry integration with automated dispensing systems
JP2009178343A (ja) 医薬品収容用薬袋、医薬品関連情報印刷システム
KR101602778B1 (ko) 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전달 방법
JP6994196B2 (ja) 薬剤の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JP2022002048A (ja) 薬剤の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6010579B2 (ja) 医薬品自動ピッキング方法
KR102537000B1 (ko)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536999B1 (ko)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20010097616A (ko) 병원 처방전 및 의료정보 자동전달방법
US20230282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quality and safety automation
JP2019091227A (ja) 服薬監査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77149A (ja) 容器及び当該容器を利用したotc医薬品の販売動向管理システム
JP2006081837A (ja) 調剤管理システム
Hug et al. Logistics
WO2022260842A1 (en) Robotic prescription fil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