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492B1 -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492B1
KR101762492B1 KR1020150036270A KR20150036270A KR101762492B1 KR 101762492 B1 KR101762492 B1 KR 101762492B1 KR 1020150036270 A KR1020150036270 A KR 1020150036270A KR 20150036270 A KR20150036270 A KR 20150036270A KR 101762492 B1 KR101762492 B1 KR 10176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ation
herbal medicine
extraction
preparation proce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606A (ko
Inventor
구성민
구태훈
정철종
박영길
이일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5003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환자의 체질 및 상태에 따라 내려지는 다양한 처방 각각에 대하여 한약의 원료인 천연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적의 조제법과 추출법(추출시간, 추출용수량, 결합제의 양 등)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최적의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제가 완료된 한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DB화 시킴으로써 이후 동일한 처방이나 동일한 한의원이나 동일한 환자에 대한 반복적인 처방전이 내려진 경우처럼 동등한 조건의 조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한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기존 DB와 비교를 통해 한약의 품질이 동일하게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한약을 조제함에 있어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을 통하여 한약 조제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동등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여 품질 보장이 되는 동일한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특화된 전문 관리 시스템과 관리 방법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PROCESS MANAGEMENT METHOD US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PREPARING HERBAL MEDICINE}
본 발명은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환자의 체질 및 상태에 따라 내려지는 다양한 처방 각각에 대하여 한약의 원료인 천연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적의 조제법과 추출법(추출시간, 추출용수량, 결합제의 양 등)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최적의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제가 완료된 한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DB화 시킴으로써 이후 동일한 처방이나 동일한 한의원이나 동일한 환자에 대한 반복적인 처방전이 내려진 경우처럼 동등한 조건의 조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한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기존 DB와 비교를 통해 한약의 품질이 동일하게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한약을 조제함에 있어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을 통하여 한약 조제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동등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여 품질 보장이 되는 동일한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특화된 전문 관리 시스템과 관리 방법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한방 처방 또는 치료를 받기 위하여 한의원에 내방하여 상담하거나 진맥 등을 통하여 진단이 내려지고 이에 따라 한약을 조제하여 조제된 한약을 환자가 복용한다.
이때, 환자의 병세는 다양하고, 그에 따라 그 다양한 환자에 대한 처방 또한 각각 다르게 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자와 이들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많은 수의 한의원 또는 한약국, 기타 한약 조제가 필요한 거래처에서 한약 조제에 필요한 내역을 효율적으로 등록하고 공동탕전 실시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탕전의 실시에 있어 환자에게 내려진 처방에 최대한의 오류가 없도록 정확한 한약을 조제하여 제공되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한약은 근본적으로 천연물을 추출, 분쇄,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형화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약이라는 제품의 품질 동등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준 높은 관리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A라는 처방을 조제하는 경우에 조제방법과 추출방법 등의 차이에 의해 추출율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그 결과 A라는 처방을 구성하는 각 약재별로 주요한 약효성분의 추출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이름은 A라는 처방이지만 사실 모두 다른 약이 조제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아스피린의 용량이 10mg일 때와 100mg일 때 각각 심혈관 용해제와 진통해열제의 약리작용을 하는 것을 이해하면 매우 큰 심각하고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등록된 기존의 환자나 병세에 대한 기록뿐 아니라 그들에게 내려진 처방에 대한 한약 조제에 대한 기록을 이용하여 후일에 동일 환자나 동일 증세에 대한 반복 처방이 내려지는 경우에 동일한 품질의 한약이 조제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기존 기록과 자료를 활용하여 조제 및 관리함으로써 비용의 절감 및 시간 절약 등의 효과를 가져 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 어디에도 이를 위한 전문적인 관리체계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원료인 천연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조제하는 방법(추출시간, 추출용수량, 결합제의 양 등)을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며, 또 조제가 완료된 한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DB화함으로써 이후 동일한 처방이나 동등한 조건의 조제가 이루어질 경우 비교를 통해 품질이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물론 소품종을 대량 생산하는 일반 제조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품질관리의 기법이 일반적으로 상용화 된 것이 사실이나, 특이하게도 한약은 각 개인별 맞춤으로 처방되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해야 하는 체계이므로 이를 위해 특화된 전문 관리 시스템과 관리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관리 시스템과 관리 방법을 구축하기 위해 한약 조제 공정에 있어 통계적 공정관리를 도입하여 기존 기록과 자료들을 비교치로 활용하여 물리적 특성 체크를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한약의 조제 및 추출에 의한 한약의 품질 보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의 원료인 천연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다양한 환자의 체질 및 상태에 따라 내려지는 다양한 처방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조제법과 추출법(추출시간, 추출용수량, 결합제의 양 등)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최적의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제가 완료된 한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DB화 시킴으로써 이후 동일한 처방이나 동일한 한의원이나 동일한 환자에 대한 반복적인 처방전이 내려진 경우처럼 동등한 조건의 한약 조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기존 DB와 비교를 통해 한약의 품질이 동일하게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한약을 조제함에 있어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을 통하여 한약 조제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동등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여 품질 보장이 되는 동일한 한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은, 한약 처방을 입력받고 한약 약재에 대한 DB를 이용하여 약재 조제법을 결정하며 포장 및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지시에 의해 한약을 조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처방을 의뢰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기관명, 환자명, 조제일과 같은 기초정보와, 처방 약재의 종류 및 양, 제형, 추출용매, 감미제, 복용량 및 포장 방법에 관한 처방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을 받는 단계;
상기 받은 처방정보를 통해 약재의 종류에 따른 약재의 수분 흡수도를 계산하고, 추출용매와 감미제의 양을 반영하여 추출용수량과 추출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산출하며, 추출화력, 제형에 따른 결합제나 부형제의 양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 조제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처방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과 상기 결정된 조제법을 각 조제 단계의 공정시스템 및 조제 작업 지시서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송받은 처방정보 및 조제법에 맞는 순서에 따라 조제하고, 매 조제 공정단계마다 공정내용 및 결과를 QR코드로 입력받고, 해당 공정의 마침 정보를 QR코드로 입력받아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한 정확한 조제가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조제 공정에서 조제된 조제약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추출기에 넣고 상기 추출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해 추출시간 및 출력에 대한 추출정보를 상기 추출기에 전송하여 추출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추출기에 의한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액을 농도, 산도, 염도, 색도 의 물리적 정보를 검사하여 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탕제, 환제, 고제, 농축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 하는 단계;
상기 제형화가 완료된 한약을 상기 조제 지시사항에 따라 정확한 복용량과 포장방법으로 포장하는 단계;
상기 포장된 한약을 조제 지시사항과 동일하게 포장이 완료되었는지 검수하는 단계; 및
상기 검수된 한약을 포장 및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약재의 수분 흡수도, 추출화력, 추출용수량, 추출시간, 및 결합제의 양을 결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약재의 수분 흡수도 = 분류계수 * (물의양 + 마른약재량 - 젖은 약재량)
단, 분류계수는 종자류(1.5), 근경류(1.3), 과피류(1.2), 전초류(1.1), 엽류(1.1), 화류(1), 수지류(1), 광물류(1), 동물류(1.3) 로 정한다.
2. 추출화력은 전체 구성 중 광물류 20% 이상인 경우와 전체 구성 중 근경류 50% 이상인 경우 및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를 함유한 약이 포함된 경우에 3.4 ~3.6kwh, 전체 구성 중 과피류 10% 이상인 경우에 0.3 ~ 0.4kwh, 전체 구성중 화류 10% 이상인 경우에 0.8 ~ 1.0kwh, 나머지 규정하지 않은 경우에 1.7 ~ 1.9kwh로 결정한다.
3. 추출용수량 =
Figure 112017028600356-pat00008

+ 증발량i
+ (팩수+3) * 팩용량
+ 증류첨가량(5000~8000)*증류변수i
- 감미제 첨가량
단, 증발량 = 187.5 * 화력 + 543.75
감미제 첨가량 = (0.85*1팩용량*총팩수)/감미제 당도
증류변수 : 증류추출=1, 증류추출이 아닌 경우=0
4. 추출시간 = 2/3 *(추출용수량/1000 - 5) + 45 + α
단, α는 특수약재 추출계수로,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가 함유된 약이 포함되면 : 1,
위장관 자극성 있는 약재(감수,원화,대극)이 포함되면 : 0.5,
증류 추출법이 적용되면 : 1.5 로 정한다.
5. 결합제 사용량
=
Figure 112017028600356-pat00009
*결합제사용계수
단, 결합제사용계수가 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1/2*환의 직경 + 0.05,
결합제사용계수가 전분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10*환의 직경 + 0.06,
결합제사용계수가 정제수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5*환의 직경 + 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은 한약의 원료인 천연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다양한 환자의 체질 및 상태에 따라 내려지는 다양한 처방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조제방법과 추출법(추출시간, 추출용수량, 결합제의 양 등)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처방에 맞는 최적의 한약이 조제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제가 완료된 한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DB화 시킴으로써 이후 동일한 처방이나 동일한 한의원이나 동일한 환자에 대한 반복적인 처방전이 내려진 경우처럼 동등한 조건의 한약 조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기존 DB와 비교를 통해 한약의 품질이 동일하게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한약을 조제함에 있어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을 통하여 한약 조제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동등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여 높은 신뢰성과 품질 보장이 되는 동일한 한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처방을 입력받고 한약 약재에 대한 DB를 이용하여 약재 조제법을 결정하며 포장 및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지시에 의해 한약을 조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은, 처방 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을 받는 단계(S100), 조제약의 처방정보에 따른 조제법을 결정하는 단계(S200), 처방정보, 조제지시사항, 결정된 조제법을 전송 표시하는 단계(S300), 조제법에 따른 조제와 더불어 매 조제 공정단계별 결정된 조제법에 따른 조제인지 체크하는 단계(S400), 추출기에 의한 추출작업 및 추출후 농도, 산도, 염도, 산도 등의 물리적 정보를 검사하여 저장하는 단계(S500), 상기 추출물을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를 하는 단계(S600), 상기 제형화된 한약을 조제 지시사항에 맞는 복용량과 포장방법으로 포장하는 단계(S700), 포장된 한약을 조제 지시사항에 따른 포장완료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S800), 상기 검수된 한약을 포장 및 배송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단계(S600, S700, S800, S900)는, 상기 추출에 따른 추출물로부터 탕제, 환제, 고제, 농축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가 완료된 한약이 상기 조제 지시사항에 따른 복용량과 포장방법으로 포장 및 배송될 수 있도록, 포장 및 배송에 대한 검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상기 처방 정보 및 조제 지시 사항을 받는 단계(S100)는, 처방을 의뢰하는 의료기관명, 환자명, 조제일과 같은 기초정보와, 처방 약재의 종류 및 그 양과, 탕제, 산제, 환제, 고제, 농축제와 같은 제형과, 물 또는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는 추출용매와, 당도(brix)를 갖는 감미제와, 탕제인 경우 팩수 또는 팩당 용량, 기타 제형인 경우 1회 복용량(g)과 같은 복용량, 및 탕제인 경우 팩의 종류, 패키지단위, 상자의 종류, 기타 제형인 경우 패키지단위와 같은 포장 방법에 관한 정보나 지시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조제약의 처방정보에 따른 조제법을 결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받은 처방정보를 통해 약재의 종류에 따른 약재의 수분 흡수도를 계산하고, 추출용매와 감미제의 양을 반영하여 추출용수량과 추출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산출하며, 추출화력, 제형에 따른 결합제나 부형제의 양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약재의 수분 흡수도, 추출화력, 추출용수량, 추출시간, 및 결합제의 양을 결정함에 있어 이하에서 정의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약재의 수분 흡수도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결정된다.
약재의 수분 흡수도 = 분류계수 * (물의양 + 마른약재량 - 젖은 약재량)
단, 분류계수는 종자류(1.5), 근경류(1.3), 과피류(1.2), 전초류(1.1), 엽류(1.1), 화류(1), 수지류(1), 광물류(1), 동물류(1.3) 으로 정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화력은 전체 구성 중 광물류 20% 이상인 경우와 전체 구성 중 근경류 50% 이상인 경우 및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를 함유한 약이 포함된 경우에는 3.4 ~3.6kwh로 정하고, 전체 구성 중 과피류 10% 이상인 경우에는 0.3 ~ 0.4kwh로 정하며, 전체 구성중 화류 10% 이상인 경우에는 0.8 ~ 1.0kwh로 정하고, 나머지 규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1.7 ~ 1.9kwh로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추출용수량에 대한 정의이다.
추출용수량 =
Figure 112015025640108-pat00003
+ 증발량i
+ (팩수+3) * 팩용량
+ 증류첨가량(5000~8000)*증류변수i
- 감미제 첨가량
단, 증발량 = 187.5 * 화력 + 543.75
감미제 첨가량 = (0.85*1팩용량*총팩수)/감미제 당도
증류변수 : 증류추출=1, 증류추출이 아닌 경우=0 로 정한다.
다음은 추출시간에 대한 정의이다.
추출시간 = 2/3 *(추출용수량/1000 - 5) + 45 + α 로 정의하고,
이때, α: 특수약재 추출계수로,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가 함유된 약이 포함되면 : 1,
위장관 자극성 있는 약재(감수,원화,대극)이 포함되면 : 0.5,
증류 추출법이 적용되면 : 1.5 로 정한다.
다음으로 결합제 사용량에 대한 것이다.
결합제 사용량
=
Figure 112015025640108-pat00004
*결합제사용계수
로 정의한다.
단, 결합제사용계수가 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1/2*환의 직경 + 0.05,
결합제사용계수가 전분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10*환의 직경 + 0.06,
결합제사용계수가 정제수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5*환의 직경 + 0.06,
인 것을 실시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량은 각 약재별로 달라지는데, 특히 그 약재에 따른 제분손실계수 또한 각 약재별로 정리된 데이터베이스(DB)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 약재의 제분손실계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890종 이상의 약재에 대하여 구축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조제법은 추출시간이 75분 이상인 경우에는 선전, 추출시간이 45분 ~ 75분인 경우에는 일반, 추출시간이 15분 이하인 경우에는 후하, 추출시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후입으로 약재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조제약의 조제법은 선전약, 일반약, 후입약, 후하약으로 구분된다.
다음은,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조제 처방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과 상기 결정된 조제법을 각 조제 단계의 공정시스템 및 조제 작업 지시서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조제법에 따른 조제와 더불어 매 조제 공정단계별 결정된 조제법에 따른 조제인지 체크하는 단계(S400)는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전송받은 정보 및 조제법에 맞는 순서에 따라 조제하고, 매 조제 공정단계마다 공정내용 및 결과를 QR코드로 입력하고, 해당 공정의 마침 정보를 QR코드로 입력하여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한 정확한 조제가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각 조제 공정 단계에서 조제약마다 부착된 QR코드 정보를 받아 작업지시서의 처방 정보에 있는 조제약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를 전송하며, 전자식 저울로부터 조제약의 중량 정보를 받아 작업지시서의 처방 정보에 있는 조제약의 처방량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경고를 전송하고, 조제법에 맞는 조제인지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조제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제약의 처방량의 오차범위는 5% 이내로 정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추출기에 의한 추출작업 및 추출후 농도,산도,염도,산도 등의 물리적 정보를 검사하여 저장하는 단계(S500)는,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상기 조제 공정에서 조제된 조제약을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추출기에 넣게 되고 상기 추출기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해 추출시간 및 출력 등의 추출정보를 상기 추출기에 전송하여 추출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추출기에 의한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액을 농도, 산도, 염도, 색도 의 물리적 정보를 검사하여 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추출기에 추출화력, 추출시간, 추출용수량, 추출방법, 감미제량, 에탄올량 등의 추출정보를 전송함과 아울러 조제약을 추출기에 넣어 추출기를 작동시킨다. 이후, 상기 추출기에서 추출 완료가 이루어지면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결과치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 동작 정보를 전송하여 추출물의 농도, 산도, 색도와 실시간으로 비교 모니터링하고, 비교한 측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농도, 산도, 색도의 측정의 일실시 예로, 상기 농도는 굴절식 광학 농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산도는 산도센서를, 색도는 광학 색도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술하자면,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각 조제 공정 단계에서 조제약마다 부착된 QR코드의 정보를 받아 작업지시서의 처방 정보에 있는 조제약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며, 이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조제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전자식 저울로부터 조제약의 중량 정보를 받아 작업지시서의 처방 정보에 있는 조제약의 처방량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이때,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경고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조제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제약의 처방량의 오차범위는 5% 이내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조제법에 맞는 조제인지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조제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제형화의 정확성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추출화력, 추출시간, 추출용수량, 추출방법, 감미제량, 에탄올 첨가량 등의 추출정보를 전송하여 전송된 해당 정보에 의한 추출방법으로 추출 완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추출 완료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추출기로부터 추출 완료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추출기에 설치된 굴절식 광학 농도 센서, 굴절식 광학 염도 센서, 산도 센서, 광학 색도 센서 각각에 대하여 4cc의 추출액을 각 1cc 씩 주입하도록 하는 동작 정보를 보내게 된다.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내어진 동작 정보에 의해 상기 추출기로부터 각 1cc의 정량이 주입되면 상기 추출기에 설치된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농도, 염도, 산도, 색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동일한 처방(즉, 약재의 종류와 양이 동일하고, 추출법이 동일한 처방)에 대해서 새롭게 측정된 값을 저장하도록 한다.
이렇게 저장된 각각의 농도, 산도, 염도, 색도 저장값들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확률밀도 함수를 계산하고, 동등성 검증을 위해 기존 제형화 자료와 비교 이용하여 새로이 측정된 값의 일정 범위(바람직하게는, 평균± 3.5 * 표준편차)내에 있는 경우에는 동등하다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동등하지 않다는 정보와 그 편차(평균 - 새로이 측정된 값)를 전송함으로써 제형화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 추출물을 탕제, 환제, 고제, 농축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를 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 제형화된 한약을 기초정보와 조제 지시사항에 맞는 복용량을 포함하고, 포장방법으로 포장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된 한약을 조제 지시사항 즉, 팩수, 팩용량, 및 팩종류 등에 따른 포장완료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S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검수 단계는 작업지시서에 의한 결과인지 확인 검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검수된 한약을 포장 및 배송하는 단계(S900)를 포함한다.
작업지시서의 정보와 송장이 일치하는지 검증하고, 택배사의 발송 집하 배송중 등의 송장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배송 추적을 하고, 작업일지에 생성된 작업의 미완료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조제 공정이 동등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 검증한다.
특히,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작업지시서의 수신인의 주소 정보에 따라 택배 발송 전자 송장을 자동으로 출력정보를 전송하여 송장을 출력하게 하고, 출고 전 송장의 바코드 정보를 스캐너로 읽어 작업지시서의 수신인 정보와 일치여부를 체크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상없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출고 불가함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출고의 정확성을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조제 단계, 제형화 단계, 검수 단계, 포장의 송장일치검증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다음 단계진행을 막음과 동시에 알림신호을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한약 조제 공정의 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형화 단계에서 결과치 비교에 의한 동등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 진행이 되지만, 동등성이 불인정되는 경우에는 알림신호를 발생하여 역시 작업자의 공정 관리가 완벽히 이루어지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조제작업일지, 제형화작업일지, 검수 및 포장 작업일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조제작업일지는 추출법에 따른 약재별 구분을 정리하고, 제형화 작업일지는 추출용매, 추출시간, 추출화력 등에 대한 탕제 작업일지와, 환제, 고제, 농축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작업일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검수 작업일지는 기초정보, 팩수, 팩용량, 팩종류 등을 기록하고, 포장 작업일지는 포장재, 포장단위, 탁도검증, 이물혼입여부, 동등성 검증 등에 대한 기록을 작성하도록 한다. 즉, 작업일지의 생성은 전체 공정에 대해 포괄적으로 기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Claims (8)

  1. 한약 처방을 입력받고 한약 약재에 대한 DB를 이용하여 약재 조제법을 결정하며 포장 및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지시에 의해 한약을 조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처방을 의뢰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기관명, 환자명, 조제일과 같은 기초정보와, 처방 약재의 종류 및 양, 제형, 추출용매, 감미제, 복용량 및 포장 방법에 관한 처방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을 받는 단계;
    상기 받은 처방정보를 통해 약재의 종류에 따른 약재의 수분 흡수도를 계산하고, 추출용매와 감미제의 양을 반영하여 추출용수량과 추출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산출하며, 추출화력, 제형에 따른 결합제나 부형제의 양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 조제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처방정보 및 조제 지시사항과 상기 결정된 조제법을 각 조제 단계의 공정시스템 및 조제 작업 지시서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송받은 처방정보 및 조제법에 맞는 순서에 따라 조제하고, 매 조제 공정단계마다 공정내용 및 결과를 QR코드로 입력받고, 해당 공정의 마침 정보를 QR코드로 입력받아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한 정확한 조제가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조제 공정에서 조제된 조제약을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추출기에 넣고 상기 추출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이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조제법에 의해 추출시간 및 출력에 대한 추출정보를 상기 추출기에 전송하여 추출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추출기에 의한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액을 농도, 산도, 염도, 색도 의 물리적 정보를 검사하여 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출에 따른 추출물로부터 탕제, 환제, 고제, 농축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가 완료된 한약이 상기 조제 지시사항에 따른 복용량과 포장방법으로 포장 및 배송될 수 있도록, 포장 및 배송에 대한 검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상기 약재의 수분 흡수도, 추출화력, 추출용수량, 추출시간, 및 결합제의 양을 결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약재의 수분 흡수도 = 분류계수 * (물의양 + 마른약재량 - 젖은 약재량)
    단, 분류계수는 종자류(1.5), 근경류(1.3), 과피류(1.2), 전초류(1.1), 엽류(1.1), 화류(1), 수지류(1), 광물류(1), 동물류(1.3) 로 정한다.
    2. 추출화력은 전체 구성 중 광물류 20% 이상인 경우와 전체 구성 중 근경류 50% 이상인 경우 및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를 함유한 약이 포함된 경우에 3.4 ~3.6kwh, 전체 구성 중 과피류 10% 이상인 경우에 0.3 ~ 0.4kwh, 전체 구성중 화류 10% 이상인 경우에 0.8 ~ 1.0kwh, 나머지 규정하지 않은 경우에 1.7 ~ 1.9kwh로 결정한다.
    3. 추출용수량 =
    Figure 112017028600356-pat00005

    + 증발량i
    + (팩수+3) * 팩용량
    + 증류첨가량(5000~8000)*증류변수i
    - 감미제 첨가량
    단, 증발량 = 187.5 * 화력 + 543.75
    감미제 첨가량 = (0.85*1팩용량*총팩수)/감미제 당도
    증류변수 : 증류추출=1, 증류추출이 아닌 경우=0.
    4. 추출시간 = 2/3 *(추출용수량/1000 - 5) + 45 + α
    단, α는 특수약재 추출계수로,
    알칼로이드 아코니틴(Aconitine Alkaloid)가 함유된 약이 포함되면 : 1,
    위장관 자극성 있는 약재(감수,원화,대극)이 포함되면 : 0.5,
    증류 추출법이 적용되면 : 1.5 로 정한다.
    5. 결합제 사용량
    =
    Figure 112017028600356-pat00006
    *결합제사용계수
    단, 결합제사용계수가 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1/2*환의 직경 + 0.05,
    결합제사용계수가 전분풀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10*환의 직경 + 0.06,
    결합제사용계수가 정제수인 경우: 결합제사용계수 = 3/5*환의 직경 + 0.06.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6270A 2015-03-16 2015-03-16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KR10176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270A KR101762492B1 (ko) 2015-03-16 2015-03-16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270A KR101762492B1 (ko) 2015-03-16 2015-03-16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06A KR20160111606A (ko) 2016-09-27
KR101762492B1 true KR101762492B1 (ko) 2017-07-28

Family

ID=5710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270A KR101762492B1 (ko) 2015-03-16 2015-03-16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05A (ko) 2018-11-14 2020-05-22 김헌성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1293A1 (zh) * 2017-09-01 2019-03-07 深圳市中瑞远博软件信息有限公司 一种中草药提取液浓缩智能化控制系统
KR102276149B1 (ko) * 2019-07-17 2021-07-12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한약 제조 공정 관리 방법
KR102095752B1 (ko) * 2019-07-26 2020-04-01 구태훈 한약품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KR102095230B1 (ko) * 2019-07-26 2020-03-31 구태훈 원외탕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56346B1 (ko) * 2019-10-22 2021-05-26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에스 한약 추출기 자동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382A (ja) * 2007-08-01 2009-02-19 Atsumi Tec:Kk 製造ラインの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382A (ja) * 2007-08-01 2009-02-19 Atsumi Tec:Kk 製造ラインの監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05A (ko) 2018-11-14 2020-05-22 김헌성 Ict 기반 공동 탕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06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492B1 (ko) 한약 조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한약 조제 공정 관리 방법
US9238518B2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 control process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9334096B2 (en) Multip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10776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customized formulations for individuals
US10435192B2 (en) Multip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20170255760A1 (en) Automatic Drug Dispensing System with Medicine Verification
CA2546437A1 (en) Preparing individualized dosage forms of medicaments
Teagarden et al. Dispensing error rate in a highly automated mail‐service pharmacy practice
Nayak et al. Study of post compression parameters of various marketed paracetamol tablets in India
KR102095230B1 (ko) 원외탕전 통합 관리 시스템
Osei-Asare et al. Comparative quality evaluation of selected brands of cefuroxime axetil tablets marketed in the greater accra region of Ghana
TWM547525U (zh) 中藥粉自動調劑設備
Mohiuddin Extemporaneous compounding: selective pharmacists with separate skill
CN107362149A (zh) 一种苯磺酸氨氯地平片的制备工艺
CN113562208A (zh) 中药饮片自动分拣方法和分拣系统
O'Leary et al. Variable accuracy, precision, and consistency of compounded famciclovir formulated for management of feline herpesvirus‐1 in cats
Myhal et al. Research of interaction between metronidazole tablets and metal saltsin vitro
Ramulu et al. Formu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Siddha Pediatric Tablet dosage: Bala Sanjeevi Mathirai
KR102095752B1 (ko) 한약품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Dozias et al. 3PC-022 Preliminary microbiological study of injectable chemotherapy dose-banding
Adepoju-Bello et al. Quality assessment of metformin hydrochloride tablets retailed in Lagos, Nigeria
Sultan et al. Physical Evaluation and In Vitro Bioequivalence Study of Marketed Aspirin Enteric Coated Tablets in KSA
Alqahtani et al. Quality control and drug-drug interactions between commercially available Metoprolol and Glimepiride tablets
KR20240077187A (ko) 의약품 검사 및 포장 시스템의 의약품 검사 및 포장 방법
Osei-Asare et al. Research Article Comparative Quality Evaluation of Selected Brands of Cefuroxime Axetil Tablets Marketed in the Greater Accra Region of Gh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