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586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5586A KR20200055586A KR1020180139396A KR20180139396A KR20200055586A KR 20200055586 A KR20200055586 A KR 20200055586A KR 1020180139396 A KR1020180139396 A KR 1020180139396A KR 20180139396 A KR20180139396 A KR 20180139396A KR 20200055586 A KR20200055586 A KR 20200055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region
- area
- tire
- bound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60C11/0309—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76—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제1 그루브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 시 타이어의 트레드 영역에 대한 마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트레드 영역에 대한 변화가 있어, 이를 통하여 타이어 소음 및 타이어의 제어를 통한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마모 시 타이어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제1 그루브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상기 두 개의 측면 영역이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의 제3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상기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바닥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의 마주보는 경계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의 마주보는 경계 영역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타이어의 마모 시 타이어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용이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제1 그루브(120), 제1 내측 경계 영역(121)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드부(110)는 패턴을 갖는 블록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20)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1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120)는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20)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1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130)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20)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20)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그루브(13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그루브(130)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에 타이어(TR)를 장착 후 주행 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도록 제1 그루브(120)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130)는 제1 그루브(1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130)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120) 및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130)에 의하여 트레드부(110)의 블록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110)의 인접한 2개의 블록들이 제1 그루브(120) 또는 제2 그루브(130)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바디 플라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70)는 타이어(1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미도시)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150)는 바디 플라이(17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60)이 캡플라이(150)와 바디 플라이(1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6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은 상기 제1 그루브(120)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1a, 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은 제1 그루브(120)의 바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1a, 121b)은 각각 트레드부(1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1a, 121b)이 각각 트레드부(1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11) 및 각(P1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11) 및 각(P12)은 90도 보다 큰 둔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11) 또는 각(P1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P11) 또는 각(P1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1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도 1의 r)방향의 연장선과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1a, 121b)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m)은 5도 내지 1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120)는 제1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120B1, 120B2)은 각각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1a, 121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120)의 제1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120B1, 120B2)은 제1 그루브(1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120)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1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은 상기 제1 그루브(120)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2a,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120)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121)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120)의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제1 그루브(1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3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은 제1 영역보다 제1 그루브(120) 및 제2 그루브(1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부(1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을 기준으로 트레드부(1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은 제1 내측 경계 영역(121)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1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2a, 122b)은 각각 트레드부(1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2a, 122b)이 각각 트레드부(1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21) 및 각(P2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21) 및 각(P2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각(P21)은 각(P2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21)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120)는 제2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120B3, 120B4)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1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122a, 122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1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120B4)은 제1 그루브(1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121)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1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계 영역(120B3)은 경계 영역(120B4)보다 제1 그루브(120)의 내측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120B3)은 제1 그루브(1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은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갖고, 예를들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은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이러한 두 개의 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영역에서와 제2 영역에서의 그루브의 내측면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고, 그루브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가 갖도록 하여 그루브의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배수 특성의 원활한 증대를 할 수 있고, 타이어의 주행시 노이즈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는 마모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의 블록들은 마모되어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시 제1 그루브의 높이도 감소한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와 인접한 트레드부의 블록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에서의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트레드 블록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폭의 증가의 변화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마모 시 제1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에 비하여 제2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은 감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에 따른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폭의 변화의 폭을 감소하여 트레드 블록의 형태로 인한 주행 특성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통한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제1 그루브(220), 제1 내측 경계 영역(221)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2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드부(210)는 패턴을 갖는 블록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20)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2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220)는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20)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2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230)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20)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20)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이어(200)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그루브(23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그루브(230)는 타이어(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에 타이어(TR)를 장착 후 주행 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도록 제2 그루브(230)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230)는 제1 그루브(2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230)는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220) 및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230)에 의하여 트레드부(210)의 블록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210)의 인접한 2개의 블록들이 제1 그루브(220) 또는 제2 그루브(230)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2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바디 플라이(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70)는 타이어(2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60)이 캡플라이(250)와 바디 플라이(2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은 상기 제1 그루브(220)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1a, 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은 제1 그루브(220)의 바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1a, 221b)은 각각 트레드부(2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1a, 221b)이 각각 트레드부(2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11) 및 각(P1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11) 및 각(P12)은 90도 보다 큰 둔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11) 또는 각(P1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P11) 또는 각(P1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2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도 6의 r)방향의 연장선과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1a, 221b)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m)은 5도 내지 1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220)는 제1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220B1, 220B2)은 각각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1a, 221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220)의 제1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220B1, 220B2)은 제1 그루브(221)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221)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2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은 상기 제1 그루브(220)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2a, 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220)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221)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220)의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제1 그루브(1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8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은 제1 영역보다 제1 그루브(220) 및 제2 그루브(2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2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을 기준으로 트레드부(2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은 제1 내측 경계 영역(221)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2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2a, 222b)은 각각 트레드부(2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2a, 222b)이 각각 트레드부(2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21) 및 각(P22)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21) 및 각(P2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 및 각(P22)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예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은 각(P2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은 80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8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80도 미만일 경우 타이어 제조 시 몰드를 통한 가류 공정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80도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5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2)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22)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220)는 제2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220B3, 220B4)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2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222a, 222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2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220B3)은 제1 그루브(221)의 최상단의 경계선에 비하여 제1 그루브(220)의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경계 영역(220B3)은 트레드부(210)의 블록의 일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경계 영역(220B4)은 경계 영역(220B3)보다 제1 그루브(220)의 내측의 중심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220B4)은 제1 그루브(2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은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갖고, 예를들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은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이러한 두 개의 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영역에서와 제2 영역에서의 그루브의 내측면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고, 그루브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가 갖도록 하여 그루브의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배수 특성의 원활한 증대를 할 수 있고, 타이어의 주행시 노이즈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는 마모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의 블록들은 마모되어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시 제1 그루브의 높이도 감소한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와 인접한 트레드부의 블록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에서의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트레드 블록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폭의 증가의 변화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마모 시 제1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에 비하여 제2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에로서 제2 영역에서의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일 영역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마모 시 제2 영역에서는 트레드 블록의 폭이 그대로이거나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전체적인 면적의 증가의 폭을 감소하거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에 따른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형태 또는 면적의 변화로 인한 주행 특성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통한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제1 그루브(320), 제1 내측 경계 영역(321)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310)는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320)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3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320)는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320)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3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330)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20)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20)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이어(300)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그루브(33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그루브(330)는 타이어(3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에 타이어(TR)를 장착 후 주행 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도록 제2 그루브(330)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330)는 제1 그루브(3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330)는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RT)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320) 및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330)에 의하여 트레드부(310)의 블록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310)의 인접한 2개의 블록들이 제1 그루브(320) 또는 제2 그루브(330)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3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3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300)는 바디 플라이(3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70)는 타이어(3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60)이 캡플라이(350)와 바디 플라이(3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은 상기 제1 그루브(320)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1a, 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은 제1 그루브(320)의 바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1a, 321b)은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1a, 321b)이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11) 및 각(P1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11) 및 각(P12)은 90도 보다 큰 둔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11) 또는 각(P1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P11) 또는 각(P1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3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도 11의 r)방향의 연장선과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1a, 321b)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m)은 5도 내지 1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320)는 제1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1, 320B2)은 각각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1a, 321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320)의 제1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1, 320B2)은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3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은 상기 제1 그루브(320)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2a, 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320)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321)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320)의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제1 그루브(3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11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은 제1 영역보다 제1 그루브(320) 및 제2 그루브(3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3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3을 기준으로 트레드부(3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은 제1 내측 경계 영역(321)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3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2a, 322b)은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2a, 322b)이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21) 및 각(P2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21) 및 각(P2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각(P21)은 각(P2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21)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320)는 제2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3, 320B4)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2a, 322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3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4)은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3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계 영역(320B3)은 경계 영역(320B4)보다 제1 그루브(320)의 내측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3)은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은 상기 제1 그루브(320)의 제3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320)의 제3 영역은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320)의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1 그루브(3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13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1 그루브(3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13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제1 그루브(320) 및 제2 그루브(3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3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3을 기준으로 트레드부(3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3 내측 경계 영역(322)은 제2 내측 경계 영역(322)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3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은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이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31) 및 각(P32)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31) 및 각(P3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 및 각(P32)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예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은 각(P3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은 80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8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2)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32)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320)는 제3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5, 320B6)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3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320)의 제3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5)은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에 비하여 제1 그루브(320)의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경계 영역(320B5)은 트레드부(310)의 블록의 일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경계 영역(320B6)은 경계 영역(320B5)보다 제1 그루브(320)의 내측의 중심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20)의 제3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320B6)은 제1 그루브(3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은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의 각각이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은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내측 경계 영역(3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의 상부 영역이 각각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31') 및 각(P3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 또는 각(P3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P31') 또는 각(P3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323a', 323b')의 하부 영역의 연장선의 각각이 트레드부(3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33') 및 각(P34')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각(P33') 또는 각(P34')은 적어도 각(P31') 또는 각(P32')과 상이한 값을 갖고, 예를들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33') 및 각(P34')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3') 또는 각(P34')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예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3')은 각(P34')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3')은 80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8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4')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32)은 직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각(P31) 및 각(P32)은 도 15에서 설명한 각(P11) 또는 각(P12)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3) 및 각(P34)은 전술한 도 16의 각(P31) 및 각(P32)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은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갖고, 예를들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은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이러한 두 개의 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영역에서와 제2 영역에서의 그루브의 내측면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고, 그루브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가 갖도록 하여 그루브의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배수 특성의 원활한 증대를 할 수 있고, 타이어의 주행시 노이즈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는 마모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의 블록들은 마모되어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시 제1 그루브의 높이도 감소한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와 인접한 트레드부의 블록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에서의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트레드 블록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폭의 증가의 변화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마모 시 제1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에 비하여 제2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제3 영역에서의 제3 내측 경계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일 영역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마모 시 제3 영역에서는 트레드 블록의 폭이 그대로이거나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전체적인 면적의 증가의 폭을 감소하거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형태가 각각 상이하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형태 및 면적의 유지를 더 효율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통한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0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480), 제1 그루브(420), 제1 내측 경계 영역(421)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을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타이어(4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4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4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410)는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420)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4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420)는 트레드부(4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4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420)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4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4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430)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이어(400)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그루브(43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그루브(430)는 타이어(4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에 타이어(TR)를 장착 후 주행 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도록 제2 그루브(430)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430)는 제1 그루브(4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그루브(430)는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RT)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420) 및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430)에 의하여 트레드부(410)의 블록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410)의 인접한 2개의 블록들이 제1 그루브(420) 또는 제2 그루브(430)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480)은 트레드부(4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480)의 영역 중 트레드부(4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4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4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4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400)는 바디 플라이(4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470)는 타이어(4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4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60)이 캡플라이(450)와 바디 플라이(4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은 상기 제1 그루브(420)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1a, 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은 제1 그루브(420)의 바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1a, 421b)은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1a, 421b)이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11) 및 각(P1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11) 및 각(P12)은 90도 보다 큰 둔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11) 또는 각(P1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P11) 또는 각(P1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도 18의 r)방향의 연장선과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1a, 421b)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m)은 5도 내지 1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420)는 제1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1, 420B2)은 각각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1a, 421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420)의 제1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1, 420B2)은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4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은 상기 제1 그루브(420)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2a, 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420)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421)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420)의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제1 그루브(4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20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은 제1 영역보다 제1 그루브(420) 및 제2 그루브(4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4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0을 기준으로 트레드부(4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은 제1 내측 경계 영역(421)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4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2a, 422b)은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2a, 422b)이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21) 및 각(P22)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21) 및 각(P2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각(P21)은 각(P2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2)은 95도 내지 10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21)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21)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420)는 제2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3, 420B4)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2a, 422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4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4)은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보다 제1 그루브(42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계 영역(420B3)은 경계 영역(420B4)보다 제1 그루브(420)의 내측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의 제2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3)은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은 상기 제1 그루브(420)의 제3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3a, 4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420)의 제3 영역은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이 형성되는 제1 그루브(420)의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1 그루브(4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20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1 그루브(420)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 20의 RT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제1 그루브(420) 및 제2 그루브(430)로 정의될 수 있는 트레드(410)의 블록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0을 기준으로 트레드부(410)의 일 블록을 기준으로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은 제2 내측 경계 영역(422)보다 블록의 하측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그루브(4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3a, 423b)은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내측 경계 영역(423)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3a, 423b)이 각각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각(P31) 및 각(P32)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러한 각(P31) 및 각(P32)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 및 각(P32)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예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은 각(P3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1)은 80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8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P32)은 85도 내지 9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각(P32)은 직각일 수 있다.
제1 그루브(420)는 제3 영역에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5, 420B6)은 각각 제2 내측 경계 영역(422)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423a, 423b)의 최하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0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그루브(420)의 제3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5)은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에 비하여 제1 그루브(420)의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경계 영역(420B5)은 트레드부(410)의 블록의 일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경계 영역(420B6)은 경계 영역(420B5)보다 제1 그루브(420)의 내측의 중심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의 제3 영역에서의 바닥면의 경계 영역(420B6)은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는 17의 변형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의 경계선(도 20에는 실선으로 표시)과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도 20에는 점선으로 표시)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도 20에는 점선으로 표시)은 전술한 것과 같이 경계 영역(420B1, 420B2, 420B3, 420B4, 420B5, 420B6)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에 포함된 두 개의 마주보는 경계선간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은 일 영역에서 제1 그루브(420)의 내측에 있게 되고, 일 영역에서는 제1 그루브(420)와 인접한 트레드부(410)의 블록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전 또는 차량에 장착 후 주행 거리가 없거나 작을 때는 제1 그루브(420)의 최상단 경계선(도 20에는 실선으로 표시)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410)의 블록 형태가 유지되고,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이 지속되면 트레드부(410)의 블록이 마모되고, 마모가 심해지면 제1 그루브(420)의 바닥면의 경계선(도 20에는 점선으로 표시)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410)가 변할 수 있다.
트레드부(410)의 블록이 마모됨에 따라 형태 및 면적이 변할 수 있는데, 제1 그루브(420)의 영역별로 바닥면의 경계선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하나의 트레드부(410)이 블록의 면적이 일방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410)의 블록의 마모 시 제1 그루브(420)의 내측 경계의 측면 영역이 각각 상이한 영역을 갖도록 제어하여 트레드부(410)의 블록의 정밀한 면적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경계 영역은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갖고, 예를들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내측 경계 영역은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면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이러한 두 개의 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영역에서와 제2 영역에서의 그루브의 내측면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고, 그루브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가 갖도록 하여 그루브의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배수 특성의 원활한 증대를 할 수 있고, 타이어의 주행시 노이즈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는 마모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의 블록들은 마모되어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시 제1 그루브의 높이도 감소한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와 인접한 트레드부의 블록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에서의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트레드 블록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폭의 증가의 변화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마모 시 제1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에 비하여 제2 영역에서의 트레드 블록의 폭의 증가의 값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제3 영역에서의 제3 내측 경계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은 트레드부의 상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일 영역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마모 시 제3 영역에서는 트레드 블록의 폭이 그대로이거나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전체적인 면적의 증가의 폭을 감소하거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의 형태가 각각 상이하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 블록의 마모 시 트레드 블록의 형태 및 면적의 유지를 더 효율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통한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타이어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20, 220, 320, 420: 제1 그루브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20, 220, 320, 420: 제1 그루브
Claims (7)
-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제1 그루브의 제1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내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제2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의 상기 두 개의 측면 영역이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의 제3 영역의 내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계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내측 경계 영역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내측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상기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바닥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의 마주보는 경계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의 마주보는 경계 영역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396A KR102170727B1 (ko) | 2018-11-13 | 2018-11-13 | 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396A KR102170727B1 (ko) | 2018-11-13 | 2018-11-13 | 타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586A true KR20200055586A (ko) | 2020-05-21 |
KR102170727B1 KR102170727B1 (ko) | 2020-10-27 |
Family
ID=7091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9396A KR102170727B1 (ko) | 2018-11-13 | 2018-11-13 | 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072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5233A (ja) * | 2005-08-08 | 2007-02-22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タイヤ |
-
2018
- 2018-11-13 KR KR1020180139396A patent/KR1021707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5233A (ja) * | 2005-08-08 | 2007-02-22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タイ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0727B1 (ko) | 2020-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15069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102170727B1 (ko) | 타이어 | |
KR102113314B1 (ko) | 공기입 타이어 | |
CN110740878A (zh) | 包括优化的结构和胎面花纹的轮胎 | |
JP7399665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JP6581371B2 (ja) | 自動二輪車用タイヤ | |
JP7399664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WO2018180230A1 (ja) | タイヤ | |
KR102077251B1 (ko) | 타이어 | |
KR102268664B1 (ko) | 타이어 | |
KR102605815B1 (ko) | 레이싱용 공기입 타이어 | |
KR102005516B1 (ko) | 타이어 | |
KR102007923B1 (ko) | 타이어 | |
KR102006903B1 (ko) | 타이어 | |
KR102149457B1 (ko) | 공기입 타이어 | |
JP7348015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102304422B1 (ko) | 타이어 | |
KR102200528B1 (ko) | 타이어 | |
KR102187261B1 (ko) |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 |
KR102001983B1 (ko) | 타이어 | |
KR101666431B1 (ko) | 조종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 |
KR20200033604A (ko) | 타이어 | |
KR20240008145A (ko) | 타이어 | |
JP3571372B2 (ja)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
KR20210051521A (ko) | 타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