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14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14B1
KR102113314B1 KR1020180106506A KR20180106506A KR102113314B1 KR 102113314 B1 KR102113314 B1 KR 102113314B1 KR 1020180106506 A KR1020180106506 A KR 1020180106506A KR 20180106506 A KR20180106506 A KR 20180106506A KR 102113314 B1 KR102113314 B1 KR 10211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luid control
pneumatic tire
control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167A (ko
Inventor
황도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60C11/125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arranged at the groov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의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 등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에 대한 우천시 주행 등 타이어에 대한 배수 특성이 문제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한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하고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들 간의 간격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상이한 두 개의 값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그루브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그루브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두 개의 제1 그루브에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폭 또는 두께는 상기 본체 부재의 폭 또는 두께 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를 통하여 배수 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상기 배수 방향에 따라 벤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는 소음 저감 성능이 향상되고 배수가 원활하게 되어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C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유체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B 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예시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K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K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0의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C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제1 그루브(115) 및 유체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110)는 공기입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15)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1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115)는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1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115) 또는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미도시)에 의하여 트레드부(110)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110)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제1 그루브(1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100)는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공기입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공기입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공기입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체 제어부(140)는 제1 그루브(115)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그루브(115)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그루브(115)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체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그루브(115)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기의 흐름 및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140)는 제1 그루브(115)내의 공기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115)내의 공기의 흐름의 연장을 통한 소음의 확대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140)의 상단의 일 영역의 폭이 제1 그루브(115)의 폭의 50 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하여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제어부(140)는 제1 그루브(115)내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115)내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140)는 본체 부재(141) 및 연결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2)는 제1 그루브(115)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115)의 바닥면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142)는 제1 그루브(115)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42)는 제1 그루브(1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4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도 5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142)의 두께는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142)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본체 부재(141)는 연결 부재(14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그루브(115)의 내측면의 상단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에 대한 마모가 있기 전에 본체 부재(141)의 최상단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141)의 최상단은 제1 그루브(115)의 내측 공간의 최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141)는 제1 그루브(1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4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도 5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142)의 폭은 본체 부재(14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부재(142)의 두께는 본체 부재(14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142)가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경우 연결 부재(142)에 연결된 본체 부재(141)가 연결 부재(142)와 일체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1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체 제어부(140')는 정상 상태에서 물의 흐름, 예를들면 배수 방향(WD)을 따라서 벤딩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140')는 연결 부재(142')가 제1 그루브(115)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배수 방향(WD)에 따라서 기울어지도록 벤딩되고 그에 따라서 연결 부재(142')와 연결된 본체 부재(141')도 정상 상태에서 배수 방향(WD)을 따라 운동하여 본체 부재(141')의 최상면과 제1 그루브(115)의 바닥면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우천 시에 또는 웅덩이 등에 대한 주행 시 제1 그루브(115)를 통한 배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140')의 밀도를 낮게 하여 물에 가라앉지 않고 일 영역이 잘 뜨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 시 유체 제어부(140')가 노면을 향하는 경우, 노면의 물등으로 인하여 제1 그루브(115)에 물이 존재하고 배수 방향이 발생할 경우 유체 제어부(140')는 물에 떠서 상부(즉, 그 상태에서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운동하고, 그에 따라 제1 그루브(115)를 통한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제동 및 제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140')는 본체 부재(141') 및 연결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141')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142')는 그보다 작은 폭과 두께를 갖도록 본체 부재(141')와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유체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140")는 본체 부재(141") 및 연결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141")는 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142")는 그보다 작은 폭과 두께를 갖도록 본체 부재(141")와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B 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복수의 제1 그루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4개의 제1 그루브(115)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제1 그루브(115)에 복수의 유체 제어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를 통하여 제1 그루브(115)내에서의 공기의 연속적인 흐름을 제한할 수 있고,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는 배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115)를 통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1)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3)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4)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간격(D1), 간격(D2), 간격(D3) 및 간격(D4)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1)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2)간의 간격(D2)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3)간의 간격(D3)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4)간의 간격(D4)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제1 그루브(115)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들간의 서로 인접한 두 개 간의 간격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고, 적어도 상이한 간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일 제1 그루브(115)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의 길이 및 이에 대한 제한의 특성이 불규칙하여 소음에 대한 효과적인 저감 및 소음의 크기를 용이하게 감소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중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제어부(140)는 이와 인접한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140)와 나란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제1 그루브(115)내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140)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제한의 특성이 어긋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의 영역을 분산할 수 있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2)간의 간격(D2)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3)간의 간격(D3)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간의 간격(D4)간의 간격(D4)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제1 그루브(115)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140)들간의 서로 인접한 두 개 간의 간격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고, 적어도 상이한 간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일 제1 그루브(115)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의 길이 및 이에 대한 제한의 특성이 불규칙하여 소음에 대한 효과적인 저감 및 소음의 크기를 용이하게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및 유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 내의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소음의 빈도를 감소할 수 있고,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 내로 배수 방향이 형성 시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아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배수 방향에 따라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벤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수 유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물에 뜨도록 밀도를 제어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가 지면을 향하고 물웅덩이 또는 젖은 노면을 향할 때 유체 제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본체 부재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부유하여 제1 그루브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공기입 타이어의 소음 발생을 감소하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고, 젖은 노면에 대한 공기입 타이어의 제동 성능과 주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K의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제1 그루브(215) 및 유체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210)는 공기입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15)는 트레드부(2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는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공기입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215)는 공기입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공기입 타이어(2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200)는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공기입 타이어(2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2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제어부(240)는 제1 그루브(215)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240)는 상기 제1 그루브(215)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그루브(215)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체 제어부(240)는 상기 제1 그루브(215)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기의 흐름 및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240)는 제1 그루브(215)내의 공기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215)내의 공기의 흐름의 연장을 통한 소음의 확대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240)의 상단의 일 영역의 폭이 제1 그루브(215)의 폭의 50 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하여 제1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제어부(240)는 제1 그루브(215)내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215)내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240)는 본체 부재(241) 및 연결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42)는 제1 그루브(215)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의 바닥면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42)는 제1 그루브(215)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42)는 제1 그루브(2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15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도 16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242)의 두께는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242)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본체 부재(241)는 연결 부재(24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의 상단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200)의 트레드부(210)에 대한 마모가 있기 전에 본체 부재(241)의 최상단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241)의 최상단은 제1 그루브(215)의 내측 공간의 최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241)는 제1 그루브(2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15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도 16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242)의 폭은 본체 부재(24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부재(242)의 두께는 본체 부재(24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242)가 제1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경우 연결 부재(242)에 연결된 본체 부재(241)가 연결 부재(242)와 일체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본체 부재(241)는 내부에 공간 영역(2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241)는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 영역(243)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본체 부재(241)의 밀도를 낮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241)의 내부 공간 영역(243)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유체 제어부(2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유체 제어부(240')는 정상 상태에서 물의 흐름, 예를들면 배수 방향(WD)을 따라서 벤딩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240')는 연결 부재(242')가 제1 그루브(215)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배수 방향(WD)에 따라서 기울어지도록 벤딩되고 그에 따라서 연결 부재(242')와 연결된 본체 부재(241')도 정상 상태에서 배수 방향(WD)을 따라 운동하여 본체 부재(241')의 최상면과 제1 그루브(215)의 바닥면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우천 시에 또는 웅덩이 등에 대한 주행 시 제1 그루브(215)를 통한 배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240')의 밀도를 낮게 하여 물에 가라앉지 않고 일 영역이 잘 뜨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 시 유체 제어부(240')가 노면을 향하는 경우, 노면의 물등으로 인하여 제1 그루브(215)에 물이 존재하고 배수 방향이 발생할 경우 유체 제어부(240')는 물에 떠서 상부(즉, 그 상태에서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운동하고, 그에 따라 제1 그루브(215)를 통한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제동 및 제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240')의 본체 부재(241')는 내부에 공간 영역(243')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밀도가 낮아져 부력이 향상하고 배수 방향 발생 시 부유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변형예 또는 도 9의 변형예를 본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200)는 복수의 제1 그루브(215)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제1 그루브(215)에 복수의 유체 제어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240)를 통하여 제1 그루브(215)내에서의 공기의 연속적인 흐름을 제한할 수 있고,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240)는 배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215)를 통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240)간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240)간의 간격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제1 그루브(215)에 유체 제어부(240)중 적어도 하나의 이와 인접한 일 제1 그루브(215)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240)와 나란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제1 그루브(215)내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240)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제한의 특성이 어긋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의 영역을 분산할 수 있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및 유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 내의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소음의 빈도를 감소할 수 있고,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 내로 배수 방향이 형성 시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아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배수 방향에 따라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벤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수 유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물에 뜨도록 밀도를 제어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가 지면을 향하고 물웅덩이 또는 젖은 노면을 향할 때 유체 제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본체 부재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부유하여 제1 그루브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 부재의 내부에는 공간 영역이 형성되어 본체 부재의 밀도를 낮추고 부력을 증가하여 배수 방향 시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고, 제1 그루브 내의 배수 공간을 확보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공기입 타이어의 소음 발생을 감소하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고, 젖은 노면에 대한 공기입 타이어의 제동 성능과 주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K의 확대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C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제1 그루브(315) 및 유체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310)는 공기입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315)는 트레드부(3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315)는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공기입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3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315)는 공기입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공기입 타이어(3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300)는 바디 플라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30)는 공기입 타이어(3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3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320)는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70)이 캡플라이(320)와 바디 플라이(3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제어부(340)는 제1 그루브(315)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340)는 상기 제1 그루브(315)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그루브(315)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체 제어부(340)는 상기 제1 그루브(315)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기의 흐름 및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340)는 제1 그루브(315)내의 공기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315)내의 공기의 흐름의 연장을 통한 소음의 확대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340)의 상단의 일 영역의 폭이 제1 그루브(315)의 폭의 50 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하여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제어부(340)는 제1 그루브(315)내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315)내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340)는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 중간 부재(345) 및 연결 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342)는 제1 그루브(315)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315)의 바닥면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342)는 제1 그루브(315)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42)는 제1 그루브(3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19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도 20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42)의 두께는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342)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일 본체 부재(341C)는 연결 부재(342)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중간 부재(345)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기입 타이어(300)의 트레드부(310)에 대한 마모가 있기 전에 본체 부재(341)의 최상단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341)의 최상단은 제1 그루브(315)의 내측 공간의 최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는 제1 그루브(3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19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도 20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42)의 폭은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부재(342)의 두께는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342)가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벤딩되고 원래 상태로도 회복 운동을 할 경우 연결 부재(342)에 연결된 본체 부재(341)가 연결 부재(342)와 일체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345)는 제1 그루브(315)의 내측의 폭 방향(도 19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도 20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42)의 폭은 복수의 중간 부재(345)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부재(342)의 두께는 중간 부재(345)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중간 부재(345)의 각각의 운동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밀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배수 시 물에 떠서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가 각각 이격되어 그 사이에 중간 부재(345)로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입 타이어(300)에 대한 주행을 통하여 트레드부(310)가 마모되면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각각은 순차적으로 노면과 접촉하면서 마모될 수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최상부 본체 부재(341A)가 마모되어도 그 하부의 본체 부재(341B, 341C)가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제1 그루브(315)내에서의 소음 감소를 용이하게 하고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3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3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유체 제어부(340')는 정상 상태에서 물의 흐름, 예를들면 배수 방향(WD)을 따라서 벤딩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340')는 연결 부재(342')가 제1 그루브(315)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배수 방향(WD)에 따라서 기울어지도록 벤딩되고 그에 따라서 연결 부재(342')와 연결된 본체 부재(341')도 정상 상태에서 배수 방향(WD)을 따라 운동하여 본체 부재(341')의 최상면과 제1 그루브(315)의 바닥면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우천 시에 또는 웅덩이 등에 대한 주행 시 제1 그루브(315)를 통한 배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340')의 밀도를 낮게 하여 물에 가라앉지 않고 일 영역이 잘 뜨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 시 유체 제어부(340')가 노면을 향하는 경우, 노면의 물등으로 인하여 제1 그루브(315)에 물이 존재하고 배수 방향이 발생할 경우 유체 제어부(340')는 물에 떠서 상부(즉, 그 상태에서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운동하고, 그에 따라 제1 그루브(315)를 통한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제동 및 제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340')의 본체 부재(341')는 내부에 공간 영역(343')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밀도가 낮아져 부력이 향상하고 배수 방향 발생 시 부유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3의 유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340")는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 중간 부재(345") 및 연결 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중간 부재(345") 및 연결 부재(342")는 그보다 작은 폭과 두께를 갖도록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와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는 각각 내부에 공간 영역(343A", 343B", 343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본체 부재(341A", 341B", 341C")는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 영역(343A", 343B", 343C")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밀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341A", 341B", 341C")의 내부의 공간 영역(343A", 343B", 343C")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9의 변형예를 본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8은 도 20의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예시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300)는 복수의 제1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4개의 제1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제1 그루브(315)에 복수의 유체 제어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를 통하여 제1 그루브(315)내에서의 공기의 연속적인 흐름을 제한할 수 있고, 소음 발생 및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는 배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315)를 통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간의 간격(D1)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간의 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간의 간격(D3)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간의 간격(D4)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간격(D1), 간격(D2), 간격(D3) 및 간격(D4)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340)간의 간격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제1 그루브(315)에 유체 제어부(340)중 적어도 하나의 이와 인접한 일 제1 그루브(315)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340)와 나란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제1 그루브(315)내에 배치된 유체 제어부(340)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제한의 특성이 어긋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의 영역을 분산할 수 있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제1 그루브 및 유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 내의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소음의 빈도를 감소할 수 있고,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 내로 배수 방향이 형성 시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아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배수 방향에 따라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벤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수 유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제어부가 물에 뜨도록 밀도를 제어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제어부가 지면을 향하고 물웅덩이 또는 젖은 노면을 향할 때 유체 제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본체 부재는 제1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부유하여 제1 그루브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 부재의 내부에는 공간 영역이 형성되어 본체 부재의 밀도를 낮추고 부력을 증가하여 배수 방향 시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고, 제1 그루브 내의 배수 공간을 확보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체 제어부는 복수의 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각각 이격되어 그 사이에 중간 부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주행을 통하여 트레드부가 마모되면 복수의 본체 부재가 동시에 마모되지 않고 각각이 순차적으로 노면과 접촉하면서 마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그루브 내에서의 소음 감소 효과를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배수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공기입 타이어의 소음 발생을 감소하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고, 젖은 노면에 대한 공기입 타이어의 제동 성능과 주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공기입 타이어
110, 210, 310: 트레드부
115, 215, 315: 제1 그루브
140, 240, 340: 유체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내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제1 그루브 바닥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폭 또는 두께보다 큰 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들 간의 간격은 동일한 값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제어부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상이한 두 개의 값 이상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그루브에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그루브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두 개의 제1 그루브에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본체 부재 중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본체 부재의 사이에 상기 본체 부재보다 폭이 작은 중간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를 통하여 배수 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에 연결된 채, 상기 배수 방향에 따라 벤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
KR1020180106506A 2018-09-06 2018-09-06 공기입 타이어 KR10211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06A KR102113314B1 (ko) 2018-09-06 2018-09-06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06A KR102113314B1 (ko) 2018-09-06 2018-09-06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67A KR20200028167A (ko) 2020-03-16
KR102113314B1 true KR102113314B1 (ko) 2020-05-20

Family

ID=6994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06A KR102113314B1 (ko) 2018-09-06 2018-09-06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74B1 (ko) * 2021-07-08 2023-04-1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마모감지모듈이 구비된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655A (ja) * 2005-06-07 2006-12-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7501082A (ja) * 2013-12-26 2017-01-1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可撓性ゲート装置を有するタイヤトレ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6802A (ja) * 1990-03-05 1991-12-0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655A (ja) * 2005-06-07 2006-12-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7501082A (ja) * 2013-12-26 2017-01-1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可撓性ゲート装置を有するタイヤトレ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67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8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3560733B1 (en)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KR20120056209A (ko)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JP65898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13314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625635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EP3539799B1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JP491649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703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072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77251B1 (ko) 타이어
JP200608273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2353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08273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01983B1 (ko) 타이어
JP6113009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KR102606334B1 (ko) 타이어
KR102232828B1 (ko) 타이어
KR102170727B1 (ko) 타이어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JP5778515B2 (ja) タイヤ
KR101379523B1 (ko) 비대칭 트레드 패턴의 공기입 타이어
KR102243506B1 (ko) 타이어
WO2023100505A1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