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569A - 동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569A
KR20200055569A KR1020180139351A KR20180139351A KR20200055569A KR 20200055569 A KR20200055569 A KR 20200055569A KR 1020180139351 A KR1020180139351 A KR 1020180139351A KR 20180139351 A KR20180139351 A KR 20180139351A KR 20200055569 A KR20200055569 A KR 20200055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unit
contac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973B1 (ko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9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고, 펼쳐져 양 종단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도어부;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도어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며,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도어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수용 공간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부의 하단부에서 설치되어,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도어부에 접촉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도어부 중 하나가 수용 공간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고 구동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가 작동하면,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하고 제어부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포획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본 발명은 동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가능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가능한 동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생동물은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은 농가에서 농작물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농사 시설을 손상시키기도 하고, 간혹 인명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들고양이는 다람쥐의 서식처인 산의 낮은 곳에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다람쥐 등을 잡아먹어 다람쥐의 서식처를 점점 감소시키고, 들고양이의 포식자는 없어 들고양이의 번식은 증가되고 있다. 쥐 또는 들쥐는 마을 등지에 서식하는 데 포획이 감소되고 번식이 증가하여 식당, 주방 및 하수관 등지를 통행하면서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야생동물은 사람들의 생활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방법으로 야생동물의 포획이 시도되고 있다. 총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사냥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덫을 이용하여 발목을 잡거나 철사 올가미를 이동통로에 설치하여 포획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동물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고, 심지어 사람들에 대한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야생동물을 생포하기 위한 포획 장치는 개발되고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하게 감소되나,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갖고 있어 운반하는 데에 불편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하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운반되고 보관될 수 있는 동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속하게 설치되고 해체될 수 있는 동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물을 자동으로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고, 펼쳐져 양 종단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도어부;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도어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며,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도어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수용 공간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부의 하단부에서 설치되어,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도어부에 접촉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도어부 중 하나가 수용 공간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고 구동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가 작동하면,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하고 제어부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면부; 하면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 종단면이 각각 도어부에 힌지 연결되는 상면부; 및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양 측면 및 상면부의 양 측면을 힌지 연결되며,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각각 겹쳐질 수 있는 한 쌍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측면부들은 각각 겹쳐진 상태로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부와 하면부에 접촉되고, 도어부는 상면부의 상면에 겹쳐지고, 상면부가 하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측면부들은 펼쳐지고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어 하면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제 1 구동부; 제 1 구동부에 대응하면서 상면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 2 구동부;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구동부와 제 2 구동부를 연결하는 구동 연결부; 및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구동부와 도어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하되, 도어 연결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면,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구동부는 구동 연결부를 상측으로 당기고 제 1 구동부를 하면부로부터 이격시켜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며, 제 1 구동부가 하면부에 접촉되도록 회동되면, 제 1 구동부는 구동 연결부를 하측으로 당기고, 제 2 구동부는 도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부는, 제 1 구동부에 대응하도록 상면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 가이드부;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어부와 평행하면서 구동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양 종단부가 구동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의 일 종단부는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부의 타 종단부는 도어 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 프레임이 돌출 형성되고, 제어부는, 결합 프레임이 삽입되어 하면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안내 개구가 형성된 안내부; 안내 개구에 삽입되어 안내 개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면에는 수용 공간에 근접할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접촉 경사부가 형성된 접촉부; 안내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안내 개구에 수용되어 접촉부의 하면 및 지지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접촉 경사부를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접촉 경사부가 작동부에 의해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도어부 중 다른 하나가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때,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접촉 경사부에 접촉되고 회전력에 의해 접촉 경사부를 점점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안내 개구에 삽입시키고 작동부를 압축시키며, 도어부 중 다른 하나가 회동하여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되면, 작동부는 접촉 경사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시키고, 접촉부의 측면은 도어부의 다른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안내 개구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는 접촉 연장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고정부와 접촉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어부는, 접촉 연장부를 관통하여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부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되, 회동부가 지지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회동되면, 접촉 연장부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작동부를 압축시키고 접촉 경사부를 안내 개구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동물 포획 장치는, 하면부의 하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의 상면에는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안내 프레임이 설치되고, 안내 프레임의 상면에는 안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지그재그의 형태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구동부는,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보조 구동부; 및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 구동부와 도어 연결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도어 연결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면, 보조 연결부는 보조 구동부를 안내홈에서 제 2 구동부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 2 구동부가 도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고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할 때, 보조 연결부는 보조 구동부를 제 2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구동부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안내홈에 삽입되는 보조 몸체부; 및 보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안내홈의 외부에 위치되고, 보조 연결부에 연결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되, 보조 몸체부의 직경은 안내홈의 입구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3) 포획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 포획 장치가 신속하게 설치되고 해체될 수 있다.
(3) 동물이 자동으로 안전하게 포획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에서 하우징부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에서 구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에서 제어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에서 구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에서 하우징부(101)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에서 구동부(103)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에서 제어부(104)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100)는 하우징부(101), 도어부(102), 구동부(103) 및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1)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부(101)는 접힌 상태에서 펼쳐짐으로써 수용 공간(101a)을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 공간(101a)은 양 종단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1)는 하면부(111), 상면부(113) 및 측면부(115)들을 포함한다.
하면부(1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하면부(111)에는 하면부(1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11a)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면부(113)는 하면부(111)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111)와 마주하면서 하면부(111)의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면부(113)는 창살(glazing ba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부(115)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111)의 양 측면과 상면부(113)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측면부(115)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측면부(115)들은 각각 하면부(111) 및 상면부(113)에 힌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간에 힌지 연결된 2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면부(115)들은 각각 창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하우징부(101)가 접힌 상태에서 완전히 펼쳐짐으로써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용 공간(101a)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101)는 하기와 같이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작동한다.
하우징부(10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상면부(113)는 하면부(111)에 대응하면서 하면부(111)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측면부(115)들은 상호 간에 근접하면서 각각 겹쳐진 상태로 상면부(113)와 하면부(111)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부(113)의 하면 및 하면부(11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후술될 도어부(102)는 상면부(113)의 상면에 겹쳐질 수 있다.
접힌 상태의 하우징(101)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13)가 하면부(111)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상측으로 이동되면, 측면부(115)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각각 점점 펼쳐진다. 측면부(115)들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하면부(111) 및 상면부(113)에 직교하도록 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부(101)는 완전히 펼쳐질 수 있다(도 1 및 도 2를 참조). 여기서, 하우징부(101)는 수용 공간(101a)과 함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부(115)들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면부(111) 상에 위치되고 상면부(113)를 지지하여, 하우징부(101)를 수용 공간(101a)과 함께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어부(102)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101)의 양 종단면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특히, 도어부(102)는 상면부(113)의 양 종단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다. 여기서, 도어부(102)는 창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1)가 접힌 상태에서, 도어부(102)는 하우징부(101), 특히 상면부(113)의 상면에 겹쳐질 수 있다. 즉, 도어부(102)는 하우징부(101)의 상면부(113)에 겹쳐지도록 회동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1)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면, 도어부(102)는 상면부(11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하우징부(101)가 펼쳐지면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101a)의 양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102)는 수용 공간(101a)의 양 종단면을 폐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어부(10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할 때, 도어부(10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면부(111) 상에 위치되고 상면부(113)를 지지하며, 측면부(115)들을 평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01)는 도어부(102)에 의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1)의 수용 공간(101a)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때, 도어부(102) 중 하나(이하에서는, '제 1 도어부(121)'라고 하기도 한다)는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하우징부(101)에 고정되고, 도어부(102) 중 다른 하나(이하에서는, '제 2 도어부(123)'라고 하기도 한다)는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다. 여기서, 제 1 도어부(121)가 하우징부(101)에 고정될 때, 제 1 도어부(121)는 하우징부(101)의 하면부(111)에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103)는 하우징부(101)에 설치되되, 하우징부(101)의 수용 공간(101a)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어부(102)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부(103)가 분리되면, 도어부(102)는 수용 공간(101a)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 1 도어부(121)가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하우징부(101)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부(103)는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 2 도어부(123)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도어부(123)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03)에 의해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과의 각도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이 제 1 도어부(121)에 폐쇄되고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이 제 2 도어부(123)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때, 동물은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위치되어 구동부(103)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03)는 분리되고, 제 2 도어부(123)는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하여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물은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위치될 때 도어부(102)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갇힐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3)는 제 1 구동부(131), 제 2 구동부(133), 구동 연결부(135) 및 도어 연결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1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101)의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힌지 연결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구동부(131)는 하우징부(101)의 하면부(111) 상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부(131)의 제 1 종단은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마주하면서 하면부(111)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고, 제 1 구동부(131)의 제 2 종단은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을 마주한다. 제 1 구동부(131)는 제 2 종단부터 하면부(11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할 수 있다. 즉, 제 1 구동부(131)는 하면부(111)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제 2 구동부(133)는 하우징부(101)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2 구동부(133)는 제 1 구동부(131)에 대응하도록 상면부(113)의 상면에 위치된다. 또한, 제 2 구동부(133)는 구동 가이드부(1331) 및 구동 몸체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가이드부(1331)는 하우징부(101), 특히 상면부(113)의 상면에 고정되고, 제 1 구동부(131)와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구동 몸체부(1333)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어부(102)와 평행하면서 구동 가이드부(1331)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여기서, 구동 몸체부(1333)의 양 종단부는 구동 가이드부(1331)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구동 몸체부(1333)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부러진 구동 몸체부(1333)의 양 종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135)는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구동부(131)와 제 2 구동부(133)를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135)는 제 1 구동부(131)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일 종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 연결부(135)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우징부(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팽팽하게 유지되며, 제 1 구동부(131) 및 제 2 구동부(133)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연결부(137)는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구동부(133)와 도어부(102)의 제 2 도어부(123)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연결부(137)는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타 종단부에 연결되고, 도어부(102)의 제 2 도어부(123)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연결부(137)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제 2 구동부(133)와 제 2 도어부(123)에 연결될 때 팽팽하게 유지되며,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타 종단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어 연결부(137)가 제 2 도어부(123)에 연결되고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타 종단부에 연결될 때,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일 종단부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구동 연결부(135)를 상측으로 당긴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135)는 제 1 구동부(131)의 제 2 종단을 상측으로 당겨, 제 1 구동부(131)는 하면부(111) 상에서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에 근접할수록 하면부(111) 상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이격된다(도 4(a)를 참조). 또한, 제 2 도어부(123)는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위치된다(도 1을 참조). 여기서, 도어 연결부(137)는 제 2 구동부(1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도어부(123)와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의 각도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동물은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통해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들어올 수 있다.
한편, 동물이 개방된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통해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들어오면, 동물은 제 1 구동부(131)를 눌러 하면부(111)에 밀착되도록 회동시킨다. 여기서, 제 1 구동부(131)는 구동 연결부(135)를 하측으로 당기고, 구동 연결부(135)는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일 종단부를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제 2 구동부(133)의 구동 몸체부(1333)의 타 종단부는 구동 몸체부(1333)의 일 종단부와 함께 하측으로 회동하여 도어 연결부(137)로부터 분리된다(도 4(b)를 참조). 제 2 도어부(123)는 자중에 의해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고, 도어 연결부(137)는 제 2 도어부(123)에 의해 제 2 구동부(13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구동부(131)는 하면부(111) 상에서 수용 공간(101a)의 일 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구동부(131)가 동물이 수용 공간(101a)의 내부에 완전히 들어온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기에, 하우징부(101)의 수용 공간(101a)은 동물이 완전히 들어온 상태에서 폐쇄될 수 있다.
제어부(104)는 하우징부(101)의 양 종단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도어부(102)에 접촉된다. 또한, 제어부(104)는 수용 공간(101a)을 완전히 폐쇄한 도어부(102)에 접촉되어 도어부(102)에 의한 수용 공간(101a)의 개방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하우징부(101)의 양 종단면에 대하여 모두 설치될 수 있으나, 하우징부(101)의 양 종단면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3)가 작동하여, 제 2 도어부(123)가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도록 회동할 때, 제어부(104)는 제 2 도어부(123)에 접촉되어 변형될 수 있다(도 5(b)를 참조).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123)는 제어부(104)에 접촉되더라도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어부(123)가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완전히 폐쇄하면, 제어부(104)는 복원되고 측면이 제 2 도어부(123)에 접촉될 수 있다(도 5(a)를 참조).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123)는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지 않아, 동물은 수용 공간(101a)에 들어온 상태에서 갇혀 수용 공간(101a)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어부(104)는 고정부(141), 안내부(142), 접촉부(143), 지지부(144), 작동부(145) 및 회동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1)는 하우징부(101)의 하면부(111)에 착탈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 프레임(111a)이 고정부(141)에 삽입되어 고정부(141)는 하면부(111)에 결합되어 하면부(111)의 종단면에 위치된다.
안내부(142)는 고정부(141)의 일면에 위치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 개구(142a)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부(141)가 하우징부(101)의 하면부(111)에 결합될 때, 안내부(142)는 수용 공간(101a)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42)의 상면은 고정부(14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되어 안내 개구(142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접촉부(143)의 상면에는 수용 공간(101a)에 근접할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접촉 경사부(143a)가 형성되며, 접촉 경사부(143a)는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기도 하고 안내 개구(142a)의 상면에 삽입되기도 한다. 접촉부(143)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부(141)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접촉 연장부(143b)가 형성되며, 접촉 연장부(143b)는 안내 개구(142a)의 하면을 통해 돌출된다.
지지부(144)는 안내부(142)의 하면에 인접하면서 고정부(141)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부(144)는 고정부(141)와 접촉 연장부(143b) 사이에 위치된다.
작동부(145)는 안내 개구(142a)에 수용되어 접촉부(143)와 지지부(144) 사이에 위치되고, 접촉부(143)의 하면 및 지지부(144)의 상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작동부(145)는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가 안내 개구(142a)의 상면에 삽입되면, 작동부(145)는 압축되어 몸체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로부터 돌출시키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부(145)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부(146)는 접촉 연장부(143b)를 관통하여 지지부(144)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작동부(145)가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키기에, 회동부(146)는 지지부(144)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부(144)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또한, 회동부(146)가 회동하여 지지부(144)로부터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면, 접촉 연장부(143b)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접촉 경사부(143a)는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되며, 작동부(145)는 압축된다.
제 2 도어부(123)가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하도록 회동할 때, 제어부(104)는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작동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43)가 안내부(142)의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부(145)는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고, 회동부(146)를 접촉 연장부(143b)를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부(144)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유지시킨다.
제 2 도어부(123)가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하도록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때, 제 2 도어부(123)는 접촉 경사부(143a)에 접촉되어 회전력에 의해 접촉 경사부(143a)를 점점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안내 개구(142a)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접촉부(143)는 작동부(145)를 압축시키고 접촉 연장부(143b)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회동부(146)는 접촉 연장부(143b)에 의해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킨다(도 5(b)를 참조).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123)는 제어부(104)에 접촉되더라도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계속해서 회동할 수 있다.
제 2 도어부(123)가 제어부(104)의 접촉부(143)에 접촉된 상태에 회동한 이후에 고정부(141)의 상면에 위치되면, 작동부(145)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접촉 경사부(143a)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다. 접촉 연장부(143b)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동부(146)를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킨다(도 5(a)를 참조). 여기서, 제 2 도어부(123)는 접촉부(143)의 측면에 접촉되어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104)는 도어부(102)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101a)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회동부(146)는 작업자에 의해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102)는 제어부(104)의 접촉부(143)에 접촉되지 않아,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동부(146)는 수용 공간(101a)의 외부에서 제 2 도어부(123)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101a)의 타 종단면을 작업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100)에서 하우징부(101)는 하면부(111), 상면부(113) 및 측면부(115)를 포함하면서 상호 간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부(101)는 동물 포획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다. 특히, 하우징부(101)는 접히면서 전체적으로 겹쳐진 형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100)는 수용 공간(101a)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작은 부피를 갖게 되어 용이하게 운반되고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100)에서 하우징부(101)에 형성된 수용 공간(101a)은 제 1 도어부(121)에 의해 폐쇄되고, 제 2 도어부(123)에 의해 개방된다. 여기서, 구동부(103)는 제 2 도어부(123)를 수용 공간(101a)으로 동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동물이 수용 공간(101a)에 들어오면, 구동부(103)는 작동하여, 수용 공간(101a)을 폐쇄하도록 제 2 도어부(123)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도어부(123)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제 2 도어부(123)는 제어부(104)에 접촉되어 제어부(104)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123)는 수용 공간(101a)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01a)이 제 2 도어부(123)에 완전히 폐쇄되면, 제어부(104)는 복원되고 제 2 도어부(123)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 2 도어부(123)는 수용 공간(101a)을 개방시키도록 회동될 수 있고, 동물은 수용 공간(101a)에 들어온 이후에 갇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100)는 동물이 수용 공간(101a)으로 들어온 이후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동물을 포획하고 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100)는 바퀴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10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101)의 하면, 특히 하면부(1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바퀴부(105)는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하면부(111)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특히, 바퀴부(105)는 적어도 3개로 이루어져 하우징부(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퀴부(105)는 하우징부(101)와 지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하우징부(101)는 바퀴부(105)에 의해 지면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바퀴부(105)는 하면부(111)의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300)에서 구동부(303)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장치(300)는 하우징부(301), 도어부(302), 구동부(303), 제어부(304) 및 바퀴부(305)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301)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부(301)는 접힌 상태에서 펼쳐짐으로써 수용 공간(301a)을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 공간(301a)은 양 종단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301)는 하면부(311), 상면부(313) 및 측면부(315)들을 포함한다.
하면부(3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하면부(311)에는 하면부(3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311a)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면부(313)는 하면부(311)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311)와 마주하면서 하면부(311)의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면부(313)는 창살(glazing ba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면부(313)의 상면에는 하우징부(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징부(301)의 길이방향은 하우징부(301)에서 수용 공간(301a)의 개방된 양 종단면에 대응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안내 프레임(313a)의 상면에는 안내 프레임(313a)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예를 들어, 사인 파형 등)로 안내홈(313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측면부(315)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311)의 양 측면과 상면부(313)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측면부(315)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측면부(315)들은 각각 하면부(311) 및 상면부(313)에 힌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간에 힌지 연결된 2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면부(315)들은 각각 창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하우징부(301)가 접힌 상태에서 완전히 펼쳐짐으로써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용 공간(301a)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301)는 하기와 같이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작동한다.
하우징부(301)는 접힌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상면부(313)는 하면부(311)에 대응하면서 하면부(311)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측면부(315)들은 상호 간에 근접하면서 각각 겹쳐진 상태로 상면부(313)와 하면부(311)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부(313)의 하면 및 하면부(31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후술될 도어부(302)는 상면부(313)의 상면에 겹쳐질 수 있다.
접힌 상태의 하우징(301)에서, 상면부(313)가 하면부(311)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상측으로 이동되면, 측면부(315)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각각 점점 펼쳐진다. 측면부(315)들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하면부(311) 및 상면부(313)에 직교하도록 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부(301)는 완전히 펼쳐질 수 있다(도 6을 참조). 여기서, 하우징부(301)는 수용 공간(301a)과 함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부(315)들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면부(311) 상에 위치되고 상면부(313)를 지지하여, 하우징부(301)를 수용 공간(301a)과 함께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어부(302)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301)의 양 종단면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특히, 도어부(302)는 상면부(313)의 양 종단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다. 여기서, 도어부(302)는 창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301)가 접힌 상태에서, 도어부(302)는 하우징부(301), 특히 상면부(313)의 상면에 겹쳐질 수 있다. 즉, 도어부(302)는 하우징부(301)의 상면부(313)에 겹쳐지도록 회동할 수 있다.
반면에, 하우징부(301)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면, 도어부(302)는 상면부(31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하우징부(301)가 펼쳐지면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301a)의 양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302)는 수용 공간(301a)의 양 종단면을 폐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어부(30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할 때, 도어부(30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면부(311) 상에 위치되고 상면부(313)를 지지하며, 측면부(315)들을 평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부(301)는 도어부(302)에 의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301)의 수용 공간(301a)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때, 도어부(302) 중 하나(이하에서는, '제 1 도어부(321)'라고 하기도 한다)는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하우징부(301)에 고정되고, 도어부(302) 중 다른 하나(이하에서는, '제 2 도어부(323)'라고 하기도 한다)는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다. 여기서, 제 1 도어부(321)가 하우징부(301)에 고정될 때, 제 1 도어부(321)는 하우징부(301)의 하면부(311)에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303)는 하우징부(301)에 설치되되, 하우징부(301)의 수용 공간(301a)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어부(302)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부(303)가 분리되면, 도어부(302)는 수용 공간(301a)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 1 도어부(321)가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하우징부(301)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부(303)는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 2 도어부(323)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도어부(323)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03)에 의해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과의 각도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이 제 1 도어부(321)에 폐쇄되고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이 제 2 도어부(323)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때, 동물은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위치되어 구동부(303)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03)는 분리되고, 제 2 도어부(323)는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하여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물은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위치될 때 도어부(302)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갇힐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3)는 제 1 구동부(331), 제 2 구동부(333), 구동 연결부(335), 도어 연결부(337), 보조 구동부(338) 및 보조 연결부(3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3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301)의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힌지 연결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구동부(331)는 하우징부(301)의 하면부(311) 상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부(331)의 제 1 종단은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마주하면서 하면부(311)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고, 제 1 구동부(331)의 제 2 종단은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을 마주한다. 제 1 구동부(331)는 제 2 종단부터 하면부(31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할 수 있다. 즉, 제 1 구동부(331)는 하면부(311)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제 2 구동부(333)는 하우징부(301)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2 구동부(333)는 제 1 구동부(331)에 대응하도록 상면부(313)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구동부(333)는 상면부(313)의 안내 프레임(313a) 상에 위치되고, 안내홈(313b)의 일 종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안내홈(313b)의 일 종단은 안내홈(313b)의 양 종단 중에서 폐쇄된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에 대응되는 종단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구동부(333)는 구동 가이드부(3331) 및 구동 몸체부(33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가이드부(3331)는 하우징부(301), 특히 상면부(313)의 상면에 고정되고, 제 1 구동부(331)와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가이드부(3331)는 상면부(313)의 안내 프레임(313a) 상에 위치되고, 안내홈(313b)의 일 종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구동 몸체부(3333)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어부(302)와 평행하면서 구동 가이드부(3331)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여기서, 구동 몸체부(3333)의 양 종단부는 구동 가이드부(3331)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구동 몸체부(3333)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부러진 구동 몸체부(3333)의 양 종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335)는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구동부(331)와 제 2 구동부(333)를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335)는 제 1 구동부(331)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일 종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 연결부(335)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우징부(3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팽팽하게 유지되며, 제 1 구동부(331) 및 제 2 구동부(333)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연결부(337)는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구동부(333)와 도어부(302)의 제 2 도어부(323)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연결부(337)는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타 종단부에 연결되고, 도어부(302)의 제 2 도어부(323)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연결부(337)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제 2 구동부(333)와 제 2 도어부(323)에 연결될 때 팽팽하게 유지되며,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타 종단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보조 구동부(338)는 안내홈(313b)에 삽입되어 안내홈(313b)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보조 구동부(338)은 보조 몸체부(3381) 및 몸체 연결부(3383)를 포함한다.
보조 몸체부(3381)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내홈(313b)에 삽입된다. 여기서, 보조 몸체부(3381)의 일부 또는 전체가 안내홈(313b)에 삽입될 수 있다.
보조 몸체부(3381)의 직경은 안내홈(313b)의 입구의 폭보다 크다. 이로 인해, 보조 몸체부(3381)는 안내홈(3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홈(313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몸체 연결부(3383)는 보조 몸체부(3381)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안내홈(313b)의 외부에 위치된다. 보조 몸체부(3381)는 몸체 연결부(3383)에 의해 안내홈(313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339)는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어 연결부(337)와 보조 구동부(338)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339)는 보조 구동부(338)의 몸체 연결부(3383)에 연결되고, 도어 연결부(337)에서는 제 2 구동부(333)와 연결되는 부분 근처에 연결된다. 또한, 보조 연결부(339)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도어 연결부(337)에 의해 당겨질 때 팽팽해진다.
도어 연결부(337)가 제 2 도어부(323)에 연결되고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타 종단부에 연결될 때,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일 종단부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구동 연결부(335)를 상측으로 당긴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335)는 제 1 구동부(331)의 제 2 종단을 상측으로 당겨, 제 1 구동부(331)는 하면부(311) 상에서 수용 공간(301a)의 일 종단면에 근접할수록 하면부(311) 상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이격된다. 또한, 보조 구동부(338)는 안내홈(313b)에 삽입된 상태에 보조 연결부(339)에 의해 제 2 구동부(333)의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도 7(a)를 참조). 제 2 도어부(323)는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위치된다(도 6을 참조). 여기서, 도어 연결부(337)는 제 2 구동부(3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도어부(323)와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의 각도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동물은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통해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들어올 수 있다.
한편, 동물이 개방된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통해 수용 공간(301a)의 내부에 들어오면, 동물은 제 1 구동부(331)를 눌러 하면부(311)에 밀착되도록 회동시킨다. 여기서, 제 1 구동부(331)는 구동 연결부(335)를 하측으로 당기고, 구동 연결부(335)는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일 종단부를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제 2 구동부(333)의 구동 몸체부(3333)의 타 종단부는 구동 몸체부(3333)의 일 종단부와 함께 하측으로 회동하여 도어 연결부(337)로부터 분리된다. 제 2 도어부(323)는 자중에 의해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고, 도어 연결부(337)는 제 2 도어부(323)에 의해 제 2 구동부(33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보조 연결부(339)는 도어 연결부(337)에 의해 제 2 구동부(333)로부터 멀어지고, 보조 구동부(338)의 몸체 연결부(3383)를 제 2 도어부(323)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도 7(b)를 참조). 여기서, 보조 몸체부(3381)는 몸체 연결부(3383)에 의해 안내홈(313b)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안내홈(313b)의 내측면에 의해 이동을 방해받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323)는 보조 연결부(339) 및 도어 연결부(337)에 연결된 상태에서 천천히 회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 구동부(338)에 의한 제 2 도어부(323)의 회동 지연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동물 포획 장치(3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301a)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위치된 상태에서 실수로 제 2 구동부(333)로부터 도어 연결부(337)를 분리시키더라도, 제 2 도어부(323)는 천천히 회동하여 작업자는 다치지 않을 수 있고,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304)는 하우징부(301)의 양 종단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도어부(302)에 접촉된다. 또한, 제어부(304)는 수용 공간(301a)을 완전히 폐쇄한 도어부(302)에 접촉되어 도어부(302)에 의한 수용 공간(301a)의 개방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04)는 하우징부(301)의 양 종단면에 대하여 모두 설치될 수 있으나, 하우징부(301)의 양 종단면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3)가 작동하여, 제 2 도어부(323)가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도록 회동할 때, 제어부(304)는 제 2 도어부(323)에 접촉되어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323)는 제어부(304)에 접촉되더라도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어부(323)가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완전히 폐쇄하면, 제어부(304)는 복원되고 측면이 제 2 도어부(323)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323)는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지 않아, 동물은 수용 공간(301a)에 들어온 상태에서 갇혀 수용 공간(301a)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어부(304)는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04)와 동일한 구성이기에,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제어부(304)는 고정부(141), 안내부(142), 접촉부(143), 지지부(144), 작동부(145) 및 회동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1)는 하우징부(301)의 하면부(311)에 착탈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 프레임(311a)이 고정부(141)에 삽입되어 고정부(141)는 하면부(311)에 결합되어 하면부(311)의 종단면에 위치된다.
안내부(142)는 고정부(141)의 일면에 위치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 개구(142a)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부(141)가 하우징부(301)의 하면부(311)에 결합될 때, 안내부(142)는 수용 공간(301a)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42)의 상면은 고정부(14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촉부(143)는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되어 안내 개구(142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접촉부(143)의 상면에는 수용 공간(301a)에 근접할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접촉 경사부(143a)가 형성되며, 접촉 경사부(143a)는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기도 하고 안내 개구(142a)의 상면에 삽입되기도 한다. 접촉부(143)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부(141)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접촉 연장부(143b)가 형성되며, 접촉 연장부(143b)는 안내 개구(142a)의 하면을 통해 돌출된다.
지지부(144)는 안내부(142)의 하면에 인접하면서 고정부(141)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부(144)는 고정부(141)와 접촉 연장부(143b) 사이에 위치된다.
작동부(145)는 안내 개구(142a)에 수용되어 접촉부(143)와 지지부(144) 사이에 위치되고, 접촉부(143)의 하면 및 지지부(144)의 상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작동부(145)는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가 안내 개구(142a)의 상면에 삽입되면, 작동부(145)는 압축되어 몸체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로부터 돌출시키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부(145)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부(146)는 접촉 연장부(143b)를 관통하여 지지부(144)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작동부(145)는 접촉부(143)의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키기에, 회동부(146)는 지지부(144)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부(144)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또한, 회동부(146)가 회동하여 지지부(144)로부터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면, 접촉 연장부(143b)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접촉 경사부(143a)는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되며, 작동부(145)는 압축된다.
제 2 도어부(323)가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하도록 회동할 때, 제어부(304)는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작동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43)가 안내부(142)의 안내 개구(1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부(145)는 접촉 경사부(143a)를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고, 회동부(146)를 접촉 연장부(143b)를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부(144)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유지시킨다.
제 2 도어부(323)가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하도록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때, 제 2 도어부(323)는 접촉 경사부(143a)에 접촉되어 회전력에 의해 접촉 경사부(143a)를 점점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안내 개구(142a)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접촉부(143)는 작동부(145)를 압축시키고 접촉 연장부(143b)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회동부(146)는 접촉 연장부(143b)에 의해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킨다(도 5(b) 참조).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323)는 제어부(304)에 접촉되더라도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계속해서 회동할 수 있다.
제 2 도어부(323)가 제어부(304)의 접촉부(143)에 접촉된 상태에 회동한 이후에 고정부(141)의 상면에 위치되면, 작동부(145)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접촉 경사부(143a)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안내 개구(142a)의 상면을 통해 돌출시킨다. 접촉 연장부(143b)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동부(146)를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킨다(도 5(a) 참조). 여기서, 제 2 도어부(323)는 접촉부(143)의 측면에 접촉되어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304)는 도어부(302)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301a)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회동부(146)는 작업자에 의해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302)는 제어부(304)의 접촉부(143)에 접촉되지 않아,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동부(146)는 수용 공간(301a)의 외부에서 제 2 도어부(323)에 의해 폐쇄된 수용 공간(301a)의 타 종단면을 작업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퀴부(30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301)의 하면, 특히 하면부(3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바퀴부(305)는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하면부(311)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특히, 바퀴부(305)는 적어도 3개로 이루어져 하우징부(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퀴부(305)는 하우징부(301)와 지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하우징부(301)는 바퀴부(305)에 의해 지면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바퀴부(305)는 하면부(311)의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300)에서 하우징부(301)는 하면부(311), 상면부(313) 및 측면부(315)를 포함하면서 상호 간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부(301)는 동물 포획 장치(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다. 특히, 하우징부(301)는 접히면서 전체적으로 겹쳐진 형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300)는 수용 공간(301a)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작은 부피를 갖게 되어 용이하게 운반되고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300)에서 하우징부(301)에 형성된 수용 공간(301a)은 제 1 도어부(321)에 의해 폐쇄되고, 제 2 도어부(323)에 의해 개방된다. 여기서, 구동부(303)는 제 2 도어부(323)를 수용 공간(301a)으로 동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동물이 수용 공간(301a)에 들어오면, 구동부(303)는 작동하여, 수용 공간(301a)을 폐쇄하도록 제 2 도어부(323)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도어부(323)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제 2 도어부(323)는 제어부(304)에 접촉되어 제어부(304)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제 2 도어부(323)는 수용 공간(301a)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301a)이 제 2 도어부(323)에 완전히 폐쇄되면, 제어부(304)는 복원되고 제 2 도어부(323)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 2 도어부(323)는 수용 공간(301a)을 개방시키도록 회동될 수 있고, 동물은 수용 공간(301a)에 들어온 이후에 갇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장치(300)는 동물이 수용 공간(301a)으로 들어온 이후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동물을 포획하고 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동물 포획 장치
101, 301: 하우징부
102, 302: 도어부
103, 303: 구동부
104, 304: 제어부
105, 305: 바퀴부

Claims (9)

  1.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고, 펼쳐져 양 종단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한 쌍의 도어부;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도어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며,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도어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수용 공간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부의 하단부에서 설치되어,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도어부에 접촉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도어부 중 하나가 수용 공간의 일 종단면을 폐쇄하고 구동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가 작동하면,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하고 제어부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면부;
    하면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 종단면이 각각 도어부에 힌지 연결되는 상면부; 및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양 측면 및 상면부의 양 측면을 힌지 연결되며,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각각 겹쳐질 수 있는 한 쌍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측면부들은 각각 겹쳐진 상태로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부와 하면부에 접촉되고, 도어부는 상면부의 상면에 겹쳐지고,
    상면부가 하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측면부들은 펼쳐지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어 하면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제 1 구동부;
    제 1 구동부에 대응하면서 상면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 2 구동부;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구동부와 제 2 구동부를 연결하는 구동 연결부; 및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구동부와 도어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하되,
    도어 연결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면,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구동부는 구동 연결부를 상측으로 당기고 제 1 구동부를 하면부로부터 이격시켜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며,
    제 1 구동부가 하면부에 접촉되도록 회동되면, 제 1 구동부는 구동 연결부를 하측으로 당기고, 제 2 구동부는 도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 2 구동부는,
    제 1 구동부에 대응하도록 상면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 가이드부;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어부와 평행하면서 구동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양 종단부가 구동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의 일 종단부는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부의 타 종단부는 도어 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하면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 프레임이 돌출 형성되고,
    제어부는,
    결합 프레임이 삽입되어 하면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안내 개구가 형성된 안내부;
    안내 개구에 삽입되어 안내 개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면에는 수용 공간에 근접할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접촉 경사부가 형성된 접촉부;
    안내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안내 개구에 수용되어 접촉부의 하면 및 지지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접촉 경사부를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접촉 경사부가 작동부에 의해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도어부 중 다른 하나가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향하여 회동할 때,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접촉 경사부에 접촉되고 회전력에 의해 접촉 경사부를 점점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안내 개구에 삽입시키고 작동부를 압축시키며,
    도어부 중 다른 하나가 회동하여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되면, 작동부는 접촉 경사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안내 개구로부터 돌출시키고, 접촉부의 측면은 도어부의 다른 하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접촉부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안내 개구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는 접촉 연장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고정부와 접촉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어부는,
    접촉 연장부를 관통하여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부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되,
    회동부가 지지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회동되면, 접촉 연장부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작동부를 압축시키고 접촉 경사부를 안내 개구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동물 포획 장치는,
    하면부의 하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면부의 상면에는 수용 공간의 양 종단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안내 프레임이 설치되고, 안내 프레임의 상면에는 안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지그재그의 형태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구동부는,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보조 구동부; 및
    와이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 구동부와 도어 연결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도어 연결부가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면, 보조 연결부는 보조 구동부를 안내홈에서 제 2 구동부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 2 구동부가 도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고 도어부 중 다른 하나는 수용 공간의 타 종단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할 때, 보조 연결부는 보조 구동부를 제 2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보조 구동부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안내홈에 삽입되는 보조 몸체부; 및
    보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안내홈의 외부에 위치되고, 보조 연결부에 연결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되,
    보조 몸체부의 직경은 안내홈의 입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장치.
KR1020180139351A 2018-11-13 2018-11-13 동물 포획 장치 KR10233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51A KR102330973B1 (ko) 2018-11-13 2018-11-13 동물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51A KR102330973B1 (ko) 2018-11-13 2018-11-13 동물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69A true KR20200055569A (ko) 2020-05-21
KR102330973B1 KR102330973B1 (ko) 2021-11-25

Family

ID=7091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351A KR102330973B1 (ko) 2018-11-13 2018-11-13 동물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29B1 (ko) 2020-04-27 2021-04-13 장정식 동물 포획장치
KR20220043407A (ko) * 2020-09-29 2022-04-05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873B2 (ja) * 1993-01-27 1997-12-10 暉美 長見 動物捕獲装置
WO2002009502A1 (en) * 2000-08-02 2002-02-07 John Watling Improvements in animal cages
JP2003225044A (ja) * 2002-02-04 2003-08-12 Tadamitsu Kawazoe 獣類の捕獲装置
JP3151260U (ja) * 2009-03-17 2009-06-18 眞作 廣岡 折りたたみ式動物捕獲装置
US20110179693A1 (en) * 2010-01-26 2011-07-28 Chiu Fu Chuan Capture cage
KR101384212B1 (ko) * 2013-01-24 2014-04-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 포획틀
US20140190067A1 (en) * 2006-11-16 2014-07-10 Woodstream Corporation Two-door cage trap with over-center se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260B2 (ja) 1991-12-09 2001-04-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落射型x線顕微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873B2 (ja) * 1993-01-27 1997-12-10 暉美 長見 動物捕獲装置
WO2002009502A1 (en) * 2000-08-02 2002-02-07 John Watling Improvements in animal cages
JP2003225044A (ja) * 2002-02-04 2003-08-12 Tadamitsu Kawazoe 獣類の捕獲装置
US20140190067A1 (en) * 2006-11-16 2014-07-10 Woodstream Corporation Two-door cage trap with over-center set mechanism
JP3151260U (ja) * 2009-03-17 2009-06-18 眞作 廣岡 折りたたみ式動物捕獲装置
US20110179693A1 (en) * 2010-01-26 2011-07-28 Chiu Fu Chuan Capture cage
KR101384212B1 (ko) * 2013-01-24 2014-04-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 포획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29B1 (ko) 2020-04-27 2021-04-13 장정식 동물 포획장치
KR20220043407A (ko) * 2020-09-29 2022-04-05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973B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9882A1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US5778594A (en) Two door animal trap
KR20200055569A (ko) 동물 포획 장치
US9357748B2 (en) Animal enclosure with dual door assembly
US20090293340A1 (en) Portable Large Animal Trap and Method
EP2677862B1 (fr) Poste d'appatage pour rongeurs
US20140150728A1 (en) Door for household pet carrier
JP2608357B2 (ja) 虫捕獲用装置
US8096078B2 (en) Live animal trap
US20120180378A1 (en) Animal trap
KR101800944B1 (ko) 라쿤 포획용 모듈 및 라쿤 포획 장치
CN207589947U (zh) 一种重力式双闸门捕鼠器
US2412518A (en) Trap
US20160165876A1 (en) Trap for snakes and small animals
US20080184613A1 (en) Trap
KR20150118857A (ko)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2011024446A (ja) 箱形罠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GB2313765A (en) Mole trap
US2867938A (en) Trap for animals
US6671998B1 (en) Rodent removal device
US4030229A (en) Bird trap
KR102239929B1 (ko) 동물 포획장치
US3488878A (en) Gopher trap
KR102052609B1 (ko) 조립식 포획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