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539A -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539A
KR20200055539A KR1020180139290A KR20180139290A KR20200055539A KR 20200055539 A KR20200055539 A KR 20200055539A KR 1020180139290 A KR1020180139290 A KR 1020180139290A KR 20180139290 A KR20180139290 A KR 20180139290A KR 20200055539 A KR20200055539 A KR 2020005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group
dust
o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814B1 (ko
Inventor
지영흔
김현정
전유진
김아름
칼라헤 헤와게 이레샤 나디카 마두샤나 헤라스
김효진
수야마 프라산살리 미힌두쿨라수리야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14B1/ko
Priority to JP2019152507A priority patent/JP7018042B2/ja
Priority to US16/560,007 priority patent/US10953054B2/en
Priority to EP19196947.6A priority patent/EP3653200A1/en
Publication of KR2020005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 실험에서 기관(trachea)과 폐 조직 등에서 백혈구와 림프구 등의 염증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키고,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며, 비만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킴과 함께, 나아가 점액(객담) 분비 세포인 술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점액 분비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진,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 Using an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본 발명은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특히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도화된 산업화로 인하여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와 같은 대기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에 따른 중국 등 아시아대륙의 사막화로 인하여 국내 황사 발생이 증가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Kim HS, Chung YS, Yoon MB.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large-scale transports of dust pollution on air quality in East Asia as observed in central Korea in 2014. Air Qual Atmos Health, 2015 Jan 15 [Epub]. http://dx.doi.org/10.1007/s11869-014-0312-5). 미세먼지는 검댕, 생물체 유기탄소 등 탄소성분과 염소, 질산, 암모늄, 나트륨, 칼슘 등의 이온성분, 납, 비소, 수은과 같은 금속성분, 벤조피렌 등과 같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Jang An-Soo.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health. J Korean Med Assoc, 2014;57:763-768), 이 밖에도 자동차의 배기가스, 채석장, 건설 현장 등에서 나오는 일차 입자와 이로 인한 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황산염, 질산염,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화합 물 등의 이차입자가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미세먼지는 입자상의 물질로 크기에 따라 분류하며 입자 지름이 2.5-10 ㎛와 2.5 ㎛이하로 구분하며, 2.5 ㎛ 이하의 미세먼지를 초미세먼지라고 부른다. 먼지는 코나 목에 걸려 기도까지 영향을 주지 않지만, 10 ㎛ 보다 작을 경우 상기도, 기관지, 소기도와 폐포에도 침착하여 호흡기에 영향을 미쳐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염, 천식, 폐포 손상 등을 유발한다(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 3:313-319). 또한 만성 염증으로 진행할 경우 폐기능 저하로 인하여 호흡 곤란을 유발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을 야기할 수 있다(J Int. Krean Med, 2017, 38:353-366). 미세먼지는 호흡기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결막염, 각막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체 영향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등의 분비에 따른 염증 반응, 백혈구 수의 증가, 활성산소 생성 등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어(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8, 15(7))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목 모자반과의 여러해살이 갈조류로 한국, 일본 및 중국 연안에 폭넓게 분포하는 종으로 동해와 일본 해역 해류를 타고 이동하는 부유성 모자반의 주요 구성종으로 알려져 있다(Korean J Fish Aquat Sci, 2016, 49:689-693).
괭생이모자반은 후코이단과 알긴산을 비론한 미네랄과 폴리페놀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있어 미용이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약리효과와 생리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 분리된 황산다당류의 일종인 fucoidan은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Int J Biol Macromol, 2014, 68:98-106). 또한 괭생이모자반의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Journal of Medicinal Food, 2016, 19:615-628),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일종인 Fucoxanthin은 항산화, 항균, 항고혈압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바 있다(Mar Drugs, 2015, 13:3422-3442).
본 발명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의 미세먼지 등에 의해 호흡기 질환의 개선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 실험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trachea)과 기관지(bronchus) 그리고 폐(lung) 조직 등에서,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과립구, 대식세포 등의 백혈구와 도움 T 세포(helper T cell),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 수지상세포 등의 림프구 등 염증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키고,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며, 염증 반응과 과민 면역 반응에 관여하여 기관지 수축, 점액 분비 등을 일으키는 비만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킴과 함께, 나아가 점액(객담) 분비 세포인 술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점액 분비의 증가를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홉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특히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객담(기관지나 폐에서 분비되는 점액) 분비 억제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확장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괭생이모자반 줄기, 잎, 뿌리, 전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즉 상기 추출 용매에 가용성인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특히 그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그 농축물에 95% 에탄올을 가하여 정치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그 상층액인 추출물(즉 95% 에탄올에 가용성인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호흡기 질환"은 염증 반응이나 과민 면역 반응(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 둘의 기전에 의한 호홉기 질환으로서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즉 폐기종), 기관염(tracheitis), 기관지염(bronchitis) 또는 비염(rhinitis)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이나 과민 면역 반응 또는 이 둘의 기전이 관여하고, 기침, 점액(객담)의 과분비, 호흡 곤란을 수반하는 호홉기 질환인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비염을 의미한다. 특히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경우 흡연이나 미세먼지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는데, 그 발병 기전에는 만성 염증, 산화적 스트레스가 관여하며, 이에 따른 폐손상으로 폐기능 저하와 그로 인한 호흡 곤란 증상을 수반하는데(Biol Pharm Bull, 2012, 35:1752-1760; Am J Physiol Lung CellMol Physiol, 2010, 298:L262-L269), 본 발명의 아래 실험예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폐 조직 등에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과 산화적 스트레스를 뚜렷하게 완화시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乳類),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임)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로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법률에 따른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오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점안제,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점안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식염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염화벤잘코늄, 메필파라벤, 에틸파라벤 등을 방부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이나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동물 모델에서 실험군의 구성과 시료 투여 시기, 기간 등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혈액의 백혈구 백분율 변화 (differential cell coun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4 및 도 5는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지 폐포 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의 백혈구 백분율 변화 (differential cell coun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과 폐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0, normal; 1, few cells observed; 2,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one cell layer deep; 3,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2-4 cells deep; and 4,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4 cells deep).
도 7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폐의 8-OHdG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8은 미세번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과 폐의 Gr-1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9는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 및 폐 조직의 호산성 백혈구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0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기관의 비만세포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1 및 도 12는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점액 분비 및 술잔세포 (gablet cell)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3은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의 폐세포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이 세포집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괭생이모자반(전초)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30분간 3번 세척한 후, 50℃에서 24시간 열풍건조기로 함수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핀밀(Pin Mill)로 40-50 mesh 사이즈로 분쇄하였다. 70% 알코올에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10-15%(w/v)를 넣고 순환 추출기를 사용하여 70℃에서 12시간 추출하였으며, 식품용 백토를 처리하여 60rpm으로 2시간 교반한 후 1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은 감압농축기로 60℃에서 1/5 부피로 감압농축하고, 농축액의 3배 부피로 95% 알코올을 첨가하여 12시간 정치 후 원심분리와 여과과정을 거쳐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추출물은 감압농축기로 1/5 부피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 분말(SHE)을 회수하였다.
<실험예>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의 호흡기 질환 개선 활성 실험
<실험예 1> 실험동물 모델 실험군의 구성과 시료 투여
실험동물은 7-8주령 BALB/c 마우스를 각 그룹 당 4마리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 대조군 (이하 Healthy control group), 미세먼지 단독 흡입군 (이하 Dust only group), ovalbumin (이하 OVA) 감작군 (이하 OVA only), OVA 감작+미세먼지 흡입군 (이하 OVA+Dust group), OVA 감작+미세먼지 흡입 및 시료 병행 투여군 (이하 OVA+Dust+SHE 200 mg/kg, OVA+Dust+SHE 400 mg/kg group), OVA 감작+미세먼지 흡입 및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Prednisone) 투여군 (OVA+Dust+Prednisone 5mg/kg grou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BALB/c 마우스에 10 μg의 OVA와 2 mg의 Al(OH)3, 200 μl의 생리식염수와 함께 잘 섞은 후 1회 복강 내 투여 (intraperitoneal, i.p.) 하였다. 15일 후 미세먼지 흡입군에 5 mg/m3의 농도로 30분간 7일동안 nebulizer를 이용하여 매일 미세먼지를 흡입시켰다. 미세먼지 흡입과 함께, SHE 병행 투여군에는 SHE 200, 400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시켰으며,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 처리군에는 prednisone을 5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시켰다 (도 1).
<실험예 2>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혈액의 백혈구 백분율 변화 (differential cell count)에 미치는 영향
(1)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헤파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 채혈을 통해 채혈하여 각 군별로 마우스 혈액을 얻었다. 이후 슬라이드 글라스에 얇게 도말한 후 Diff Quick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현미경하에서 호중구 (neutrophils), 림프구 (lymphocytes), 단핵구 (monocytes), 호산구 (eosinophils), 호염구 (basophils)의 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2) Differential cell count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호중구 (neutrophils), 호산구 (eosinophils), 호염구 (basophils)의 침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도 2의 A 및 도 3의 A 및 B).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mg/kg 군에서는 호산구의 침윤이 6.6배,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10.0배 감소하였다 (도 3의 A). 또한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 호중구 (neutrophils)의 침윤이 1.5배 (도 2의 A), 호염구 (basophils)의 침윤이 3.0배 (도 3의 B) 감소하였다. 반면, 림프구 (lymphocytes)와 단핵구 (monocytes)의 침윤 정도는 OVA와 미세먼지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도 2의 B 및 C).
<실험예 3>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기관지 폐포 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의 백혈구 백분율 변화 (differential cell count)에 미치는 영향
(1)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는 폐 조직 및 기관지의 염증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J Toxicol Environ Health A 2017, 80(4), 197-207),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백혈구 백분율 변화를 관찰하여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폐 및 기관지의 염증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기관 내 카테터를 이용하여 기도 내로 DPBS를 주입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기관지 폐포 세척액은 4℃에서 3000g,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메탄올로 고정하고 슬라이드에 부착하였다. 세포가 부착된 슬라이드는 Diff-Qick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현미경하에서 호중구 (neutrophils), 림프구 (lymphocytes), 단핵구 (monocytes), 호산구 (eosinophils), 호염구 (basophils)의 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 Differential cell count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림프구 (lymphocytes)와 호산구 (eosinophils)의 침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도 4의 B와 도 5의 A),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400 mg/kg 군과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 림프구, 호산구의 침윤이 유의으로 감소하였고, 호염구 (basophils)는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4의 B와, 도 5의 A 및 B). 반면, 호중구 (neutrophils)와 단핵구 (monocytes)의 침윤 정도는 OVA와 미세먼지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도 4의 A 및 C).
<실험예 4>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기관과 폐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1) BALB/c 마우스를 안락사 시킨 후 부검하여 기관(trachea)과 폐를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탈 파라핀, 함수 과정을 거친 후 Mayer's hematoxylin 용액과 eosin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탈수 및 투명과 과정을 거쳐 봉입하였다.
(2)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염증세포 침윤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도 6의 A),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mg/kg 군에서 기관 내 염증세포의 침윤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을 병행 투여한 군과 비슷하게 효과적으로 염증세포의 침윤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의 A). 폐 조직도 기관과 유사하게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염증세포 침윤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도 6의 B),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SHE 농도 의존적으로 폐 조직 내 염증 세포 침윤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도 6의 B). 도 6의 그래프에서,0, normal; 1, few cells observed; 2,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one cell layer deep; 3,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2-4 cells deep; and 4, a ring of inflammatory cells >4 cells deep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폐의 8-OHdG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
(1)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지표로 DNA를 구성하는 염기 중 guanine 분자의 8번째 위치에 있는 수산화기의 산화가 일어나면서 8-OHdG가 생성된다. 8-OHdG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DNA 손상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이용된다(Particle and fibre toxicology, 2017, 14(38)).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정도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의 항산화 효과를 immunohistochemistry (IHC)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폐 조직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은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immunohistochemistry (IHC)를 하였다. 8-OHdG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8-OHdG 항체 (1:2000)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다시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biotinylated anti-goat IgG를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3,3'-diaminobenxidine (DAB)을 이용하여 발색하였고 양성 반응이 나타난 세포를 hematoxylin 용액으로 대조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 8-OHdG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호중구 (neutrophil)와 호산구 (eosinophil), 상피세포의 핵에서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Dust olny 군, OVA only 군, OVA+Dust 군에서 8-OHdG 양성 세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OVA+Dust+SHE 200 mg/kg 군,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 8-OHdG 양성 세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 약물 병행 투여군인 OVA+Dust+Prednisone 5 mg/kg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8-OHdG 양성 세포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험예 6> 미세번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기관과 폐의 Gr-1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
(1) Gr-1은 과립구의 분화와 성숙에 관여하는 과립구 표지자로서 감염 등이 일어났을 때,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기전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mmunity 2012, 36(3), 451-63).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기관(trachea)과 폐조직의 과립구 침윤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기관과 폐조직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탈파라핀, 함수 과정을 거치고, 조직 내 내인성 peroxidase를 억제하기 위하여 0.3% 과산화수소 용액에 담가두었다. 이후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blocking rat serum을 30분간 반응시킨 후 mouse Ly-6G/Ly-6C (1:200, R&D systems)를 4 ℃에서 하룻밤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biotinylated anti-rabbit serum을 실온에서 45분동안 반응시킨 다음 3, 3'-diaminbenzidine (DAB, Vector)을 이용하여 발색하였고 hematoxylin 용액으로 대조염색하였다. 각각의 단계 사이에는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0.3% PBS-triton X100으로 충분히 세척하였고, 탈수 및 투명화 과정을 거친 뒤 봉입하였다.
(3)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과립구의 침윤이 5.2배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과립구의 침윤이 감소하였고, 특히 SHE를 400 mg/kg으로 병행 투여한 경우 2.2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을 병행 투여한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립구의 침윤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8의 A). 폐 조직에서도 기관과 유사하게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과립구의 침윤이 5.6배 확연히 증가한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과립구의 침윤이 각각 1.5, 1.7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8의 B). 이는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약물을 병행 투여한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립구의 침윤이 감소하여 (Healthy control 군 대비 과립구 침윤 2.0배 감소), SHE의 투여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과 폐조직에서 과립구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기관 및 폐 조직의 호산성 백혈구 침윤에 미치는 영향
(1) 만성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질환의 특징적인 병리적 소견은 호산구성 백혈구 증가이며, 염증성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호산구는 기도 상피세포 손상을 유도하고 기도 과민성을 증가시키며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여 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World Allergy Organ J 2016, 9, 7).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기관과 폐조직의 호산구성 백혈구 침윤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기관과 폐조직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0.05% Congo red in 50% EtOH 용액을 이용해 조직을 염색하고 봉입하였다.
(3)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호산구성 백혈구의 침윤이 4.4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호산구성 백혈구의 침윤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SHE를 400 mg/kg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1.9배 유의적으로 호산구성 백혈구의 침윤이 감소하였다 (도 9의 A). 폐 조직에서도 기관과 유사하게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의 기관에서 호산구성 백혈구의 침윤이 확연히 증가하였고, SHE를 병행 투여한 경우 호산구성 백혈구의 침윤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호산구의 침윤이 1.7배 감소하였다 (도 9의 B).
<실험예 8>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기관의 비만세포 침윤에 미치는 영향
(1) 비만세포 (mast cell)는 주로 결체조직과 점막에 존재하며, 세포질에 과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과립에는 히스타민 (histamine),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 사이토카인 (cytokines) 등과 같은 화학적 매개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만세포가 외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될 때 유리되어 염증 반응, 과민 반응 등에 관여하여 기관지 수축, 점액분비 증가 등을 일으킨다(World Allergy Organ J 2016, 9, 7).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기관의 비만세포 침윤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기관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0.05% Toluidine blue 용액을 이용해 조직을 염색하고 봉입하였다,
(3)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기관 내로 비만세포의 침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OVA only 군과 Dust only 군보다도 기관 내로 비만세포의 침윤이 확연히 증가하였다 (도 10의 A).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기관 내 비만세포의 침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0의 A). 또한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률이 증가하였고 (도 10의 B), OVA only 군과 Dust only 군보다도 비만세포의 탈과립률이 확연히 증가하였다 (도 10의 B). 그런데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비만세포의 탈과립률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약물 병행 투여군인 OVA+Dust+Prednisone 5 mg/kg 군보다도 효과적으로 비만세포의 탈과립률을 감소시켰다 (도 10의 B).
<실험예 9>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점액 분비 및 술잔세포 (gablet cell) 증식에 미치는 영향
(1) 외래물질에 의하여 반복적인 기도 염증에 노출될 경우, 기도 재구성 (airway remodeling)이 일어나는데, 술잔세포의 증가와 점액선의 증식 (mucous gland hyperplasia)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Chest 2018, 154(1), 169-176).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점액 분비 및 술잔세포 증식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기관과 폐조직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periodic acid of Schiff (PAS) 염색하였다. 또한 anti-mucin 5AC antibody (R&D abcam) 염색을 위하여 파라핀 블록을 3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한 뒤, 탈파라핀, 함수과정을 거치고 조직 내 내인성 peroxidase를 억제하기 위하여 0.3% 과산화수소 용액에 담가두었다. 이후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blocking horse serum을 30분간 반응시킨 후 anti-mucin 5AC antibody (1:500, R&D abcam)를 4 ℃에서 하룻밤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biotinylated anti-mouse serum을 실온에서 45분동안 반응시킨 다음 3, 3’-diaminbenzidine (DAB, Vector)을 이용하여 발색하였고 hematoxylin 용액으로 대조염색하였다. 각각의 단계 사이에는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0.3% PBS-triton X100으로 충분히 세척하였고, 탈수 및 투명화 과정을 거친 뒤 봉입하였다.
(3) 결과를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기관의 PAS과 mucin-5AC 항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서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점액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술잔세포의 과증식이 관찰된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점액 분비와 술잔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고, 특히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약물 병행 투여군인 OVA+Dust+Prednisone 5 mg/kg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도 11의 A 및 B). 한편 OVA+Dust 군에서는 OVA only 군과 Dust only 군보다도 기관 내로 점액 분비가 확연히 증가하였다(도 11의 B).
(4) 또한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폐 조직에서 점액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술잔세포의 과증식이 관찰된 반면,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점액 분비와 술잔세포의 증식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약물 병행 투여군인 OVA+Dust+Prednisone 5 mg/kg 군 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도 12의 A 및 B).
<실험예 10> 미세먼지를 흡입시킨 동물모델의 폐세포에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세포집단 변화에 미치는 영향
(1)알러지성 호흡기 염증 질환은 면역계가 관여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T 세포와 호산구 침윤, 비만세포와 호염구 활성화 등이 특징적이다(World Allergy Organ J 2016, 9, 7).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면역세포집단 변화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SHE)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BALB/c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하여 폐를 채취한 후 잘게 절편하여 0.4 mg/ml의 collagenase를 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으며, 8-10분마다 잘 섞어주었다. 그 후 PBS를 첨가하여 1500 rpm에서 5분 동안 잘 섞은 다음, 적혈구 용해를 위해 ACK 용액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DPBS로 세척하였다. 폐의 단일세포 부유액에 Fc blocker를 4℃에서 15분간 반응시켜 비특이적 반응을 감소시켰다. 그 후 FITC- 또는 PE-, PerCp-CyTM5.5-, BV421-, AF700-labeled CD3e (145-2C11), CD4 (H129.19), CD8a (53-6.7), CD45 (30-F11), CD11b (M1/70), CD11c (HL3) 항체를 4℃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PBS로 세포를 세척하고 CytoFLEX flow cytometer (Beckman Coulter, Inc., Kraemer Blvd,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CD3e+CD4+ 도움 T 세포 (helper T cell)의 수가 1.3배 증가하였으며,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400 mg/kg 군에서는 1.2배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도 13의 A). 또한, CD3e+CD8+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cell)의 수도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각각 1.5배, 2.0배 유의성 있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3의 B). CD45+CD11c+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의 수는 Healthy control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4.0배 증가하였고,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각각 1.3배, 1.4배 유의성 있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3의 C). CD11c+CD11b+ 대식세포 (macrophages)의 수도 Healthy control 군에 비하여 OVA+Dust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HE를 병행 투여한 OVA+Dust+SHE 200, 400 mg/kg 군에서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도 13의 D).
통계처리
각 실험은 3회 이상 반복(각 군당 n=3 이상) 실시하였다. 각각의 실험결과는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Microsoft Office Excelj의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 P<0.005, ***; P<0.0005, ††; P<0.005, †††; P<0.0005, #; P<0.05의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Claims (15)

  1.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염, 기관지염 또는 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객담 분비 억제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확장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139290A 2018-11-13 2018-11-13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4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90A KR102245814B1 (ko) 2018-11-13 2018-11-13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JP2019152507A JP7018042B2 (ja) 2018-11-13 2019-08-23 アカモク抽出物を用いた肺損傷改善または呼吸器疾患改善用組成物
US16/560,007 US10953054B2 (en) 2018-11-13 2019-09-04 Composition comprising Sargassum horneri extract for alleviating lung injury or respiratory disease
EP19196947.6A EP3653200A1 (en) 2018-11-13 2019-09-12 Composition comprising sargassum horneri extractfor alleviating lung injury or respiratory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90A KR102245814B1 (ko) 2018-11-13 2018-11-13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39A true KR20200055539A (ko) 2020-05-21
KR102245814B1 KR102245814B1 (ko) 2021-04-28

Family

ID=7091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90A KR102245814B1 (ko) 2018-11-13 2018-11-13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6A (ko) * 2020-07-01 2022-01-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용종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0550A1 (en) * 2012-04-02 2016-10-27 Maruhachi Muramatsu, Inc. METHOD FOR TREATING DISEASE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 ACTIVATION BY NF-kB
KR20180117812A (ko) * 2017-04-20 2018-10-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0550A1 (en) * 2012-04-02 2016-10-27 Maruhachi Muramatsu, Inc. METHOD FOR TREATING DISEASE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 ACTIVATION BY NF-kB
KR20180117812A (ko) * 2017-04-20 2018-10-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6A (ko) * 2020-07-01 2022-01-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용종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814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279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extract, fraction of same or compound separated from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KR102646341B1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47367B1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467856B1 (ko) 분홍바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3637A (ko) 복령피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52124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54572B1 (ko) 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45814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02910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46724B1 (ko) 바늘꽃 추출물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45811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폐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258590B1 (ko) 다시마 및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73066B1 (ko) 나한송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US1095305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Sargassum horneri extract for alleviating lung injury or respiratory disease
EP3838282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y using epilobium pyrricholophum extract and like
KR20200027453A (ko) 호장근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5640A (ko) 강황 추출물, 황금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1306A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를 이용한 호흡기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256880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40099884A (ko) 올리브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손상 개선 또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EP384804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 including extract of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KR102273075B1 (ko) 괭이눈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978819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지방성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4819A (ko) 보리수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5591A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지방성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