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69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697A
KR20200054697A KR1020180138303A KR20180138303A KR20200054697A KR 20200054697 A KR20200054697 A KR 20200054697A KR 1020180138303 A KR1020180138303 A KR 1020180138303A KR 20180138303 A KR20180138303 A KR 20180138303A KR 20200054697 A KR20200054697 A KR 2020005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ressure
heater
st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51B1 (ko
Inventor
정형진
성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13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5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EP19883579.5A priority patent/EP3818867B1/en
Priority to US16/959,202 priority patent/US11666102B2/en
Priority to EP24169134.4A priority patent/EP4371433A2/en
Priority to CN201980013829.6A priority patent/CN111726996B/zh
Priority to JP2020533137A priority patent/JP7394057B2/ja
Priority to PCT/KR2019/013918 priority patent/WO2020101199A1/ko
Publication of KR2020005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51B1/ko
Priority to JP2022084710A priority patent/JP7345014B2/ja
Priority to US17/979,912 priority patent/US119252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97Heating of fluid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증기화기의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간들로 구성된 퍼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장치에서는 퍼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인식할 수 있다. 퍼프의 시작과 종료를 검출하기 위해 퍼프 센서에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으나 외부환경(액상 가열에 따른 온도 변화, 궐련의 편차, 기구의 흡인저항 변화 등)에 따른 영향으로 퍼프 센서의 실제 기준압력이 변경되어 퍼프가 과인식 또는 미인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퍼프를 인식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퍼프를 인식함으로써 퍼프가 과인식 또는 미인식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증기화기의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이후의 제 2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 이후의 제 5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 샘플 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1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상기 제 5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2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차이 값이 상기 제 1 차이 값의 소정의 퍼센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이하인 경우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경우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산출하고, 연속한 상기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한 후,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히터의 1회 동작 시간은 허용 동작 시간 이하로 제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감지 오류 상황에서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이 개시된 후 중단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다음 번에 상기 제1 히터가 동작할 때 상기 소요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허용 동작 시간이 감소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증기화기를 연통시키는 주류연 통로; 및 상기 주류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이후의 제 2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 이후의 제 5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이하인 경우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경우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되고,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산출하고, 연속한 상기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한 후,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퍼프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퍼프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퍼프 감지 오류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퍼프 패턴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패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패턴을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누적 값을 이용하여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변동 상태를 포함하는 퍼프 패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오류를 검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제2 히터(13000) 및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증기화기(140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제2 히터(130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2 히터(130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제2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000) 및 제2 히터(1300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제2 히터(130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증기화기(14000)를 작동시켜, 증기화기(1400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40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4000)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제2 히터(13000) 또는 증기화기(14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0)는 배터리(11000), 제2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2 히터(13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제2 히터(1300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제2 히터(130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히터(130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30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제2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히터(1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제2 히터(13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히터(1300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제2 히터(13000)가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30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제2 히터(130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히터(13000)들은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히터(13000)들 중 일부는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히터(1300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0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제1 히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제1 히터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0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제1 히터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히터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제2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히터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제1 히터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제2 히터(1300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궐련(20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히터(130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궐련(200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20000)은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00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2200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0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0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00)은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00)은 2 이상의 래퍼(2400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0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0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00) 또는 필터 로드(2200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0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0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0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0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0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0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0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0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0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0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00)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0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및 도 2의 100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패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마우스 피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된 궐련을 사용자가 입으로 물어 빨아들이는 동작(퍼프 동작)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압력인, 흡입 압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퍼프 센서의 감지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퍼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퍼프 패턴은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패턴은 시간(ms)에 따른 압력 변화(hPa)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퍼프 패턴(400)에는 압력 유지 상태(410, 430, 450), 압력 하강 상태(420) 및 압력 상승 상태(4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압력 유지 상태(410, 430, 450)는 퍼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압력 유지 상태(410, 430, 45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압력 하강 상태(420)는 퍼프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압력 하강 상태(420)는 퍼프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일 수 있다. 압력 하강 상태(420)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압력 상승 상태(440)는 퍼프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압력 상승 상태(440)는 퍼프 동작이 종료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일 수 있다. 압력 상승 상태(440)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퍼프 패턴(400)을 구성하는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히터는 궐련의 외부를 가열하는 필름 히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를 가열하는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증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압력 유지 상태(410) 및 압력 하강 상태(420)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 유지 상태(410) 및 압력 하강 상태(420)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를 제 1 상황(461)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개시된 후,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압력 유지 상태(430), 압력 상승 상태(440) 및 압력 유지 상태(450)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 유지 상태(430), 압력 상승 상태(440) 및 압력 유지 상태(450)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를 제 2 상황(46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퍼프 패턴(400)을 구성하는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퍼프 패턴(400)이 압력 유지 상태(410), 압력 하강 상태(420), 압력 유지 상태(430), 압력 상승 상태(440) 및 압력 유지 상태(450) 순으로 구성되는 경우(예를 들어, 제 1 상황(461)과 제 2 상황(462)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는 퍼프 패턴(400)이 정상 퍼프 동작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패턴(400)이 정상 퍼프 동작에 해당하는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횟수가 1회씩 카운트되면 카운트 값에 따라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퍼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에 도달하면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퍼프 횟수가 14회가 되면 퍼프 시리즈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정상 퍼프 동작 하에서 제 1 상황(461)과 제 2 상황(462)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상황(461)과 제 2 상황(462)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상황(461)과 제 2 상황(462)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 1 상황(461)이 발생한 경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고, 제 2 상황(462)이 발생한 경우 제1 히터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14회의 퍼프 횟수를 갖는 퍼프 시리즈에서, 제 1 상황(461)이 최초(1회째)로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모두 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상황(461)이 최초로 발생하기 전부터 제2 히터가 예열 중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2 히터를 예열 모드에서 가열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상황(461)이 발생한 후 연속하여 제 2 상황(462)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만을 종료하고 제2 히터의 동작은 유지할 수 있다.
제 1 상황(461)이 2회째 발생한 경우에는, 제2 히터의 동작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만을 개시할 수 있다. 제 2 상황(462)이 2회째 발생한 경우, 제2 히터의 동작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만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퍼프 횟수를 '2회'로 카운트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1 상황(461) 및 제 2 상황(462)이 번갈아 가며 3회 내지 13회째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만을 제어(개시 또는 중단)하고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 1 상황(461) 및 제 2 상황(462)이 번갈아 가며 13회째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퍼프 횟수를 '13회'로 카운트할 수 있다.
제 1 상황(461)이 14회째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만을 개시할 수 있다. 제 2 상황(462)이 14회째 발생한 경우, 이는 퍼프 시리즈(14회의 퍼프 횟수)가 종료되는 상황을 의미하므로, 제어부는 퍼프 횟수를 '14회'로 카운트하고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모두 중단할 수 있다.
제 2 상황(462)이 압력 유지 상태(430), 압력 상승 상태(440) 및 압력 유지 상태(450) 순의 상태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상황(462)은 압력 유지 상태(430) 및 압력 상승 상태(440) 순의 상태 변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유지 상태(450)가 발생 하기 전(또는, 압력 유지 상태(450)의 발생과 무관하게)에 압력 유지 상태(430) 및 압력 상승 상태(440)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퍼프 패턴(400)의 지속 시간(t1~t6)은 약 2초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퍼프 패턴(400)의 지속 시간(t1~t6)은 상이할 수 있다.
도 4의 퍼프 패턴(400)에는 압력 유지 상태(410, 430, 450), 압력 하강 상태(420) 및 압력 상승 상태(440)만이 포함되었으나,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불규칙한 압력 변동 상태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패턴을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센서의 감지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퍼프 센서는 소정의 주기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는 75Hz 주기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퍼프 센서의 압력 측정 주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측정 값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값들을 이용하여 압력 샘플 값(510)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수신한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의 대표 값(예를 들어, 평균 값 또는 중간 값 등)을 이용하여 압력 샘플 값(510)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연속한 개수(예를 들어, 3개)의 압력 측정 값들을 평균하여 압력 샘플 값(510)을 산출할 수 있다. 연속한 3개의 압력 측정 값들을 평균하여 압력 샘플 값(510)을 산출하는 경우, 압력 샘플 값(510) 간의 시간 간격은 40ms일 수 있다. 즉, 퍼프 패턴(500)에 포함된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 간의 시간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그러나, 압력 샘플 값(510)을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압력 측정 값들의 개수 및 압력 샘플 값(510)의 산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는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50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측정 값들을 대신, 압력 샘플 값(510)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500)을 결정할 수 있다. 압력 측정 값 대신 압력 샘플 값(510)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500)이 결정됨으로써, 불규칙한 변동이 감소된 보다 정렬된 형태의 퍼프 패턴(500)이 획득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누적 값을 이용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60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측정 값들을 이용하는 대신,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산출된 압력 샘플 값(610)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600)을 결정할 수 있다.
퍼프 패턴(600)은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 구성될 수 있다. 퍼프 패턴(600)에 포함된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 중, 소정 개수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은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에는 3개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구간의 시작에 해당하는 압력 샘플 값 및 구간에 포함되는 압력 샘플 값의 개수 등에 기초하여 퍼프 패턴(600) 내 구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울기 누적 값은 특정 구간에 포함된 서로 인접한 압력 샘플 값들 간의 기울기를 누적한 값일 수 있다. 기울기 누적 값의 단위는 'hpa/m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미만인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이상 +4hpa/ms 미만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미만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구간(611)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어부는 t1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2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2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t2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3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5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구간(611)의 기울기 누적 값은 '-0.7hpa/ms'이 된다.
또한, 제 2 구간(612)의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어부는 t3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4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1.4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t4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5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3.8hpa/ms'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구간(612)의 기울기 누적 값은 '-5.2hpa/ms'가 된다.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0.7hpa/ms'인 제 1 구간(611)을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5.2hpa/ms'인 제 2 구간(612)을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값은 기울기 누적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복수의 구간들 각각을 구성하는 인접한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기울기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기울기 값들 간의 차이 값을 누적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울기 차이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제 1 구간(6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1 구간(611) 이후의 제 2 구간(612)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다는 것은, 퍼프 동작이 개시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구간(6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2 구간(612)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됨에 따라, 제어부는 제 2 구간(612)의 종결 지점인 t5에서부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14회의 퍼프 횟수를 갖는 퍼프 시리즈에서 도 6의 퍼프 패턴(600)이 최초(1회째)로 모니터링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외에도 제2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 퍼프 시리즈에서 퍼프가 최초로 인식되기 전 즉, 퍼프 패턴(600)이 최초로 모니터링되기 전부터 제 2 히터는 예열 중일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크스크린 등)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온(on)됨에 따라, 제어부는 제2 히터를 예열 모드에 진입시킬 수 있다. 이후, 퍼프 패턴(600)이 최초로 모니터링된 경우, 제어부는 제2 히터를 예열 모드에서 가열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가열 모드에서는 궐련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2 히터의 온도가 목표 온도까지 상승되며, 예열모드에서는 목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2 히터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모드 및 예열모드의 동작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70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측정 값들 전부를 이용하는 대신,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산출된 압력 샘플 값(710)을 이용하여 퍼프 패턴(700)을 결정할 수 있다.
퍼프 패턴(700)에 포함된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 중, 소정 개수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은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에는 3개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이상 +4hpa/ms 미만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이상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3 구간(711)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어부는 t1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2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1hpa/ms'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t2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3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2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3 구간(711)의 기울기 누적 값은 '+0.3hpa/ms'이 된다.
또한, 제 4 구간(712)의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어부는 t3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4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1.9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t4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5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2.3hpa/ms'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4 구간(712)의 기울기 누적 값은 '+4.2hpa/ms'가 된다.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2.3hpa/ms'인 제 3 구간(711)을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4.2hpa/ms'인 제 4 구간(712)을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3 구간(711) 이후의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다는 것은, 퍼프 동작이 종료되어 외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다시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동작이 종료되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됨에 따라, 제어부는 제 4 구간(712)의 종결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더 흐른 t7에서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히터의 동작이 중단되는 시점은 제 4 구간(712)의 종결 지점인 t5일 수도 있다.
또한,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도 6에 도시된 제 1 구간(6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2 구간(612)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이후에, 추가로 도 7a에 도시된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는 퍼프 패턴이 정상 퍼프 동작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제 4 구간(712)이 종료된 후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 7a와 비교하여, 도 7b에서는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3 구간(711) 이후의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후, 추가로 제 4 구간(712) 이후의 제 5 구간(713)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가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4 구간(712)의 기울기 누적 값은 '+4.2hpa/ms'이므로, 제 4 구간(712)은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4 구간(712) 이후에 '압력 상승 상태'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t5 내지 t9 시간 동안 서로 인접한 3개의 압력 샘플 값들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7.2hpa/ms(=3.7+3.5)'및 '+4.0hpa/ms(=3.3+0.7)'이 되어 +4hpa/ms 이상이 된다. 반면, t9 내지 t11 시간 동안의 기울기 누적 값은 '0.1hpa/ms(=0.1+0.0)'로서 +4hpa/ms 미만이 된다. 즉, 제어부는 제 4 구간(712) 이후 '압력 상승 상태'는 t9 시간까지 지속된다.
제어부는 제 4 구간(712) 및 제 4 구간(712) 이후의'압력 상승 상태'가 종료된 이후, 제 5 구간(713)의 상태가 '압력 유지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5 구간(713)의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어부는 t9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10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1hpa/ms'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t10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t11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기울기 값 '+0.0hpa/ms'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5 구간(713의 기울기 누적 값은 '+0.1hpa/ms'이 되며, 이는 +4hpa/ms 보다 작은 값으로서 제어부는 제 5 구간(713)을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3 구간(711) 이후의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며, 제 4 구간(712) 이후의 제 5 구간(713)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다는 것은, 퍼프 동작이 종료되어 외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 후 일정해지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동작이 종료되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 5 구간(713)의 종결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더 흐른 t12에서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히터의 동작이 중단되는 시점은 제 5 구간(713)의 종결 지점인 t11일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압력 유지 상태'인 제 1 구간(611) 및 '압력 하강 상태'인 제 2 구간(612) 이후에, 추가로 도 7b에 도시된 제 3 구간(711)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4 구간(712)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며, 제 5 구간(713)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는 퍼프 패턴이 정상 퍼프 동작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14회의 퍼프 횟수를 퍼프 시리즈에서 도 7b의 퍼프 패턴(700)이 14회째 모니터링된 경우, 퍼프 시리즈가 종료되는 상황을 의미하므로, 제어부는 제1 히터 외에도 제2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도 6의 퍼프 패턴(600)이 최초(1회째)로 모니터링된 경우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으며, 이후 퍼프 시리즈가 종료되면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히터는 도 6의 퍼프 패턴(600)이 최초로 모니터링되기 전부터 예열 모드 상태일 수 있다. 퍼프 패턴(600)이 최초로 모니터링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고, 제2 히터는 이미 예열 모드에서 예열 중이므로, 제2 히터를 예열 모드에서 가열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후, 퍼프 시리즈가 종료되면,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변동 상태를 포함하는 퍼프 패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퍼프 패턴(800)에는 압력 유지 상태(801, 803), 압력 하강 상태(802) 및 압력 상승 상태(80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퍼프 패턴(800)에는 압력 변동 상태(805)가 포함될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압력 유지 상태(801) 및 압력 하강 상태(802)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개시된 후,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압력 유지 상태(803), 압력 상승 상태(804) 및 압력 유지 상태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유지 상태(801), 압력 하강 상태(802), 압력 유지 상태(803), 압력 상승 상태(804) 및 압력 유지 상태 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퍼프 패턴이 정상 퍼프 동작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상승 상태(804) 이후에 압력 변동 상태(805)가 발생할 수도 있다. 압력 변동 상태(805)에서는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압력이 불규칙할 수 있다. 압력 변동 상태(805)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압력 샘플 값들 간의 차이 값을 고려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지 여부 및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압력 샘플 값(811)은 제 1 구간(611)에 포함된 압력 샘플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압력 샘플 값(812)은 제 3 구간(711)에 포함된 압력 샘플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고, 제 3 압력 샘플 값(813)은 제 5 구간(713)에 포함된 압력 샘플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압력 샘플 값(811)과 제 2 압력 샘플 값(812) 간의 제 1 차이 값(820)을 산출할 수 있고, 제 2 압력 샘플 값(812)과 제 3 압력 샘플 값(813) 간의 제 2 차이 값(830)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차이 값(830)이 제 1 차이 값(820)의 소정의 퍼센트 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 2 차이 값(830)이 제 1 차이 값의 80%(821) 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 차이 값(830)이 제 1 차이 값의 80%(821) 보다 큰 경우, 압력 상승 상태(804) 이후에 압력 유지 상태가 아닌 압력 변동 상태(805)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1 히터 및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단하고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퍼프 센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때,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불규칙한 압력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퍼프 패턴에 압력 변동 상태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압력 샘플 값들 간의 차이 값을 고려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오류를 검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퍼프 패턴(900)에 포함된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 중, 소정 개수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은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에는 3개의 연속하는 압력 샘플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미만인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이상 +4hpa/ms 미만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하고, 기울기 누적 값이 -4hpa/ms 미만으로 유지되는 특정 구간의 상태를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구간(910)의 기울기 누적 값은 '-0.7hpa/ms'이므로 제 1 구간(910)은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2 구간(920)의 기울기 누적 값은 '-5.2hpa/ms'이므로 제 2 구간(920)은 '압력 하상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제 1 구간(910)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1 구간(910) 이후의 제 2 구간(920)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다는 것은, 퍼프 동작이 개시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확인하고, t3에서부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한 후, 제 2 구간(920) 이후 '압력 하강 상태'의 지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 구간(920) 이후 '압력 하강 상태'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구간(920) 이후 '압력 하강 상태'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이는 정상 퍼프 동작 상태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구간(920) 이후 '압력 하강 상태'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범위는 사용자가 퍼프를 1회 수행할 때 공기를 빨아들이는 시간일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 범위는 400ms 내지 520ms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력 샘플 값들 간의 시간 간격이 40ms인 경우, 제 2 구간(920) 이후, 10개의 압력 샘플 값들이 산출되기 이전(즉, 400ms 이전)에 '압력 하강 상태'가 종료되거나, 13개의 압력 샘플 값들이 산출된 이후(즉, 520ms 이후)에도 '압력 하강 상태'지속되는 경우, 제어부는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구간(910)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제 2 구간(920)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되었으나, 제 3 구간(930)의 기울기 누적 값은 '-0.4hpa/ms'이 되어 제 3 구간(930)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2 구간(920) 이후 '압력 하강 상태'의 지속 시간은 기설정된 시간 범위(400ms 내지 520ms) 미만이므로, 제어부는 t5에서 퍼프 패턴(900)이 비정상적임을 판단하고 t5에서 즉시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 외에도 제어부는 가열 요소의 동작이 개시된 이후 퍼프 패턴이 정상 퍼프 동작에 대응되지 않으면 퍼프 인식 오류로 판단하여 가열요소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퍼프 패턴이 압력 유지 상태(410), 압력 하강 상태(420) 및 압력 유지 상태(430)에서 압력 상승 상태(440)로 변경된 후 압력 상승 상태(440)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한 후 하는 경우, 제어부는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가열 요소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히터의 1회 동작 시간은 허용 동작 시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1 히터는 심지와 같은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한다. 이 때,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될 수 있는 액상 조성물의 양은 한정되어 있어 허용 동작 시간을 초과하여 제1 히터를 동작시키는 경우 충분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이 탈 수도 있다. 제1 히터의 허용 동작 시간은 2초(2000ms)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와 같은 퍼프 감지 오류 상황에서, 제어부는 제1 히터의 동작이 개시된 후 중단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퍼프 감지 오류 상황에서 제1 히터가 동작한 시간에 비례하여 다음 번에 제1 히터의 허용 동작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퍼프 감지 오류 상황에서 제1 히터가 동작한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다음 번 제1 히터를 허용 동작 시간까지 가열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이 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오류 상황에서 제1 히터가 동작한 시간이 200ms인 경우, 제어부는 다음 번 제1 히터가 동작할 때, 허용 동작 시간을 1800ms(2000-200=1800ms)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1)를 구비한다. 케이스(1001)에는 궐련(2000)이 삽입되는 삽입부(1003)가 마련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2000)을 통과하도록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1010)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1010)는 사용자가 궐련(2000)을 입으로 물어 빨아들이는 동작(퍼프 동작)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압력인 흡입 압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압력 감지 센서(1010)의 감지 신호는 제어부(1020)로 전달된다. 압력 감지 센서(1010)를 이용함으로써 제어부(1020)는 흡입 동작(puffing)의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14회) 후에 증기화기(1040)와 제2 히터(10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0)는 흡입 동작(puffing)의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14회)에 도달하지 않아도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6분 경과 시)이 경과된 후에 증기화기(1040)와 제2 히터(1030)의 동작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는, 증기화기(104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2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040)와 궐련(2000)은 주류연 통로(1050)에 의하여 연결된다.
주류연 통로(1050)는, 사용자가 궐련(2000)을 입으로 물어 빨아들이는 동작(퍼프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궐련(20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궐련(2000)과 외부를 연결한다. 외부 공기는 케이스(1001)에 마련된 에어 벤트(1002)를 통하여 케이스(1001) 내부로 흡입된다. 공기는 증기화기(1040)를 통과한다. 증기화기(1040)를 통과한 공기에는 액체가 무화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포함된다. 증기화기(1040)를 통과한 공기는 주류연 통로(1050)를 통하여 궐련(2000)으로 인입된다. 궐련(2000)으로 인입된 공기는 담배 로드 및 필터 로드를 통과하여 흡연자에게 흡입된다.
증기화기(1040)는 액체 저장부(1041), 액체 전달 수단(1042) 및 액체를 가열하는 제1 히터(104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041)는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형태일 수 있다. 액체 저장부(1041)는 액체를 보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증기화기(1040)는 전체적으로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일 수도 있다.
액체 전달 수단(1042)은 액체 저장부(1041)에 수용된 액상 조성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제1 히터(1043)는 액체 전달 수단(1042)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히터(1043)가 약 2초 동작하면 액체 전달 수단(1042)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이 모두 에어로졸로 기화될 수 있다. 제1 히터(1043)가 2초 이상 가열되면 2초 이후에는 충분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1042)이 탈 수도 있다.
제1 히터(1043)는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동작이 개시 및 지속될 수 있고, 제어부는 퍼프 패턴에 기초하여 동작 중인 제1 히터(1043)의 동작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히터(1043)의 동작 시간이 허용 동작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히터(1043)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제1 히터(1043)의 허용 동작 시간은 2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는 제어부(1110), 제2 히터(1120), 증기화기(1130), 배터리(1140), 메모리(1150), 센서(1160) 및 인터페이스(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히터(1120)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4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가열된다. 제2 히터(1120)는 궐련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의 수용통로 내부에 위치한다. 궐련이 외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의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수용통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궐련의 일측 단부가 제2 히터(1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제2 히터(112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히터(112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제2 히터(112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12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제2 히터(1120)가 가열될 수 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제2 히터(112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12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2 히터(112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제2 히터(112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제2 히터(112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대신, 제2 히터(11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히터(11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히터(11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히터(112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히터(1120)에는 발열을 위한 제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제2 히터(112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120)는 2개의 제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13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를 가열하는 제1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13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13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제1 히터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히터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히터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제1 히터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13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과 같은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된 집적 회로이다.
제어부(1110)는 센서(116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110)는 센싱 결과에 따라 배터리(1140)로부터 제2 히터(1120)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0)는 제2 히터(112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히터(11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어부(1110)는 인터페이스(1170)의 다양한 입력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 이용한 사용자의 흡연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흡연을 제한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의 관련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150)는 제어부(11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흡연 시각, 흡연 횟수 등과 같은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50)에는 궐련이 수용통로에 수용된 경우의 기준 온도 변화 값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11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40)는 제2 히터(11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들, 제어부(1110), 센서(1160) 및 인터페이스(117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4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배터리(11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센서(1160)는 퍼프 감지(puff detect) 센서(온도 감지 센서, 유량(flow) 감지 센서, 위치 감지 센서 등), 궐련삽입 감지 센서, 히터의 온도 감지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60)에 의해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10)는 센싱 결과에 따라 히터 온도의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 중 일부만을 취사 선택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12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압력 측정 값들을 이용하여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산출하고, 연속한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1 구간과 제 1 구간 이후의 제 2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1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 및 제 2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과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3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 및 제 4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 3 구간 및 제 4 구간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4 구간 이후의 제 5 구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5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제 5 구간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1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1 차이 값을 산출하고,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제 5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2 차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2 차이 값이 제 1 차이 값의 소정의 퍼센트 보다 큰 경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특정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특정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이하인 경우 특정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구간의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경우 특정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증기화기의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 및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이후의 제 2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 이후의 제 5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 샘플 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1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과 상기 제 5 구간에서의 압력 샘플 값 간의 제 2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차이 값이 상기 제 1 차이 값의 소정의 퍼센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이하인 경우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경우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산출하고, 연속한 상기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한 후,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의 1회 동작 시간은 허용 동작 시간 이하로 제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이 개시된 후 중단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다음 번에 상기 제1 히터가 동작할 때 상기 소요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허용 동작 시간이 감소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증기화기를 연통시키는 주류연 통로; 및
    상기 주류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퍼프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이후의 제 2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는 상기 제 2 구간 이후의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 이후의 제 4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 이후의 제 5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간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음수 값 이하인 경우 압력 하강 상태로 결정되고,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울기 누적 값이 기설정된 양수 값 이상인 경우 압력 상승 상태로 결정되는 것인,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 측정 값들이 포함되고,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측정 값들 중 일부의 연속한 값들을 평균하여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을 산출하고, 연속한 상기 복수의 압력 샘플 값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상기 기울기 누적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개시한 후,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구간 이후 압력 하강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퍼프 감지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제1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2 구간이 압력 하강 상태, 상기 제 3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 상기 제 4 구간이 압력 상승 상태, 상기 제 5 구간이 압력 유지 상태로 결정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13 항 내지 제 2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38303A 2018-11-12 2018-11-12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20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03A KR102203851B1 (ko) 2018-11-12 2018-11-12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6/959,202 US11666102B2 (en) 2018-11-12 2019-10-23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4169134.4A EP4371433A2 (en) 2018-11-12 2019-10-23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980013829.6A CN111726996B (zh) 2018-11-12 2019-10-23 气溶胶生成装置、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EP19883579.5A EP3818867B1 (en) 2018-11-12 2019-10-23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20533137A JP7394057B2 (ja) 2018-11-12 2019-10-23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PCT/KR2019/013918 WO2020101199A1 (ko) 2018-11-12 2019-10-2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22084710A JP7345014B2 (ja) 2018-11-12 2022-05-24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US17/979,912 US11925215B2 (en) 2018-11-12 2022-11-03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03A KR102203851B1 (ko) 2018-11-12 2018-11-12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97A true KR20200054697A (ko) 2020-05-20
KR102203851B1 KR102203851B1 (ko) 2021-01-15

Family

ID=7073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03A KR102203851B1 (ko) 2018-11-12 2018-11-12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66102B2 (ko)
EP (2) EP3818867B1 (ko)
JP (2) JP7394057B2 (ko)
KR (1) KR102203851B1 (ko)
CN (1) CN111726996B (ko)
WO (1) WO2020101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51B1 (ko) *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500830B1 (ko) * 2020-08-31 2023-02-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056634B (zh) * 2020-10-10 2023-03-1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电加热烟具加热烟支的方法
CN113180312A (zh) * 2021-04-27 2021-07-30 深圳市讴可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电子烟控制方法、装置、雾化电子烟和存储介质
WO2023046487A1 (en) * 2021-09-27 2023-03-30 Nerudia Limited Aerosol delivery device
JPWO2023053183A1 (ko) * 2021-09-28 2023-04-06
WO2023068639A1 (en) * 2021-10-19 2023-04-2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658264B1 (ko) * 2021-12-20 2024-04-18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제어 방법
WO2024127649A1 (ja) * 2022-12-16 2024-06-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924A (ko) * 2012-12-28 2015-09-0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열된 에어로졸 발생 기기 및 일정한 성상을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
KR101619034B1 (ko) * 2012-09-11 2016-05-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온도 제어용 전기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70443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80111460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KR20190010216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45766B (ko) * 1992-09-11 1995-04-21 Philip Morris Prod
US7621270B2 (en) 2003-06-23 2009-11-24 Invacare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breathing gas
EP1784237A1 (en) * 2004-06-18 2007-05-16 Invac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breathing gas
EP2110033A1 (en) 2008-03-25 2009-10-21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for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smoke constituents in an electrical aerosol generating system
AT507187B1 (de) * 2008-10-23 2010-03-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
CN102012148B (zh) * 2010-11-19 2013-03-20 何天青 一种真空干燥控制方法
EP2460423A1 (en)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improved heater control
ES2592812T5 (es) 2011-12-30 2020-03-0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detección de flujo de aire
EP2815132B1 (de) 2012-02-13 2016-07-20 J. Schmalz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unterdruckerzeugers und unterdruckerze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GB2507102B (en) * 2012-10-19 2015-12-30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GB2519101A (en)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MY189739A (en) 2014-05-02 2022-02-28 Japan Tobacco Inc Non-burning-type flavor inhaler
WO2016091658A1 (en) * 2014-12-11 2016-06-1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ing device with user recognition based on inhalation behaviour
EP3272382B1 (en) 2015-04-30 2020-09-02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US10736356B2 (en) 2015-06-25 2020-08-11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having pressure sensor
KR102516670B1 (ko) 2015-08-18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GB2542012B (en) 2015-09-01 2020-04-01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CN109789285B (zh) * 2016-08-05 2023-01-20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蒸发器的风速辅助控制
US10172392B2 (en) * 2016-11-18 2019-01-08 Rai Strategic Holdings, Inc. Humidity sens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MX2019005881A (es) * 2016-11-29 2019-08-12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on velocidad de flujo ajustable de la bomba.
CN110446435B (zh) 2017-01-24 2023-07-1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吸引装置和使其进行动作的方法及程序
RU2737855C1 (ru) 2017-03-30 2020-12-03 Кей Ти Энд Дж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держатель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размещ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11685394A (zh) * 2017-04-11 2020-09-22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设备、提供反馈的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1622582B2 (en) 2017-04-11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KR102035313B1 (ko) 2017-05-26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03851B1 (ko) *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034B1 (ko) * 2012-09-11 2016-05-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온도 제어용 전기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02924A (ko) * 2012-12-28 2015-09-0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열된 에어로졸 발생 기기 및 일정한 성상을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
KR20180070443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80111460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KR20190010216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6102B2 (en) 2023-06-06
EP3818867B1 (en) 2024-05-22
US20200404971A1 (en) 2020-12-31
US20230052593A1 (en) 2023-02-16
WO2020101199A1 (ko) 2020-05-22
CN111726996B (zh) 2023-08-15
JP2021509259A (ja) 2021-03-25
JP2022116150A (ja) 2022-08-09
US11925215B2 (en) 2024-03-12
CN111726996A (zh) 2020-09-29
JP7394057B2 (ja) 2023-12-07
KR102203851B1 (ko) 2021-01-15
JP7345014B2 (ja) 2023-09-14
EP4371433A2 (en) 2024-05-22
EP3818867A1 (en) 2021-05-12
EP3818867A4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85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121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385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83093B1 (ko)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2232204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이의 배터리 수명 추정방법
CN110612034A (zh) 具有检测卷烟插入功能的气溶胶生成装置及方法
KR20200057489A (ko) 제1히터 및 제2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JP2017538408A (ja) 吸入挙動に基づくユーザー認識を備えた吸入装置
CN112188839B (zh) 气溶胶生成装置、其电力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1957179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955043B (zh) 控制气溶胶生成装置加热器温度的方法及气溶胶生成装置
KR1022712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20098932A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015927A (ko) 전극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576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215654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55951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14727671A (zh) 包括电极的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