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932A -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932A
KR20220098932A KR1020210000842A KR20210000842A KR20220098932A KR 20220098932 A KR20220098932 A KR 20220098932A KR 1020210000842 A KR1020210000842 A KR 1020210000842A KR 20210000842 A KR20210000842 A KR 20210000842A KR 20220098932 A KR20220098932 A KR 2022009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er
amount
puff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윤성욱
이승원
장석수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932A/ko
Priority to US18/038,609 priority patent/US20240008549A1/en
Priority to EP21917969.4A priority patent/EP4221525A4/en
Priority to CN202180088222.1A priority patent/CN116685222A/zh
Priority to PCT/KR2021/095142 priority patent/WO2022149808A1/en
Priority to JP2023540823A priority patent/JP2024501747A/ja
Priority to CA3198011A priority patent/CA3198011A1/en
Publication of KR2022009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932A/ko
Priority to KR1020230094056A priority patent/KR10262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는 퍼프 센서,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HEATING TIME OF HEATER}
본 개시는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가 사용되는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기화되는 정도에 따라 히터의 가열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히터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흡연 활동을 지속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흡연 활동을 지속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 및 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는 퍼프 센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 퍼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 및 잔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기화량 및 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히터가 가열된 이후에도,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에 따라 히터가 더 가열됨으로써 사용자는 흡연 활동을 지속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증기화기(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히터(1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30) 및/또는 증기화기(140)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및/또는 증기화기(14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0) 및/또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 또는 증기화기(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내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는 관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고, 에어?佇?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면, 서셉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서셉터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내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유도 코일은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가변 자기장은 서셉터에 인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셉터가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유도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이 조정될 수 있고, 서셉터가 가열되는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히터(1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센서, 온도 센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제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제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는 제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제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의 전체 및 제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부분은 담배 로드(210)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4에는 필터 로드(22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2 이상의 래퍼(24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241)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가 포장되고, 래퍼들(242, 243, 244)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래퍼(245)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래퍼들(242, 243, 24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은 향미 또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에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 1 내지 도 3의 1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00)는 히터(510), 퍼프 센서(520),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00), 히터(510), 및 제어부(530)는 도 1 내지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히터(130), 및 제어부(120)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히터(5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0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51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퍼프 센서(520)는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퍼프의 크기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퍼프하는 세기, 강도 등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퍼프 시 흡입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퍼프 센서(520)는 히터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 크기를 측정할 수도 있고, 히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 크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퍼프 센서(520)는 기류의 유량(flow) 변화,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 변화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히터(510)의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530)가 히터(510)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후술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퍼프 센서가 히터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 크기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값은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온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온도를 필터링한 값을 의미할 수도 있다. 기화량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어 기화되는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구간에서 히터의 온도 변화량이 클수록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제1 퍼프 발생 구간보다 제2 퍼프 발생 구간에서 온도 변화량이 더 큰 경우, 제2 퍼프 발생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 A는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른 히터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의 가로축은 히터의 가열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단위는 0.1초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의 세로축은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히터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퍼프 센서는 히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퍼프의 크기에 따라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히터의 온도가 변할 수 있다. 퍼프의 크기는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히터의 온도가 하강하는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프 B는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른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의 가로축은 히터의 가열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단위는 0.1초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의 세로축은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의 크기(amplitude)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퍼프 센서는,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고, 디지털 필터링(digital filtering)된 히터의 온도를 측정된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링이 이용됨으로써,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히터의 온도가 평탄화(flatten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퍼프 센서는 히터의 온도를 대역 통과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는 히터의 온도를 0.2Hz 내지 2Hz 범위의 대역 통과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퍼프 센서는 측정된 히터의 온도를 0.2Hz 내지 0.8Hz 범위의 대역 통과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퍼프 발생 구간에서,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의 변화량이 클수록 퍼프의 크기가 크고,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66초 ~ 68초인 구간에서 측정된 값의 변화량보다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40초 ~ 42초인 구간에서 측정된 값의 변화량이 더 크므로, 66초 ~ 68초인 구간보다 40초 ~ 42초인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더 많을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래프 A는 퍼프 센서가 측정한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른 히터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래프 B는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른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의 가로축은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단위는 0.1초일 수 있다.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0.1초인 부분과 인접한 세로축은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히터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70초인 부분과 인접한 세로축은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가로 화살표(a)는 퍼프 발생 구간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 화살표(b)는 차이값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 구간을 1개의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임계값은,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8.0초 ~ 8.5초인 구간은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41.5 ~ 42.5인 구간은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50.0초 ~ 51.0초인 구간은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미만이므로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발생 구간에서 측정된 값의 최댓값에서 기준 임계값을 감산한 차이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8.0초 ~ 8.5초인 구간은 퍼프 발생 구간일 수 있고, 8.0초 ~ 8.5초인 구간에서 측정된 값의 최댓값은 0.28일 수 있다. 기준 임계값이 0.17인 경우, 8.0초 ~ 8.5초인 구간에서 측정된 값의 최댓값에서 기준 임계값을 감산한 차이값은 0.11일 수 있다.
차이값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차이값이 클수록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많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차이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8.0초 ~ 8.5초인 구간에서 차이값은 23.0초 ~ 23.5초인 구간에서의 차이값보다 작을 수 있다. 23.0초 ~ 23.5초인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은 8.0초 ~ 8.5초인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보다 많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41.5초 ~ 42.5초인 구간에서 차이값은 23.0초 ~ 23.5초인 구간에서 차이값보다 클 수 있다. 23.0초 ~ 23.5초인 구간보다 41.5초 ~ 42.5초인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이 더 많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발생 구간마다 차이값들을 누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가 가열되는 시간이 0.1초부터 35초일 동안 3개의 퍼프 발생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3개의 퍼프 발생 구간의 차이값이 각각 0.11, 0.31, 0.3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차이값들의 누적값이 0.72라고 계산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 및 차이값들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총 기화량은 1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어 기화되는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총 기화량은 기 설정될 수 있고, 디지털 필터링된 신호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기화량은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기 설정된 퍼프 수만큼 각각 흡입하였을 때, 각각의 누적값들의 평균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총 기화량 및 현재까지의 차이값들의 누적값을 기초로 현재까지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 및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기화량이 3.0이고, 현재까지의 차이값들의 누적값이 0.72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현재까지의 기화량은 0.72이고, 잔량은 2.28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누적값을 감산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기화량이 3.0이고, 누적값이 0.72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3.0에서 0.72를 감산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2.28임을 계산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퍼프 수를 기 설정된 추가 퍼프 수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기준 잔량은 사용자가 1회 이상의 퍼프를 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퍼프 수는 사용자가 1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이용하여 퍼프할 수 있는 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 퍼프 수는 기 설정된 퍼프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퍼프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 퍼프 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많은 경우 추가 퍼프 수는 많이 증가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적은 경우 추가 퍼프 수는 적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0.1이고, 기 설정된 기준 잔량이 0.07이고, 기 설정된 퍼프 수가 14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준 잔량 이상이므로 기 설정된 퍼프 수를 14회에서 1회 추가된 15회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0.2이고, 기 설정된 기준 잔량이 0.07이고, 기 설정된 퍼프 수가 14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준 잔량 이상이므로 기 설정된 퍼프 수를 14회에서 2회 추가된 16회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퍼프 수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0.05이고, 기 설정된 기준 잔량이 0.07이고, 기 설정된 퍼프 수가 14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준 잔량 미만이므로 기 설정된 퍼프 수를 14회로 유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증가된 퍼프 수에 대응되도록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퍼프 수가 증가되고, 히터의 가열 시간이 증가됨으로써,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더 흡입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1 내지 도 3의 제어부(120) 및 도 5의 제어부(53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10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하고(단계 1020),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작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퍼프 발생 구간의 차이값을 측정하고, 퍼프 발생 구간마다 차이값들을 누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될 때 마다 퍼프 발생 구간의 차이값들을 누적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counte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카운터는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단계 1040). 예를 들어, 카운터는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될 때 마다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 105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에서 카운트된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퍼프 수가 14회이고, 카운트된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가 11이고,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가 3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에서 카운트된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라고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판단하기 위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퍼프 수에서 카운트된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가 소진되기 전 기 설정된 퍼프 수를 미리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가된 기 설정된 퍼프 수에 따라 지속적으로 퍼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에서 카운트된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차이값들의 누적값을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1060).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차이값들의 누적값을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 및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단계 1070).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차이값들의 누적값을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이 아닌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퍼프 수 및 히터의 가열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단계 1080).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차이값들의 누적값을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기 설정된 퍼프 수 및 히터의 가열 시간이 제어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낭비가 방지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n13760: 히터
140: 증기화기 200: 에어로졸 생성 물품
210: 담배 로드 220: 필터 로드
230: 캡슐 240: 래퍼
241: 제1 래퍼 242, 243, 244: 래퍼들
245: 단일 래퍼 5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510: 히터 520: 퍼프 센서
530: 제어부

Claims (10)

  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는 퍼프 센서;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센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고,
    디지털 필터링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상기 측정된 값으로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값이 기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 구간을 퍼프 발생 구간으로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발생 구간에서 상기 측정된 값의 최댓값에서 상기 기준 임계값을 감산한 차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발생 구간마다 차이값들을 누적하고, 기 설정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 및 상기 차이값들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상기 누적값을 감산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계산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퍼프 수를 증가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상기 누적값을 감산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계산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퍼프 수를 유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총 기화량에서 상기 누적값을 감산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을 계산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퍼프 발생 구간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counter)를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퍼프 수에서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개수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잔여 퍼프 수인 경우, 상기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가열 시간 및 기 설정된 퍼프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
    퍼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퍼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기화량에 기초하여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00842A 2021-01-05 2021-01-05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098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842A KR20220098932A (ko) 2021-01-05 2021-01-05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8/038,609 US20240008549A1 (en) 2021-01-05 2021-12-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time of heater
EP21917969.4A EP4221525A4 (en) 2021-01-05 2021-12-28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IME OF A HEATER
CN202180088222.1A CN116685222A (zh) 2021-01-05 2021-12-28 气溶胶生成设备和用于对加热器的加热时间进行控制的方法
PCT/KR2021/095142 WO2022149808A1 (en) 2021-01-05 2021-12-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time of heater
JP2023540823A JP2024501747A (ja) 2021-01-05 2021-12-28 ヒータの加熱時間を制御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A3198011A CA3198011A1 (en) 2021-01-05 2021-12-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time of heater
KR1020230094056A KR102625305B1 (ko) 2021-01-05 2023-07-19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842A KR20220098932A (ko) 2021-01-05 2021-01-05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056A Division KR102625305B1 (ko) 2021-01-05 2023-07-19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932A true KR20220098932A (ko) 2022-07-12

Family

ID=823582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842A KR20220098932A (ko) 2021-01-05 2021-01-05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0230094056A KR102625305B1 (ko) 2021-01-05 2023-07-19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056A KR102625305B1 (ko) 2021-01-05 2023-07-19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08549A1 (ko)
EP (1) EP4221525A4 (ko)
JP (1) JP2024501747A (ko)
KR (2) KR20220098932A (ko)
CN (1) CN116685222A (ko)
CA (1) CA3198011A1 (ko)
WO (1) WO2022149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0171D0 (en) * 2014-06-09 2014-07-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US9888725B2 (en) * 2015-07-28 2018-02-13 Lunatech, Llc Inhalation puff counter gauge and display system
EA036912B1 (ru) * 2016-07-27 2021-01-14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картридж и ароматизирующий блок
US11771138B2 (en) * 2017-04-11 2023-10-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restriction func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0545682A (zh) * 2017-04-11 2019-12-06 韩国烟草人参公社 提供基于抽吸识别的适应性反馈的气溶胶生成设备及方法
KR102400621B1 (ko) * 2018-02-06 2022-05-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9243464A1 (en) * 2018-06-21 2019-12-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mproved control of aerosol production i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KR102376515B1 (ko) * 2018-07-05 2022-03-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1772247A (zh) * 2020-08-13 2020-10-16 深圳市菲墨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雾化加热控制方法、装置及雾化器主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305B1 (ko) 2024-01-15
CN116685222A (zh) 2023-09-01
EP4221525A1 (en) 2023-08-09
EP4221525A4 (en) 2024-04-03
WO2022149808A1 (en) 2022-07-14
JP2024501747A (ja) 2024-01-15
KR20230113503A (ko) 2023-07-31
CA3198011A1 (en) 2022-07-14
US20240008549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294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343251B2 (ja) シガレット及びシガレット用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4121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5178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통해 흡연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11726996B (zh) 气溶胶生成装置、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9004939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39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2527343B1 (ko)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19001043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보정 방법
KR102625305B1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JP2024506218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2503276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8708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7338934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が過湿状態であるか否かを判断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390403B2 (ja) 圧力センサ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6993052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KR2021015568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576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0205A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03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