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688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688A
KR20210155688A KR1020200073236A KR20200073236A KR20210155688A KR 20210155688 A KR20210155688 A KR 20210155688A KR 1020200073236 A KR1020200073236 A KR 1020200073236A KR 20200073236 A KR20200073236 A KR 20200073236A KR 20210155688 A KR20210155688 A KR 2021015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erosol generating
cigarette
mod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535B1 (ko
Inventor
정순환
하성훈
권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35B1/ko
Priority to EP21728151.8A priority patent/EP3954237B1/en
Priority to PCT/KR2021/002181 priority patent/WO2021256659A1/ko
Priority to CN202180005252.1A priority patent/CN114364274B/zh
Priority to JP2021533655A priority patent/JP7180952B2/ja
Priority to US17/299,130 priority patent/US20230346044A1/en
Publication of KR2021015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 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제2 히터 및 장치가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장소나 환경의 제약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무연 흡연 및 유연 흡연 각각의 장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무연 흡연 및 유연 흡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연 모드 및 유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 상기 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장치가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장치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상기 장치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궐련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고, 상기 제2 히터는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가 장소나 환경에 제약 받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개별적 제어를 통해 가시적인 연기의 발생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 모드에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모드에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의 삽입에 기초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제1 히터(13)와 제2 히터(14)는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히터(13) 및/또는 제2 히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히터(13) 및/또는 제2 히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제1 히터(13) 또는 제2 히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프로세서(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배터리(11),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1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제1 히터(13)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제1 히터(13)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13)는 전기 절연성 기질(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된 기질) 및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제1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제1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히터(13)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제1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히터(13)들은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히터(13)들 중 일부는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히터(14)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히터(14)에 의해 가열되어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제2 히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5)는 액체 저장부 및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카트리지(15)는 제2 히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제2 히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제2 히터(14)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히터(14)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한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4)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히터(14)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히터(14)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배터리(1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히터(13)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의 제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의 전체 및 제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궐련(2)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2)은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부분은 담배 로드(21)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22)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은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은 2 이상의 래퍼(24)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가 포장되고, 제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가 결합되고, 제3 래퍼에 의하여 궐련(2)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 또는 필터 로드(22)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에 있어서, 필터 로드(22)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카트리지(15) 및 본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는 도 1 및 도 2의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및 카트리지(15)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카트리지(1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15)에 저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일 수 있다.
본체(40)에는 카트리지(15)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40)는 카트리지(15)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40)의 일 측면에 카트리지(15)가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40)에 카트리지(15)가 결합되는 경우 본체(40)와 카트리지(15)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는 궐련(2)을 가열할 수 있고, 제2 히터(14)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는 각각 독립적인 히터로서 프로세서(12)의 제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중 하나만을 가열하거나, 각각을 개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가시적인 연기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연 모드에서 가시적인 연기가 포함되지 않은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에서 가시적인 연기가 포함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무화량 또는 에어로졸에 포함된 물질들의 포화 정도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되더라도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더라도(즉, 무연 모드에서도) 니코틴 및 향미 등의 성분이 이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무연 모드 및 유연 모드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각각에 상이한 양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가 각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니코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모두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에게 적은 양의 니코틴이 제공되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하나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제공할 수 있는 가장 많은 양의 니코틴을 제공하기 위해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각각에 대해 설정 가능한 가장 높은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모드 및 온도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에 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됨에 따라 제1 히터(13) 및/또는 제2 히터(14)를 동작시킬 수 있다. 궐련(2)의 삽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 모드에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카트리지(15) 및 본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연 모드에서 가시적인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에는 가시적인 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무연 모드에서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지 않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제1 히터(13)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만을 동작시킴으로써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중 궐련(2)만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무연 모드에서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제1 히터(13)만을 동작시키며, 궐련(2)이 제1 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온도는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될 수 있는 임계 온도로서, 제1 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는 경우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고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될 수 있다. 제1 온도는 궐련(2)에 포함되는 물질들의 종류 및 구성 비율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 온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15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1 온도의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궐련(2)에 pH 조절제가 포함되거나 열 처리가 이뤄짐에 따라, 궐련(2)이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유연 모드에 비해 저온으로 궐련(2)이 가열되는 무연 모드에서도 궐련(2)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니코틴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무연 모드 또는 유연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동작하더라도, 궐련(2)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니코틴이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모드에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프로세서(12), 제1 히터(13), 제2 히터(14), 카트리지(15) 및 본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에서 가시적인 연기가 포함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에서 궐련(2)뿐 아니라 카트리지(15)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또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가시적인 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궐련(2) 및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모두가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모두를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기화된 에어로졸에는 가시적인 연기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유연 모드에서 궐련(2)이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를 제어함으로써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는 궐련(2)이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고,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모두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될 수 있고,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경우에 비해 많은 양의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에서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중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만을 가열함으로써 가시적인 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제2 히터(14)만을 동작시키고,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무연 모드 및 유연 모드에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이거나 별도의 입력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버튼을 통해 무연 모드 또는 유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횟수 또는 지속하여 누르는 입력 시간에 따라 무연 모드 또는 유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무연 모드 및 유연 모드에 각각에 대응되는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무연 모드 및 유연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후술할 제2 사용자 입력 및 제3 사용자 입력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입력은 궐련(2)의 삽입일 수 있다. 궐련(2)의 삽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방법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장 최근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있는 경우, 제3 사용자 입력이 있는 때마다 모드 선택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가장 최근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프로세서(12)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제3 사용자 입력이 있는 때마다 모드 선택이 동반되어야만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는 모드 선택에 대한 기록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제3 사용자 입력과 모드 선택이 동반된 경우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동작하고, 제3 사용자 입력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드 선택이 없는 경우 이전에 가장 빈도가 높게 선택되었던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제1 히터(13) 또는 제2 히터(14)에 대응되는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8의 N 및 M은 자연수이다. 한편, 온도 프로파일이란 시간 경과에 따른 히터의 온도 변화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온도 프로파일은 1회의 흡연 동작 내의 시간 경과에 따른 히터의 온도 변화를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제1 히터(13) 또는 제2 히터(14)에 대한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해당한다. 프로세서(12)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1 히터(13) 또는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히터가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에게 상이한 흡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모드 내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흡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에 대해 제1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온도범위는 무연 모드에서의 제1 히터(13)에 대한 온도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온도범위로서,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될 수 있는 임계 온도 미만의 온도범위에 해당한다. 제1 온도범위는 궐련(2)에 포함되는 물질들의 종류 및 구성 비율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범위는 제1 온도 미만의 온도범위일 수 있으며, 100℃ 이상 150℃ 미만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1 온도범위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에 대해 제2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 및 제2 히터(14)에 대해 제3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온도범위는 유연 모드에서의 제1 히터(13)에 대한 온도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온도범위에 해당하고, 제3 온도범위는 유연 모드에서의 제2 히터(14)에 대한 온도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온도범위에 해당한다. 제2 온도범위 및 제3 온도범위는 각각에 포함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가 가열될 경우, 카트리지(15)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온도범위는 제1 온도 이상의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범위일 수 있고, 제3 온도범위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기화점 이상의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연 모드에서 제1 히터(13)에 대해, 궐련(2)으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온도 프로파일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제2 히터(14)를 동작시키지 않을 것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연 모드에서 제2 히터(14)에 대해,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온도 프로파일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제1 온도범위 내의 온도 프로파일 또는 제1 히터(13)를 동작시키지 않을 것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유연 모드에서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각각에 대해, 카트리지(15)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궐련(2) 모두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0)에 표시되고, 제2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방법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9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에 대해 제1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에 대해 제2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 및 제2 히터(14)에 대해 제3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궐련(2)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궐련(2)의 삽입을 감지하는 방법 및 궐련(2)의 삽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9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히터(13)는 궐련(2)을 가열하고, 제2 히터(14)는 카트리지(15)에 저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제1 히터(13)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이 제1 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모두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를 동작시키고, 궐련(2)이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1 히터(13)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 중 제2 히터(14)만을 동작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무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소나 환경의 제약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유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의 삽입에 기초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방법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10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선택된 모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궐련(2)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궐련(2)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인덕턴스 센서, 광 센서, 기계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정전용량 센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가 인덕턴스 센서인 경우 센서는 궐련(2)이 삽입되었을 때 변화하는 인덕턴스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센서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2)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단계 104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단계 1020에서 저장된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105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의 가열 동작을 종료하고, 단계 106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6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한 모드 변경이 없는 경우 단계 1030를 수행하고, 단계 1030에서,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단계 104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모드와 동일한 모드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별도의 제1 사용자 입력 없이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단계 104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이전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106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한 모드 변경이 있는 경우 단계 102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모드와 상이한 모드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단계 1020를 수행하고, 단계 1060에서 선택된 모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궐련(2)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단계 1040를 수행하고, 가장 최근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제1 히터(13) 및 제2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궐련
11: 배터리 12: 프로세서
13: 제1 히터 14: 제2 히터
15: 카트리지 21: 담배 로드
22: 필터 로드 23: 캡슐
24: 래퍼 40: 본체
7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4)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
    상기 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장치가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연 모드에서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중 상기 제1 히터만을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궐련이 제1 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1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연 모드에서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모두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연 모드에서 상기 제1 히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궐련이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1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연 모드에서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중 상기 제2 히터만을 동작시키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연 모드 및 상기 유연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에 대해 제1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에 대해 제2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히터에 대해 제3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고, 상기 궐련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니코틴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및 상기 장치로부터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궐련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이전에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고, 상기 제2 히터는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중 상기 제1 히터만을 동작시키고,
    상기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 모두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에 대해 제1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유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히터에 대해 제2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히터에 대해 제3 온도범위 내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00073236A 2020-06-16 2020-06-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5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36A KR102455535B1 (ko) 2020-06-16 2020-06-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1728151.8A EP3954237B1 (en) 2020-06-16 2021-02-22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21/002181 WO2021256659A1 (ko) 2020-06-16 2021-02-22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2180005252.1A CN114364274B (zh) 2020-06-16 2021-02-22 气溶胶生成装置及其工作方法
JP2021533655A JP7180952B2 (ja) 2020-06-16 2021-02-22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17/299,130 US20230346044A1 (en) 2020-06-16 2021-02-22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36A KR102455535B1 (ko) 2020-06-16 2020-06-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688A true KR20210155688A (ko) 2021-12-23
KR102455535B1 KR102455535B1 (ko) 2022-10-17

Family

ID=7685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36A KR102455535B1 (ko) 2020-06-16 2020-06-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6044A1 (ko)
EP (1) EP3954237B1 (ko)
JP (1) JP7180952B2 (ko)
KR (1) KR102455535B1 (ko)
CN (1) CN114364274B (ko)
WO (1) WO2021256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7384A (zh) * 2022-01-20 2023-10-1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05A (ko) 2000-03-23 2002-10-2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흡연장치와 그 방법
US20160157524A1 (en) * 2014-12-05 2016-06-09 Adam Bowen Calibrated dose control
US20170119058A1 (en) * 2015-10-28 2017-05-04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dual function vapor device
KR20200057487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하나의 배터리로 두 개의 히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4894A (en) * 1987-02-17 1988-10-04 Burton R Edward Smokeless burning system and method
US5878752A (en) * 1996-11-25 1999-03-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US7104199B2 (en) * 2003-02-19 2006-09-12 Walker Ronald R Method and apparatus for smokeless pyrotechnic display
US20070074734A1 (en) * 2005-09-30 2007-04-05 Philip Morris Usa Inc. Smokeless cigarette system
CN101822420B (zh) * 2010-04-22 2012-06-27 修运强 一种组合式多功能电子模拟香烟
PL2574247T3 (pl) * 2011-09-28 2020-03-31 Philip Morris Products S.A. Odparowywacz z przepuszczalną elektryczną termoodporną folią i membrana odparowywacza
KR101362494B1 (ko) * 2012-03-07 2014-0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US10004259B2 (en) * 2012-06-28 2018-06-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servoir and heater system for controllable delivery of multiple aerosolizable materials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PT2892370T (pt) * 2012-09-10 2017-02-10 Ght Global Heating Tech Ag Dispositivo para vaporizar líquido para inalação
TWI608805B (zh) * 2012-12-28 2017-12-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產生具有一致性質的氣溶膠之方法
US10194693B2 (en) * 2013-09-20 2019-02-05 Fontem Holdings 1 B.V. Aerosol generating device
US9016274B1 (en) * 2013-10-14 2015-04-28 Jackie L. White Devices for vaporizing and delivering an aerosol agent
CN106455705A (zh) * 2014-01-22 2017-02-22 方特慕控股第私人有限公司 用于吸烟欲望救济的方法和装置
US9833019B2 (en) * 2014-02-13 2017-12-05 Rai Strategic Holdings, Inc. Method for assembling a cartridge for a smoking article
US10287154B2 (en) * 2014-02-28 2019-05-14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CN106455694B (zh) * 2014-05-08 2020-04-28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
CN107105767B (zh) * 2014-11-14 2021-01-01 Jt国际公司 烟雾发生设备的容器
KR101677547B1 (ko) * 2015-03-20 2016-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유지 무연화 가능 전자 담배 장치
ES2864663T3 (es) * 2015-03-26 2021-10-14 Philip Morris Products Sa Gestión de calentadores
MY184477A (en) * 2015-04-30 2021-04-01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O2017001520A1 (en) * 2015-06-30 2017-01-05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with a heated gas sensor
PL3170413T4 (pl) * 2015-11-19 2023-12-04 Fontem Ventures B.V. Elektroniczne urządzenie do palenia z obsługiwanymi niejednocześnie elementami grzejnymi
KR101893642B1 (ko) * 2016-03-25 2018-08-30 황일영 무화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화 장치
WO2017185051A1 (en) * 2016-04-22 2017-10-26 Pax Labs, Inc. Aerosol devices having compartmentalized materials
PT3456149T (pt) * 2016-05-13 2023-08-21 Nicoventures Trading Ltd Aparelho disposto para aquecer material para fumar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 dispositivo de aquecimento
AU2017268810B2 (en) * 2016-05-25 2021-10-28 Juul Labs, Inc. Control of an electronic vaporizer
CN106213588A (zh) * 2016-08-30 2016-12-1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发生装置的工作方法及烟雾发生装置
CN106418702A (zh) * 2016-09-06 2017-02-2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及其温度控制方法和装置
US20180132526A1 (en) * 2016-11-11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EP3750416A3 (en) * 2016-12-16 2021-01-1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267553B (zh) * 2017-02-08 2022-04-12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烟弹及吸入器
JP6871954B2 (ja) * 2017-02-08 2021-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液体の供給方法
US20180325170A1 (en) * 2017-03-06 2018-11-15 Blunt Wrap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Nicotine
CN110381758B (zh) * 2017-03-14 2022-06-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电池供电的气溶胶生成装置的功率管理方法和系统
WO2018190589A2 (ko) * 2017-04-11 2018-10-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흡연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JP2018174802A (ja) * 2017-04-13 2018-11-15 清水 和彦 無煙喫煙具
KR102035313B1 (ko) * 2017-05-26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16961B1 (ko) * 2017-07-21 2020-06-02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JP6967408B2 (ja) * 2017-09-07 2021-11-17 インテレクチュアルディスカバリー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無煙喫煙具
WO2019066228A1 (ko) 2017-09-26 2019-04-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에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131278B1 (ko) * 2017-09-26 2020-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에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RU2738546C2 (ru) * 2017-10-30 2020-12-14 Кейтиэнддж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8185537B (zh) * 2018-02-26 2020-11-20 冷朝阳 一种气溶胶生成装置及气溶胶生成制品
US20190274354A1 (en) * 2018-03-09 2019-09-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ally heated heat-not-burn smoking article
US10932490B2 (en) * 2018-05-16 2021-03-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Atomizer and aerosol delivery device
WO2020006311A1 (en) * 2018-06-27 2020-01-02 Juul Labs, Inc. Connected vaporizer device systems
WO2020026311A1 (ja) * 2018-07-30 2020-02-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用の巻紙、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及び電気加熱型喫煙システム
JP6924904B2 (ja) 2018-08-24 2021-08-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288134A (zh) * 2018-10-23 2019-02-01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电子烟及电子烟抽烟控制方法、系统
KR102194730B1 (ko) * 2018-11-16 2020-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제1히터 및 제2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102317838B1 (ko) * 2018-11-16 2021-10-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203852B1 (ko) * 2018-11-16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CN111436023A (zh) * 2019-01-12 2020-07-21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的控制方法和装置
CN110693096A (zh) * 2019-09-09 2020-01-17 筑思有限公司 电子烟加热系统、电子烟及电子烟加热控制方法
CN111011928A (zh) * 2019-11-21 2020-04-17 南京智晟达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能降低危害的电子烟雾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05A (ko) 2000-03-23 2002-10-2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흡연장치와 그 방법
US20160157524A1 (en) * 2014-12-05 2016-06-09 Adam Bowen Calibrated dose control
US20170119058A1 (en) * 2015-10-28 2017-05-04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dual function vapor device
KR20200057487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하나의 배터리로 두 개의 히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535B1 (ko) 2022-10-17
CN114364274A (zh) 2022-04-15
EP3954237B1 (en) 2023-08-30
JP7180952B2 (ja) 2022-11-30
EP3954237A1 (en) 2022-02-16
US20230346044A1 (en) 2023-11-02
CN114364274B (zh) 2023-11-17
WO2021256659A1 (ko) 2021-12-23
JP2022542728A (ja) 2022-10-07
EP3954237A4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784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90049420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121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612034A (zh) 具有检测卷烟插入功能的气溶胶生成装置及方法
KR20200057487A (ko) 하나의 배터리로 두 개의 히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5721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2343350B1 (ko) 복수의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19004939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1043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4964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553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3503A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KR2022000388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49646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291241B2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
KR102558009B1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5443079A (zh) 判断气溶胶生成物品是否为过湿状态的气溶胶生成装置
KR20210000205A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9629A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8401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62576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2212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5852B1 (ko)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