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30B1 -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30B1
KR102500830B1 KR1020200110592A KR20200110592A KR102500830B1 KR 102500830 B1 KR102500830 B1 KR 102500830B1 KR 1020200110592 A KR1020200110592 A KR 1020200110592A KR 20200110592 A KR20200110592 A KR 20200110592A KR 102500830 B1 KR102500830 B1 KR 10250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article
value
threshol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38A (ko
Inventor
이재민
조지현
정헌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1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30B1/ko
Priority to EP21814665.2A priority patent/EP3986179A4/en
Priority to PCT/KR2021/009958 priority patent/WO2022045605A1/en
Priority to CN202180004066.6A priority patent/CN114466602B/zh
Priority to JP2021574745A priority patent/JP7390403B2/ja
Priority to US17/617,778 priority patent/US2023016531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puff)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PRESSURE SENSOR}
본 개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히터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퍼프의 발생에 의해 순간적으로 낮아진 히터의 온도를 보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센서가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제약사항이 증가되는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소형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단일의 센서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여부 및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puff)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 및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되고, 단일의 센서가 이용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히터(1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를 포함하지만,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증기화기(14)가 생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증기화기(14)가 생략되는 경우 히터(13)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가열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품(2) 및/또는 증기화기(14)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배터리(1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가 가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일반적인 연소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4에는 필터 로드(22)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필터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2 이상의 래퍼(24)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 또는 필터 로드(22)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에 있어서, 필터 로드(22)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미도시)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압력 센서(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배터리(51), 제어부(52), 히터(54), 및 궐련(5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2)에 각각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궐련(56)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53)는 궐련(56)을 수용하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3)는 수용부 내부의 기류 통로(55)를 통과하는 기류의 변화에 의한 수용부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기류 통로(5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일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일 수도 있다.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공기는 기류 통로(5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공기는 기류 통로(5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압력 변화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궐련(56)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류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압력 센서(53)는 기류 변화가 없는 상태(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기준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므로,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압력 센서(5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궐련(56)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압력 센서(53)는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압력 센서(53)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이 변화되는 방향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53)의 구조 또는 배치에 따라 압력 변화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3)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하고, 궐련(56)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압력 변화는 사용자의 퍼프 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56)을 퍼프하는 경우, 궐련(56)을 통해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5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기준값은 수용부 내부의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에서 1기압을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25℃에서 1기압을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0℃에서 0.9기압 내지 1.1기압의 범위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준값은 고정된 값일 수도 있고, 가변되는 값일 수도 있다. 기준값은 주변 압력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산 지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사용하는 경우, 기준값은 사용자가 평지에 있는 경우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기류 통로(5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5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되면, 압력 센서(53)는 기준값으로부터 230pa 감소된 101070pa를 출력할 수 있다.
궐련(56)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기류 통로(5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53)는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궐련(56)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면, 압력 센서(53)는 기준값으로부터 290pa 증가된 101590pa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프하는 경우, 기류 통로(5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53)는 기준값으로부터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되면, 압력 센서(53)는 기준값으로부터 910pa 감소된 100390pa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는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궐련(56)이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 및 궐련(56)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2)는 수용부로부터 궐련(56)이 제거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52)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보다 감소한 값이고,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52)는 수용부에 궐련(56)이 삽입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는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고, 5초 후에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는 압력 센서(53)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고, 2회 이상의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복수 개의 히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히터들은 2개 또는 3개일 수도 있고, 3개보다 많을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히터들은 각각 가열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시키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히터들 중 제1 히터는 수용부에 궐련(56)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면 궐련(56)을 가열시키고, 복수 개의 히터들 중 제2 히터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되는 경우 궐련(56)이 아닌 다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를 들어, 카트리지)을 가열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5초인 경우,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 이후, 5초 이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5초인 경우,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 이후, 5초 이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의 가열 동작을 유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히터(54)의 가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가 궐련(56)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고, 궐련(56)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54)의 가열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는 사용자의 퍼프가 반복됨에 따라 누적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히터(54)의 가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예시들에서 5초 또는 14회차 등의 수치는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적절한 수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6)는 본체(67)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6), 배터리(61), 제어부(62), 압력 센서(63), 히터(64) 및 기류 통로(65)는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배터리(51), 제어부(52), 압력 센서(53), 히터(54) 및 기류 통로(55)에 대응되고, 도 6의 카트리지(66)는 도 2 및 도 3의 증기화기(14)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카트리지(66)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시일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6)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66)와, 카트리지(66)를 지지하는 본체(67)를 포함한다.
카트리지(66)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67)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66)의 일부분이 본체(67)의 수용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66)가 본체(67)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66)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6)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는 액체 저장부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6)는 본체(67)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6)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67)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6)는 본체(67) 및 카트리지(66)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6)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67) 및 카트리지(66)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6)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67) 및 카트리지(66)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6)가 본체(67) 및 카트리지(66)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64)는 카트리지(66)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64)가 카트리지(66)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64)는 본체(67)에 위치한 배터리(6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64)는 카트리지(66)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66)는 히터(64),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64)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64)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63)는 카트리지(66)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는 수용부 내부의 기류 통로(65)를 통과하는 기류의 변화에 의한 수용부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공기는 기류 통로(6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공기는 기류 통로(6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압력 변화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카트리지(66)가 수용부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류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압력 센서(63)는 기류 변화가 없는 상태(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기준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므로,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카트리지(66)가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압력 센서(63)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이 변화되는 방향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63)의 구조 또는 배치에 따라 압력 변화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63)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하고, 카트리지(66)기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압력 변화는 사용자의 퍼프 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트리지(66)를 퍼프하는 경우, 기류 통로(65)를 통해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어 본체(67)와 결합되는 경우, 기류 통로(6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압력 센서(63)는 기준값으로부터 230pa 감소된 101070pa를 출력할 수 있다.
카트리지(66)가 수용부로부터 제거되어 본체(67)와 분리되는 경우, 기류 통로(6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증가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카트리지(66)가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면, 압력 센서(63)는 기준값으로부터 290pa 증가된 101590pa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프하는 경우, 기류 통로(65)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63)는 기준값보다 감소된 압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되면, 압력 센서(63)는 기준값으로부터 910pa 감소된 100390pa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2)는 압력 센서(63)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카트리지(66)가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카트리지(66)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6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62)는 수용부로부터 카트리지(66)가 제거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력 센서(6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6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62)는 수용부에 카트리지(66)가 삽입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64)가 카트리지(66)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64)가 카트리지(66)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5초인 경우,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 이후, 5초 이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64)가 카트리지(66)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64)가 카트리지(66)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는 카트리지(66)가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히터(64)의 가열 동작을 유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히터(64)의 가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후술한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의 가로축은 압력 변화가 발생한 시간(t)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압력 센서(예를 들어, 도 5의 압력 센서(53) 또는 도 6의 압력 센서(63))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P)을 의미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수용부 내부의 압력에 대응되는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은 기준값보다 증가 또는 감소된 값일 수 있다.
제어부(예를 들어, 도 5의 제어부(52) 또는 도 6의 제어부(62))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은 증가할 수 있고,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은 기준값보다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양의 값일 수 있고, 제1 임계값 또한 양수일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보다 커지면,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150pa ~ 250pa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은 200pa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이 200pa이고, 기준값이 100410pa인 경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100700pa이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29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임계값이 160pa이고, 기준값이 100310pa인 경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100650pa이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34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력 센서가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부가 압력 센서로부터 출력된 압력과 기준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는 수용부 내부 압력에 대응되는 값이 아니라,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에 대응되는 값(차이 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된 경우, 압력 센서는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증가량을 양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감소된 경우, 압력 센서는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감소량을 음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증가량에 대응되는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임계값이 설정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또는 제거에 의한 압력 변화, 사용자의 퍼프에 의한 압력 변화가 구별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또는 제거에 의하지 않은 압력 변화, 사용자의 퍼프에 의하지 않은 압력 변화, 노이즈 등이 필터링될 수 있다.
임계값은 고정된 값일 수도 있고, 가변되는 값일 수도 있다. 기준값이 가변되는 경우, 임계값은 기준값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이 환경 변화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게 설정된 경우, 임계값은 기준값이 낮게 설정된 만큼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임계값은 사용자의 퍼프 프로파일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앞서 서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그래프의 가로축은 압력 변화가 발생한 시간(t)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P)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7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은 감소할 수 있고,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은 기준값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음의 값일 수 있고, 제2 임계값 또한 음수일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아지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1200pa ~ -800pa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값은 -1000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임계값이 -1000pa이고, 기준값이 100410pa인 경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99400pa이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101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임계값이 -900pa이고, 기준값이 100410pa인 경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99600pa이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81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력 센서가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부가 압력 센서로부터 출력된 압력과 기준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는 수용부 내부 압력에 대응되는 값이 아니라,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에 대응되는 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된 경우, 압력 센서는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증가량을 양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감소된 경우, 압력 센서는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감소량을 음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기준값으로부터 압력의 감소량에 대응되는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압력 변화가 발생한 시간(t)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P)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8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임계값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고, 제3 임계값은 음수일 수 있다. 제3 임계값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절대값이 더 작을 수 있다.
제3 임계값은, -250pa ~ -150pa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임계값은 -200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임계값이 -1000pa이고, 제3 임계값이 -200pa이고,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100200pa이고,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은 -110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임계값이 -1000pa이고, 제3 임계값이 -200pa이고,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100700pa이고,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차이 값은 -600pa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므로,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는 경우 모두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므로, 각각의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임계값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임계값들만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구분할 경우,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됨에 따라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는 과정에서도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가 되는 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임계값들 외에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는 결정을 철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값이 -1000pa이고, 제3 임계값이 -200pa이고, 기준값이 101300pa인 경우, 차이 값이 -800pa 과 -500pa 사이의 값인 상태가 0.5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는 결정을 철회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시간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는 시간보다 짧을 수 있으므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는 경우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는 결정이 철회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가 아님이 인식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가 구별될 수 있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프(10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평균적인 속도로 제거되는 경우의 압력 변화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그래프(1020)는 제1 그래프(1010)의 경우보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천천히 제거되는 경우의 압력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의 제1 그래프(1010) 및 제2 그래프(1020)의 가로축은 압력 변화가 발생한 시간(t)을 의미할 수 있고, 세로축은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P)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사용자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삽입 또는 제거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속도가 사용자마다 상이하더라도, 시간에 따라 누적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에 의한 압력 변화량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평균적인 속도로 삽입되는 경우와 평균적인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린 속도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이 아니더라도, 차이 값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면적은 가로축이 압력 변화가 발생한 시간(t)이고 세로축이 차이 값(P)인 경우, 특정 구간에서 차이 값을 적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그래프(1010)에서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예를 들어, a 구간)의 면적은 음영 처리한 부분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그래프(1020)에서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예를 들어, b 구간)의 면적은 음영 처리한 부분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이 1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4 임계값은, 40pa ~ 60pa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임계값은 50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3pa*s ~ 50pa*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임계값이 40pa이고, 제1 그래프(1010)에서 a 구간이 0.03초이고, a 구간의 면적이 6pa*s면,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3pa*s 이상 50pa*s 이하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히터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4 임계값이 40pa이고, 제2 그래프(1020)에서 b 구간이 0.4초이고, b 구간의 면적이 45pa*s면,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3pa*s 이상 50pa*s 이하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가 아니더라도, 차이 값이 제2 임계값보다 큰 제5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5 임계값은, -60pa ~ -40pa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임계값은 -50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3pa*s ~ 50pa*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임계값이 -40pa이고,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이 0.03초이고, 0.03초인 구간의 면적이 6pa*s면,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3pa*s 이상 50pa*s 이하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히터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5 임계값이 -40pa이고,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이 0.4초이고, 0.4초인 구간의 면적이45pa*s면,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3pa*s 이상 50pa*s 이하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는 속도를 고려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또는 제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이 보다 낮게 설정되더라도 임계값 이상의 구간의 면적을 고려하므로, 바람 등의 외부 환경 요인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는 것을 구별할 수 있다.
도 1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 설정된 시간(tp) 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 c 구간 및 d구간일 수 있다. 도 11은 도 8 및 도 10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기 설정된 시간(tp) 내 차이 값이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의 구간이 복수 개인 경우, 각 구간들의 면적의 합에 기초하여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3pa*s ~ 50pa*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변화가 감지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 c 구간의 면적이 4pa*s고, d 구간의 면적이 20pa*s인 경우, c 구간의 면적 및 d 구간의 면적의 합은 24pa*s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력 변화가 감지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 c 구간의 면적이 1pa*s고, d 구간의 면적이 1.5pa*s인 경우, c 구간의 면적 및 d 구간의 면적의 합은 2.5pa*s이므로, 제어부는 수용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시간(tp) 내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제5 임계값 이하인 경우의 구간이 복수 개인 경우, 각 구간들의 면적의 합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e 구간은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경우를 의미하고, f 구간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사용자의 퍼프 시 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퍼프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퍼프하는 속도가 다르더라도 사용자가 1회의 퍼프 시 흡입하는 공기의 총량은 유사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누적된 퍼프에 의한 압력 변화량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평균적인 속도로 퍼프하는 경우와 평균적인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린 속도로 퍼프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가 아니더라도, 차이 값이 제2 임계값보다 큰 제5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 임계값은 -60pa ~ -40pa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임계값은 -50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1000pa*s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f 구간의 면적이 2000pa*s이고, e 구간의 면적이 30pa*s인 경우, f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1000pa*s 이상이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f 구간에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e 구간의 면적이 기준 면적인 1000pa*s 이상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e 구간에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의 압력 변화량은 사용자가 퍼프하는 경우의 압력 변화량과 상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의 압력 변화량은 사용자가 퍼프하는 경우의 압력 변화량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누적된 퍼프에 의한 압력 변화량은, 시간에 따라 누적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에 의한 압력 변화량과 구별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경우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가 아니더라도 차이 값이 기준값으로부터 제2 임계값보다 큰 제5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의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은,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의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1000pa*s 이상일 수 있고,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은 60pa*s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 값이 제5 임계값 이하인 f 구간의 면적이 2500pa*s이고, e 구간의 면적이 20pa*s인 경우, f 구간의 면적이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인 1000pa*s 이상 이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f 구간에서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e 구간의 면적이 수용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면적인 60pa*s 이하 이므로 e 구간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 배터리 12: 제어부
13: 히터 14: 증기화기
21: 담배 로드 22: 필터 로드
23: 캡슐 24: 래퍼
100: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에어로졸 생성 장치
51: 배터리 52: 제어부
53: 압력 센서 54: 히터
55: 기류 통로 56: 궐련
6: 에어로졸 생성 장치 61: 배터리
62: 제어부 63: 압력 센서
64: 히터 65: 기류 통로
66: 카트리지 67: 본체
1010: 제1 그래프 1020: 제2 그래프

Claims (14)

  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기준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puff)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상기 기준값을 감산한 차이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차이 값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양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음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3 임계값은 음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절대값이 더 작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2 임계값 초과 상기 제3 임계값 이하인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다는 결정을 철회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제4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4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거된 것으로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제5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제5 임계값 이하인 구간의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또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면적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면적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히터의 가열 동작을 유지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사용자의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히터의 가열 동작을 중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150pa ~ 250pa 범위 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임계값은, -1200pa ~ -800pa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임계값은, -250pa ~ -150pa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임계값은, 40pa ~ 60pa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임계값은, -60pa ~ -40pa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110592A 2020-08-31 2020-08-3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0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92A KR102500830B1 (ko) 2020-08-31 2020-08-3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21814665.2A EP3986179A4 (en) 2020-08-31 2021-07-30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PRESSURE SENSOR
PCT/KR2021/009958 WO2022045605A1 (en) 2020-08-31 2021-07-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pressure sensor
CN202180004066.6A CN114466602B (zh) 2020-08-31 2021-07-30 包括压力传感器的气溶胶生成装置
JP2021574745A JP7390403B2 (ja) 2020-08-31 2021-07-30 圧力センサ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7/617,778 US20230165313A1 (en) 2020-08-31 2021-07-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92A KR102500830B1 (ko) 2020-08-31 2020-08-3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38A KR20220028938A (ko) 2022-03-08
KR102500830B1 true KR102500830B1 (ko) 2023-02-16

Family

ID=7882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92A KR102500830B1 (ko) 2020-08-31 2020-08-3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5313A1 (ko)
EP (1) EP3986179A4 (ko)
JP (1) JP7390403B2 (ko)
KR (1) KR102500830B1 (ko)
CN (1) CN114466602B (ko)
WO (1) WO2022045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860B1 (ko) * 2018-11-23 2022-04-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4397A1 (en) 2015-06-25 2016-12-29 Geoffrey Brandon Jordan Electronic vaping device having pressure sensor
WO2018184861A1 (en) * 2017-04-07 2018-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liquid storage portion
WO2019096983A1 (en) 2017-11-16 2019-05-2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Consumable ventilation control
WO2020009457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R4906A (es) *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CN1131676C (zh) * 1994-02-25 2003-12-24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传送烟香的电吸烟系统和烟卷
GB201412600D0 (en) * 2014-07-16 2014-08-27 Strutt Benjamin J And Bititsios Stergios And Cane Michael R Inhalation device with a touch or proximity sensitive user interface which controls the device functionality when specific gestures are performed by the user
PL3548128T3 (pl) 2016-11-29 2022-12-19 Philip Morris Products S.A. Układ wytwarzania aerozolu z regulowanym natężeniem przepływu pompy
KR102246245B1 (ko) * 2017-03-30 2021-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UA126477C2 (uk) 2017-03-30 2022-10-12 Кт & Г Корпорейшон Пристрій для генерування аерозолю та люлька, здатна його приймати
US11771138B2 (en) * 2017-04-11 2023-10-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restriction func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07080291A (zh) * 2017-05-19 2017-08-2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子烟的控制方法及电子烟
KR102231228B1 (ko)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160936B2 (en) 2017-06-23 2021-11-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Non-combustible vaping device
KR20190010432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CN207383530U (zh) * 2017-09-05 2018-05-22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加热不燃型电子烟具
KR102180421B1 (ko) * 2017-10-30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23786B1 (ko) * 2018-06-18 2021-11-09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08968154A (zh) 2018-08-01 2018-12-11 声海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香烟用具及其工作方法
US20200085097A1 (en) 2018-09-14 2020-03-19 R.J. Reynolds Tobacco Products Product use and behavior monitoring instrument
CN110916252B (zh) * 2018-09-18 2022-07-05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发热件的管理方法和装置
KR102203851B1 (ko)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94730B1 (ko) * 2018-11-16 2020-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제1히터 및 제2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WO2020148861A1 (ja) 2019-01-17 2020-07-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制御装置、端末装置、管理装置、電力供給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11542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JP6651667B1 (ja) * 2019-04-12 2020-02-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エアロゾル吸引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CN210382652U (zh) * 2019-06-04 2020-04-2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节能型加热器
CN111109669A (zh) * 2020-01-21 2020-05-08 声海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烤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4397A1 (en) 2015-06-25 2016-12-29 Geoffrey Brandon Jordan Electronic vaping device having pressure sensor
WO2018184861A1 (en) * 2017-04-07 2018-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liquid storage portion
WO2019096983A1 (en) 2017-11-16 2019-05-2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Consumable ventilation control
WO2020009457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65313A1 (en) 2023-06-01
EP3986179A4 (en) 2022-07-13
CN114466602B (zh) 2023-12-19
JP7390403B2 (ja) 2023-12-01
CN114466602A (zh) 2022-05-10
KR20220028938A (ko) 2022-03-08
JP2022549982A (ja) 2022-11-30
WO2022045605A1 (en) 2022-03-03
EP3986179A1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524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530610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0612034A (zh) 具有检测卷烟插入功能的气溶胶生成装置及方法
KR2019004939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00830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5305B1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JP7180952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560715B1 (ko)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4464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6013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330302B1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6756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과습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5852B1 (ko)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4265138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smokeless function
KR102503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KR2022009214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3372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5942885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