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506A -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 Google Patents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506A
KR20200054506A KR1020180137838A KR20180137838A KR20200054506A KR 20200054506 A KR20200054506 A KR 20200054506A KR 1020180137838 A KR1020180137838 A KR 1020180137838A KR 20180137838 A KR20180137838 A KR 20180137838A KR 20200054506 A KR20200054506 A KR 2020005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t
cold
pl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대현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엄대현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대현, 김현우 filed Critical 엄대현
Priority to KR102018013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506A/en
Publication of KR2020005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5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a flowerpot comprises: a main body unit which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condensed water therein and has a flow path pipe on one lower side thereof; a cooling/warming unit which is situated i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unit, to absorb or release heat; an air intake/exhaust unit which draws in or out air; and a control unit which cools the cooling/warming uni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upplies the condensed water, which is provided by operating the air intake/exhaust unit to induce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warming unit, to soil in the flowerpot by capillary action through the flow path pipe. Accordingly, by using a thermally conductive element, it is possible to condense air to generate condensed water, and to supply the same to the soil in the flowerpot.

Description

화분용 자동급수장치{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s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자동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ted plant, and more particularly,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a potted plant by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최근 들어 실내 환경의 중요성에 따라 화분을 실내에 들여 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화분에 심어진 나무나 화초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화분 관리가 어렵고, 화분 주위의 습기에 의해 모기나 해충 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실내에 화분을 갖다 놓는 경우는 실내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인데 화초를 제때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Recently,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indoor environment, pots are often placed indoo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nage the pots because the state of trees or flowers planted in the pots is not properly understood, and mosquitoes and pests are caused by moisture around the pots. Placement of pots indoors is intend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doors, but it often happens that plants cannot be managed on time.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314호(2011년10월07일 공고)는 조명 기능을 가지는 수목명판장치 및 조명 기능을 가지는 수목명판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재된 식물 정보를 표시함은 물론 야간 시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명 기능을 가지는 수목명판장치 및 조명 기능을 가지는 수목명판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mong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1314 (announced on October 7, 2011) relates to a potted plant having a tree nameplate devic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tree nameplate devic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the planted plant information.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a pot having a tree name plate devic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tree name plate device having a lighting function configured to perform a lighting function at night as well as a display box.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화분의 표식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화분의 상태나 주변 환경의 정보와는 무관하게 일방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고, 양방향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팻말은 화분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주위의 환경을 감지하는 사물인터넷 개념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was merely a degree of displaying a marker of a pot on a display. It provides unilateral data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polle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bidirectional data. Many of these signs were insufficient to be used as an IoT concept to indicate the state of a pot or to sen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생성하여 화분의 흙에 공급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that condenses air by using a heat conducting element to generate condensate and supplies it to the soil of a flowerpot.

또한, 화분의 식물에 조명을 출력하여 기준일조량에 도달하게 하여 식물 생육을 관리할 수 있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ted plant that can manage the plant growth by outputting light to a potted plant to reach a standard sunshine amount.

또한, 화분의 식물의 영상을 획득하여 화분의 흙에 대한 수분 공급이나 영양상태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by acquiring an image of a plant of the flowerpot and determining and managing the moisture supply or nutritional status of the soil of the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는 내부에 응축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유로관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냉온부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흡배기부와, 상기 냉온부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흡배기부를 구동하여 상기 냉온부의 표면에 결로를 유도하여 생성된 상기 응축수를 상기 유로관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화분의 흙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ted plant,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condensed water therein, and a main body part having a flow path pipe formed at a lower side, and the main body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and hot parts to absorb or heat,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to suck or discharge air, cool the cold part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drive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to generate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old and warm parts. It includes a control unit to supply the condensed water to the soil of the pot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flow path.

또한,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냉온부의 흡열 또는 발열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heat absorption or heat of the cold and hot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조량을 계산하고,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기준일조량을 채우도록 상기 조명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tion unit for outputting a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an illumin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mbient ligh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sunlight by sensing the illumination around the pot,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may be adjusted to fill a reference sunshine am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또한, 상기 화분의 식재된 식물을 촬영하는 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물에 대한 식물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유로관을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photographing the planted plant of the pot,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plant image for the plant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n a dangerous state.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로 근접하면 상기 조명부를 통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일조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준일조량을 채우도록 상기 조명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outputs a preset light through the lighting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clos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obtains the user's sunshine amou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so as to fill the reference sunshine amount.

이에 따라, 열전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생성하여 화분의 흙에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condensed water can be generated by condensing air using a heat conduction element and supplied to soil of a pot.

또한, 화분의 식물에 조명을 출력하여 기준일조량에 도달하게 하여 식물 생육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plant growth by outputting light to a plant in a pot to reach a standard sunshine amount.

또한, 화분의 식물의 영상을 획득하여 화분의 흙에 대한 수분 공급이나 영양상태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obtaining an image of a potted pla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manage moisture supply or nutritional status of the potted so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응축수 생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일조량을 관리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전기분해를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ure 1;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ondensate in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 1.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managing the amount of sunshin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oxygen through electrolysis through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ecedent.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f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follow the defini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응축수 생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condensed water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 I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creation principl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본체부(110), 냉온부(120), 흡배기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1 to 3,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 cold / heating portion 120, an intake / exhaust portion 130 and a control unit 140.

본체부(110)는 내부에 응축수(2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은 유로관(111)과 연결된다. 이 경우, 유로관(111)은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흙에 삽입되어 본체부(110)를 지지한다. 유로관(111)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로관(111)의 내경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유로관(111)은 본체부(1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에 수용된 응축수(20)가 유로관(111)을 따라 화분 내 흙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densate 20 t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pipe 111. In this case, the flow path pipe 111 is inserted into the soil of a pot planted with plants to support the body portion 110. The flow path 11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111 may be changed by a user's design. The flow path pipe 11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20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10 moves to the soil in the pot along the flow path pipe 111.

또한,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흡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13)는 후술하는 흡배기부(130)에 의해 본체부(1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함이다. 흡기구(11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본체부(110) 내부로 응축수(20)가 생성된다. 이러한 흡기구(113)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그 크기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으로 공급하는 응축수(20)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흡기구(113)를 더 크게 개방하여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 intake port 11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intake port 113 is for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110 by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30 described later. As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intake port 113, the condensed water 20 is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size and number of the intake ports 113 may be changed by user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the condensate 20 supplied to the flowerpot increases, the intake port 113 is opened larger to allow a larger amount of air to be sucked.

또한, 본체부(110)는 상부에 덮개부(112)가 착탈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12)는 삼각지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덮개부(112) 내부에는 방열판(121)이나 흡배기부(13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10) 내부가 과열되는 경우 열전도 방식으로 외부로 열을 방출하도록 한다. 덮개부(112)는 일종의 히트싱크로 이용된다. 덮개부(112)에는 상부측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는 본체부(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with a cover 112 is detachable structure on the top. For example, the cover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ro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heat sink 121 or an intake / exhaust part 1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part 112. This allows hea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heat conduction manner wh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s overheated. The cover portion 112 is used as a kind of heat sink. The cover 112 may be formed with an outlet opening to the upper side. The discharge port allows the air sucked into the body portion 110 to be discharged.

또한,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전원부(115)가 형성된다. 전원부(115)는 커넥터 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거나, 1차전지 또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15)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115)는 실내 벽체 또는 화분받침에 형성된 무선패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무선패드가 형성된 벽체나 화분받침 등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15)는 자기공명원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In addition, a power source 1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power supply unit 115 receives external power through a connector terminal or supplies power through an internal power source in the form of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The power source 115 may also be wirelessly supplied with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15 may be wirelessly supplied with power from a wireless pad (not shown) formed on an indoor wall or a pot holder. In this case,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clos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a wall or pot supporter formed with a wireless pad. The power supply unit 115 is supplied with power using a magnetic resonance principle.

냉온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열 또는 발열한다. 예를 들어, 냉온부(120)는 펠티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냉온부(120)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흡열 또는 발열할 수 있다. 냉온부(120)는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크기의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온부(120)의 표면에는 이슬점 이하로 냉각된 공기가 결로 현상으로 응축수(20)로 변환된다. 냉온부(120)에서 생성된 응축수(20)는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유로관(111)을 통해 화분 속 흙으로 유출된다. 이 경우, 화분 내에서 삼투압 현상에 의해 화분 내로 골고루 응축수(20)가 퍼지게 된다.The cold / heating part 120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absorbs or generates heat. For example, the cold / heat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Peltier device. The cold / heating unit 120 may control the flow of electric current to absorb heat or generate heat. The cold / heat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have a constant sized surface area. The air cooled below the dew point is converted to condensed water 20 by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old / heating part 120. The condensed water 20 generated in the cold / heated part 120 flows into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soil in the pot through the flow path pipe 111. In this case, the condensate 20 is evenly distributed into the flowerpot by the osmotic pressure phenomenon in the flowerpot.

또한, 냉온부(120)는 일측을 냉각하고, 타측을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온부(120)의 냉각면(120-1)을 통해 응축수(20)가 발생하고, 일부 냉각된 공기는 냉온부(120)의 발열면(120-2)을 통해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냉온부(120) 중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은 냉각되고, 상부면은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온부(120)를 통해 응결된 공기는 본체부(110)의 바닥면으로 모여지고, 응결되지 않은 공기는 가열부에 의해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cold / heating unit 120 may cool one side and heat the other side. In other words, the condensed water 20 is generated through the cooling surface 120-1 of the cold / heating part 120, and some cooled air rises through the heating surface 120-2 of the cold / heating part 120 to the outside. Is discharged. For example, a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among the cold and warm parts 120 may be cooled,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heated. Accordingly, the air condensed through the cold / heated part 120 is collect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non-condensed air rises by the heating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냉온부(120)는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냉온부(120)의 표면에는 응결된 응축수(20)가 발생하며, 응축수(20)의 생성속도나 저장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냉온부(120)의 평면 각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응축수(20)의 생성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냉온부(120)의 기울기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고, 응축수(20)의 생성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 냉온부(120)의 기울기를 평면 상태에 가깝게 위치시켜 응축수(20)의 낙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온부(120)의 양측에는 전기모터 등과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cold / hot part 120 is adjusted. The condensed water 20 condensed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old and warm part 120, and the plane angle of the cold and warm part 120 is adjus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te or storage speed of the condensed water 20.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te of the condensate 20, the inclination of the cold / heating part 12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in order to decrease the production rate of the condensate 20, the inclination of the cold / cooling part 120 is in a flat state. It can be placed close to delay the drop of the condensate 20. In this case, the angle may be adjusted by being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and the like on both sides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또한, 냉온부(120)는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냉온부(120)는 본체부(110)에 포집된 응축수(20)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응축수(20)를 유로관(111)을 통해 화분의 흙으로 공급시 응축수(2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냉온부(120)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응축수(20)를 최적의 수온을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열대식물의 경우 공급되는 응축수(20)의 온도를 높이고, 한대식물의 경우 공급되는 응축수(2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part 12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The cold / heating part 120 may also heat or cool the condensate 20 collected in the body part 110. This i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20 when the condensate 20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ot through the flow path pipe 111. The cold / heating unit 120 maintains an optimal water temperature of the condensed water 20 su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ropical plant,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20 supplied may be increased, and in the case of a single plant,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20 supplied may be lowered.

흡배기부(130)는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배기부(130)는 팬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흡배기부(130)는 본체부(110) 내부에 위치하여 팬을 구동시켜 본체부(110)에 형성된 흡기구(11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배기부(130)는 냉온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기구(11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냉온부(120)를 경유하도록 한다. 흡배기부(130)는 냉온부(120)를 경유한 공기를 배기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흡배기부(130)의 팬 구동속도, 구동방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The intake / exhaust unit 130 sucks or exhausts air using a fan. More specifically,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may drive the fa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drive a fan to suck outside air through the intake port 113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cold / heating unit 120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113 passes through the cold / heating unit 120.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may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 heated unit 120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14. The fan driving speed and driving direction of the intake / exhaust section 130 may be changed by user settings.

또한, 흡배기부(130)의 일측에는 방열판(121) 또는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121)은 열전도성 금속부재로 일측이 냉온부(120)와 접촉하고, 타측이 흡배기부(130)와 대향한다. 방열판(121)은 냉각된 공기를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에 미 응결된 공기가 가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필터는 흡배기부(1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필터는 미세메쉬구조로 형성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배기부(13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heat sink 121 or a filt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ake / exhaust section 130. The heat sink 121 is a heat-conductive metal member, and one side contacts the cold / hot part 120,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intake / exhaust part 130. The heat sink 121 heats the cool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uncondensed air is heat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ilter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130. The filter ser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ormed of a fine mesh structure from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제어부(140)는 냉온부(120) 및 흡배기부(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이다. 제어부(140)는 냉온부(120)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고, 흡배기부(130)를 구동하여 냉온부(120)의 표면에 결로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응축수(20)는 유로관(111)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화분의 흙에 공급된다. 제어부(140)는 냉온부(120)의 냉각온도 및 흡배기부(130)의 팬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응축수(20)의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냉온부(120)의 일측을 발열시켜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40 is a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and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cools the cold / heating unit 12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drives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to induce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The condensate 20 generated through this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ot through a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flow path pipe 111.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and the fan driving speed of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to control the amount of condensate 20 gener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heat one sid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to he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unit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제어부(140)는 냉온부(120)의 평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냉온부(120)의 표면에 응축수(20)가 발생하는 경우 그 기울기를 조절하여 응축수(20)의 포집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응축수(20)의 포집량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 냉온부(120)의 평면의 기울기를 증가시고, 포집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냉온부(120)의 평면의 기울기를 감소시킨다. 제어부(140)는 냉온부(120)가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우 응축수(20)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응축수(20)가 화분의 식물로 공급시 공급되는 응축수(20)의 온도를 식물의 종류에 맞게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열대식물의 경우인지, 한대식물인지에 따라 응축수(20)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the plane angl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This is to increase the collection speed of the condensate 20 by adjusting the slope when the condensate 20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cold / hot part 1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plan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when increasing the capture amount of the condensate 20, and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plane of the cold / heating unit 120 when reducing the capture amount. Reduces it. The control unit 140 may maintain the constant temperature by heating the condensate 20 when the cold / heating unit 12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unit 110. This is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20 supplied when the condensate 20 is supplied to a plant in a po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20 may be vari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tropical plant or a large pla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온습도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감지부(150)는 화분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한다. 온습도감지부(150)는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이용하여 화분이 자라는데 최적의 조건으로 응축수(20)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온습도감지부(150)는 화분 주변의 기온 또는 습도, 화분 내 흙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온습도감지부(150)는 실내의 기온 및 습도에 따라 이슬점을 가변시켜 응축수(20)의 생성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습도감지부(150)는 화분의 흙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응축수(20)가 공급되어야 하는 온도, 공급량을 파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50.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50 detect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50 uses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to generate information necessary to supply the condensed water 20 under optimal conditions for growing a pot. The temperature / humidity detection unit 150 may acquir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 and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soil in the pot,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50 allows the dew point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om to control the generation time of the condensate 20. For exampl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50 determines th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supply of the condensed water 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soil of the pot.

제어부(140)는 온습도감지부(150)를 이용하여 실내의 기온 또는 습도와, 화분 내 흙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냉온부(120)나 흡배기부(130)를 구동시켜 응축수(20)의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화분 내 흙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인 경우 수분이 부족함을 감지하여 응축수(20) 생성량을 늘려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화분의 흙의 온도가 낮은 경우 응축수(20)를 가열하여 화분의 흙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온습도감지부(150)로부터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응축수(20)의 온도 및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temperature / humidity detection unit 150 to drive the cold / heating unit 120 or the intake / exhaust unit 130 us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room,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in the pot, so that the condensate 20 The amount of production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rease the amount of supp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densate 20 by detecting the lack of moisture when the humidity of the soil in the pot is below a preset humidity. If the temperature of the soil in the pot is low, the control unit 140 may heat the condensate 20 and supply it to the soil in the pot. Th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the temperature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condensed water 20 supplied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도 4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의 일조량을 관리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managing the amount of sunshin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FIG.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조명부(160), 조도감지부(170) 및 통신부(1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6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60)는 복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60)는 화분의 식물이나 사용자에게 조명을 출력하여 기 설정된 일조량을 충족시키도록 한다. 조명부(160)는 출력되는 세기와 파장이 가변될 수 있다. 이는 화분이 실내에 있는 경우 일조량이 부족하여 생육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조명부(160)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조명의 세기를 다르게 하여 최적의 광합성을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2 and 4,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unit 160, the illumination detection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have. The illumination unit 1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output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The lighting unit 160 may be implemented using a plurality of LEDs. The lighting unit 160 outputs lighting to a plant or a user in a pot to satisfy a predetermined amount of sunlight.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lighting unit 160 may be varied. This i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obstacles in the growth due to insufficient sunshine when the pot is indoors. The light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achieve optimal photosynthesis by varying the intensity of light su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조도감지부(170)는 화분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이는 화분 주변이 밤인지 낮인지를 구별하거나, 실내인지 혹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도감지부(170)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조도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부(170)는 조명부(160)와 연결되어 조명부(160)의 점멸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도감지부(170)는 식물이 기 설정된 일조량 이상으로 조명을 받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부(170)는 기 설정된 밝기 이상이 감지되는 시간이나 횟수를 누적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The illuminance detecting unit 170 detects the illuminance around the pot.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pot is around the night or day, or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door or outdoor. When the person approaches, the illuminance detecting unit 170 may detect it through a change in illuminance. The illuminance detecting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60 and serves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ighting unit 160.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plant is illuminat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sunlight or more.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accumulates the time or number of times when a predetermined brightness or more is detected,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통신부(18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화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 WIFI 통신, LTE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이 가능하다. 통신부(18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화분 내 흙의 온도, 습도, 화분 주변의 기온, 습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조명부(160)를 온오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8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8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pollen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NFC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WIFI communication, LT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8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around the pot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60 may be controlled on / off through a user terminal.

제어부(14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조명부(160)를 제어된다. 제어부(140)는 조명부(160)의 점멸을 제어하여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화분의 식물에 조명을 출력하거나, 실내 조명을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조량을 판단하고,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분에는 식별코드가 형성되고 이를 기초로 식물의 종류에 따른 일조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분에는 인쇄방식으로 식별코드를 형성되거나, 전자디스플레이를 통해 식별코드가 표출될 수 있다. 식별코드에는 식물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암호화된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lighting unit 160 in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ighting unit 160 to adjust brightness and color.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lighting to a plant in a pot or indoor lighting. The control unit 140 may also determine the amount of sunlight of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and output the lighting. In this case, an identification code is formed in the pot,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 identification code may be formed on a flowerpot by a printing method, or an identification code may be displayed through an electronic display. In the identification code, plant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re encrypted.

또한, 제어부(140)는 화분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조량을 계산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기준일조량을 채우도록 조명부(160)의 출력을 조절한다. 제어부(140)는 식물에 대한 기준일조량 및 사용자에 대한 기준일조량이 기 설정되어 이를 기준으로 일조량을 보충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물의 광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일조량을 판단하고, 일조량이 부족한 경우 기준일조량이 되도록 조명을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e illuminance around the pot, calculates the amount of sunlight, and adjusts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60 to fill the reference amount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The control unit 140 may set a reference solar power amount for the plant and a reference solar power amount for the user, and supplement the solar power amount based on this.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reference sunshine amount for maintaining photosynthesis of the plant, and outputs lighting so that the reference sunshine amount is insufficient when the sunshine amount is insufficient.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공급된 일조량을 파악하여 조명을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파악하여 피부세포를 자극할 수 있는 조명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이 식별코드를 획득하면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사용자의 일조량에 따라 조명부(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근접시 조도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in close proximit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e amount of sunshine supplied to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 additional lightin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grasp the user's face information and output light that can stimulate skin cells. When the user terminal acquires the identification code,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proximit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The controller 140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clos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proximity through a change in illuminance in the proximit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영상획득부(190) 또는 음향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0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90 or an audio unit 200.

영상획득부(190)는 화분의 식재된 식물을 촬영한다. 영상획득부(190)는 일반카메라,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화분의 식물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9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획득부(190)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식물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화분의 흙에 물이 일정량 이상이 공급되거나 부족한 경우 식물의 잎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관찰하여 응축수(20)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90)는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여 식물의 온도나 흙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90)는 사용자가 근접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감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photographs a potted pla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may take a plant image of a pollen using a general camera or an infrared camera.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acquires an image of a plant planted in a pot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acquires a plant image to grasp the state of a plant planted in a pot. For example,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or insufficient from the soil of the po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condensed water 20 by observing the color of the leaves of the pla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may acquire the infrared image and grasp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or the temperature of the soil.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0 may also allow a user to photograph and discriminate an infrared image when in close proximity.

음향부(200)는 기 설정된 음향을 출력한다. 음향부(200)는 일종의 스피커로 동작한다. 음향부(200)는 화분 내 흙의 온도나 습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경고음이나 경고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화분의 습도나 온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경고음을 통해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음향부(200)는 기 설정된 주파수를 출력하고, 초음파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음파는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것으로, 실제 사용자가 듣지 못하지만 해충 등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The sound unit 200 outputs a preset sound. The sound unit 200 operates as a kind of speaker. The acoustic unit 200 may output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sound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soil in the po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is through a warning sound when the humidity or temperature of the current pot is below a preset value. The acoustic unit 200 may output a preset frequency and output ultrasonic waves. Ultrasound is outside the user's audible frequency,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pests and the like, which the actual user cannot hear.

제어부(140)는 식물에 대한 식물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유로관(111)을 개폐한다. 이는 식물에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20)가 공급시 잎이 누렇게 변하는 등의 현상을 조기에 파악하여 관리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식물영상에 대한 비전검사나, 색상검사를 통해 식물의 상태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물영상을 통해 식물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유로관(111)을 개폐제어하여 응축수(20)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20) 외에 영양제를 함께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양제는 본체부(110) 내부에 분리된 칸막이로 형성되어 응축수(20)와 분리저장되고, 필요시 응축수(20)에 영양제를 혼합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nalyzes the plant image of the plant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pipe 111 according to whether it is in a dangerous state. This i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phenomena such as the yellowing of leaves when a certain amount of condensate 20 is supplied to a plant.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plant through vision inspection or color inspection of the plant image.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condensed water 20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pipe 111 when the plant condition is deteriorated through the plant image.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condensate 20,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nutrients to the soil of the pot. The nutrient is formed of a parti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be stored separately from the condensate 20, and to mix the nutrient with the condensate 20 if necessary.

또한, 제어부(140)는 화분 내 해충 등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는 경우 음향부(200)를 구동시켜 해충 제거용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재생목록을 입력받아 음악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근접시 자동으로 음악을 재생하고, 시간에 따라 음향의 종류나 세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음향부(200)를 통해 화분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경고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이 부족합니다", "화분의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와 같은 안내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image of a pest or the like in a flowerpot is obtained, the controller 140 may drive the acoustic unit 200 to output ultrasonic waves for removing pests.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 music playlist from a user terminal and play music. The controller 140 may automatically play music when the user is in proximity, and may adjust the type or intensity of sound differently according to time.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n additional warning sound for pot management through the sound unit 200. For example, a guide voice such as "Insufficient water supply" or "Please check the condition of the flower pot" may be output.

도 5는 도 1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전기분해를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oxygen through electrolysis through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발향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0 for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ent part 210.

발향부(210)는 흡배기부(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피톤치트, 민트, 허브 등과 같은 다양한 향기를 배출한다. 발행부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향부(210)는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향을 배출한다. 발항부는 흡배기부(130)의 구동속도에 따라 향의 배출속도가 달라진다. 발향부(210)는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향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통해 문답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흡배기부(130)의 출력을 조절하여 발향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cent diffusing part 210 is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intake / exhaust part 130 to discharge various fragrances such as phyton cheat, mint, and herbs. The issuing portion can be formed in a solid or liquid state. The scent diffusing unit 210 discharges scent to make indoor air comfortable. The delivery speed of the fragrance varies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intake / exhaust section 130. The scent diffusing unit 210 may adjust the fragrance spray according to the user's moo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may obtain the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or the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o grasp the user's state. The control unit 140 may also adjust the output of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30 to control the amount of scent.

또한, 발향부(210)는 본체부(110) 내의 복수의 전극(211)을 이용하여 응축수(20)를 전기분해 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전극(211)은 음극과 양극으로 형성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응축수(20)를 전기분해한다. 이 경우, 응축수(20)에서 산소가 배출되어 식물이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이는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한 경우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발향부(210)의 전극(211)은 조명부(160)와 연결되어 전기분해와 함께 조명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cent diffusing portion 210 can also supply oxygen by electrolyzing the condensate 20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211 in the body portion 110.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1 is formed of a cathode and an anode to electrolyze the condensate 20 by electrolysis. In this case, oxygen is discharged from the condensed water 20 so that the plant supplies oxygen necessary for breathing. This is to eliminate the lack of oxygen required for breathing plants in an enclosed space. The electrode 211 of the diffusion part 210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60 so that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light together with electrolysis.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the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xamples.

10 : 화분
11 : 식물
12 : 식별코드
20 : 응축수
100 : 자동급수장치
110 : 본체부
111 : 유로관
112 : 덮개부
113 : 흡기구
114 : 배기구
115 : 전원부
120 : 냉온부
120-1 : 냉각면
120-2 : 발열면
121 : 방열판
130 : 흡배기부
140 : 제어부
150 : 온습도감지부
160 : 조명부
170 : 조도감지부
180 : 통신부
190 : 영상획득부
200 : 음향부
210 : 발향부
211 : 전극
10: flower pot
11: Plant
12: Identification code
20: condensate
100: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110: main body
111: Euro tube
112: cover
113: intake vent
114: exhaust port
115: power supply
120: cold and hot part
120-1: Cooling surface
120-2: Heating surface
121: heat sink
130: intake and exhaust
140: control unit
150: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160: lighting unit
170: Illumination detection unit
180: communication unit
190: image acquisition department
200: sound unit
210: scented part
211: electrode

Claims (5)

내부에 응축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유로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냉온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흡배기부; 및
상기 냉온부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흡배기부를 구동하여 상기 냉온부의 표면에 결로를 유도하여 생성된 상기 응축수를 상기 유로관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화분의 흙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condensed water therein, a flow path pi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cold / heating portion that absorbs or generates heat;
An intake / exhaust unit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And
Cooling the cold and warm part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driving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to induce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old and warm parts to supply the condensed water to the soil of pots through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flow path tub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냉온부의 흡열 또는 발열을 조절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
The control unit,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that adjusts the heat absorption or heat generation of the cold and hot part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및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조량을 계산하고,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기준일조량을 채우도록 상기 조명부의 출력을 조절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tion uni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utput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nce,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ted plant that detects the illuminance around the potted plant, calculates the amount of sunlight, and adjusts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so as to fill a standard amount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s planted in the potted pl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식재된 식물을 촬영하는 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물에 대한 식물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유로관을 개폐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photographing the planted plants of the pot,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pipe according to whether it is in a dangerous state by analyzing a plant image of the plant.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로 근접하면 상기 조명부를 통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일조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준일조량을 채우도록 상기 조명부의 출력을 조절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it outputs a preset light through the lighting unit, but obtains the user's sunshin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djusts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to fill the reference sunshine amount. Device.
KR1020180137838A 2018-11-12 2018-11-12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KR202000545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38A KR20200054506A (en) 2018-11-12 2018-11-12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38A KR20200054506A (en) 2018-11-12 2018-11-12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06A true KR20200054506A (en) 2020-05-20

Family

ID=7091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38A KR20200054506A (en) 2018-11-12 2018-11-12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45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09A (en)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제로패스 Smart stick for growing flowers in a v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09A (en)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제로패스 Smart stick for growing flowers in a v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4280A1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2061403B1 (en) Smart housing for home plant growing
KR101650057B1 (en) Fish tank and LED lighting using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2000083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of flowerpot
CN105493938B (en) Perpendicular planting technique box of intelligence
KR102650746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176107B1 (e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KR20190112439A (en) Smart potted plants and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CN106472287A (en) Ecologic planting case
KR20200054506A (en)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 pot
CN104145880B (en) A kind of Ecology system social insect cultivation finder
CN105191690A (en) Intelligent desktop potting device based on control of single-chip microcomputer
KR20140047928A (en) 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CN107166550B (en) Indoor environment adjusting equipment
KR10140389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CN208821318U (en) Plant cultivating device
KR101524686B1 (en) Mushroom growing apparatus for contro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utomatically
US11882803B2 (en) Compact closed-space system for illumination, climate control and air purification
CN213715791U (en) Cultivation room
KR20180086862A (en) Control apparatus for plants
KR102021573B1 (en) IoT-BASE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CONTROL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BY USING HUMIDIFIER NATURALLY GENERATED BY CULTURE SOLUTION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180062252A (en) Indoor ornamental flower planting system
CN208446301U (en) A kind of smart group mould assembly plantation preservation device
CN205179860U (en) Full -automatic vegetation machine
KR200304009Y1 (en) Vegetation Moisture Temperature Ventilation Measur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