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22A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3822A KR20200053822A KR1020180137184A KR20180137184A KR20200053822A KR 20200053822 A KR20200053822 A KR 20200053822A KR 1020180137184 A KR1020180137184 A KR 1020180137184A KR 20180137184 A KR20180137184 A KR 20180137184A KR 20200053822 A KR20200053822 A KR 20200053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luation
- characteristic
- user
- score
- i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고 용이하게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을 선택하도록,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주는 대상 선택부;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도록,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 및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평가 대상의 특성 및 점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례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을 선택하도록,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주는 대상 선택부;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도록,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 및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평가 대상의 특성 및 점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점수를 부여하거나 책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하는 항목에 점수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입력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숫자의 기입으로 점수가 잘못 부여될 수도 있으며, 평가 항목과 점수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 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평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고 용이하게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을 선택하도록,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주는 대상 선택부;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도록,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 및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평가 대상의 특성 및 점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가 항목부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 또는 횟수에 따라 점수가 변동할 수 있다.
상기 평가 항목부는 평가 대상의 특징을 문자로 기록할 수 있는 메모 기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저장된 데이터를 공공 정보로 전환할 수 있는 데이터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상 선택부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여 평가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를 통해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에 부여된 특성과 점수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은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해당 특성과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이 실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특성 평가 시스템이 휴대폰에 실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1특성의 세부적인 평가 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은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이 실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특성 평가 시스템이 휴대폰에 실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1특성의 세부적인 평가 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은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이 실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특성 평가 시스템이 휴대폰에 실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1특성의 세부적인 평가 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 대상 선택부(110), 평가 항목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및 서버(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10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 예를 들어 휴대폰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와 평가 대상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이 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 대상이 어떠한 행동을 취했을 때, 사용자가 그 행동에 대한 특성과 점수를 부여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평가 대상이 취하는 행동은 쓰레기를 줍는 다거나, 무거운 짐을 들고 가는 사람을 도와 주는 것과 같은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행동일 수도 있고, 상대방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기물을 파손하는 것과 같은 타인에게 해를 끼지는 행동일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평가 대상 선택부(110)를 통해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평가 대상 선택부(110)를 터치하면 상기 평가 대상 선택부(110)는 다수의 회원들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평가 대상 선택부(110)에서 제공하는 프로필 정보, 예를 들어, 프로필 사진과 평가 대상을 대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평가 대상 선택부(110)는 휴대폰(10)의 GPS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휴대폰(10)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회원들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평가 항목부(120)는 개인의 특성을 다수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항목부(120)는 제1특성 내지 제6특성(120a~120f)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특성 내지 제6특성(120a~120f) 항목은 각각 정(精), 겸(謙), 한(恨), 창(創), 중(仲), 노(勞)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특성 내지 제6특성(120a~120f) 항목은 각각 세부 평가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특성(120a)은 세부적으로 사랑, 의심, 소망, 투지, 믿음, 인내로 분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특성 내지 제6특성들도 각각 세부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은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가 항목부(120)의 정중앙에는 기준점(121)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기준점(121)으로부터 해당 특성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평가 대상에 대한 특성과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평가 대상의 행동이 제1특성(120a)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통해 기준점(121)에서 제1특성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제1특성(120a)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제1특성(120a)으로 롤 오버(Roll-Over)하면 별도의 점수 게이지(G)가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 아웃(Drag-out)하여 점수 게이지(G)의 칸을 채움으로써 제1특성(120a)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점수 게이지(G)의 칸을 3칸을 채우면, 평가 대상의 제1특성(120a)에 대한 점수가 3점이 올라가게 된다. 물론, 점수 게이지(G)는 마이너스의 범위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평가 항목부에서 각 특성에 점수를 부여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예에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방법이 구분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평가 항목부(120)에서 드래그 하여 기준점(121)에서 제1특성(120a)으로 영역이 바뀌는 순간 제1특성(120a)의 점수 게이지(G)가 올라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특성(120a)에서 드래그의 정도에 따라 점수 게이지(G)가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점(121)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점수가 올라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평가 항목부(120)는 기준점(121)에서 제1특성(120a)으로 드래그하는 횟수에 따라 점수 게이지(G)가 바뀌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평가 항목부(120)는 해당 특성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해당 특성 영역의 바탕색이 진하게 변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특성 항목을 일일이 선택하지 않고서도 해당 특성 항목의 누적 수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가 항목부(120)는 한번의 드래그 만으로 해당 특성과 그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수 평가 방법은 사용자가 항목을 직접 지정하고 점수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드래그 만으로 평가 항목 및 점수를 한번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가 방법에 있어서 빠르고도 편리한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평가 항목부(120)는 메모 기입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 기입부(122)에는 사용자가 평가 대상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써 기록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가 항목부(120)를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메모 기입부(120)가 휴대폰(10) 화면에 실행되어, 사용자가 평가 대상에 대한 에피소드나 특징적인 점들을 문자로써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기입부(122)는 상기 평가 항목부(120)의 기준점(121)을 약 3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평가 항목부(120)를 더블 터치하면 메모 기입부(122)가 휴대폰 화면에 실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평가 항목부(120)에서 평가한 기록들은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30)는 저장된 데이터를 공공 정보로 전환할 수 있는 데이터 전환부(131)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데이터 전환부(131)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공공 정보로 전환하게 되면, 회원 간에 평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평가한 내용들을 다른 회원들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명의 평가 대상에 대한 다른 회원들간의 데이터가 취합되어 서버(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기록은 사용자의 휴대폰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저장된 데이터를 사적 정보에서 공공 정보로 전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각각의 휴대폰은 노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공공 정보는 서버의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열람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회원들의 개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개인 대 개인 사이의 관계성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에 대한 다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치, 누적 점수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 예를 들어 휴대폰을 통해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상 선택부(110)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여 평가 대상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평가 대상 선택부(110)에서 제공하는 프로필 정보, 예를 들어, 프로필 사진과 평가 대상을 대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평가 대상 선택부(110)는 휴대폰(10)의 GPS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휴대폰(10)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회원들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기준점(121)과 다수의 특성 항목(120a~120f)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120)를 통해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준점(121)으로부터 해당 특성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통해 드래그하면 평가 대상에 대한 특성과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특성 항목에서 드래그의 정도 또는 횟수에 따라 점수 게이지(G)가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래그의 길이가 기준점(121)에서부터 멀어지거나, 드래그의 횟수가 많아질수록 점수가 올라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가 항목부(120)는 한번의 드래그 만으로 해당 특성과 그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평가 항목부(120)에서 평가한 기록들은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110: 대상 선택부
120: 평가 항목부
130: 데이터 저장부
140: 서버
110: 대상 선택부
120: 평가 항목부
130: 데이터 저장부
140: 서버
Claims (5)
-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을 선택하도록,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주는 대상 선택부;
상기 사용자가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도록,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 및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평가 대상의 특성 및 점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항목부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부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 또는 횟수에 따라 점수가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부는 평가 대상의 특징을 문자로 기록할 수 있는 메모 기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저장된 데이터를 공공 정보로 전환할 수 있는 데이터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상 선택부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여 평가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기준점과 다수의 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항목부를 통해 평가 대상의 행동에 대한 특성을 선택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에 부여된 특성과 점수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점에서 해당 특성 항목 방향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특성 항목 및 점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184A KR102231479B1 (ko) | 2018-11-09 | 2018-11-09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CN201980073601.6A CN112955914A (zh) | 2018-11-09 | 2019-08-09 | 个人特征评价系统及其评价方法 |
PCT/KR2019/010057 WO2020096173A1 (ko) | 2018-11-09 | 2019-08-09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US17/292,227 US11662884B2 (en) | 2018-11-09 | 2019-08-09 | Personal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
EP19882474.0A EP3879469B1 (en) | 2018-11-09 | 2019-08-09 | Personal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184A KR102231479B1 (ko) | 2018-11-09 | 2018-11-09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822A true KR20200053822A (ko) | 2020-05-19 |
KR102231479B1 KR102231479B1 (ko) | 2021-03-23 |
Family
ID=7061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7184A KR102231479B1 (ko) | 2018-11-09 | 2018-11-09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662884B2 (ko) |
EP (1) | EP3879469B1 (ko) |
KR (1) | KR102231479B1 (ko) |
CN (1) | CN112955914A (ko) |
WO (1) | WO2020096173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9356A (ja) * | 2006-04-28 | 2007-11-15 | Koji Kasahara | 人間点数プログラム |
KR101691220B1 (ko) * | 2016-03-28 | 2016-12-29 | 주식회사 쿨리오 | 콘텐츠 평가에 따른 개인화 된 콘텐츠 추천 시스템 |
KR20170013966A (ko) * | 2017-01-25 | 2017-02-07 | 서장원 | 평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10459B2 (en) * | 2004-01-21 | 2011-08-30 | Goog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rating associated members in a social network |
US20050283466A1 (en) * | 2004-06-17 | 2005-12-2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echniques for creating queries |
JP2010055327A (ja) * | 2008-08-27 | 2010-03-11 | Gdl:Kk | 人事評価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US20120109945A1 (en) * | 2010-10-29 | 2012-05-03 | Emilia Maria Lapko | Method and system of improving navigation within a set of electronic documents |
US20120278209A1 (en) * | 2011-04-30 | 2012-11-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icro-app dynamic revenue sharing |
JP5775417B2 (ja) * | 2011-10-18 | 2015-09-09 | Kddi株式会社 |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自動分析評価システム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自動分析評価方法 |
US10168880B2 (en) * | 2012-10-05 | 2019-01-01 | Jerome Dewhurst |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manipul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using a single gesture or motion |
US20140164075A1 (en) * | 2012-12-08 | 2014-06-12 | David John TRUJILLO | Sports Voting System |
US20140359789A1 (en) * | 2013-05-30 | 2014-12-04 |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 Trusted Circle Information Access Management User Interface |
US10334037B2 (en) * | 2014-03-31 | 2019-06-25 | Yaana Technologies, Inc. | Peer-to-peer rendezvous system for minimizing third party visibility and method thereof |
KR20170006635A (ko) * | 2015-07-09 | 2017-01-18 | 주식회사 이랜드파크 | 평가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평가 정보 생성 방법 |
KR101882105B1 (ko) * | 2016-12-21 | 2018-07-26 | 장광영 |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사용자 간 연결 관계를 형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US20190130512A1 (en) * | 2017-10-27 | 2019-05-02 | Larry Kuhn | System and method for pre- and post-hiring leadership development |
-
2018
- 2018-11-09 KR KR1020180137184A patent/KR1022314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09 US US17/292,227 patent/US11662884B2/en active Active
- 2019-08-09 EP EP19882474.0A patent/EP3879469B1/en active Active
- 2019-08-09 CN CN201980073601.6A patent/CN112955914A/zh active Pending
- 2019-08-09 WO PCT/KR2019/010057 patent/WO2020096173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9356A (ja) * | 2006-04-28 | 2007-11-15 | Koji Kasahara | 人間点数プログラム |
KR101691220B1 (ko) * | 2016-03-28 | 2016-12-29 | 주식회사 쿨리오 | 콘텐츠 평가에 따른 개인화 된 콘텐츠 추천 시스템 |
KR20170013966A (ko) * | 2017-01-25 | 2017-02-07 | 서장원 | 평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79469A4 (en) | 2022-08-10 |
CN112955914A (zh) | 2021-06-11 |
KR102231479B1 (ko) | 2021-03-23 |
EP3879469C0 (en) | 2023-10-04 |
WO2020096173A1 (ko) | 2020-05-14 |
US20210326012A1 (en) | 2021-10-21 |
EP3879469A1 (en) | 2021-09-15 |
EP3879469B1 (en) | 2023-10-04 |
US11662884B2 (en) | 2023-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0432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lustering and canonical designation of related data in various data structures | |
US12067060B2 (en) | Automatic document negotiation | |
Campbell et al. | Fuzzy but useful constructs: Making sen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 |
US9836508B2 (en) | External linking based on hierarchical level weightings | |
US9288274B2 (en) | Determining a community emotional response | |
US20120242482A1 (en) | Contextually-Appropriate Task Reminders | |
US9329727B2 (en) | Object detection in optical sensor systems | |
US10452411B2 (en) | System and method of using emojis for interactive and enhanced data matching capabilities | |
Ngonmang et al. | Churn prediction in a real online social network using local community analysis | |
US11199952B2 (en) | Adjusting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and mouse/keyboard environments | |
CN110689135B (zh) | 一种反洗钱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US12072945B2 (en) | Visual search refinement | |
Schoedel et al. | Snapshots of daily life: Situations investigated through the lens of smartphone sensing. | |
Cheng | Data-mining research in education | |
WO2009065211A1 (en) | Decision making independent of irrelevant alternatives | |
Greene et al. | Americanness and the “Other” Americans: An examination of the American identity and political behavior of racial and ethnic minorities in the United States | |
US9536207B2 (en) | Using data obtained from an online social network to optimize subscription offers | |
Kekolahti et al. | Features as predictors of phone popularity: an analysis of trends and structural breaks | |
Plessas et al. | Field evaluation of context aware adaptive interfaces for efficient mobile contact retrieval | |
Zainol et al. | Analysing political candidates’ popularity on social media using POPularity MONitoring (POPMON) | |
KR102231479B1 (ko) | 개인 특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
US1011675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 |
EL GUABASSI et al. | Context-aware recommender systems for learning | |
CN104156491A (zh) | 移动终端及其列表信息检索方法 | |
JP6796668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