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505A -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505A
KR20200053505A KR1020207008065A KR20207008065A KR20200053505A KR 20200053505 A KR20200053505 A KR 20200053505A KR 1020207008065 A KR1020207008065 A KR 1020207008065A KR 20207008065 A KR20207008065 A KR 20207008065A KR 20200053505 A KR20200053505 A KR 2020005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valve
water
sealing member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쥐. 모리스
Original Assignee
이알비이-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알비이-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이알비이-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5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61B1/00068Valve switch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61B2090/701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for flexible tubular instruments,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내시경 디바이스를 위한 밸브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밸브 조립체는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고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형성하는 밸브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주입, 관개, 렌즈 세정 중 적어도 하나 중에, 가스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상에 밀봉 압력을 작용하도록 가스가 제4 채널을 통해 제1 채널 및 제3 채널을 거쳐서 소통될 때 가스 공급부 및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이 출원은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라는 제목의 2017년 8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49,698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요구하고, 그 내용은 그들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내시경 시스템은 내부 시각화를 돕고 임상 활동(즉, 수술, 생검, 육안 검사, 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내시경 시스템은 종종 핸들, 관절식 프로브, 및 가스주입(insufflation) 및/또는 물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된 가스/물 밸브를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몇몇 내시경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물 밸브 내의 가스켓을 지나서 그 후 관절식 프로브의 원위부에 위치된 렌즈를 가로질러 누출되는 의도하지 않은 물의 우회로 인해 가스주입 중에 시각화가 약화되는 것을 경험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공급 시스템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내시경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내시경 핸들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벤트를 포함하는 가스/물 밸브는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고 제1 유체 유동 경로, 제2 유체 유동 경로, 및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가스/물 밸브는 가스가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벤트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하게 위치된 제1 구성, 가스가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가스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2 구성, 물이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는 가스 유입 포트와 가스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2 구성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1 밀봉 부재이고 가스/물 밸브는 제1 구성 및 제2 구성에서 가스/물 유입 포트와 가스/물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가스/물 밸브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사용자에 의해 제3 구성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도록 작동될 때 제2 밀봉 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에서 가스/물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제2 구성에서 도 2a의 가스/물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제3 구성에서 도 2a의 가스/물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물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원 H에 의해 식별되는 도 4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물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물 밸브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실시예는 가스 공급부(예를 들어, 공기,
Figure pct00001
,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가스의 공급) 및 물 공급부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내시경 핸들,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내시경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벤트를 포함하는 가스/물 밸브는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고 제1 유체 유동 경로, 제2 유체 유동 경로, 및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가스/물 밸브는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1 구성,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가스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2 구성,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되고 가스/물 밸브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공급 시스템 사이에서 가스 소통을 방지하도록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도광 관 계기를 통해 "살아있는" 신체 내부를 시각화하려는 요구는 180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후 수십 년간 도광 관 계기의 진보가 이루어졌고, 해당 세기말에는 살아있는 사람의 내부를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시각화하였으며, 이어서 1960년대 초반 가요성 섬유경까지 지속적인 진보가 뒤따랐다. 오늘날, 진단 평가 및 치료 조치의 분야를 벗어난 것으로 고려되던 많은 구조들이 이제 내시경 의학자에 의해 시각화되고 치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수술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시경 의학자는 위장 관 내부의 여러 다른 영역의 진단 평가 및 치료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이물질 제거, 담석 제거, 플립 제거, 조직 생검, 구조 팽창, 스텐트 배치(개방 및 배수를 위한), 출혈 및 지혈과 같은 많은 위장(gastrointestinal, GI) 관 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는 위장 관의 내부 부분을 평가하기 위해 지속적인 시각화 및 검사가 요구된다. 새로 개발된 진보된 절차(POEM, 내시경 위 절제, ESD, 등)가 보편화되면서, 의사의 시각화 개선 요구사항도 또한 해결될 필요가 있다.
내시경 절차와 연관된 낮은 이환율 및 사망률 및 "더 높은" 위험 환자 집단과 연관된 증가된 실용성으로 인해, 내시경 진단 및 치료 조치는 미국에서 가장 널리 수행되는 의료 절차이다. 미국 시장의 대략적으로 80%, 15%, 및 5%를 각각 점유하는, 올림푸스(Olympus), 펜탁스(Pentax), 및 후지논(Fujinon)의 3 개의 주요 내시경 제조업체가 있다. 각 시스템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제조업체의 내시경의 동작 및 내부 특징은 다양하다. 2009년에는, 5천 5백만 회의 절차가 GI 내시경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수행된 절차의 대략적으로 50 퍼센트는 대장 내시경 검사(2천 8백만)였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디바이스는 식도 위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결장경 검사, 직장경 검사, 내시경역행쓸개이자조영, 비경 검사, 기관지경 검사, 방광경 검사, 우각경 검사, 질경 검사, 자궁경 검사, 나팔관 검사, 복강경 검사, 흉강경 검사, 소장 내시경 검사, 양막 내시경 검사, 태아경 검사, 광각 내시경 검사, 경막외 내시경 검사, 및 임의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내시경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 내시경 디바이스는 내부 장기 또는 물체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및/또는 신체를 통해 내시경/프로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물 공급원, 가스 공급원, 전기 공급원, 진공 공급원, 및/또는 광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내시경 시스템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내시경 핸들, 및 내시경 핸들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굴절될 수 있는 원위 단부에서 종결되는 가요성 샤프트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내시경 핸들로 내시경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과 함께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내시경 시스템은 살아있는 생물 내부를 시각화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의료 절차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가스 공급 시스템, 물 공급 시스템, 전기 공급원, 진공 공급원, 광원, 및/또는 다른 보조 시스템 및 장치를 포함한다. 가요성 샤프트는 전형적으로 입, 질, 항문, 요도, 작은 절개부, 또는 다른 그러한 공동과 같은 체강에 침습 수술 절차를 필요하게 만들지 않으면서 내부 장기 또는 물체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된다.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는 절차 중에 내부 공간의 실시간 이미지가 캡처 및 관찰될 수 있도록 비디오카메라에 연결된 렌즈를 포함한다. 내시경 시스템은 미국 특허 8,870,756 및 미국 특허 9,144,374에 서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일상적인 진단 대장 내시경 검사 또는 급성 하부 위장 관 출혈의 보다 복잡한 치료 중에, 내시경 의학자의 시각화 및 치료 능력을 제한하는 점액 분비물, 대변과 또는 출혈을 직면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명확한 동작장과 또한 허용 가능한 시각화를 유지하기 위해, 전형적인 내시경 시스템은 가스로 위장 관을 개방 또는 가스주입하기 위한 하위-시스템, 내시경 관개(즉, 세척)를 위해 멸균수를 전달하기 위한 하위-시스템, 및 광학 렌즈 세정을 위해 액체(예를 들어, 멸균수)를 전달하기 위한 하위-시스템을 포함한다. 내시경 절차 중에 사용되는 2 개의 주요 기능은 흡입 및 가스/물 전달이다. 이러한 동작은 내시경 핸들의 제어와 연관된 기능(예를 들어, 밸브)을 시작하는 의사가 수동으로 제어한다. 제1 밸브(예를 들어, 흡입 밸브)는 주로 위장(GI) 관으로부터 가스, 유체,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또한 절제 또는 다른 조치 전에 조직 위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밸브(예를 들어, 가스/물 밸브)는 주로 위장(GI) 관 내부의 루멘을 가스주입하고 렌즈 세정을 위한 유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내시경 시스템을 사용할 때 루멘을 부풀리기 위해, 가스가 가스/물 밸브 상의 가스 방출 구멍(또한 본 명세서에서 "벤트"라고 언급됨)을 덮음으로써 내시경을 거쳐서 콘솔로부터 전달되지만, 그러나, 그렇게 할 때, 물은 전형적으로 그리고 또한 의도하지 않게 렌즈 헹굼 수관 밖으로 강제적으로 나와 가스주입 동안에 일정 시간 동안 "흐릿한" 시야를 야기한다. 절차에 따라, 이 우연의 유체 방출은 심각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와 환자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시경 시스템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제조업체의 내시경의 동작 및 내부 특징은 다를 수 있다. 표준 내시경(대장 내시경 또는 위 내시경)에서, 가스/물 및 흡입 밸브 모두는 내시경 핸들 내의 그들의 각각의 수용 리셉터클(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린더" 또는 "수용 실린더"라고 언급됨)에 삽입된다. 리셉터클은 전형적으로 내구성이 있는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로 가공되며 일반적으로 극히 작은 공학 공차로 특정 밸브의 외부 윤곽을 따를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밸브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가스/물 밸브의 동작과 관련하여, 수용 실린더는 내시경 엄빌리칼(umbilical)의 근위부에 유입되는 가스 유입 및 물 유입의 2 개의 입력을 허용하여, 또한 내시경 원위 단부로 향하는 수용 실린더를 탈출하는 가스 유출 및 물 유출의 2 개의 출력을 구비한다. 또한, 가스/물 밸브는 밸브 스템 상에 여러 다른 밀봉부와 수용 실린더에 배치될 때 3 개의 기능 구성(즉, 개방, 덮임, 및 눌림)을 구비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가 사용 중일 때, 개방 구성은 가스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가스 유입 포트를 통해 밸브 스템 상의 2 개의 밀봉부 사이의 수용 실린더 내부의 중앙 자리로 통과하게 하고, 가스/물 밸브의 중심에 있는 가스 방출 구멍(또한 "벤트"로 알려져 있음)을 통해 내시경에서 주위로 탈출하게 한다. 가스/물 밸브 벤트가 의사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덮일 때, 수용 실린더가 가압하기 시작하고, 밸브 스템 상의 제1 밀봉부가 의도적으로 변형되기 시작하여, 이는 가스가 밀봉부를 지나 전향되고, 가스 유출 포트를 거쳐서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 수용 실린더를 탈출하도록 한다. 가스/물 밸브가 눌려질 때, 가스는 더 이상 수용 실린더로 유입될 수 없고 물 공급 시스템으로 전향되고, 이는 유체(예를 들어, 멸균수)를 가압하여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내시경 엄빌리칼을 통해 물 유입 포트로, 수용 실린더(예를 들어, 2 개의 밀봉부 사이의 밸브 스템 주위에)를 통해 물 유출 포트, 및 가요성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 유동하도록 한다. 실제로, 가스/물 밸브 기류 방출 구멍이 의사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덮이고 수용 실린더가 가압하기 시작하고, 밸브 스템 상의 제2 밀봉부가 의도적으로 변형되기 시작할 때, 이는 가스가 제2 밀봉부를 지나서 누출되고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수용 실린더를 탈출하게 하여 유체의 우연의 방출 및 "흐릿한" 시야를 초래한다. 가스주입은 많은 내시경 절차에 걸쳐 정기적으로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시각적 선명도가 약화됨에도 불구하고 종종 가스주입을 계속한다. 그러므로, 가스주입 중에 렌즈를 가로질러 물이 누출되지 않는 가스/물 밸브가 필요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장치는 내시경 핸들의 리셉터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며,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공급 시스템과 유체 소통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및 벤트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성에서, 가스 유입 포트는 가스가 밸브 조립체 내의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밸브 유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에서, 가스 유입 포트는 가스가 밸브 조립체 내의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밸브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한 가스 유동은 제2 구성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밀봉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가스 공급부로부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가스 유출 포트로 가스가 유동할 수 있게 하도록 제2 구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미리 결정된 공압을 초과하는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대한 공압에 응답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고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 제3 채널 및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제4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벤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그리고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가스가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와 리셉터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변형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의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밸브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제3 구성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공압, 기계적 힘,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내시경 관개, 가스주입, 및 내시경 렌즈 세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내시경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 공급 시스템과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 방지는 장치의 사용 중에 동작장의 시각화를 개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가스 공급부 및 물 공급부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내시경 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내시경 핸들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내시경 핸들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및 벤트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성에서 가스 유입 포트는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조립체 내의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그리고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밸브 유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에서, 가스 유입 포트는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조립체 내의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그리고 밸브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한 가스 유동은 제2 구성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밀봉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가스 유출 포트로 유동하도록 제2 구성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미리 결정된 공압을 초과하는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대해 공압에 응답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고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 제3 채널 및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제4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벤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그리고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상에 변형 압력을 작용하여,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리셉터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스는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의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가스/물 밸브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는 제3 구성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2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공압, 기계적 힘,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예를 들어,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내시경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세척, 가스주입, 및 시각화와 같은 내시경 절차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 방지는 장치의 사용 중에 동작장의 시각화를 개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시경 절차 중에 시각화를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밸브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러한 밸브 조립체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내시경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벤트, 및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벤트로 유동하도록 내시경의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조립체로 제1 시간 기간 중에 가스를 운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내시경의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조립체로 운반되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그리고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로 유동하여 내시경의 리셉터클에 대해 밀봉력을 작용하도록 제2 시간 기간 중에 벤트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로부터 밸브 유출 포트를 통해 그리고 리셉터클의 가스 유출 포트로 유동하도록 제3 시간 기간 중에 내시경의 가스 공급부로부터 밸브 조립체로 가스를 운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가스가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운반되도록 치수가 지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밸브 조립체 내로 실질적으로 가스가 소통되지 않도록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밸브 유입 포트와 정렬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4 시간 기간 중에, 물 유입 포트로부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물 유출 포트를 통해, 제3 시간 기간 중에,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운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거쳐서, 물이 가스 유출 포트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트를 차단하는 것은 가스가 제2 시간 기간 중에 변형 밀봉 부재에 대해 변형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시경 디바이스 내의 리셉터클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또는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고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또는 제3 채널 및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제4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벤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채널을 통해, 그리고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스 유입 포트가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상에 변형 압력을 작용하여,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와 리셉터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스는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 유입 포트가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력은 제1 밀봉력일 수 있고 방법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리셉터클 사이에 제1 밀봉력을 유지하는 것과,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리셉터클 사이에 제2 밀봉력을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밀봉력은 제1 밀봉력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 유출부를 통해 소통된 가스는 체강의 가스주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 유출부를 통해 소통되는 물은 내시경 관개 및 내시경 렌즈 세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 방지는 장치의 사용 중에 동작장의 시각화를 개선한다.
도 1은 동작장의 시야의 실시간 이미지를 캡처함으로써 내시경 절차 중에 시각화를 개선하고 이미지를 흐리게 하지 않고 그 이미지들을 내시경 의학자 주위의 모니터로 다시 릴레이하도록 구성된 내시경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내시경 시스템(100)은 제어 유닛(150)과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핸들(110), 및 내시경 핸들(110)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굴절될 수 있는 원위 단부(172)에서 종결되는 가요성 샤프트(170)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내시경 핸들(110)을 갖춘 내시경 시스템(100)의 다양한 기능과 함께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요성 샤프트(170)는 전형적으로 수술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내부 장기 또는 물체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 질, 항문, 요도, 또는 다른 그러한 공동과 같은 체강 내로 삽입된다.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는 내부 공간의 실시간 이미지가 절차 중에 캡처 및 관찰될 수 있도록 비디오카메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광학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50)은 가스 공급 시스템(152), 물 공급 시스템(154), 및 진공 공급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시스템(152)은 위장(gastrointestinal, GI) 관을 개방 또는 가스주입하기 위해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에 가스(예를 들어, 공기,
Figure pct00002
, 또는 다른 적합한 가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물 공급 시스템(154)은 멸균수 저장조(156) 및 물펌프(158)를 포함하고, 내시경 관개(즉, 세척)를 위해 그리고 광학 렌즈 세정을 위해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에 멸균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진공 공급원은 내시경 절차 중에 체강으로부터 신체 분비물, 세척으로부터의 물, 찌꺼기, 과도한 가스, 및 다른 원치 않는 재료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절차 중에, 제어 유닛(150)은 가스 공급 시스템(150)으로부터 가스를 그리고 물 공급 시스템(152)으로부터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로 물을 전달하고, 진공 공급원과 함께 동작장으로부터 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절차 중에 사용되는 2 개의 주요 기능은 내시경 핸들(110)을 사용하여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흡입 및 가스/물 전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시경 핸들(110)은 제1 밸브(120)(또한 본 명세서에서 "흡입 밸브(120)"라 언급됨), 및 제2 밸브(130)(또한 본 명세서에서 "가스/물 밸브(130)"라 언급됨)를 포함한다. 흡입 밸브(120)은 GI 관으로부터 가스, 유체,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절제 또는 다른 조치 전에 조직 위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가스/물 밸브(130)는 주로 GI 관 내부의 루멘을 가스주입하기 위해 가스 공급 시스템(150)으로부터의 가스 전달을 제어하고 광학 렌즈 세정을 위해 물 공급 시스템(152)로부터 유체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그러나, 제조업체의 내시경의 동작 및 내부 특징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내시경 시스템에서, 흡입 밸브(120) 및 가스/물 밸브(130) 모두는 내시경 핸들(110) 내의 각각의 수용 리셉터클(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린더" 또는 "수용 실린더"로 언급됨)에 삽입된다. 리셉터클은 전형적으로 스테인레스 강으로부터 기계가공되지만, 제한 없이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극히 작은 공학 공차로 특정 밸브의 외부 윤곽을 따를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밸브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가스/물 밸브(130)의 동작과 관련하여, 수용 실린더는 2 개의 입력부(즉, 가스 유입부 및 물 유입부) 및 2 개의 출력부(즉, 가스 유출부 및 물 유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가스/물 밸브(130)는 밸브 스템(도시되지 않음) 상에 배치된 여러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수용 실린더 내에 배치될 때 3 개의 기능 구성(즉, 개방, 덮임, 및 눌림) 중 임의의 하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개방, 덮임, 및 눌림 구성은 각각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으로서 본 명세서에 공지되어 있다. 밸브 스템은 벤트(도시되지 않음)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주요 축방향 통로(도시되지 않음)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주요 반경방향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가스주입을 위한 가스는 주요 반경방향 통로를 통해 유도될 수 있고 주요 축방향 통로를 통해 환기되거나 또는 가스/물 유출부에 의해 가스/물 밸브(130)를 탈출하도록 주요 반경방향 통로를 통해 계속될 수 있다.
가스/물 밸브(130)가 사용 중일 때, 제1 구성은 가스가, 제어 유닛(150)으로부터, 가스 유입 포트를 통해 그리고 밸브 스템 상의 2 개의 밀봉부 사이의 수용 실린더 내부의 중앙 자리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물 밸브(130)의 중심에서의 벤트(또한 방출 구멍이라고 언급됨)를 통해 대기로 가스/물 밸브(130)를 탈출할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성은 기준선 또는 디폴트 구성이고 이는 사용자가 가스/물 밸브(130)와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 유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내시경 핸들(110)의 원위부를 장기와 관련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동작 제어부를 방출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완료할 때, 가스/물 밸브(130)는 제1 구성으로 복귀할 것이다. 가스/물 밸브(130)는 또한 제1 구성에서 유지될 수 있고 반면 내시경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 또는 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결합된다.
사용자는 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올 수 없도록 가스/물 밸브(130)의 중심에서 벤트를 차단함으로써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가스/물 밸브(130)를 전이시킬 수 있다. 벤트가 사용자(예를 들어, 내시경 의학자 또는 의사)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덮일 때, 수용 실린더는 가압하기 시작하고, 밸브 스템 상의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의도적으로 변형되어, 가스가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지나 전향되도록 하고,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로 가스 유출 포트를 거쳐서 수용 실린더를 탈출하게 한다. 가스/물 밸브(130)는 또한 가스 유입부/유출부 및 물 유입부/유출부 사이에 밀폐된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팽창 및 수축(예를 들어, 공압식, 기계적, 유압식, 등)을 위해 구성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즉, 압력이 수용 실린더 내에 축적됨에 따라,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가압된 가스가 물 유입부 및/또는 물 유출부 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물 밸브(130) 및 수용 실린더 사이의 밀폐 및/또는 유체 밀봉된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증가된 압력에 응답하여 팽창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압력이 시스템 내에 축적될 때 압력이 또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내부에 또는 그에 대해 축적되어 수용 실린더 및/또는 가스/물 밸브에 대해 변형되게(예를 들어, 팽창, 확대, 팽만, 성장, 등) 하도록 가스/물 밸브(130)에 물리적으로 및 유체적으로 모두 커플링된다. 즉,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시스템 가스 압력으로부터 잠재적으로 변형되는 응력이 작용될 때, 가스/물 밸브(130) 및 수용 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팽창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 실린더가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그 채널 내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채널 내에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은 주요 반경방향 통로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부 축방향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부 축방향 통로는 가압된 가스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축방향 통로는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유체 소통되는 부 반경방향 통로(도시되지 않음)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반경방향 통로는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인가되는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등하도록 밸브 스템에 대해 분배되는 복수의 통로들이다. 즉, 제2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사이의 수용 실린더 내부에 축적되는 가스 압력 또는 유체 압력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내부의 가스 압력과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력이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작용되는 잠재적으로 변형되는 가스 압력을 가스/물 밸브(130) 내부로부터 극복할 정도로 충분히 크도록 조정력은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기계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대해 힘 및/또는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스/물 밸브(130)를 누름으로써 가스/물 밸브(130)를 제3 구성으로 전이할 수 있다. 가스/물 밸브가 눌릴 때, 가스는 수용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물 공급 시스템(154)(즉, 물 저장조)으로 전향되고, 이는 물 공급 시스템(154)으로부터, 내시경 엄빌리칼을 통해, 가스/물 밸브(130)의 물 유입 포트로, 수용 실린더(예를 들어, 2 개의 밀봉부 사이의 밸브 스템 주위에)를 통해 물 유출 포트로, 및 가요성 샤프트(170)의 원위 단부(172)로 유체(예를 들어, 멸균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압 및 힘을 가하기 시작한다. 이 멸균수의 유동은 찌꺼기를 제거하고 시각화를 개선하기 위해 렌즈를 가로질러 유도된다.
도 2a 내지 2c 및 도 3 내지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물 밸브(230)를 예시한다. 가스/물 밸브(130)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가스/물 밸브(230)는, 임상 절차 중에 내시경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가로지른, 내시경 의학자의 시각화를 모호하게 하여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230)의 일부 및/또는 양태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가스/물 밸브(130)의 대응하는 일부 및/또는 양태에 대해서 형태 및/또는 기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그러한 유사한 일부 및/또는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서술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절차 중에, 제어 유닛은 가스(예를 들어, 공기,
Figure pct00003
,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가스)를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그리고 물을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 전달하도록, 그리고 진공 공급원과 함께 동작장으로부터 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절차 중에 사용되는 2 개의 주요 기능은 내시경 핸들을 사용하여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흡입 및 가스/물 전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시경 핸들은 제1 밸브(도시되지 않음; 또한 본 명세서에서 "흡입 밸브"로 언급됨), 및 제2 밸브(230)(또한 본 명세서에서 "가스/물 밸브(230)" 및 "밸브 조립체(230)"로 언급됨)를 포함한다. 흡입 밸브는 GI 관으로부터 가스, 유체,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절제 또는 다른 조치 이전의 조직 위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스/물 밸브(230)는 주로 GI 관 내부의 루멘을 가스주입하기 위해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가스 전달을 제어하고 또한 광학 렌즈 세정을 위해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유체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제조업체의 내시경의 동작 및 내부 특징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내시경 시스템에서, 가스/물 밸브(230)는 내시경 핸들 내의 수용 리셉터클(250)(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린더(250)" 또는 "수용 실린더(250)"라고 언급됨) 내로 삽입된다. 리셉터클(250)은 전형적으로 스테인레스 강으로부터 기계가공되지만, 제한 없이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극히 작은 공학 공차를 갖는 가스/물 밸브(230)의 외부 윤곽을 따를 수 있고 또한 밸브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가스/물 밸브(230)의 동작에 관련하여, 수용 실린더는 가스 유입부(252), 및 가스 유출부(254), 물 유입부(256), 및 물 유출부(258)를 구비한다. 또한, 가스/물 밸브(230)는 밸브 스템(240) 주위에 각각 배치된 제1 밀봉 부재(262), 제2 밀봉 부재(264), 제3 밀봉 부재(266), 및 제4 밀봉 부재(268)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230)는 밸브 유입 포트(241a) 및 밸브 유출 포트(241b)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밸브 스템(240)은 단일체(예를 들어, 단일 피스)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테르(아미드), PEBA, 열가소성 탄성 올레핀, 코폴리에스테르,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세라믹, 메타크릴레이트, 폴리(N-이소프로필라미소그래피), PEO-PPO-PEO(플루로닉스), 고무,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ABS, MABS, 실리콘, 등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간략히, 제1 밀봉 부재(262)는 가스/물 밸브(230) 내부에서 가스 및/또는 물을 함유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제2 밀봉 부재(264)는 가스 유입부(252)와 가스 유출부(254) 사이의 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유도하도록 배치 및 구성되고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압에서. 제3 밀봉 부재(266)는 물 유동으로부터 가스 유동을 격리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제4 밀봉 부재(268)는 가스/물 밸브(230)의 구성에 기초하여 렌즈 세정을 위한 물 유동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윤활제, 항균성, 용매, 또는 다른 그러한 재료가 서술된 디바이스의 임의의 구성요소 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그에 합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윤활제는 폴리디메틸 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폴리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실록산, 디메틸실록산의 공중합체, 실리콘계 윤활제,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푸르푸린 오일, 글리세롤 트리베헤네이트, 실리콘 오일, 계면 활성제,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등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오일계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항균제(또는 살생물제)는 항생제, 살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소독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항균제는 페놀, 4 차 암모늄, 구아니딘, 타우로리딘, 파라클로로메탁실레놀, 은 설파디아진, 은 산화물, 은 질산염, 피리디늄,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미드, 베넷소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디쿠알리니움 아세테이트, 디쿠알리니움 클로라이드, 클로록실레놀, 아미노글리코시드, 베타 락탐, 퀴놀론 또는 플로르퀴놀론, 매크로리드, 술폰아미드, 술팜에톡사졸, 테트라사이클론, 스트렙토그라민, 옥사졸리디논 (리네졸리드와 같은), 클린다마이신, 링코마이신, 리파마이신, 글라이코펩타이드, 폴리믹신, 지질 펩타이드 리포펩티드 항생제, 및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나트륨 염,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칼슘염,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칼륨 염, 지질 제형, 상기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용매는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부탄올, 2 개 이상의 더 낮은 알코올 구성요소,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에틸 알코올의 혼합물이 약 1:10 내지 약 1:1의 비율, 2 개 초과의 알코올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230)는 수용 실린더(250) 내에 배치될 때 3 개의 기능 구성 중 임의의 하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즉, 개방, 덮임, 눌림). 개방, 덮임, 및 눌림 구성은 각각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으로 본 명세서에 공지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240)은 벤트(242)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주요 축방향 통로(243)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를 구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스/물 밸브(230)가 사용 중일 때, 제1 구성은 가스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가스 유입 포트(252)를 통해, 제2 밀봉 부재(264)와 제3 밀봉 부재(266) 사이의 수용 실린더(250) 내부의 중앙 자리로,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 내로, 주요 축방향 통로(243)를 통해 통과하게 그리고 가스/물 밸브(230)의 중심에서 벤트(242)를 통해 대기로 가스/물 밸브(230)를 탈출하게 허용한다. 이 가스 경로는 제1 가스 유동 경로(A1)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성은 기준선 또는 디폴트 구성이고 이는 사용자가 가스주입하지 않을 때 유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내시경 핸들의 원위부를 장기와 관련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물 밸브(230)를 방출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완료할 때, 가스/물 밸브(230)는 제1 구성으로 복귀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올 수 없도록 가스/물 밸브(230)의 중심에서 벤트(242)를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가스/물 밸브(230)를 전이할 수 있다. 벤트(242)가 사용자의 손가락(U)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덮일 때, 수용 실린더(250) 및 밸브 스템(240) 사이의 공간은 가압하기 시작하고, 밸브 스템(240) 상의 변형 가능한 제2 밀봉 부재(264)는 의도적으로 변형되어, 가스가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를 통해, 변형 가능한 제2 밀봉 부재(264)를 지나 수용 실린더(250) 밖으로 가스 유출 포트(254)를 거쳐서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 전향되도록 한다. 즉, 가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가스는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를 통해 유동하고 제1 구성에서 제1 가스 유동 경로(A1)를 따라 주요 축방향 통로(243)를 통해 환기되거나, 또는 제2 구성에서 제2 가스 유동 경로(A2)로서 공지된, 가스 유출부(254)를 거쳐서 가스/물 밸브(230)를 탈출하도록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를 통해 계속된다.
가스/물 밸브(230)는 또한 가스 유입부(252)/유출부(254) 및 물 유입부(256)/유출부(258) 사이에서 밀폐된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팽창 및 수축(예를 들어, 공압식, 기계식, 유압식, 등)되도록 구성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일 수 있는 제3 밀봉 부재(266)를 포함한다. 즉, 압력이 수용 실린더(250) 내에 축적됨에 따라,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는 증가된 압력에 응답하여 팽창하여 가스/물 밸브(230) 및 수용 실린더(250) 사이에 유체 밀봉된 밀봉부를 제공하여 가압된 가스가 물 유입부(256) 및/또는 물 유출부(258) 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는 가스/물 밸브(230)에 물리적 및 유체적으로 커플링되어 압력이 시스템 내에 축적됨에 따라, 가스 또는 유체 압력이 또한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 내부에 또는 그에 대해 축적되도록 하여, 수용 실린더(250) 및/또는 가스/물 밸브(230)의 밸브 스템(240)에 대해 변형되게(예를 들어, 팽창, 확대, 팽만, 성장, 등) 한다. 즉,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에 시스템 가스 압력으로부터 잠재적으로 변형되는 응력이 작용될 때, 가스/물 밸브(230)와 수용 실린더(250) 사이의 공간을 더 효과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팽창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 실린더(250)는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가 채널 내에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240)은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부 축방향 통로(246)를 포함하고, 부 축방향 통로(246)는 가압된 가스가 주요 반경방향 통로(244)로부터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 내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축방향 통로(246)는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유체 소통되는 부 반경방향 통로(248)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반경방향 통로(248)는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에 인가되는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등하도록 밸브 스템(240)에 대해 분배된 복수의 통로들이다. 즉, 제2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제2 밀봉 부재(264) 및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 사이의 수용 실린더(250) 내부에 축적되는 가스 압력은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 내부의 가스 또는 유체 압력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같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력이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 상에 작용되는 잠재적으로 변형되는 가스 압력을 가스/물 밸브(230) 내부로부터 극복할 정도로 충분히 크도록 조정력은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에 기계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도시되지 않음)는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대해 힘 및/또는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제3 밀봉 부재(266)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산염,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에폭시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페놀 수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실리콘, 푸란, 폴리술폰, 네오프렌과 같은 탄성 재료, 이소프렌,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부타디엔-기반 합성 고무, 라텍스, 1,3-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 플루오로 실리콘, 플루오로카본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이소프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 및 임의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지만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스/물 밸브(230)는 도 2c에서 화살표 AA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물 밸브(230)가 사용자의 손가락(U)에 의해 눌릴 때, 제3 구성으로 전이될 수 있다. 가스/물 밸브(230)가 눌릴 때, 가스는 수용 실린더(25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물 공급 시스템(즉, 물 저장조)으로 전향되고, 이는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내시경 엄빌리칼을 통해 가스/물 밸브(230)의 물 유입 포트(256)으로, 수용 실린더(250)의 내부 체적을 통해(예를 들어, 제3 밀봉 부재(266) 및 제4 밀봉 부재(268) 사이의 밸브 스템(240) 주위에) 물 유출 포트(258)로, 그리고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 유체(예를 들어, 멸균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압 및 힘을 가하기 시작한다. 물 유동 경로는 도 2c에 W1으로 예시된다. 이 멸균수의 유동은 찌꺼기를 제거하고 시각화를 개선하기 위해 렌즈를 가로질러 유도된다.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서술되었지만;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적절한 용도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적응 및 수정될 수 있고 다른 추가 및 수정이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실시예가 특별히 도시되고 서술되었지만, 형태 및 상세한 사항의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예시된 실시예는 특정 실시예의 변화하는 상세한 사항의 예시적인 특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러므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도면의 특징,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양태는 개시된 시스템 또는 방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달리 조합, 분리, 교체,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성요소의 형상 및 크기는 또한 예시적이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의 개시된 그리고 예시적인 시스템, 장치, 또는 방법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 및 "대략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명시된 값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Figure pct00004
을 의미하고, 예를들어 약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내지
Figure pct00007
를 포함할 것이고, 대략적으로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내지
Figure pct00010
를 포함할 것이다.
내시경 디바이스 분야에서의 종래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었다. 용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편의상의 목적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제공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서 대응 용어의 해석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정의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그것의 가장 넓은 합리적인 해석을 주어야 한다.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예시 및 서술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배열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적응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이 출원은 임의의 적응 또는 편차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은, 예시로서,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예"로 언급된다. 이러한 예는 도시되거나 서술된 것들에 추가하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또한 도시되거나 서술된 단지 이들 요소만이 제공되는 예를 고려한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또한 특정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하여,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서술된 다른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하여, 도시되거나 서술된 이들 요소(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를 고려한다.
이 문헌에 언급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문헌은 그들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참조로 합체되어 있는 것처럼,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이 문헌과 참조로 합체된 이러한 문헌들 사이의 일관성 없는 사용법의 경우에는, 합체된 참조(들)에서의 사용법은 이 문헌의 그것에 대해 보충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양립할 수 없는 불일치에 대해, 이 문헌의 사용법이 기준이 된다.
이 문헌에서, 용어 "a" 또는 "an"은, 특허 문헌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경우 또는 사용법과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하나 초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 문헌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용어 "또는"은 비배타적인 것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A 또는 B"가 "B를 제외한 A", "A를 제외한 B", 및 "A 및 B"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이 문헌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에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에서(wherein)"의 동등한 평문-영어로써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mprising)"은 제한이 없으며, 즉, 청구범위에서 그러한 용어 뒤에 열거된 그것들과 또한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물품 또는 프로세스가 여전히 해당 청구범위의 범주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고, 그들의 물체에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전술된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가 상기 설명을 검토 시에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요약은 37 C.F.R. §1.72(b)에 따르도록 제공되고,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성질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하에 제출된다.
이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이 개시내용을 합리화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이는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청구범위에 필요한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발명의 주제는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합체되어 있고, 각각의 청구범위는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자립하고, 그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치환에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실시예의 범주는 이러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동등물의 전체 범주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9)

  1. 장치이며,
    내시경 핸들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물 공급 시스템과 유체 소통하게 구성되는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및 벤트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및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가스가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 내의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및 상기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1 구성, 및
    가스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 내의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및 상기 밸브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되는 제2 구성으로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한 가스 유동은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밀봉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 포트가 상기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상기 가스 유출 포트로 가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구성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미리 결정된 공압을 초과하는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대한 공압에 응답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고 상기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제4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상기 벤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변형 압력을 작용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을 형성하여, 가스가 상기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상기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 포트와 상기 물 유출 포트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3 구성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공압, 기계적 힘,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핸들은 내시경 관개, 가스주입, 및 내시경 렌즈 세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상기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 방지는 상기 장치의 사용 중에 동작장의 시각화를 개선하는, 장치.
  14. 장치이며,
    가스 공급부 및 물 공급부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핸들로서, 상기 내시경 핸들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내시경 핸들;
    상기 내시경 핸들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및 벤트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및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가스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제1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상기 벤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되는 제1 구성, 및
    가스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 내의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그리고 상기 밸브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되는, 제2 구성으로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한 가스 유동은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밀봉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물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물 유출 포트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 포트가 상기 물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된 제3 구성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그리고 상기 가스 유출 포트로 가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구성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미리 결정된 공압을 초과하는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대한 공압에 응답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고 상기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제4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상기 벤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변형 압력을 작용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을 형성하여, 가스가 상기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상기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 포트와 상기 물 유출 포트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가스/물 밸브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3 구성에서 제3 유체 유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2 밀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공압, 기계적 힘, 및 유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핸들은 세척, 가스주입, 및 시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가스 공급 시스템과 상기 물 유출 포트 사이의 가스 소통 방지는 상기 장치의 사용 중에 동작장의 시각화를 개선하는, 장치.
  27. 내시경 절차 중에 시각화를 개선하기 위해 밸브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내시경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되고 밸브 유입 포트, 밸브 유출 포트, 벤트,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상기 벤트로 유동하도록 제1 시간 기간 중에 내시경의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로 가스를 운반하는 단계,
    상기 내시경의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밀봉력을 작용하기 위해 상기 내시경의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로 운반되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통해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로 유동하도록 제2 시간 기간 중에 상기 벤트를 차단하는 단계,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의 가스 유출 포트로 유동하도록 제3 시간 기간 중에 상기 내시경의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로 가스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는 가스가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운반되도록 치수가 지정되고 구성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가스가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실질적으로 소통되지않도록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유입 포트와 정렬시키는 단계;
    제4 시간 기간 중에, 물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제3 시간 기간 중에, 물 유출 포트를 통해,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를 거쳐서, 상기 가스 유출 포트 내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를 차단하는 것은 가스가 상기 제2 시간 기간 중에 변형 밀봉 부재에 대해 변형력을 작용하게 하는,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가스 유입 포트;
    가스 유출 포트;
    물 유입 포트; 및
    물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형성하는 제1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고 상기 벤트를 형성하는 제2 채널;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3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제4 채널을 형성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1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채널 내로, 그리고 상기 벤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벤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2 유체 유동 경로는 가스가 상기 밸브 유입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내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유입 포트가 상기 가스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소통된 가스는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에 변형 압력을 작용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을 형성하여, 가스가 상기 가스 유출 밸브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한 제3 유체 유동 경로는 물이 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밸브 스템 주위에, 그리고 상기 물 유출 포트를 거쳐서 상기 밸브 조립체 밖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 포트와 상기 물 유출 포트가 유체 소통하게 위치될 때 형성되는, 방법.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력은 제1 밀봉력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조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 사이에 상기 제1 밀봉력을 유지하는 단계; 및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 및 상기 리셉터클 사이에 제2 밀봉력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력은 상기 제1 밀봉력보다 작은, 방법.
  38. 제27항에 있어서, 가스 유출부를 통해 소통된 가스는 체강의 가스주입을 위한 것인, 방법.
  39. 제27항에 있어서, 물 유출부를 통해 소통된 물은 내시경 관개 및 내시경 렌즈 세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것인, 방법.
KR1020207008065A 2017-08-24 2018-08-24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KR20200053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9698P 2017-08-24 2017-08-24
US62/549,698 2017-08-24
PCT/US2018/047977 WO2019040888A1 (en) 2017-08-24 2018-08-24 APPARATUS FOR ENHANCED VISUALIZATION FOR ENDOSCOPIC PROCED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505A true KR20200053505A (ko) 2020-05-18

Family

ID=6543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065A KR20200053505A (ko) 2017-08-24 2018-08-24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87756A1 (ko)
EP (1) EP3672470B1 (ko)
JP (1) JP7269223B2 (ko)
KR (1) KR20200053505A (ko)
CN (1) CN111278341B (ko)
BR (1) BR112020003730A2 (ko)
WO (1) WO2019040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756B2 (en) 2010-10-08 2014-10-28 ERBE-USA, Inc. Hybrid apparatus for fluid supply for endoscopic irrigation and lens cleaning
USD750235S1 (en) 2014-03-19 2016-02-23 ERBE-USA, Inc. Endoscope connector
WO2020243421A1 (en) * 2019-05-30 2020-12-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valve
AU2021244310B2 (en) * 2020-03-24 2024-02-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fluid control in endoscope systems
US20210378486A1 (en) * 2020-06-05 2021-12-09 Ga Health Company Limited Suction valve for an endoscope
WO2023154698A1 (en) * 2022-02-08 2023-08-17 Boston Scientific Medical Device Limited Actuators for medical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98A (ja) * 1996-06-27 1998-01-13 Miura Co Ltd 圧力容器の気密装置
JP4010857B2 (ja) 2002-04-17 2007-11-2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の管路切換操作弁
US8870756B2 (en) 2010-10-08 2014-10-28 ERBE-USA, Inc. Hybrid apparatus for fluid supply for endoscopic irrigation and lens cleaning
JP5349561B2 (ja) * 2010-10-12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管路切換装置
US9408523B2 (en) * 2010-11-30 2016-08-09 Medivators Inc. Disposable air/water valve for an endoscope
JP2013085755A (ja) * 2011-10-19 2013-05-13 Olympus Corp 内視鏡管路切換装置
WO2014080807A1 (ja) * 2012-11-21 2014-05-3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流路切替弁ユニット及び内視鏡
JP6057823B2 (ja) * 2013-04-18 2017-01-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管路切換装置と内視鏡管路切換装置を備える内視鏡と内視鏡管路切換装置の製造方法
GB2517397A (en) * 2013-05-17 2015-02-25 Partners For Endoscopy Ltd A gas and liquid supply system for an endoscope
DE102014206020A1 (de) * 2014-03-31 2015-10-01 Olympus Winter & Ibe Gmbh Verbindungseinrichtung, Reinigungs- und/oder Desinfiz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2470A1 (en) 2020-07-01
CN111278341B (zh) 2024-01-02
RU2020111231A (ru) 2021-09-24
EP3672470B1 (en) 2023-12-06
EP3672470A4 (en) 2021-04-21
JP2020531171A (ja) 2020-11-05
US20200187756A1 (en) 2020-06-18
WO2019040888A1 (en) 2019-02-28
JP7269223B2 (ja) 2023-05-08
CN111278341A (zh) 2020-06-12
BR112020003730A2 (pt)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3505A (ko) 내시경 절차를 위한 개선된 시각화 장치
US7967809B2 (en) Self-sealing assembly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from medical device
US5419310A (en) Partially inflated protective endoscope sheath
US8382790B2 (en) Manipulator
US9788706B2 (en) Extendible flexible sheath
US11684389B2 (en) Surgical instrument guide with insufflation channels
JP5192528B2 (ja) 内視鏡用管路切換装置
WO2014164661A1 (en) A merged trocar-obturator device for optical-entry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2009261923A (ja) 内視鏡清浄器
JP2012523855A (ja) 医用器具シース
JP2016503682A (ja) 腔内導入具
US10398292B2 (en) Fluid dispens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712263B2 (en) Surgical instrument guide
US8882659B2 (en) Endoscopic device
WO2011024900A1 (ja) 内視鏡用補助具
RU27824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н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при эндоскопических процедурах
CN113288019B (zh) 一种实时清洁内窥镜镜头的接入组件及其使用方法
US20210378486A1 (en) Suction valve for an endoscope
EP3782528A1 (en) Fluid supply device for endoscope
JP6278570B2 (ja) 内視鏡システム、内視鏡用アダプタ、及び内視鏡用コネクタ
KR101922927B1 (ko) 내시경용 처치구
JP2021118755A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動作方法
CN108175365A (zh) 一种用于腔镜的鞘套及腔镜设备和手术系统
WO2015190412A1 (ja) 流体用栓部及び挿入機器
JP2023182304A (ja) トロッカー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