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286A -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286A
KR20200051286A KR1020180134463A KR20180134463A KR20200051286A KR 20200051286 A KR20200051286 A KR 20200051286A KR 1020180134463 A KR1020180134463 A KR 1020180134463A KR 20180134463 A KR20180134463 A KR 20180134463A KR 20200051286 A KR20200051286 A KR 2020005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threshing
processing
feeding
qu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372B1 (ko
Inventor
김치호
차성환
조진석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3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와 수확 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을 변화시켜 최적화함으로써 미타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균등타격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Teeth Adjustable Threshing Drum for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와 수확 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을 변화시켜 최적화함으로써 미타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균등타격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농토 위를 주행하면서 벼나, 보리, 밀 등의 작물을 베어낸 후 탈곡 및 선별작업을 하는 수확기계이다.
이러한 콤바인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로 형성되는 주행장치(100)와, 이삭에 달린 곡물을 탈곡하도록 주행장치(100)에 탑재되는 탈곡장치(200)와, 주행장치(100)의 조작을 위하여 탈곡장치(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400)과, 탈곡장치(100)에 의해 탈곡된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탱크(500)와, 탈곡장치(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물의 이삭을 베어서 탈곡장치(200)로 공급하는 예취장치(30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탈곡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와, 외주면에 복수의 탈곡급치(225)가 구비되어 예취장치(300)에 의해 케이스(210)로 공급되는 이삭으로부터 곡물을 탈곡하도록 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곡통(220)과, 탈곡된 곡립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탈곡통(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망(230)과, 진동을 통해 곡립과 부스러기를 분리하도록 수망(2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별판(240)과, 수망(230)과 선별판(240)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250)과, 탈곡통의 후방에 구비되어 탈곡이 이루어진 작물의 줄기를 배출하는 컨베이어(260)와, 선별된 곡립을 곡물탱크(500)로 이송하는 제1곡립회수부(270)와, 부스러기가 혼합된 곡립을 탈곡통(220)으로 재이송하는 제2곡립회수부(2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예취장치에 의해 베어진 작물의 이삭이 회전하는 탈곡통의 하부로 유입되어 탈곡급치에 의해 탈곡되며, 탈곡된 곡립은 탈곡통의 하부에 구비된 수망을 통해 선별판으로 공급되고, 곡물줄기는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선별판으로 공급된 곡립과 부스러기는 선별판의 진동과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풍력에 의해 선별되어 곡립은 제1곡입회수부로 낙하한 후 제1곡립회수부의 수직 컨베이어에 의해 곡물탱크로 이송되어 저장되고, 부스러기는 풍력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 배출된다. 이때, 부스러기에 포함된 일부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은 제2곡립회수부로 낙하한 후 제2곡립회수부의 컨베이어에 의해 탈곡통으로 재이송되어 2차 탈곡작업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작물의 종류에 따라 탈곡통 내에서의 이송속도와 탈곡 형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작물의 종류와 수확 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 및 수확 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이 상이한 다수의 탈곡통을 사용하게 되면, 많은 준비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탈곡통의 교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손실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925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15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267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84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은,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와 수확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타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균등타격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1차탈곡이 이루어지는 전처리부와 2차탈곡이 이루어지는 후처리부로 분할하고 전처리부와 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탈곡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은, 외주면에 복수의 급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1차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전처리 급치부재와; 외주면에 복수개의 급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2차 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후처리 급치부재와; 일정 폭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급치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간격통과; 각 급치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각 급치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축에 삽입되는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간격유지구와; 간격통과 각 급치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의 끝단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 및 후처리 급치부재의 급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되,전처리 급치부재의 급치간 간격 각도는 후처리 급치부재에 급치간 간격 각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전처리 급치부재 및 복수의 후처리 급치부재가 각각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를 형성하되, 전처리 급치부재의 개수가 후처리 급치부재의 개수보다 더 많이 구성되고, 전처리부 전체가 동일한 급치간 지연각을 갖도록 전처리 급치부재가 배열되고, 후처리부 전체가 동일한 급치간 지연각을 갖도록 후처리 급치부재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과 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간격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회전각도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측면에 미세한 크기의 톱니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원판의 외측에 각각 급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스부와, 외측에 급치가 형성되는 원형링과, 보스부와 원형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형링은 리브가 연결되는 부분과 급치가 형성되는 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은 복수 개의 전처리 급치부재와 복수 개의 후처리 급치부재가 각각 간격통과 간격유지구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회전축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작물의 종류와 수확 속도에 따라 급치배열을 변화시켜 최적화함으로써 미타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균등타격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차탈곡을 위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2차탈곡을 위한 후처리 급치부재의 급치 수를 달리 함으로써 타격지연시간과 타격지연거리를 최소화하고 타격중첩길이를 짧게 하여 미탈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처리 급치부재로 이루어진 전처리부와 복수 개의 후처리 급치부재로 이루어진 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1차탈곡 및 2차탈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의 측면에 미세한 톱니형상부가 형성됨에 따라 간격통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고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를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도 있고, 리브형으로 구성하여 중량을 낮출 수도 있다.
또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를 리브형으로 구성할 때 톱니가 형성되는 부분과 리브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콤바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콤바인의 탈곡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급치부재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 급치부재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급치(11')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1차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전처리 급치부재(11)와; 외주면에 복수개의 급치(12')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2차 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후처리 급치부재(12)와; 일정 폭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급치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간격통(13)과; 각 급치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4)과; 각 급치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축(14)에 삽입되는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간격유지구(16)와; 간격통(13)과 각 급치부재(11)(12)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14)의 끝단에 체결되는 고정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처리 급치부재(11)는 4개의 급치(11')가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후처리 급치부재(12)는 6개의 급치(12')가 원주 방향을 따라 6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전처리 급치부재(11)는 4개의 급치(11')를 이용하여 타격지연시간과 타격지연길이를 최소화하면서 1차 탈곡을 수행하고, 상기 후처리 급치부재(12)는 6개의 급치(12')를 이용하여 타격중첩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2차탈곡시 미탈립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18개의 전처리 급치부재(11)가 전처리부(A)를 구성하고, 9개의 후처리 급치부재(12)가 후처리부(B)를 구성한다. 이때, 전처리부(A)의 급치간 지연각과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처리부(A)의 급치간 지연각은 가급적 작게 하여 타격지연시간과 타격지연길이를 최소화하고,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은 가급적 크게 하여 타격중첩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A)의 급치간 지연각은 0~30도로 하고,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은 55~80도로 하는 것이다.
또, 전처리 급치부재(11)와 후처리 급치부재(12)에는 회전각을 나타내는 각도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고, 간격통(1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회전각도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측면에 미세한 크기의 톱니형상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도표시부를 통해 전처리 급치부재(11) 및 후처리 급치부재(12)의 회전각을 확인하면서 급치간 지연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톱니형상부를 이용하여 간격통(1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상대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간격통(13)의 폭에 따라 전처리부(A) 및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간격통(13)은 32㎜, 36㎜, 40㎜, 49㎜ 등 다양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처리부(A)와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을 조절할 때 전처리 급치부재(11) 및 후처리 급치부재(12)의 회전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간격통(13)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급치간 지연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처리 급치부재(11)는 도 6의 (a)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14)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원판(11a)의 외측에 4개의 급치(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의 (b)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14)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스부(11b)와, 외측에 급치(11')가 형성되는 원형링(11d)과, 보스부(11b)와 원형링(11d)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1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형링(11d)은 리브(11c)가 연결되는 부분과 급치(11')가 형성되는 부분 및 원형링(11d)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 후처리 급치부재(12)는 도 7의 (a)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14)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원판(12a)의 외측에 6개의 급치(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14)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스부(12b)와, 외측에 급치(12')가 형성되는 원형링(12d)과, 보스부(12b)와 원형링(12d)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1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형링(12d)은 리브(12c)가 연결되는 부분과 급치(12')가 형성되는 부분 및 원형링(12d)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전처리 급치부재(11)와 후처리 급치부재(12)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를 리브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중량은 감소하지만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중량과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4)에 후처리 급치부재(12)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회전축(14)에 간격유지구(16)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외측에 간격통(13)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후처리 급치부재(12)의 중심부는 간격유지구(16)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후처리 급치부재(12)의 외측부는 간격통(13)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대략 9개의 후처리 급치부재(12)로 이루어진 후처리부(B)를 형성한다.
이어, 회전축(14)에 전처리 급치부재(11)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회전축(14)에 간격유지구(16)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외측에 간격통(13)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처리 급치부재(11)의 중심부는 간격유지구(16)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전처리 급치부재(11)의 외측부는 간격통(13)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대략 18개의 전처리 급치부재(11)로 이루어진 전처리부(A)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처리부(A)의 구성이 완료되면 회전축(14)의 선단에 고정부재(15)를 체결하여 각각의 급치부재(11)(12)와 간격통(13) 및 간격유지구(16)가 서로 밀착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4)과, 9개의 후처리 급치부재(12), 18개의 전처리 급치부재(11), 26개의 간격유지구(16) 및 간격통(13), 그리고 고정부재(15)로 이루어진 탈곡통이 완성된다.
이후,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이 정해지면 작물의 종류 및 수확 속도에 따라 전처리부(A) 및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을 각각 조절하여 급치배열을 최적화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15)를 어느 정도 풀어줌으로써 전처리 급치부재(11)와 후처리 급치부재(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후, 전처리 급치부재(11)와 후처리 급치부재(12)를 각각 회전시켜 급치간 지연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A) 전체의 급치간 지연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전처리 급치부재(11)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고, 후처리부(B) 전체의 급치간 지연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후처리 급치부재(12)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전처리부(A)의 급치간 지연각은 작을수록 타격지연시간과 타격지연거리가 짧아져 미타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0~30도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고,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은 클수록 타격중첩길이가 짧아져 반복타격이 이루어지므로 55~80도의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전처리부(A)의 급치간 지연각과 후처리부(B)의 급치간 지연각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고정부재(15)를 회전축(14)에 체결하여 각 급치부재(11)(12)와 간격유지구(16) 및 간격통(13)이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급치배열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와 수확 속도에 따라 탈곡통의 급치배열을 변화시키게 되면, 전처리부(A)에서의 1차탈곡 및 후처리부(B)에서의 2차탈곡을 통해 미탈곡된 부분을 최소화하고 탈곡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전처리 급치부재 11' : 급치
11a : 원판 11b : 보스부
11c : 원형링 11d : 리브
12 : 후처리 급치부재 12' : 급치
12a : 원판 12b : 보스부
12c : 원형링 12d : 리브
13 : 간격통 14 : 회전축
15 : 고정부재 16 : 간격유지구
A : 전처리부 B : 후처리부

Claims (9)

  1. 외주면에 복수의 급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1차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전처리 급치부재와;
    외주면에 복수개의 급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2차 탈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후처리 급치부재와;
    일정 폭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급치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간격통과;
    각 급치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각 급치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축에 삽입되는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간격유지구와;
    간격통과 각 급치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의 끝단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처리 급치부재 및 후처리 급치부재의 급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디,
    전처리 급치부재의 급치간 간격 각도는 후처리 급치부재에 급치간 간격 각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전처리 급치부재 및 복수의 후처리 급치부재가 각각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를 형성하되,
    전처리 급치부재의 개수가 후처리 급치부재의 개수보다 더 많이 구성되고,
    전처리부 전체가 동일한 급치간 지연각을 갖도록 전처리 급치부재가 배열되고, 후처리부 전체가 동일한 급치간 지연각을 갖도록 후처리 급치부재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과 후처리부의 급치간 지연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통의 폭은 32㎜, 36㎜, 40㎜, 49㎜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간격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회전각도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측면에 미세한 크기의 톱니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원판의 외측에 각각 급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처리 급치부재와 후처리 급치부재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스부와, 외측에 급치가 형성되는 원형링과, 보스부와 원형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원형링은 리브가 연결되는 부분과 급치가 형성되는 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KR1020180134463A 2018-11-05 2018-11-05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KR10266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63A KR102669372B1 (ko) 2018-11-05 2018-11-05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63A KR102669372B1 (ko) 2018-11-05 2018-11-05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286A true KR20200051286A (ko) 2020-05-13
KR102669372B1 KR102669372B1 (ko) 2024-05-28

Family

ID=7072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463A KR102669372B1 (ko) 2018-11-05 2018-11-05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371A (zh) * 2022-03-09 2022-07-15 山东省农业科学院 一种花生分根装置及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418A (en) * 1979-03-20 1980-09-25 Kubota Ltd Threshing cylinder
JPS55136233U (ko) * 1979-03-22 1980-09-27
JPS55136234U (ko) * 1979-03-22 1980-09-27
KR200215967Y1 (ko) * 2000-10-16 2001-03-15 김완수 곡물탈곡장치
JP2009142157A (ja) * 2007-12-11 2009-07-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KR100907501B1 (ko) * 2007-08-29 2009-07-13 정기원 탈곡기용 탈곡드럼
KR20130059256A (ko) 2011-11-28 2013-06-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 장치
KR20150124153A (ko) 2014-04-28 2015-11-05 대동공업주식회사 탈곡장치
KR20160112670A (ko) 2015-03-20 2016-09-28 엄달현 착탈 가능한 급치를 가지는 콤바인 탈곡부
KR20160148496A (ko) 2016-12-15 2016-12-26 엄달현 착탈 가능한 급치를 가지는 콤바인 탈곡부
JP2017012082A (ja) * 2015-07-01 2017-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扱胴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418A (en) * 1979-03-20 1980-09-25 Kubota Ltd Threshing cylinder
JPS55136233U (ko) * 1979-03-22 1980-09-27
JPS55136234U (ko) * 1979-03-22 1980-09-27
KR200215967Y1 (ko) * 2000-10-16 2001-03-15 김완수 곡물탈곡장치
KR100907501B1 (ko) * 2007-08-29 2009-07-13 정기원 탈곡기용 탈곡드럼
JP2009142157A (ja) * 2007-12-11 2009-07-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KR20130059256A (ko) 2011-11-28 2013-06-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 장치
KR20150124153A (ko) 2014-04-28 2015-11-05 대동공업주식회사 탈곡장치
KR20160112670A (ko) 2015-03-20 2016-09-28 엄달현 착탈 가능한 급치를 가지는 콤바인 탈곡부
JP2017012082A (ja) * 2015-07-01 2017-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扱胴
KR20160148496A (ko) 2016-12-15 2016-12-26 엄달현 착탈 가능한 급치를 가지는 콤바인 탈곡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371A (zh) * 2022-03-09 2022-07-15 山东省农业科学院 一种花生分根装置及方法
CN114747371B (zh) * 2022-03-09 2023-10-20 山东省农业科学院 一种花生分根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372B1 (ko)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8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rop residue
US6412260B1 (en) Direct drive system with a flywheel for an agricultural combine
JP2023079222A (ja) 脱穀装置の扱胴
RU2371904C2 (ru) Молотильный аппарат зерноуборочного комбайна
KR20200051286A (ko)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CN105557184A (zh) 一种轴流滚筒及装有该轴流滚筒的水稻联合收割机
JP6995132B2 (ja) 扱胴
BRPI0902814B1 (pt) lâmina cortadora para montagem sobre um suporte de corte de um rotor talhador de uma talhadeira combinada
CN108934413A (zh) 用于联合收割机的切碎器组件及联合收割机
JP6525860B2 (ja) 収穫装置
EP0957670A1 (en) Spreader
US2768627A (en) Stone deflecting means for a cylinder and concave type thresher
JP2009219444A (ja) 脱穀扱胴
CA3051641C (en) Knife brush for a header reel
RU2535255C1 (ru) Битер молотильно-сепа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CN209768259U (zh) 一种无级调节脱粒分离滚筒盖及脱粒机
JP5622115B2 (ja) 脱穀装置の扱胴
JP2018068145A (ja) 脱穀装置
US20150189834A1 (en) Threshing drum and mobile threshing device equipped with such a threshing drum
KR20200103456A (ko) 콤바인
JP2014036680A (ja) 脱穀装置の扱胴
CN204616467U (zh) 脱粒机二次回收滚筒
JP7288621B1 (ja) 脱穀装置の扱胴
CN219305469U (zh) 联合收割机
WO2022260043A1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