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787A -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787A
KR20200050787A KR1020180133834A KR20180133834A KR20200050787A KR 20200050787 A KR20200050787 A KR 20200050787A KR 1020180133834 A KR1020180133834 A KR 1020180133834A KR 20180133834 A KR20180133834 A KR 20180133834A KR 20200050787 A KR20200050787 A KR 2020005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upling
cover
hoo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787A/ko
Publication of KR2020005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박스몸체(11)를 구비한 부품박스(10)와, 일측 외면에 힌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11)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공간(11')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몸체(21)를 구비한 박스커버(20)와,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박스몸체(11)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박스몸체(11)에는 제1결합걸이(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21)에는 제2결합걸이(24)가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걸이(14,24)가 상기 커버몸체(21)의 내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박스몸체(11) 및 커버몸체(21)는 상기 힌지부(22)가 상기 박스몸체(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11)와 커버몸체(21)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에 각각 형성된 체결장치가 상기 박스커버의 내면에서 결합되므로 상기 체결장치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므로 파손되지 않아서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FASTENING DEVICE FOR PARTS BOX AND BOX COVER}
본 발명은 부품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에서 각종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운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에는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부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내부에 구비된 퓨즈를 보호하기 위해 상면에 박스커버가 씌워진다. 상기 박스커버는 별물로 제작되어 상기 퓨즈박스의 상면에 안착되는데, 상기 퓨즈박스 및 박스커버에는 상기 박스커버가 상기 퓨즈박스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가 각각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박스커버의 측면에 파지부가 구비된 결합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퓨즈박스에는 상기 결합부가 걸어질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되었다. 작업자가 파지부를 잡고 상기 결합부를 탄성변형 시킨 후 상기 부품박스의 돌기에 걸고 파지부를 놓으면, 상기 결합부에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돌기의 주위를 감싸며 밀착되어 상기 박스커버와 퓨즈박스가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박스커버의 파지부 및 결합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상기 박스커버를 옮기는 도중 발생하는 충격 또는 낙하에 의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박스커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파지부를 누르는 과정에서도 파손되기 쉬우며 조립과 분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쉽게 부러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박스커버와 부품박스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퓨즈를 부품박스에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설치,보수작업시에 박스커버를 따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7-00128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커버가 부품박스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박스커버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결합부가 파손되지 않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커버를 부품박스에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서 전자부품을 부품박스에 설치하거나 보수하는 작업시에 박스커버를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몸체를 구비한 부품박스와, 일측 외면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몸체를 구비한 박스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및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박스몸체 및 커버몸체는 상기 힌지부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와 커버몸체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박스몸체에는 제1결합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에는 제2결합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걸이가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에서 서로 걸어진다.
상기 박스몸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박스몸체를 완전히 가로지르되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가장자리까지 결합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과 연통되게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은 그 일부가 외팔보 형상의 보호단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결합슬롯과 가까운 위치부터 멀어지는 순서대로 준비공간, 결합공간, 해제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축이 결합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가 서로 걸려서 상기 부품박스와 박스커버가 결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힌지축이 준비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가 회전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어 결합되지 못하고, 상기 힌지축이 해제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어서 결합되지 못한다.
상기 준비공간, 결합공간, 해제공간은 상기 보호단에 형성된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은 상기 복수의 공간을 향해서 돌출되되 그 단면의 형상이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이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보호단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1결합걸이는 상기 박스몸체를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걸이는 상기 커버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는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에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에는 제1걸이경사부와 제1걸이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걸이는 상기 힌지부가 형성된 일측과 맞은편 커버몸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그 선단에는 제2걸이경사부와 제2걸이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는 상기 제1걸이결합부와 제2걸이결합부가 서로 걸어져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에 각각 형성된 체결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박스커버의 내면에서 결합되므로 외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커버의 힌지부가 부품박스의 외면에 노출되게 결합되므로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사이의 체결이 잘 이루어져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오조립이 발생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조립불량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가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매우 넓으므로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높아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커버를 박스몸체의 외면에 세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박스커버를 따로 보관하지 않고도 박스몸체의 내부공간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박스커버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A 확대도.
도 6은 도 4의 부분 B 확대도.
도 7은 도 4의 부분 C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가 결합하는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가 해제되는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체결장치란 부품박스(10)와 박스커버(20)가 결합되는데에 사용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부품박스(10)와 박스커버(20)에 형성된 체결장치에는 각각 별도의 명칭을 부여한다. 부품박스(10)의 체결장치는 결합슬롯(12'), 준비공간(12a), 결합공간(12b), 해제공간(12c) 및 제1결합걸이(14)를 포함하며, 박스커버(20)의 체결장치는 힌지부(22) 및 제2결합걸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부품박스(10)와 박스커버(20)의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한다.
부품박스(10)의 외관은 박스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1)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품박스(10)가 장착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몸체(1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에는 퓨즈가 안착된다. 상기 내부공간(11')은 내부에 안착되는 퓨즈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1)에는 상기 내부공간(11')의 양측에 단자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공간(11”)은 상기 퓨즈의 단자가 안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단자공간(11”)에 안착된 상기 퓨즈의 단자는 상기 부품박스(10)의 외부로 연결되는 버스바와 연결된다. 상기 단자공간(11”)은 상기 내부공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과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1')과 단자공간(11”)이 서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에는 결합슬롯(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2')은 상기 단자공간(11”)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2')에는 뒤에서 설명될 박스커버(20)의 힌지축(22a)이 끼워진다. 상기 결합슬롯(12')은 그 폭이 상기 힌지축(22a)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슬롯(12')은 상기 퓨즈가 상기 내부공간(1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퓨즈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몸체(11)를 완전히 가로질러서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2')이 상기 박스몸체(11)를 완전히 가로질러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면 상기 박스커버(20)가 상기 박스몸체(11)를 덮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박스커버(20)가 상기 박스몸체(11)에 결합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1)에는 상기 결합슬롯(12')과 연통되게 복수의 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12)은 상기 박스커버(20)가 상기 박스몸체(11)에 결합되는 상태에 따라서 힌지축(22a)이 안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공간(12)은 상기 힌지축(22a)이 움직이는 공간이므로 상기 결합슬롯(12')을 따라 상기 박스몸체(11)를 완전히 가로질러서 형성된다. 상기 공간(12)은 상기 결합슬롯(12')과 인접한 순서대로 준비공간(12a), 결합공간(12b), 해제공간(12c)으로 구획된다. 상기 준비공간(12a)은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박스몸체(11)와 결합되거나 해제되기 전에 위치되는 공간이고, 상기 결합공간(12b)은 상기 박스커버(20)가 상기 박스몸체(11)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힌지축(22a)이 위치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박스커버(20)를 상기 박스몸체(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축(22a)을 상기 해제공간(12c)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간(12)에 대한 내용은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간(12)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에는 그 일부가 외팔보 형상으로 보호단(13)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단(13)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며,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결합슬롯(12')을 통과하거나, 상기 공간(12)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탄성변형된다. 또한, 상기 보호단(13)은 상기 공간(12)의 내부에 안착된 상기 힌지축(22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단(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간(12)을 향해서 복수의 단턱(13',13")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3',13")에 의해 상기 공간(12)의 경계가 구획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단턱(13')에 의해 상기 준비공간(12a)과 결합공간(12b)이 구획되고, 제2단턱(13”)에 의해 상기 결합공간(12b)과 해제공간(12c)이 구획된다. 상기 단턱(13',13")은 상기 공간(12)을 향해서 상기 힌지축(22a)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폭의 공간이 남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보호단(13)을 상기 박스몸체(11)의 바깥쪽으로 탄성변형 시키고, 상기 단턱(13',13")을 넘어서야만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턱(13',13")은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단턱(13',13")을 잘 넘어가되 상기 보호단(13)을 부드럽게 탄성변형 시키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턱(13',13")은 반원 형상 또는 삼각형상 등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에는 제1결합걸이(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14)는 상기 결합슬롯(12')이 형성된 단자공간(11”) 외에 나머지 단자공간(11”)과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공간(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결합걸이(14)와 결합슬롯(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14)는 상기 결합슬롯(12')이 형성된 방향과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14)는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걸이(14)의 선단의 형상은 제1걸이경사부(14a)와 제1걸이결합부(14b)가 형성한다. 상기 제1걸이경사부(14a)는 뒤에서 설명될 박스커버(20)가 상기 박스몸체(11)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걸이(14) 또는 제2결합걸이(24)가 탄성변형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걸이결합부(14b)는 상기 제2결합걸이(24)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1걸이결합부(14b)는 상기 제1걸이경사부(14a)와 서로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걸이결합부(14b)가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결합걸이(14)의 선단을 향해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커버(20)는 상기 부품박스(10)의 내부공간(11')을 덮는다. 상기 박스커버(20)의 외관은 커버몸체(21)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2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박스몸체(1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21)의 일측에는 힌지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22)는 한 쌍의 지지대(22b)와 힌지축(22a)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2b)는 한 쌍이 상기 커버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고,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22b)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커버몸체(21)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슬롯(1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몸체(21)를 회전시키는 축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박스몸체(11)의 공간(12)에 안착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대(22b)는 상기 박스몸체(11)의 외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과 한 쌍의 지지대(22b)에 의해 상기 힌지축(22a)의 축방향으로의 노출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보호단(13)과 한 쌍의 지지대(22b)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노출이 제한되고 외력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상기 커버몸체(21)의 힌지부(22)가 형성된 일측과 맞은편인 타측에는 제2결합걸이(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걸이(24)는 상기 커버몸체(2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제2결합걸이(24)는 상기 커버몸체(2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파손의 위험이 적어진다.
상기 제2결합걸이(24)의 형상은 제2걸이경사부(24a)와 제2걸이결합부(24b)가 형성한다. 상기 제2걸이경사부(24a)는 상기 제1걸이경사부(14a)와 접촉하여 상기 제1결합걸이(14) 또는 제2결합걸이(24)가 탄성변형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걸이결합부(24b)는 상기 제1결합걸이(14)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2걸이결합부(24b)는 상기 제2걸이경사부(24a)와 서로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결합걸이(24)의 선단을 향해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9를 참고하여, 본 발명 부품박스(10)와 박스커버(20)의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체결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박스커버(20)와 부품박스(1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박스커버(20)의 힌지축(22a)이 상기 부품박스(10)의 결합슬롯(12')에 삽입되고,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준비공간(12a) 내에 안착된다. 이때에는 상기 제1결합걸이(14)와 상기 제2결합걸이(24)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서로 간섭하므로 상기 커버몸체(21)를 상기 박스몸체(11)에 완전히 결합시킬 수 없는 준비상태이다.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①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2a)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준비공간(12a) 내에 머무르던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보호단(13)의 제1단턱(13')을 위로 밀어서 상기 보호단(13)을 위로 탄성변형 시키며 이동하고, 상기 결합공간(12b)에 안착된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결합공간(12b)에 안착되면, 상기 보호단(13)은 원래대로 복귀하고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제1단턱(13')과 제2단턱(13”)에 의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결합공간(12b) 내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상기 커버몸체(21)를 상기 힌지축(22a)을 기준으로 화살표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커버몸체(21)의 제2결합걸이(24)가 상기 박스몸체(11)의 제1결합걸이(14)에 닿으면 상기 제2결합걸이(24)의 제2걸이경사부(24a)와 상기 제1결합걸이(14)의 제1걸이경사부(14a)가 접촉하여 상기 제1결합걸이(14) 또는 제2결합걸이(24)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걸이결합부(14b)와 제2걸이결합부(24b)가 서로 걸어진다. 또는 이때, 상기 제1결합걸이(14) 및 제2결합걸이(24)가 모두 탄성변형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걸이결합부(14b)와 제2걸이결합부(24b)가 서로 걸어지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몸체(21)와 박스몸체(11)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8(c)에 도시된 본 실시례의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보호단(13) 및 지지대(22b)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박스몸체(11)와 커버몸체(21) 사이의 결합이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체결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 9를 참고하여, 본 발명 부품박스(10)와 박스커버(20)의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해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c)에 도시된 본 실시례의 결합상태에서 화살표③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2a)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보호단(13)의 제2단턱(13”)을 위로 밀어서 상기 보호단(13)을 위로 탄성변형 시키며 이동하고, 상기 해제공간(12c)에 안착된다.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결합공간(12b)에서 해제공간(12c)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커버몸체(21)가 화살표③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결합걸이(14)와 제2결합걸이(24)의 체결이 해제된다.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해제공간(12c)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의 거리가 멀어서 서로 결합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걸이(14)와 제2결합걸이(24)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커버몸체(21)를 상기 힌지축(22a)을 회전축으로하여 일정각도 회전시켜 도 9(b)와 같은 상태로 만든다.
도 9(b)에 도시된 화살표⑤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2a)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해제공간(12c) 내에 머무르던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보호단(13)의 제2단턱(13”)을 위로 밀어서 상기 보호단(13)을 위로 탄성변형 시키며 상기 결합공간(12b)으로 이동하고, 도 9(c)에 도시된 화살표⑥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2a)에 외력을 가하면, 앞서 설명한 작용을 반복하며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준비공간(12a)에 안착되어 도 9(d)의 상태가 된다. 상기 준비공간(12a)에 안착된 상기 힌지축(22a)이 상기 결합슬롯(12')을 빠져나오도록 화살표⑦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커버몸체(21)와 박스몸체(11)가 완전히 분리된다.
한편, 도 9(d)와 같이 상기 커버몸체(21)를 상기 박스몸체(11)의 상면에 상기 박스몸체(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세울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21)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11')에 안착되어 있는 퓨즈를 교환하거나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보수 작업시에 상기 박스커버(20)를 상기 부품박스(10)와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부품박스 11 : 박스몸체
11' : 내부공간 11" : 단자공간
12 : 공간 12' : 결합슬롯
12a : 준비공간 12b : 결합공간
12c : 해제공간 13 : 보호단
13' : 제1단턱 13" : 제2단턱
14 : 제1결합걸이 14a : 제1걸이경사부
14b : 제1걸이결합부 20 : 박스커버
21 : 커버몸체 22 : 힌지부
22a : 힌지축 22b : 지지대
24 : 제2결합걸이 24a : 제2걸이경사부
24b : 제2걸이결합부

Claims (11)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몸체를 구비한 부품박스와,
    일측 외면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몸체를 구비한 박스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및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박스몸체 및 커버몸체는 상기 힌지부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와 커버몸체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에는 제1결합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에는 제2결합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걸이가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에서 서로 걸어지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박스몸체를 완전히 가로지르되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가장자리까지 결합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과 연통되게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은 그 일부가 외팔보 형상의 보호단이 형성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결합슬롯과 가까운 위치부터 멀어지는 순서대로 준비공간, 결합공간, 해제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이 결합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가 서로 걸려서 상기 부품박스와 박스커버가 결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이 준비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가 회전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어 결합되지 못하고,
    상기 힌지축이 해제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어서 결합되지 못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공간, 결합공간, 해제공간은 상기 보호단에 형성된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의해 구획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턱 및 제2단턱은 상기 복수의 공간을 향해서 돌출되되 그 단면의 형상이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인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보호단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걸이는 상기 박스몸체를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걸이는 상기 커버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걸이는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에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에는 제1걸이경사부와 제1걸이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걸이는 상기 힌지부가 형성된 일측과 맞은편 커버몸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그 선단에는 제2걸이경사부와 제2걸이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걸이와 제2결합걸이는 상기 제1걸이결합부와 제2걸이결합부가 서로 걸어져 결합되는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KR1020180133834A 2018-11-02 2018-11-02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KR20200050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834A KR20200050787A (ko) 2018-11-02 2018-11-02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834A KR20200050787A (ko) 2018-11-02 2018-11-02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87A true KR20200050787A (ko) 2020-05-12

Family

ID=7067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834A KR20200050787A (ko) 2018-11-02 2018-11-02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7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875A (ko) 1995-08-23 1997-03-29 가네꼬 히사시 음극선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875A (ko) 1995-08-23 1997-03-29 가네꼬 히사시 음극선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5154B2 (ja) 電気接続箱
CN103069677B (zh) 线束保护器
JP2010268600A (ja) 電気接続箱のサイドカバー構造
CN101521331A (zh) 电插座
US10040625B2 (en) Fastener-free box with fast assembly
KR20200050787A (ko) 부품박스와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JP4533032B2 (ja) 給電停止・停止解除システム
JP5707194B2 (ja) 電気接続箱
JP6753411B2 (ja) 接続構造及び接続部保護部材
KR200448596Y1 (ko) 정션박스
JP518797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KR200441440Y1 (ko)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KR20180135733A (ko) 체결장치
JP4079149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US9882448B2 (en) Drive for an actuating unit
JP2012522486A (ja) ハウジング装置
JP6650206B2 (ja) 取手構造
JP2006324065A (ja) 端子カバー
JP5798499B2 (ja) 電気接続箱
CN208368801U (zh) 一种螺柱式接线端子用防护盖
KR102020680B1 (ko) 전원분배장치
JP2017174509A (ja) 給電ボックス
JP6914590B2 (ja) 分電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