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534A -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 Google Patents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534A
KR20200050534A KR1020180133219A KR20180133219A KR20200050534A KR 20200050534 A KR20200050534 A KR 20200050534A KR 1020180133219 A KR1020180133219 A KR 1020180133219A KR 20180133219 A KR20180133219 A KR 20180133219A KR 20200050534 A KR20200050534 A KR 2020005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biodegradable material
straw
crest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길
Original Assignee
강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길 filed Critical 강진길
Priority to KR102018013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534A/ko
Publication of KR2020005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간체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MANUFACTURING METHOD OF STRAW USING STEM OF ALOPECURUS PRATENSIS AND THE STRAW MANUFACTURED B THI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 제품, 특히 1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전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빨대나 음식물의 포장 용기 등과 같이 한 번 사용한 후 버려지는 제품들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거나 바다에 투기되는 경우 해양생물들이 이를 먹이로 착각하거나 물속에서 투명한 해당 제품들을 보지 못하고 유영하다가 걸려서 부상을 입거나 결국에는 치사에 이르는 불상사가 있었다.
이러한 1회용 플라스틱 제품들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완전히 분해되는데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어 사실상 분해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로 자연계에 잔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로 인한 생태계 훼손의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고 종이 등과 같은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빨대 제품을 제작하여 보급하려는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8-0089880호의 "신축 가능한 종이빨대"(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나선 모양으로 복수 회 권취되어 형성되는 나선권취부; 일단이 상기 나선권취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복수 회 권취되면서 상기 나선권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커버부; 및 상기 외측커버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는 소정 폭과 지름을 가지는 링 모양의 구속밴드를 포함하여 상기 나선권취부의 하부를 파지하여 하향 인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나선권취부의 지름이 축소되면서 소정 길이 하향 인출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종이 재질의 특성상 장시간 경과후 음료의 수분이 스며들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커버부 및 나선권취부가 눅눅해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음료를 빨아올려 마시기 힘든 상황까지 이르게 될 우려가 다분하였다.
특히, 선행기술은 나선권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음료가 샐 우려가 큰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8-00898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간체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볏과 식물은 보리, 벼, 수수, 조, 밀, 메밀, 귀리, 호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단계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중간체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는, 멸균된 상기 중간체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분위기는, 섭씨 120도 내지 140도의 고압 스팀이 분사되는 챔버에서 형성되며, 상기 중간체를 챔버내에서 15 내지 40분간 상기 고압 스팀 하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녹말, 파라핀, 송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녹말과, 물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파라핀과, 에테르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송진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생분해성 물질의 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에, 상기 중간체를 침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혼합물로부터 꺼낸 상기 중간체의 관통된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사시키는 과정과, 상기 생분해성 물질의 막이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상기 중간체를 냉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중간체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제2 단계; 및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생태계 훼손 문제가 일절 없는 친환경적인 빨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볏과 식물은 보리, 벼, 수수, 조, 밀, 메밀, 귀리, 호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함으로써, 인간의 식량으로 활용되는 각종 곡물, 특히 볏과 식물들의 생태상 원통형 줄기의 특징적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금형 설계 및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일절 없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계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중간체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 플라스틱 빨대 특유의 매끄러운 질감을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계는, 멸균된 중간체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뒤이어 수행될 제3 단계에서의 생분해성 물질의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간체의 내, 외주면 환경 조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분위기는, 섭씨 120도 내지 140도의 고압 스팀이 분사되는 챔버에서 형성되며, 중간체를 챔버내에서 15 내지 40분간 고압 스팀 하에 둠으로써, 확실하고 완벽한 중간체의 멸균 상태를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생분해성 물질은, 녹말, 파라핀, 송진 중 하나로 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중간체를 녹말과, 물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거나, 중간체를 파라핀과, 에테르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거나 중간체를 송진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파라핀은 냉음료용 빨대로, 녹말이나 송진은 내, 온음료 겸용 빨대로 활용하는 등 범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단계는,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물질과, 생분해성 물질의 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에, 중간체를 침지시키는 과정과, 혼합물로부터 꺼낸 중간체의 관통된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사시키는 과정과, 생분해성 물질의 막이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중간체를 냉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제품 생산 단계에서 내부가 막힌 불량품 발생 가능성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를 제공함으로써,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 선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 선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10)를 제작하게 된다.(S1: 제1 단계).
이후, 작업자는 중간체(10)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2: 제2 단계).
계속하여, 작업자는 중간체(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코팅층(20)을 형성하게 된다(S3: 제3 단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활용 가능한 볏과 식물은 보리, 벼, 수수, 조, 밀, 메밀, 귀리, 호밀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내기하기 전 수확이 이뤄지는 보리의 줄기인 보릿대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하였으나, 볏과 또는 화본(禾本)과로도 불리는 볏과 식물(Alopecurus Pratensis)의 생태 구조적 특징, 즉 속이 빈 원통형의 줄기를 가진 볏과 식물인 벼, 수수, 조, 밀, 메일, 귀리, 호밀 등 다양한 곡물류의 줄기를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단계(S1)에서는,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잎사귀의 시작부 잔여물 등 중간체(10) 외주면에 잔존하는 불순물 등을 매끄럽게 다듬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단계(S2)에서 언급된 스팀 분위기는, 섭씨 120도 내지 140도의 고압 스팀이 분사되는 챔버에서 형성되며, 중간체(10)를 챔버내에서 15 내지 40분간 고압 스팀 하에 두는 것으로 멸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섭씨 121도 이상의 고온에서 20여분 이상 실시되어야 중간체(10) 내, 외주면의 멸균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단계(S2)는, 멸균된 중간체(10)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수분의 제거는 열풍 또는 냉풍으로 강제적인 에어를 주입하여 건조시키거나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제3 단계(S3)에서 코팅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생분해성 물질에는 녹말, 파라핀, 송진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중간체(10)를 녹말 5~10 중량부, 물 80~95 중량부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중간체(10)를 파라핀 3~20 중량부, 에테르 75~95 중량부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중간체(10)를 송진분말 5~50 중량부, 에탄올 50~99 중량부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코팅층(20)은 생분해성 물질이 파라핀인 경우 녹는점이 녹말이나 송진에 비하여 낮으므로 냉음료용 빨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생분해성 물질이 녹말이나 송진이라면 냉, 온음료 겸용 빨대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단계(S3)는,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물질과, 생분해성 물질의 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에, 중간체(10)를 침지시키는 작업을 실시한 다음, 혼합물로부터 꺼낸 중간체(10)의 관통된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사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고, 생분해성 물질의 막이 중간체(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중간체(10)를 냉풍 건조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10)를 제작하는 제1 단계(S1); 중간체(10)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제2 단계(S2); 및 중간체(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코팅층(2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생태계 훼손 문제가 일절 없는 친환경적인 빨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볏과 식물은 보리, 벼, 수수, 조, 밀, 메밀, 귀리, 호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함으로써, 인간의 식량으로 활용되는 각종 곡물, 특히 볏과 식물들의 생태상 원통형 줄기의 특징적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금형 설계 및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일절 없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계(S1)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중간체(10)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 플라스틱 빨대 특유의 매끄러운 질감을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계(S2)는, 멸균된 중간체(10)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뒤이어 수행될 제3 단계(S3)에서의 생분해성 물질의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간체(10)의 내, 외주면 환경 조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분위기는, 섭씨 120도 내지 140도의 고압 스팀이 분사되는 챔버에서 형성되며, 중간체(10)를 챔버내에서 15 내지 40분간 고압 스팀 하에 둠으로써, 확실하고 완벽한 중간체(10)의 멸균 상태를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생분해성 물질은, 녹말, 파라핀, 송진 중 하나로 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중간체(10)를 녹말과, 물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거나, 중간체(10)를 파라핀과, 에테르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거나 중간체(10)를 송진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파라핀은 냉음료용 빨대로, 녹말이나 송진은 내, 온음료 겸용 빨대로 활용하는 등 범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단계(S3)는,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물질과, 생분해성 물질의 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에, 중간체(10)를 침지시키는 과정과, 혼합물로부터 꺼낸 중간체(10)의 관통된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사시키는 과정과, 생분해성 물질의 막이 중간체(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중간체(10)를 냉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제품 생산 단계에서 내부가 막힌 불량품 발생 가능성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를 제공함으로써,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리와 같이 볏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하여 빨대를 제작함으로써 폐기 처리가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중간체
20...코팅층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Claims (11)

  1. 수확후 채집된 볏과 식물의 줄기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간체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간체를 스팀 분위기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멸균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볏과 식물은 보리, 벼, 수수, 조, 밀, 메밀, 귀리, 호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중간체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멸균된 상기 중간체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위기는,
    섭씨 120도 내지 140도의 고압 스팀이 분사되는 챔버에서 형성되며,
    상기 중간체를 챔버내에서 15 내지 40분간 상기 고압 스팀 하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녹말, 파라핀, 송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녹말과, 물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파라핀과, 에테르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체를 송진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생분해성 물질의 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에, 상기 중간체를 침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혼합물로부터 꺼낸 상기 중간체의 관통된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사시키는 과정과,
    상기 생분해성 물질의 막이 상기 중간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상기 중간체를 냉풍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KR1020180133219A 2018-11-02 2018-11-02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KR20200050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19A KR20200050534A (ko) 2018-11-02 2018-11-02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19A KR20200050534A (ko) 2018-11-02 2018-11-02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34A true KR20200050534A (ko) 2020-05-12

Family

ID=706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19A KR20200050534A (ko) 2018-11-02 2018-11-02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64A (ko) * 2021-02-01 2022-08-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 가능한 생분해성 숟가락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80A (ko) 2018-07-22 2018-08-09 서규선 신축 가능한 종이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80A (ko) 2018-07-22 2018-08-09 서규선 신축 가능한 종이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64A (ko) * 2021-02-01 2022-08-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 가능한 생분해성 숟가락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375419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ring can-holder
JP5043807B2 (ja) 生分解性成形物
KR20040089644A (ko) 밀봉 용기
KR102080680B1 (ko) 우드 스트로우 제조방법
CN109169854B8 (zh) 一种全果陈皮柑橘制作方法及其制作刀具
KR20200050534A (ko) 볏과 식물을 이용한 빨대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빨대
JP2020121113A (ja) 環境保護型竹ストロー及びその製造方法と応用
KR101913813B1 (ko) 편백나무 칩이 함유된 일회용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9908685B2 (en) Biodegradable molded product
KR20180069759A (ko) 나무 스트로우 제조방법
CA2925603C (en) Wrapper for personal care article
US20210007520A1 (en) Compostable cutlery
CN112626902A (zh) 环保型吸管制造方法
KR101573005B1 (ko) 박피한 감자의 보관방법
CN105454079A (zh) 一种宠物食用的压制鱼皮咬胶的制备方法
JP6009405B2 (ja) 生タマネギの処理方法及びこれを使用する容器詰めカット野菜の製造方法
CN100460289C (zh) 一种木质容器的制造方法
US20210122546A1 (en) Multipurpose compostable absorption mat
CN105113339A (zh) 一种包装纸的生产方法
KR20150000585U (ko) 부직포 쉬트(sheet)를 이용한 선인장 생(生) 마스크팩 제조법
KR20020036803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기.
JP2004001894A (ja) 竹製ト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219848U (zh) 一种具有插入端的纸吸管
CN206254578U (zh) 一种耐贮藏包装箱板材
JP3622181B2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