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330A -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330A
KR20200049330A KR1020180132457A KR20180132457A KR20200049330A KR 20200049330 A KR20200049330 A KR 20200049330A KR 1020180132457 A KR1020180132457 A KR 1020180132457A KR 20180132457 A KR20180132457 A KR 20180132457A KR 20200049330 A KR20200049330 A KR 2020004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itch
stitch line
bent por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46B1 (ko
Inventor
고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3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08Natural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0Natural fibres, e.g. wool,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는 서로 대향하는 단부 측에 하측으로 말아지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 제1 원단 및 제2 원단 사이에 마련되는 광원부, 제1 원단과 제2 원단 및 광원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예비 스티치라인, 제1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제1 원단에 형성되는 제1 스티치라인 및 제2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제2 원단에 형성되는 제2 스티치라인을 포함하고, 광원부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의 외측에 배치되는 라이트 스트링과, 라이트 스트링의 외면을 감싸되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포함하며, 예비 스티치라인은 제1 원단과 제2 원단 및 겹침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STITCH STRUCTURE OF INTERIOR MATERIAL COVE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품질이 향상된 스티치 라인을 구현함과 동시에, 차량 실내의 무드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소비자들의 개성적인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차량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으며, 차량이 주요한 운송수단으로 이용됨에 따라 인간이 차량의 실내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으로 하여금 미려한 외관미와 고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량 실내에 적용되는 시트, 도어트림, 대시보드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 다양한 내장재에 스티치라인(Stitch line)을 대폭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티치라인은 내장재의 표면을 감싸는 가죽, 합피 또는 PVC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킨의 경계선에 재봉선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되며, 스킨 또는 내장재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할수록 고품질로 인정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 실내의 분위기를 보다 고급스럽게 하고 승객으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과 미감을 줄 수 있도록 차량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적용되되 광원을 활용하여 차량의 실내를 밝혀주는 무드등(Ambient light)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내장재에 적용되어 승객에게 미감과 고급감을 제공하는 스티치라인 및 무드등을 보다 용이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444호(2017. 12. 08. 공고)
본 실시 예는 의도하는 간격 및 위치에 스티치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고품질의 스티치라인 및 무드등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승객에게 미감과 고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단부 측에 하측으로 말아지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마련되는 광원부,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광원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예비 스티치라인, 상기 제1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1 원단에 형성되는 제1 스티치라인 및 상기 제2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2 원단에 형성되는 제2 스티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의 외측에 배치되는 라이트 스트링과, 상기 라이트 스트링의 외면을 감싸되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은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겹침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차량의 내장부품 표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스티치라인 및 상기 제2 스티치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코어를 더 포함힐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하측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겹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겹침부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은 외측에 배치되는 스킨층과,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광원부를 결속시키도록 박음질하여 예비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원단의 일측 및 타측을 마주보도록 접어 제1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원단의 일측 및 타측을 마주보도록 접어 제2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곡부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1 원단에 제1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곡부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2 원단에 제2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라이트 스트링의 외면을 필름에 의해 감싸되, 상기 필름이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겹침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내장부품 표면에 상기 제1 스티치라인 또는 상기 제2 스티치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함몰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수용홈 상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하측부를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겹침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수용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은 외측에 배치되는 스킨층과,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층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스킨층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의도하고자 하는 간격 및 위치에 스티치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승객에게 미감과 고급감을 제공하여 차량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단순한 구조로서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고품질의 스티치라인 및 무드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가 차량용 내장재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치티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치티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100)가 차량용 내장재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100)는 차량의 실내에 적용되는 내장재의 외면에 마련되어 승객에게 미려한 외관미와 고급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티치 구조체(100)는 가죽, 합피 또는 PVC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사이에 마련되어 빛을 발생 및 제공하는 광원부(130),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를 서로 결속시키는 예비 스티치라인(140),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스티치라인(151) 및 제2 스티치라인(152), 제1 원단(110)과 제2원단 및 광원부(130)를 차량용 내장재에 설치하도록 차량용 내장재의 표면에 설치되는 코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은 차량 실내의 도어트림, 암레스트, 센터페시아 등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은 각각 외측에 마련되어 승객에게 시각 및 촉각에 의해 확인 가능한 스킨층(115, 125)과, 내측에 마련되어 탄력과 푹신한 느낌을 제공하는 쿠션층(116, 12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층(115, 125)은 차량의 등급 및 트림에 따라 가죽, 합피, PVC, TPO(Olefin계 Thermoplastic Elastomer) 및 TPU(Thermo Plasitic Polyurethane)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쿠션층(116, 126)은 솜, 스펀지 등의 재질로 마련되되 원단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단부 측에 하측(도 3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말아지는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는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의 각 스킨층(115, 125)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광원부(130)가 예비 스티치라인(140)에 의해 박음질되어 서로 결속된 후, 접혀 말아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는 후술하는 제1 스티치라인(151) 및 제2 스티치라인(152)에 의해 접혀 말아진 부분이 박음질됨으로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의 사이, 구체적으로 제1 절곡부(111)와 제2 절곡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실내의 무드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130)는 빛을 발생 및 제공하는 라이트 스트링(131)과, 라이트 스트링(131)의 외면을 감싸되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라이트 스트링(131)은 커넥터(미도시) 등을 통해 배터리 등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필름(132)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마련되어 라이트 스트링(131)으로부터 발생 및 제공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되 라이트 스트링(131)을 보호하도록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름(132)은 라이트 스트링(13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되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라이트 스트링(131)은 발생 및 제공되는 빛이 실내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비춰질 수 있도록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의 상측(도 3을 기준으로 상 방향)에 개재될 수 있으며, 필름(132)의 겹침부(133)는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 사이에 개재되되, 하측(도 3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름(132)의 겹침부(133)는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과 함께 후술하는 예비 스티치라인(140)에 의해 박음질됨으로써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예비 스티치라인(140)은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가 서로 결속되도록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비 스티치라인(140)은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의 각 스킨층(115, 125)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그 사이에 광원부(1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 원단(110) 과 제2 원단(120) 및 필름(132)의 겹침부(133)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예비 스티치라인(140)에 의해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111)는 예비 스티치라인(140)을 기준으로 제1 원단(110)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 말아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절곡부(121)는 예비 스티치라인(140)을 기준으로 제2 원단(120)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 말아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티치라인(151)은 제1 원단(110)의 제1 절곡부(111)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티치라인(151)은 제1 원단(110)의 제1 절곡부(111) 상에서 라이트 스트링(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됨으로써, 제1 원단(110)의 외면 상에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여 승객에게 고급감과 미려한 외관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1 절곡부(111)에 의해 제1 원단(110)의 접어 말아진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티치라인(151)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질 및 색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티치라인(152)은 제2 원단(120)의 제2 절곡부(121)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되어 형성되되, 광원부(130)를 중심으로 제1 스티치라인(151)에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티치라인(152)은 제2 원단(120)의 제2 절곡부(121) 상에서 라이트 스트링(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됨으로써, 제2 원단(120)의 외면 상에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여 승객에게 고급감과 미려한 외관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2 절곡부(121)에 의해 제2 원단(120)의 접어 말아진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스티치라인(152)은 제1 스티치라인(151)과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질 및 색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코어(160)는 스티치 구조체(100)가 적용되는 차량의 실내 내장부품 표면과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원단 및 광원부(130)를 차량용 내장재에 고정 및 장착시키도록 마련된다. 코어(160)는 차량의 실내 부품요소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요소로 제작된 후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가 차량의 내장 부품 표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골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16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절곡부(111) 및 제2 절곡부(121)의 하측부분이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 수용홈(161)와, 필름(132)의 겹침부(13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제1 수용홈(161) 상에서 추가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수용홈(162)를 구비할 수 있다. 코어(160)의 제1 수용홈(161)는 제1 원단(110)의 제1 절곡부(111)와 제2 원단(120)의 제2 절곡부(121)의 하측부가 수용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제1 원단(110) 및 제2 원단(120)의 표면이 절곡된 부분에도 불구하고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160)의 제2 수용홈(162)는 필릅의 겹침부(133)가 수용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표면이 돌출되는 부분 없이 평평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필름(132)의 겹침부(133)는 코어(160)의 제2 수용홈(162)의 내측에 삽입 및 지지됨으로써 광원부(130)가 코어(16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100)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치티 구조체(100)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실내 내장재에 설치되는 스티치 구조체(100)는 우선적으로, 빛을 발생 및 제공하여 차량 실내의 무드등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트 스트링(131)을 필름(132)에 의해 감싸되, 필름(132)이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133)를 형성함으로써 광원부(130)를 마련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 후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되, 각 원단의 스킨층(115, 125)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며, 제1 원단(110)의 스킨층(115)과 제2 원단(120)의 제2 스킨층(125) 사이에 광원부(130)를 개재시킨다.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는 예비 스티치라인(140)에 의해 박음질함으로써 서로 결속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비 스티치라인(140)은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의 필름(132) 겹침부(133)를 관통하여 박음질함으로써 서로 결속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후 제1 원단(110)은 예비 스티치라인(140)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음으로써 제1 절곡부(1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원단(120)은 예비 스티치라인(140)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음으로써 제2 절곡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곡부(111)는 제1 원단(110)에 박음질함으로써 접어 말아진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1 스티치라인(15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절곡부(121)는 제2 원단(120)에 박음질함으로써 접어 말아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2 스티치라인(152)을 형성할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및 도 6 참조)
서로 결속되고 형태가 잡혀진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및 광원부(130)는 차량의 내장재 표면에 배치되는 코어(160) 상에 고정 및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원단(110)의 제1 절곡부(111) 하측부분와 제2 원단(120)의 제2 절곡부(121) 하측부분은 코어(160)에 함몰 형성되는 제1 수용홈(161)에 수용시키고, 필름(132)의 겹침부(133)는 제1 수용홈(161) 상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수용홈(162)에 수용 및 삽입되어 배치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100) 및 그 제작방법은 승객에게 고급감과 미려한 외관미를 제공하는 스티치라인과 무드등을 동시에 마련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작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원단(110, 120)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부(130)를 따라 제1 스티치라인(151) 및 제2 스티치라인(152)을 형성함으로써 의도하고자 하는 간격과 위치에 스티치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스티치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스티치 구조체 110: 제1 원단
111: 제1 절곡부 120: 제2 원단
121: 제2 절곡부 130: 광원부
131: 라이트 스트링 132: 필름
133: 겹침부 140: 예비 스티치라인
151: 제1 스티치라인 152: 제2 스티치라인
160: 코어 161: 제1 수용홈
162: 제2 수용홈

Claims (9)

  1. 서로 대향하는 단부 측에 하측으로 말아지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마련되는 광원부;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광원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예비 스티치라인;
    상기 제1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1 원단에 형성되는 제1 스티치라인; 및
    상기 제2 절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2 원단에 형성되는 제2 스티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의 외측에 배치되는 라이트 스트링과, 상기 라이트 스트링의 외면을 감싸되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은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겹침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내장부품 표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스티치라인 및 상기 제2 스티치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를 구비하는 코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하측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겹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부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은
    외측에 배치되는 스킨층과,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층을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6.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광원부를 결속시키도록 박음질하여 예비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원단의 일측 및 타측을 마주보도록 접어 제1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원단의 일측 및 타측을 마주보도록 접어 제2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곡부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1 원단에 제1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곡부를 연속적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제2 원단에 제2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라이트 스트링의 외면을 필름에 의해 감싸되, 상기 필름이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겹침부를 박음질하여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차량의 내장부품 표면에 상기 제1 스티치라인 또는 상기 제2 스티치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를 구비하는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는
    함몰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수용홈 상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하측부를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겹침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수용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제작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은
    외측에 배치되는 스킨층과, 내측에 배치되는 쿠션층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스킨층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제작방법.

KR1020180132457A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20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57A KR10220384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57A KR10220384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330A true KR20200049330A (ko) 2020-05-08
KR102203846B1 KR102203846B1 (ko) 2021-01-15

Family

ID=7067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457A KR10220384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101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101806444B1 (ko) 2016-03-3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부품의 표피재 압착 장치 및 그의 압착방법
KR101837964B1 (ko) * 2017-07-21 2018-03-13 전학수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101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101806444B1 (ko) 2016-03-3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부품의 표피재 압착 장치 및 그의 압착방법
KR101837964B1 (ko) * 2017-07-21 2018-03-13 전학수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46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635B2 (en) Bistable opening/closing device, and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same
US8579347B2 (en) Seam spacers for use with decorative stitch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JP5270214B2 (ja) 内装用トリム部品のためのカバー及び該カバーの組立方法
US9817169B2 (en) Method for providing illuminated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JP5911894B2 (ja) 車両室内収納ポケット
US7798548B2 (en) Soft composite trim panel for a vehicle interior
US3977054A (en) Strap fitting for automobile interior and other uses
US10654382B2 (en) Structure of wadded-up seat trim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added-up seat trim cover
US8191218B2 (en) Deck seam with reduced selvage
KR101956390B1 (ko)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102203846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US20140312641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with stitching
JP4851193B2 (ja) 車両用内装材及び該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JP5468518B2 (ja) 車両内装部材
WO2016084813A1 (ja) 車両用内装部品、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複合内装部品
JP6690972B2 (ja) 玉縁及び玉縁を備えた乗物内装品
WO2016111094A1 (ja) 車両用複合内装部品
US7549708B2 (en) T-member for use in an armrest or interior component of a vehicle
JP7059152B2 (ja) 自動車の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10036839A (ja) 加飾パネル、収納ボックス、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601109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008238B1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JP2010052537A (ja) 表皮材、および内装品
US11358364B2 (en) Vehicle interior member
US7097227B2 (en) Upholstered visor with map 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