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007A -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007A
KR20200049007A KR1020180131761A KR20180131761A KR20200049007A KR 20200049007 A KR20200049007 A KR 20200049007A KR 1020180131761 A KR1020180131761 A KR 1020180131761A KR 20180131761 A KR20180131761 A KR 20180131761A KR 20200049007 A KR20200049007 A KR 2020004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skin aging
preventing skin
eoseongch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405B1 (ko
Inventor
박규열
최지숙
김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Priority to KR102018013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를 1,3 부틸렌 글리콜이 포함된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풍부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유량 등으로 인하여 노화를 예방 및 완화하는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본 발명은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를 1,3 부틸렌 글리콜이 포함된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 포함된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면역계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중요 기관으로서 늘 외부로부터 물리적 자극이나, 화학물질 등에 의한 화학적 자극, 또는 급격한 습도변화와 기온변화로 인한 환경 자극, 자외선 등에 의한 광 자극, 부적절한 식생활로 인한 자극 등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외부 자극에 노출된 피부를 진정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해야 하는 화장품이나 로션 등의 경우에는 가능한 인공적, 화학적 성분이 배제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이롭기 때문에 최근 화장품 소재 개발 분야에서 천연 성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단순한 추출물에서 벗어나 피부 건강에 이로운 성분이 가장 잘 추출되는 추출조건 및 성분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한 화장품 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자극의 항균 및 보습효능이 있는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활용하여 민감성 피부 성인 및 노약자와 소아에게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화학성분을 최소화하고 항산화 및 항노화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추출 조건을 찾아내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의 혼합물을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1,3 부틸렌 글리콜(1,3 butylene glycol)과 물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인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추출물은 베레브린(berebrine) 1200~1400 ug/mL 와 아프젤린(afzelin) 4000~4600 ug/m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폴리페놀이 2100~2200 ug/g, 플라보노이드가 2700~2900 ug/g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에센스, 토너, 로션, 크림, 마사지크림, 에어로졸, 마스크팩, 비누, 클렌징 폼, 썬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풋(foot)크림, 핸드크림, 헤어샴푸, 헤어린스, 또는 헤어에센스 등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1,3 부틸렌 글리콜과 물의 비율이 1:1인 추출용매로 상기 혼합물을 추출온도는 30~70℃에서 추출시간은 5~10 시간으로 추출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장치로 여과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로부터 얻어진 여과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온도는 60℃, 상기 추출시간은 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뛰어난 항산화 효능, 항노화 효능을 가지며,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여 항균, 항알러지 등의 효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무독성의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자극이 적기 때문에 기존의 화장품 소재에 비하여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황금, 황백, 황련 및 어성초의 각 추출용매별 추출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도시한다.
도2는 황금, 황백, 황련 및 어성초의 각 추출용매별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3은 황금, 황백, 황련 및 어성초의 각 추출용매별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결과를 도시한다.
도 4는 황금, 황백, 황련 및 어성초의 각 추출용매별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황금, 황백, 황련 및 어성초의 각 추출용매별 Cytokine 생성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황금(黃芩; Scutellariae Radix)은 한국, 중국 및 시베리아 동부에서 재배되고 있는 쌍떡잎식물로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로 예로부터 이질(dysentery), 발열(pyrexia), 황달(jaundice) 및 종기(carbuncle)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황금의 주요성분으로는 baicalin, baicalein, wogonin, wogonin glucuronide 등의 flavonoid류가 있고, 이 중 baicalin은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암 효과 등 다양한 생리, 약리학적 효능이 보고되어 있으며, baicalein은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련(Coptis japonica)의 뿌리줄기를 한의학에서 황련(黃連; Coptidis Rhizoma)이라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된다. 위를 건강하게 하고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장이나 위에 열이 쌓여서 생기는 설사나 위열로 인한 구토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한 성분인 berberine은 여러 세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가 있으며, 항염, 지혈, 혈압강하 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다.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황백나무(Phellodendron amurense)의 주피를 벗겨낸 줄기껍질을 말린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와 전남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 분포하고, 일본과 중국 등지에도 분포하고 잡목 숲 또는 산속의 계곡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염증, 폐염, 골결핵, 감기, 살균약, 소염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결막염, 당남염, 만성대장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황백나무의 피부 melanin 생합성 저해, 지방분해 효과 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주 성분인 berberine에 관한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어성초(魚腥草; Houttuyniae Herb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의 전초로서 잎과 줄기에서 특유의 생선 비린내가 난다. 예로부터 해열, 종기, 기관지염, 해독 등의 치료제로 사용하였으며, 지질과산화 억제작용, 항균활성, 항돌연변이, 항바이러스, 상한화 활성, 중급속의 독성억제 효과 및 간 보호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실험재료인 삼황과 어성초는 본초학에서 열을 내려주는 청열약(淸熱藥)으로 분류되며, 주성분인 baicalin, Bicalein, Berberine, Quercetin 등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과 곰팡이 등에 대한 광범위한 항균 작용을 가지며 항염증, 지혈, 혈압강하, 혈당강하, 면역 활성화, 항암 작용 등을 한다.
실시예 1 - 추출조건 및 방법
삼황(황금, 황련, 황백)과 어성초는 한방약재 전문 업체인 “옴니허브”에서 구입하였으며, 이를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무게의 10배(w/w)에 해당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6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환류 추출기(Changshin, Kore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각 시료는 각각 3가지 용매 1,3 Butylene glycol(1,3-BG), DW와 1,3 Butylene glycol의 1:1 혼합용매, 99.9% Ethanol과 1,3 Butylene glycol의 1:1 혼합용매로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은 여과지(filter paper, Whatman No 2)로 여과하여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추출혼합물의 제조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1,3-BG를 이용한 황금, 황련 황백 그리고 어성초는 추출물은 각각 1:1:1:1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이를 BG 혼합물(BG-M; 1,3 butylene glycol extraction mixture)이라 하였다. 각 시료의 물과 1,3-BG 추출물들도 각각 동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BG 혼합물(WBG-M; 1,3 Butylene glycol 1 : DW 1 extraction mixture), 에탄올과 1,3-BG 추출물들은 에탄올BG 혼합물(EtBG-M; 1,3 Butylene glycol 1 : ethanol 1 extraction mixture)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폴레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1) 총 폴리페놀 화합물(Total polyphenol compound) 함량
삼황과 어성초 추출 혼합물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Denis(AOAC, 2005)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0.2mL에 증류수 1.8mL와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Junsei Chemical Co. Tokyo, Japan) 0.2mL를 첨가, 혼합하여 3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Na2CO3 포화용액 0.4 m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증류수를 1.4 mL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Mecasys Optizen POP, Korea)를 사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tannic acid(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최종농도가 0, 31.25, 62.5, 125, 250, 500㎍/mL가 되도록 취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으로부터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의 3가지 용매 추출 혼합물에 대한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구하였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Total flavonoid compound)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정량은 Nieva Moreno 등의 방법(2000)을 변형하여 각 농도별 추출액 0.1mL에 10% aluminum nitrate 0.1mL와 1M potassium acetate 0.1mL 그리고 80% ethanol 4.7mL를 가하여 25℃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정량은 quercetin(Sigma Chemical Co.)을 이용하여 최종농도가 0, 15.625, 31.25, 62.5, 125, 250, 500㎍/mL가 되도록 취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검량선으로부터 각 추출 혼합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을 구하였다.
3) 측정결과
1,3 butylene glycol 100%로 추출하여 혼합한 BG 혼합물은 1,657.72 ug/mL의 폴리페놀과 994.54 ug/mL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물과 에탄올을 1,-BG와 동량으로 추출하여 이를 1:1:1:1의 비율로 WBG 혼합물과 EtBG 혼합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각각 2,218.67 ug/mL과 2,137.40 ug/mL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은 각각 2,797.81 ug/mL과 1,808.74 ug/mL으로 물을 50% 함유한 WBG 혼합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1 및 도1에 정리하였다. 각 수치는 mean±SD로 표시되었다.
추출용매(Extract) 성분(compound) (ug/g)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BG-M 1,657.72±61.38c2)3) 994.54±9.46c
WBG-M 2,218.67±50.77a 2,797.81±41.26a
EtBG-M 2,137.40±37.26ab 1,808.74±9.46b
실시예 4 -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 추출물을 3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혼합한 3가지 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일정 농도로 희석한 추출 혼합물 시료 2mL에 0.2mM의 농도로 absolute ethanol에 희석한 DPPH 1mL 가하고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다. 이를 시료 첨가 전과 후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하여 각 추출 혼합물의 전자공여능으로 나타내었다.
1,3 butylene glycol, 물 및 에탄올을 활용하여 추출한 황금, 황련, 황백 그리고 어성초 추출 혼합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2와 같이 2%에서 92.49∼94.88%였으며, 3%의 농도에서도 93.10∼95.38%로 대조군인 비타민C(ascorbic acid, AsA)(94.39%)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와 3% 농도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특히 물과 1,3BG를 동량비로 하여 추출하여 혼합한 WBG 혼합물은 0.25%에서도 77.61%로 매우 우수한 전자공여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및 도2에 정리하였다.
추출용매 농도(Concentration) (%)
0.25 0.5 1.0 2.0 3.0
BG-M 23.29±1.26d2) 48.33±2.15d 74.96±1.76c 93.16±0.67a 93.60±2.24a
WBG-M 77.61±2.33b 89.31±0.76b 90.84±1.66b 92.49±1.34a 94.40±2.54a
EtBG-M 43.82±3.33c 66.04±0.22c 87.27±2.62b 94.88±2.13a 95.38±1.77a
AsA(비교예) 89.94±2.68a 93.10±0.73a 94.15±1.13a 94.39±1.95a 95.32±2.06a
실시예 5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
ABTs 라디칼(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ㆍ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Roberta et al., 1999)에 따라 측정하였다. 7mM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ㆍ을 형성시킨 후 에탄올로 희석하여 ABTS+ㆍ 100uL에 시료 100uL를 가하여 1분 동안 방치한 후 UV/VIS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7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처리군과 무처리군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혼합물의 ABTs radical 소거율로 하였다.
황금과 황련, 황백 그리고 어성초를 3가지 상이한 조성의 용매로 추출하여 혼합한 3가지 혼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에탄올과 1,3-BG를 동량으로 추출 혼합한 EtBG 혼합물은 0.25%에서 97.24% 이상으로 대조군인 AsA(98.89%)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WBG 혼합물도 97.81%의 ABTS radical cation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WBG 혼합물은 0.025%의 농도에서도 64.73%로 우수한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하기 표3과 도3에 나타내었다.
추출용매 농도(%)
0.025 0.05 0.10 0.25 0.50
BG-M 10.36±0.73d2) 25.78±1.24d 45.69±2.22d 67.20±0.48c 97.20±1.39b
WBG-M 64.73±1.40b 79.07±0.79b 84.97±0.27b 87.81±0.27b 93.88±0.15c
EtBG-M 23.39±0.95c 47.26±1.21c 73.39±0.10c 97.24±0.90a 98.22±0.26b
AsA(비교예) 95.18±0.53a 96.85±1.35a 97.82±0.56a 98.89±1.24a 99.91±0.71a
실시예 6-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 및 항암활성 측정
혼합물에 대한 세포 독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대식세포 RAW 264.7와 HaCaT 세포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Mosmann et al., 1983). RAW 264.7와 HaCaT 세포를 1×105 cell/mL의 농도로 Dulbecco's modifide Eagle's medium(DMEM Gibco BRL., USA) 배지로 희석하고 96 well plate(Falcon Co., USA)에 200 uL씩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RAW 264.7와 HaCaT 세포를 culture plate 바닥에 흡착시켰다. 그 후 상층액을 모두 흡입하여 제거한 후 황금, 황련, 황백 그리고 어성초의 각 추출 혼합물을 농도별(10, 20, 50, 100 ug/mL)로 DMEM 배지로 희석한 후, 100 uL씩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각의 well에 5 ug/mL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용액을 100 uL씩 가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MTT의 환원에 의해 자주색의 formazan 결정에 DMSO(dimethyl sulfoxide) 100 uL을 첨가하여 용해한 뒤 10분 동안 교반하여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처리 후 세포독성은 시료 대신 배지를 사용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존율(% control)을 계산하였다.
1,3 butylene glycol과 물, 에탄올을 혼합하여 추출한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 추출물에 대한 Raw 264.7 대식세포와 HaCaT 세포의 생존율을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Raw 264.7 대식세포와 HaCaT 세포에서 모든 추출물이 전 농도에서 85%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세포생존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에서는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7 - Cytokine 생성량 측정
1,3 Butylene glycol과 물, 에탄올을 혼합하여 추출 후 동량으로 혼합한 3종류의 혼합물을 처리한 RAW 264.7 cell의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PGE2, IL-6, TNF-α) 분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6-well plate에 1×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LPS를 1 u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한 뒤 후, 추출 혼합물을 농도별 (20, 50, 100 ug/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세포의 상층액을 모아서 각각의 PGE2는 PGE2 (Prostaglandin E2) ELISA kit(Elabscience, Houston, Tex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IL-6와 TNF-α함량은 ELISA cytokine kit(AssaybioTech, Minneapolis, Fremont,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체가 코팅된 96-well plate에 macrophage의 배양액 상층액이나 standard를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하여 conjugate를 넣었다. 세척 후 substrate solution으로 반응시키고 stop solution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cytokine의 분비량을 계산하였다.
상이한 용매로 추출 혼합한 황금, 황련, 황백 그리고 어성초 혼합물을 LPS(1 ug/mL)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의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PGE2, TNF-α, IL-6,) 분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PGE2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약 30%의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IL-6는 200 ug/mL 농도에서 1,3 butylene glycol과 에탄올을 1:1로 섞어 추출한 EtBG에서 약 8%의 억제 활설을 나타내었다. LPS로 자극한 RAW 264.7세포에서 생성되는 TNF-α에 대한 삼황 및 어성초 혼합물의 억제활성은 200 ug/mL의 농도에서 BG혼합 24%, WBG혼합 14%, EtBG혼합 10%의 TNF-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8- 황금, 황련, 황백, 어성초, 혼합 소재의 성분함량 분석
1) UPLC 분석을 위한 표준액의 조제
표준품 baicalin, baicalein, berberine, afzelin, wogonin을 1.0 mg씩 정확히 측량하여 HPLC용 acetonitrile 1.0 mL에 녹이고 이것을 stock solution으로 5, 10, 50, 100, 500, 1000 μ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2) 기기 및 분석조건
Waters사의 H-Class를 사용하였고, column은 BEH C18 (2.1×50 mm, 1.7 μm)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검출기의 조건은 270 nm, column 온도는 40℃, 주입량은 5.0 μL로 설정하였다. 표준물질에 따른 이동상 조건은 다음과 같다. 표 4는 baicalin, baicalein, afzelin, wogonin의 분석조건을 나타내고, 표 5는 berberine의 분석조건을 나타낸다.
시간(min) 속도(Flow)(mL/min) 물(Water) (%) Acetonitrile (%)
Initial 0.1 55 45
10 0.1 40 60
30 0.1 30 70
31 0.1 1 99
33 0.1 55 45
35 0.1 55 45
시간(min) 속도(Flow)(mL/min) 물(Water) (%) Acetonitrile (%)
Initial 0.3 80 20
15 0.3 0 100
17 0.3 80 20
20 0.3 80 20
3) 표준품의 검량선 작성 및 직선성 검토
검량선을 얻기 위해 각 표준액에 대하여 확립된 UPLC 조건으로 6개의 농도(5, 10, 50, 100, 500, 1000 μg/mL)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regression equation을 y = ax + b (y는 peak 면적, x는 시료의 농도)의 형태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검량선은 r2의 값을 통하여 직선성을 판단하였으며 r2의 값이 0.95이상인 경우 성분의 함량을 평가하는 검량선으로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직선성을 확인한 결과, r2 값이 0.9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성분 함량을 평가하기 위한 검량선으로 사용하였다. 25 uL/mL의 농도로 조제한 각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 혼합 소재를 5.0 μL씩 UPLC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BG혼합은 berebrine 2,258 ug/mL, afzelin 86.11 ug/mL 농도로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BG혼합은 berebrine 1,369 ug/mL, afzelin 4,400 ug/mL 였으며, EtBG혼합은 baicalein 11.34 ug/mL, berbrine 3,780 ug/mL, afzelin 1,099 ug/m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Sample) 농도(Concentration) (μg/mL)
baicalin baicalein berebrine afzelin wogonin
BG혼합 - - 2258.09 86.11 -
WBG혼합 - - 1369.56 4400.78 -
EtBG혼합 - 11.34 3780.27 1099.88 -

Claims (6)

  1.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의 혼합물을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1,3 부틸렌 글리콜(1,3 butylene glycol)과 물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인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베레브린(berebrine) 1200~1400 ug/mL 와 아프젤린(afzelin) 4000~4600 ug/m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폴리페놀이 2100~2200 ug/g, 플라보노이드가 2700~2900 ug/g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에센스, 토너, 로션, 크림, 마사지크림, 에어로졸, 마스크팩, 비누, 클렌징 폼, 썬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풋(foot)크림, 핸드크림, 헤어샴푸, 헤어린스, 또는 헤어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인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5.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1,3 부틸렌 글리콜과 물의 비율이 1:1인 추출용매로 상기 혼합물을 추출온도 30~70℃에서 추출시간은 5~10 시간으로 추출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장치로 여과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로부터 얻어진 여과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온도는 60℃, 상기 추출시간은 6시간인 것인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31761A 2018-10-31 2018-10-31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KR10217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61A KR102172405B1 (ko) 2018-10-31 2018-10-31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61A KR102172405B1 (ko) 2018-10-31 2018-10-31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07A true KR20200049007A (ko) 2020-05-08
KR102172405B1 KR102172405B1 (ko) 2020-10-30

Family

ID=7067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61A KR102172405B1 (ko) 2018-10-31 2018-10-31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26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냉감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7020A (ko) * 2021-02-16 2022-08-23 태남메디코스 주식회사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581A (ko) * 2003-06-27 2005-01-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101676601B1 (ko) * 2016-04-22 2016-11-15 양형열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4533B1 (ko) * 2016-03-21 2017-08-14 약초생활건강 영농조합법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180043580A (ko) * 2016-10-20 2018-04-30 신덕현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581A (ko) * 2003-06-27 2005-01-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101764533B1 (ko) * 2016-03-21 2017-08-14 약초생활건강 영농조합법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101676601B1 (ko) * 2016-04-22 2016-11-15 양형열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3580A (ko) * 2016-10-20 2018-04-30 신덕현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제 7권 2호, 249-25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26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황금, 황련, 황백 및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냉감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7020A (ko) * 2021-02-16 2022-08-23 태남메디코스 주식회사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405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9365A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gharevba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d proximate analysis of the leaves of Piliostigma thonningii (Schumach.) Milne-Redhead
Li et al.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obelia chinensis in vitro and in vivo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ichael et al. In vitro antioxidant evaluation and total phenolics of methanolic leaf extracts of Nyctanthes arbor-tristis L.
KR102172405B1 (ko)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Roy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malomena aromatica Schott.
Chauke et a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from Limpopo province of South Africa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0146B1 (ko) 항산화 및 열감소 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US10434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Vongsak et al. Optimization of Maclura cochinchinensis extract as a cosmeceutical component for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KR20210095512A (ko) 붉나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8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KR2007006592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21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51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4673B1 (ko) 감초 및 작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및 염증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dmalochana Anticancer (liver cancer cell l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ssia auriculata flower extract from acetone and methanol solvents
KR102598348B1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bidet et al. Assessm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evaluation of scavenging activity of the aerial parts of Verbascum thapsus L. and Lactuca virosa L. grown in Al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