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533B1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533B1
KR101764533B1 KR1020160033230A KR20160033230A KR101764533B1 KR 101764533 B1 KR101764533 B1 KR 101764533B1 KR 1020160033230 A KR1020160033230 A KR 1020160033230A KR 20160033230 A KR20160033230 A KR 20160033230A KR 101764533 B1 KR101764533 B1 KR 10176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ururus chinensis
acne
extracted
ch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송영선
Original Assignee
약초생활건강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약초생활건강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약초생활건강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6003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및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와 함께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COMPOSITION OF TOOTHPASTE CONTAINING EXTRACT OF EUPHORBIA SUPINA}
본 발명은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및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와 함께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발달로 인해 인간관계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한 사람의 외모는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기 위해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러 분야에서 피부를 가꾸기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인체 노출부위에서 피부이상(skin disorder)은 미용적인 측면과 결합되어 있어 심리적 불안감, 사회생활의 거부감과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초래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여드름이 있다.
여드름의 병인은 남성호르몬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과각화된 모낭벽의 증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에 의한 염증유발, 피부장벽이상, 유전, 환경적 요인 및 모낭의 반응성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여드름은 남성호르몬이 피지 분비를 촉진하여 배출구인 모공이 두꺼운 각질로 채워지고, 모공 속의 여드름 박테리아가 피지의 주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으로 변하게 한다. 인체는 이런 반응에 대처하기 위해서 면역 반응이 시작되어 백혈구가 모이고, 그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면서 모공이 막혀 피지와 각질이 섞여서 배출되지 못하고 여드름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부터 시작되고, 남자는 15~19세, 여자는 14~16세 사이에 흔하게 발생한다. 약 80%의 여드름 질환자는 20세 중반부터 서서히 여드름 병변이 없어지기 시작하지만, 성인여드름은 청소년기부터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지속형 여드름과 25세 이후 처음 발생하는 후발형 여드름으로 나누어지며, 여성의 경우 40대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박탈된 각질형성세포의 응집을 막는 방법, 프로니오박테리움 아크네스 세균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방법, 면포용해제를 이용해 모공을 막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항염증제를 사용하여 염증성 반응을 치료하는 방법, 피지선 활동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막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드름 치료제로 국부성 레티노이드류 치료제, 호르몬 치료제, 국부성 항균제, 구강투여 항생제 등 많은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분, 수분, 각질상태를 완화하는 화장품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 방안에 대한 관심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속적이고 안전한 효과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최근 여드름과 관련된 많은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그 중 피지와 각질, 모공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여드름을 개선하는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한독약품의 '크레오신', 일양약품의 'SIS 아크클리닉', 애경의 '에이솔루션'. 맨소레담의 '아크네스', LG생활건강의 '나나스비'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드름 치료제나 개선용 화장품은 남용시 스테로이드에 대한 위험성, 피부 건조유발 및 모공확장, 구순염, 기미 유발과 함께 화학소재로 인한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및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와 함께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삼백초 및 어성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기타의 약초성분을 최적의 배합비로 하여 세안에서 기초화장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는,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분산기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총 중량의 화장료 중 중량비로 25 내지 40%가 각각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징폼 형태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6.5%, 어성초추출물 36%, 알란토인 0.2%, 베타인 0.2%, 디메치설폰(MSM) 0.2%,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소디움코코일이소치오네이트(SCI) 2%, 아미노산계면활성제(ACG) 10%, 애플계면활성제 3%, 데실글루코사이드 2%,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4%,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 및 기타오일 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수렴화장수(토너)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5.1%, 어성초추출물 35%, 알란토인 0.1%, 베타인 1%, 디메치설폰(MSM) 1%,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2%,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1%, 잔탄검 0.1%, 비검화물 10%, 히아루론산 3%, 판테놀 0.5%, 펩타이드 1%, 프로폴리스추출물 0.2%,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8%,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5% 및 기타오일 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유연화장수(세럼 또는 에센스)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25%, 어성초추출물 25%, 알란토인 0.1%, 디메치설폰(MSM) 2%,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3%,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3%, 잔탄검 0.2%, 비검화물 1.8%, 히아루론산 5%, 판테놀 1%, 펩타이드 10%, 아데노신 0.5%, 프로폴리스추출물 0.5%,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에탄올 10%, 비타민e 1%, 살리실릭산 0.5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1%,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4%, 및 기타오일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는, 장기간 사용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및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와 함께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삼백초 및 어성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기타의 약초성분을 최적의 배합비로 하여 세안에서 기초화장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의 판정기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피부첩포시험 결과 판정표 및 평균 피부반응도 계산공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피부첩포시험의 피험자 기본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중 클렌징폼 형태의 화장료에 대한 피부첩포시험 결과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중 수렴화장수인 토너 형태의 화장료에 대한 피부첩포시험 결과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인 에센스 형태의 화장료에 대한 피부첩포시험 결과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여드름성 피부 사용적합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의 피시험자 기본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GAGS에 따른 여드름 병변의 평가를 위한 6구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에 의한 여드름 등급 score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에 의한 여드름 등급 score 개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에 의한 피지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에 의한 피지 개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에 의한 피부이상반응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7의 피시험자 중 선택된 4인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 전과 8주 사용 후의 얼굴상태를 실제 촬영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는,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며,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는 각각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의 일종으로, 뿌리줄기는 흰색이고 진흙 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줄기의 높이는 50~100cm이고, 6~8월에 흰색 꽃이 핀다. 주로 습지에서 자라며 뿌리, 잎 및 꽃이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한다. 각기, 황달, 간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러한 삼백초를 세척, 분쇄 및 추출한 삼백초추출물은 젤라티나아제(gelatinase)를 억제하는 효능이 인정된다. 젤라티나아제는 다양한 종류의 곰팡이나 효모 등에서 발현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일종으로, 젤라틴을 액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젤라티나아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인간에게서 발현되는 젤라티나아제 유전자로는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과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등이 있으며, 상기 삼백초추출물은 MMP-9과 MMP-2를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의 발생을 방지하고,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어성초(Houffuynia cordata)는 다년생 목본으로 높이는 25~35cm이고, 줄기는 가늘고 빛은 붉은 보라빛이며, 잎은 심장 모양으로 끝은 뾰족하다. 잎과 줄기에서는 비린내가 풍긴다하여 어린초라고도 불리운다. 약리적 성분으로는 전체 약초의 0.0049%의 휘발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 중에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noil acetaldehtde), 메틸엔노닐케톤(methyl-n-nonylketone), 미르신(myrcene), 로릭 알데히드(lauric aldehyde), 캐프릭 알데히드(capric aldehyde) 등이 있다. 이러한 어성초는 소독제, 이뇨제, 해열제, 항균제, 항바이러스 제제, 항염증 제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효능은 이뇨, 해독, 강심, 해열, 배농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과 축농증, 폐렴, 관염, 습진 등의 치료와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세척하기 위하여, 원료인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한 후 알칼리 이온수에 담구어서 제균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분쇄하기 위하여, 세척된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힘을 가해 잘게 부수거나 잘라내어 작은 입자로 만든다. 이러한 분쇄단계는 후술하는 추출단계에서 표면적을 증가시켜 연소반응 속도를 높여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입도를 작게 함으로써 다른 조성물 간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거나 분체의 색상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세척 및 분쇄된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은 추출단계를 통해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로 추출되며, 추출법은 열수 추출법과 유기용매 추출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열수 추출법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량의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3차 증류수와 혼합하여 100℃로 90분간 열수 추출하였으며, 여과지(Whatman No.5 filter paper)로 여과한 추출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80℃로 동결하였다. 농축한 동결액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7일간 동결건조함으로써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각각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유기용매 추출법은 유기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법을 사용하고,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분산기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량의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70% 에탄올 또는 100% 메탄올과 각각 혼합하여 55℃에서 sonicator로 2시간 추출한 뒤 4시간 정치하였으며, 이를 한번 더 반복하였다. 이렇게 얻은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80℃로 동결하였다. 농축한 동결액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7일간 동결건조함으로써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각각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총 중량의 화장료 중 중량비로 25 내지 40%가 각각 첨가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로 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료는 클렌징폼 형태, 수렴화장수인 토너 형태 또는 유연화장수인 세럼 또는 에센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징폼 형태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6.5%, 어성초추출물 36%, 알란토인 0.2%, 베타인 0.2%, 디메치설폰(MSM) 0.2%,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소디움코코일이소치오네이트(SCI) 2%, 아미노산계면활성제(ACG) 10%, 애플계면활성제 3%, 데실글루코사이드 2%,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4%,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 및 기타오일 0.3%이다.
상기 알란토인(allantoin)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질소의 혼합물로서 천연물질이며, 항염, 항알레르기, 아토피 개선, 피부재생, 보습 및 각질제거에 효능이 있다. 상기 베타인(betaine)은 트리알킬아미노산의 총칭으로 4급 암모늄을 함유하는 양성 전해질로 피부보습 및 각질제거에 효능이 있다. 상기 디메치설폰(MSM)은 마늘, 양파, 부추 등에 많이 들어 있는 성분으로 식이유황으로도 불리우며, 피부미백 및 재생, 각질제거에 효능이 있다.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는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촉매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원료로서, 제품의 유통기한을 보장하고 피부컨디셔닝에 효능이 있다. 추가로 첨가되는 약초추출물로서 황기추출물, 작약추추물, 녹차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은 피부미용, 노화방지, 피부윤택 등에 효능이 있다. 상기 소디움코코일이소치오네이트(SCI), 아미노산계면활성제(ACG), 애플계면활성제, 데실글루코사이드, 뷰틸렌글라이콜, 살리실릭산,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펜틸렌글라이콜 및 폴리소르베이트는 각각 계면활성제, 피부유연제, 보습제로서 높은 세정력에도 피부에 순하게 작용하며 피부유연, 컨디셔닝, 보습에 효능이 있다. 상기 기타오일로는 허브, 티트리, 라벤다 등 여드름에 좋은 오일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혼합한 오일을 말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수렴화장수(토너)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5.1%, 어성초추출물 35%, 알란토인 0.1%, 베타인 1%, 디메치설폰(MSM) 1%,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2%,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1%, 잔탄검 0.1%, 비검화물 10%, 히아루론산 3%, 판테놀 0.5%, 펩타이드 1%, 프로폴리스추출물 0.2%,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8%,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5% 및 기타오일 0.3%이다.
상기 화장료가 수렴화장수인 토너로서의 특징을 위해, 알로에베라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디포스포글리세르산, 잔탄검, 비검화물, 히아루론산, 판테놀, 펩타이드, 프로폴리스추출물 등이 수상성분으로 추가되었다. 상기 알로에베라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보습에 탁월하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부미백개선에 효능이 있고, 디포스포글리세르산은 피부재생에 효능이 있으며, 잔탄검, 비검화물, 히아루론산, 판테놀 및 펩타이드는 피부컨디셔닝 및 점증제로서 사용되고, 프로폴리스추출물은 항산화, 노화예방, 피부탄력 및 보습유지, 각질 및 여드름 제거에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유연화장수(세럼 또는 에센스)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25%, 어성초추출물 25%, 알란토인 0.1%, 디메치설폰(MSM) 2%,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3%,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3%, 잔탄검 0.2%, 비검화물 1.8%, 히아루론산 5%, 판테놀 1%, 펩타이드 10%, 아데노신 0.5%, 프로폴리스추출물 0.5%,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에탄올 10%, 비타민e 1%, 살리실릭산 0.5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1%,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4%, 및 기타오일 4%이다.
상기 화장료는 수렴화장수와 유연화장수로 각각 제조될 수 있고, 그 배합비에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이 중 수렴화장수인 토너는 세안과정에서 지우지 못한 이물질 등을 닦는데 사용하는 액체 형태의 화장품이다. 수렴화장수와 유사하게 점성이 없는 액체 상태의 화장수면서 피부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유연화장수인 세럼 또는 에센스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는, 각각 클렌징폼 형태나 수렴 또는 유연화장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경우에도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지만, 세안시 클렌징폼 형태를 사용하고, 세안 후 닦아내는 토너로 수렴화장수 형태를 사용하며, 마지막으로 세럼 또는 에센스로 유연화장수 형태를 사용하여 기초화장을 하면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보다 강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를 통해 피부첩포 안전성 평가와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를 통해 여드름성 피부 사용적합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피부첩포 안정성 평가는 만 20~55세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클렌징폼, 수렴화장수 및 유연화장수 각각의 시료에 증류수를 이용하여 1% 희석시켜 25㎕씩 Finn Chamber에 적하시키고, 피험자의 등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마킹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고 피부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센터 내부 지침서(SOP)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참고 문헌을 참조하여 수행하였다.
피험자들의 측정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부위를 깨끗하고 마른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최소 30분간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후 30분, 24시간, 48시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도 1에 도시된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평균 피부반응도(Mean score)는 도 2에 도시된 계산공식에 따라 산정하였으며, 피부 첩포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유무를 판정하였다.
피험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 20세에서 55세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중도 탈락자는 없었고, 피험자들은 총 4회(시험 시작일, 패치제거일, 패치제거 후 24시간, 48시간) 방문하였다.
시험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렌징폼 형태의 화장료는 패치 제거 후 30분에 ±자극이 3명, +자극이 1명 관찰되었고, 패치 제거 후 24시간에서 ±자극이 1명 관찰되었으며, 패치 제거 후 48시간에서는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1.11로 피부 첩포시험의 판정기준에 따라 미자극으로 판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렴화장수인 토너 화장료는 패치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모두에서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피부 첩포시험의 판정기준에 따라 미자극으로 판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인 에센스 화장료는 패치 제거 후 30분에 ±자극이 1명 관찰되었으며, 패치 제거 후 24시간, 48시간에서는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19로 피부 첩포시험의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하였다.
다음으로, 여드름성 피부 사용적합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험자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20세 이상의 안면부위에 여드름이 있는 성인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클렌징폼, 수렴화장수 및 유연화장수 각각의 시료를 여드름이 있는 피시험자의 안면부위에 적용하였으며, 평가는 모두 시험물질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시험물질의 여드름성 피부 사용 적합 평가를 위하여, 시험책임자가 GAGS(Global acne grading system)에 따라 모든 피시험자의 안면부위 여드름 등급 score를 육안평가하고, 피시험자의 왼쪽 콧방울부위에 피지수집 스트립을 동일한 압력으로 30초간 접촉하여 피지량을 분석하였으며, 피시험자가 매회 방문시 문진과 육안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평가하였다.
상기 GAGS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과 흉부와 등을 6구역(이마, 양볼, 코, 턱, 흉부와 등 상부)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역을 여드름 병변의 심각성에 따라 0-4점(0=Nil, 1=Comedone, 2=Papule, 3=Pustule, 4=Nodule)으로 평가한다. 한 구역에 다양한 병변이 나타난 경우는 가장 심각한 병변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여기에서 도출한 각 구역의 병변 점수를 기준으로 GAGS의 계산공식을 적용한 총합산 점수에 따라 피시험자의 여드름 등급(1-18점=mild, 19-30점=moderate, 31-38점=severe, 39점이상=very severe)을 분류한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여드름 등급 score가 감소할수록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 적합함을 의미한다.
그에 따른, 시험결과로서 여드름 등급 score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8주 사용 후 14.97% 감소되어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피지 개선도 평가 결과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량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4주 사용 후 26.06%, 8주 사용 후 50.50% 감소되어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기간 동안 피시험자로부터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의 클렌징폼, 수렴화장수 및 유연화장수 각각은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 적합한 제품으로 장기간 사용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분산기로 추출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켜 동결건조한 것으로 첨가되고,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징폼 형태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6.5%, 어성초추출물 36%, 알란토인 0.2%, 베타인 0.2%, 디메치설폰(MSM) 0.2%,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소디움코코일이소치오네이트(SCI) 2%, 아미노산계면활성제(ACG) 10%, 애플계면활성제 3%, 데실글루코사이드 2%,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4%,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 및 기타오일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2.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분산기로 추출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켜 동결건조한 것으로 첨가되고,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수렴화장수(토너)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35.1%, 어성초추출물 35%, 알란토인 0.1%, 베타인 1%, 디메치설폰(MSM) 1%,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0.1%,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2%,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1%, 잔탄검 0.1%, 비검화물 10%, 히아루론산 3%, 판테놀 0.5%, 펩타이드 1%, 프로폴리스추출물 0.2%,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뷰틸렌글라이콜 3%, 살리실릭산 0.1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0.8%,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1.5% 및 기타오일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3. 삼백초 및 어성초를 각각 세척, 분쇄 및 추출하여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삼백초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 각각은,
    세척 및 분쇄된 상기 삼백초 및 어성초 각각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분산기로 추출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시켜 동결건조한 것으로 첨가되고,
    상기 화장료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유연화장수(세럼 또는 에센스)이고,
    상기 수상성분의 중량비는,
    삼백초추출물 25%, 어성초추출물 25%, 알란토인 0.1%, 디메치설폰(MSM) 2%, 알로에베라추출물 0.1%, 나이아신아마이드 3%, 디포스포글리세르산(DPG) 0.3%, 잔탄검 0.2%, 비검화물 1.8%, 히아루론산 5%, 판테놀 1%, 펩타이드 10%, 아데노신 0.5%, 프로폴리스추출물 0.5%, 황기추출물 1%, 작약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및 감초추출물 1%이고,
    상기 유상성분의 중량비는,
    에탄올 10%, 비타민e 1%, 살리실릭산 0.5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MCY) 1%, 펜틸렌글라이콜 1%, 폴리소르베이트 4%, 및 기타오일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33230A 2016-03-21 2016-03-21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10176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30A KR101764533B1 (ko) 2016-03-21 2016-03-21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30A KR101764533B1 (ko) 2016-03-21 2016-03-21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533B1 true KR101764533B1 (ko) 2017-08-14

Family

ID=6014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30A KR101764533B1 (ko) 2016-03-21 2016-03-21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5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2979A (zh) * 2017-11-30 2018-03-23 宁波秋日小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的冻干粉的制备方法
CN107875059A (zh) * 2017-11-30 2018-04-06 宁波秋日小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
KR102098631B1 (ko) * 2018-10-30 2020-04-08 주식회사 하이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클렌징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00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2979A (zh) * 2017-11-30 2018-03-23 宁波秋日小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的冻干粉的制备方法
CN107875059A (zh) * 2017-11-30 2018-04-06 宁波秋日小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
CN107875059B (zh) * 2017-11-30 2020-12-04 浙江塑青春美容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
KR102098631B1 (ko) * 2018-10-30 2020-04-08 주식회사 하이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클렌징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00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KR102172405B1 (ko) * 2018-10-31 2020-10-30 주식회사 리앤투네이쳐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53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CN107007513B (zh) 具有祛黑头及收缩毛孔功效的外用组合物及洁肤面膜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JP2001322940A (ja) カテプシンd産生促進剤
US10004678B2 (en) Anti-dandruff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6176511B (zh) 一种蜂胶去黑头鼻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726391B (zh) 一种铁皮石斛沐浴露
CN107496317B (zh) 一种含美洲大蠊活性成分的修复护理洗发露
CN110123684A (zh) 一种具有防脱、生发作用的毛囊原基赋活液及其制备方法
KR20180027307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1313998A (zh) 祛黄褐斑、雀斑、美白减皱霜的组合物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588060A (zh) 一种具有祛痘功效的美白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210087226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6915048B2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CN113425661B (zh) 一种具有清洁修护功效的植物组合物及其应用
KR20110012601A (ko) 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향장용 조성물, 바디 전용 비누, 두피 전용 비누 및 두피 세정제
TW201813629A (zh) 蓮霧水萃取物的水解產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8710B1 (ko) 한방 국화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디 및 두피 클렌져의 제조방법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212738B1 (ko)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렌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