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954A -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 Google Patents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954A
KR20200048954A KR1020180131649A KR20180131649A KR20200048954A KR 20200048954 A KR20200048954 A KR 20200048954A KR 1020180131649 A KR1020180131649 A KR 1020180131649A KR 20180131649 A KR20180131649 A KR 20180131649A KR 20200048954 A KR20200048954 A KR 2020004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racket
tension
connector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098B1 (ko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6Socket typ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부재와 연결되며, 내측에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끼워진 채 고정된 긴장재 수용소켓이, 기둥부재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의 체결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Connector for column-beam, and wooden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부재와 연결되며, 내측에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끼워진 채 고정된 긴장재 수용소켓이, 기둥부재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의 체결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각종 건축물은 철근 콘크리트, 벽돌 및 강구조로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아직도 전통방식에 따라 목조건축물을 시공하고 있으며, 특히 웰빙 바람과 새집증후군 등의 영향에 따라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어우러짐과 미관을 위해서 관광지나 공원 같은 곳에서 다리, 원두막 등의 건조시에도 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구조용 집성재는 작은 크기의 목재를 서로 접착하여 큰 각재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치수안정성과 구조신뢰성이 높고, 옹이 등과 같은 목재 특유의 결함을 제거하여 제조하므로 강도를 일반목재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사용용도에 따라 길이나 두께, 폭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목에 비해 뒤틀림, 갈라짐의 변형이 현저하게 적어 구조용의 기둥 및 보로 많이 사용되며,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힘든 대경목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집성목재는 건축물, 교량의 구조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판상 형태가 아닌 각재 형태이고, 상기 구조용 집성목재는 구조적 부재인 동시에 원목 특유의 미적 감각을 그대로 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둥, 아치형 천장, 대들보, 서까래 등에 사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 그대로 노출하여 마감재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구조용 집성목재는 원목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목의 무늬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용 집성목재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수직하중에는 철골빔보다 약해 장스판(span)구조나 상부에 고하중이 작용할때는 구조용 집성목재의 체적이 너무 커져 실용성과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개발하여, 한국 등록특허 10-1708670호를 통해 개시되었으며, 도 1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구조용 집성목부재는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에 보부재(20)로써 설치되는 집성목재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1)를 설치하여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하지만, 종래의 집성목부재에는 기둥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기둥장착용 브라켓(22), 긴장재 고정 지압판(23), 관통 고정핀(24)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제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집성목부재를 이용할 경우, 고하중이 작용하는 보부재(20)를 들어올려 기둥장착용 브라켓(22)의 체결홀과 긴장재 고정 지압판(23)의 체결홀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맞춘 다음, 관통 고정핀(24)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여야 하므로,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체결 시공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집성목부재를 이용할 경우,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긴장재(21)로부터 회전하중이 기둥부재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기둥과 보의 구조는 철재재질인 기둥장착용 브라켓(22)과 긴장재 고정 지압판(23)이 상하방향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특히 화재발생시 하부에서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에 직접 노출되어, 변형이 발생되고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부재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보부재와 연결되고 내측에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끼워진 채 고정된 긴장재 수용소켓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의 체결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결합되는 긴장재 수용소켓이 브라켓에 체결되어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긴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라켓의 저면과 긴장재 수용소켓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화재로부터 변형을 방지하여 붕괴 등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로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로서, 판재 형상으로 일측면은 기둥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면에는 상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소정 깊이로 파여진 체결홈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홈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며, 타측을 통해 상기 긴장재가 내측으로 끼워진 채 고정되는 긴장재 수용 홀이 형성된 긴장재 수용 소켓;을 포함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체결홈부에 끼워져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하단면은 호 형상으로 이루며,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일측은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의 중심축을 잇는 가상의 선은 파형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은 체결되는 체결앵커와의 체결면적이 증대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파여져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부홈부 및 하부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홈부의 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일측은 상기 하부홈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타측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지는 긴장재를 결속시키는 긴장재 결속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과 상기 체결홈부의 하부면의 사이에 소정 영역의 공차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 부재; 집성목부재로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 및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의하면, 기둥부재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보부재와 연결되고 내측에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끼워진 채 고정된 긴장재 수용소켓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의 체결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의하면,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결합되는 긴장재 수용소켓이 브라켓에 체결되어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긴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에 의하면, 브라켓의 저면과 긴장재 수용소켓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빌트인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화재로부터 변형을 방지하여 붕괴 등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기둥과 보의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체결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의 체결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2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기둥과 보의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100)는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한편, 이웃하는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집성목재는 폭방향 하단이 인장되어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 보부재로 이용되는 집성목재는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1)가 구비됨으로써, 집성목재의 폭방향 하단이 인장되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집성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보부재로 이용되는 집성목재"는 복수개의 단척부재가 상호적층되며, 이웃하는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는 인장력이 부여된 채 상기 긴장재 삽입공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100)는 브라켓(110) 및 긴장재 수용 소켓(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10)은 기둥부재(10)에 설치되는 체결수단으로,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면(111)은 기둥부재(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면(112)은 상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소정 깊이로 파여지며, 하단면이 호형상을 이루는 체결 홈부(11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10)은 철재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상기 보부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이에 제한되는 바는 아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홈부(110a)는 상기 브라켓(1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체결 홈부(110a)를 형성하는 양측 내측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홈의 면적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110)에는 상기 기둥부재(10)와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기둥부재용 앵커홀들(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113)들의 중심축을 잇는 가상의 선(L1)은 파형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앵커가 체결되는 상기 기둥부재(10)의 목리방향을 따라 크랙, 할렬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들(113)은 체결되는 앵커의 체결면적이 증대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행태로 파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은 보부재(20)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긴장재를 내측에 고정되게 수용한 채, 상기 브라켓(11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측(121)은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홈부(110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122)의 긴장재 수용홀(122a)을 통해 상기 긴장재(21)가 내측으로 끼워져 인장력이 부여된 채,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일측(121)은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일측(121)은 상기 체결홈부(110a)에 슬라이딩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홈부(1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이 상기 체결홈부(110a)의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단턱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0)의 상기 체결 홈부(110a)는 상부홈부(110aa) 및 하부홈부(110ab)로 구획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상부홈부(110aa)의 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120)의 일측(121)은 상기 하부홈부(110ab)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홈부(110a)의 상단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일측(121) 하부 단면적이, 상기 체결홈부(110a)의 상부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체결용이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의 체결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이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홈부(110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기둥부재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의 체결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은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홈부(110a)에 끼워져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1)가 결합되는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120)이 상기 브라켓(110)에 체결되어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인장력이 부여된 긴장재(2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100)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내측에 수용되는 긴장재 결속 수단(12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은 내부에 상기 긴장재(21)가 긴장된 채 결속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내주면은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이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삽입된 채, 타측을 통해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은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과 일체화되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과 분리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은 복수개 몸체부(124a)와 체결링(124b)을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4a)들은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타측 외측면에는 단위 홈부(124a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4a)들이 합쳐져 하나의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단위 홈부(124ab)들을 서로 연통되어 링 형상의 링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부에는 탄성재질의 상기 체결 링(124b)이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은 상기 몸체부(124a)들이 서로 이격되어 소정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내부로 상기 몸체부(124a)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긴장재(21)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에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의 직경보다 소정 직경 큰 긴장재(21)가 삽입되고,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이 벌어진 채,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긴장재 결속 수단(124)이 내측 방향으로 조여져, 긴장재가 결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24a)들의 내주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긴장재(21)와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0)의 체결홈부(110a)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과 상기 체결홈부(110a)의 하부면 사이에 소정 영역의 공차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120)으로부터 전달되는 보부재의 하중이 하부방향으로 가해지게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10)과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120)이 측방으로 밀착되게 하여 체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로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목조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조 구조물은, 상기 기둥부재의 접합면에는 상기 브라켓(110)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브라켓(110)이 고정설치된 다음, 보부재와 연결된 긴장재 수용소켓(12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체결되어, 별도의 커버부재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철재재질인 상기 브라켓(110)의 저면과, 긴장재 수용소켓(1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빌트인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화재로부터 변형을 방지하여 붕괴 등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목조 구조물은 빌트인 구조로 한정되는 바는 아니며, 기둥부재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고 시공되어, 구성부품들의 노출면에 별도의 커버부재들이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은 긴장재 수용소켓이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간편하게 체결되며, 긴장재 수용소켓이 브라켓에 체결되어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인장력이 부여된 긴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더 나아가, 구성부품들의 저면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수려하고 화재로부터 변형을 방지하여 붕괴 등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기둥 부재 20 : 보 부재
110 : 제1 브라켓 111 : 일측면
112 : 타측면 113 : 앵커홀
110a : 체결홈부 120 : 긴장재 수용 소켓
121 : 일측 122 : 타측
123 : 단턱부 122a : 긴장재 수용홀
124 : 긴장재 결속 수단

Claims (9)

  1. 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로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로서,
    판재 형상으로 일측면은 기둥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면에는 상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소정 깊이로 파여진 체결홈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홈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며, 타측을 통해 상기 긴장재가 내측으로 끼워진 채 고정되는 긴장재 수용 홀이 형성된 긴장재 수용 소켓;을 포함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체결홈부에 끼워져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하단면은 호 형상으로 이루며,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일측은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의 중심축을 잇는 가상의 선은 파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용 앵커홀들은 체결되는 체결앵커와의 체결면적이 증대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부홈부 및 하부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홈부의 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일측은 상기 하부홈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7. 제 2항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긴장재 수용소켓의 타측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지는 긴장재를 결속시키는 긴장재 결속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홈부는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긴장재 수용 소켓과 상기 체결홈부의 하부면의 사이에 소정 영역의 공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커넥터.
  9. 기둥 부재;
    집성목부재로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보부재; 및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둥과 보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
KR1020180131649A 2018-10-31 2018-10-31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49A KR102188098B1 (ko) 2018-10-31 2018-10-31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49A KR102188098B1 (ko) 2018-10-31 2018-10-31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54A true KR20200048954A (ko) 2020-05-08
KR102188098B1 KR102188098B1 (ko) 2020-12-07

Family

ID=7067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649A KR102188098B1 (ko) 2018-10-31 2018-10-31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113A (zh) * 2021-12-03 2022-01-28 上海泰大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三段梁与柱结构及其组合框架式结构
WO2022207346A1 (de) * 2021-03-29 2022-10-06 Neue Holzbau Ag Lungern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bauteilen im bauwes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5535A1 (de) * 2005-11-10 2007-05-16 Glaromat AG Verbindungsbeschla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Holzträgers mit einer Tragstruktur aus Holz
JP2008534821A (ja) * 2005-03-25 2008-08-28 シンプソン ストロング タイ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強化された裏当てを備えたホールダウン
JP2015155611A (ja) * 2014-02-20 2015-08-27 ネットイーグル株式会社 接合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ならびに接合方法
KR101708670B1 (ko) * 2015-10-29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821A (ja) * 2005-03-25 2008-08-28 シンプソン ストロング タイ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強化された裏当てを備えたホールダウン
EP1785535A1 (de) * 2005-11-10 2007-05-16 Glaromat AG Verbindungsbeschla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Holzträgers mit einer Tragstruktur aus Holz
JP2015155611A (ja) * 2014-02-20 2015-08-27 ネットイーグル株式会社 接合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ならびに接合方法
KR101708670B1 (ko) * 2015-10-29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7346A1 (de) * 2021-03-29 2022-10-06 Neue Holzbau Ag Lungern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bauteilen im bauwesen
CN113982113A (zh) * 2021-12-03 2022-01-28 上海泰大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三段梁与柱结构及其组合框架式结构
CN113982113B (zh) * 2021-12-03 2023-08-11 上海泰大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三段梁与柱结构及其组合框架式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98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7448B2 (en) Concrete monocoque building construction
US3092932A (en) Skeleton framework for modified hyperbolic paraboloid
KR20200048954A (ko)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62A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85B1 (ko)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20200048957A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0390559Y1 (ko) 펄린, 펄린용 클립 및 지붕구조
KR102188103B1 (ko) 슬라이딩 체결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101242016B1 (ko) 한옥 골격용 목재프레임
KR101544328B1 (ko) 전통 목조건축물의 지붕 자재 시공구조
KR200231044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의 처짐 방지장치
KR102345642B1 (ko)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WO2004064496A1 (ja) 温室における屋根の構造
WO2020091285A1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52A (ko) 기둥과 보의 체결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47844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한옥 하부 구조물
ATE244341T1 (de) Aussenbauteil zum anbau an bestehende gebäude
DE102007049332A1 (de) Bausatz zur Errichtung eines Gebäudes
KR20020029006A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KR102459251B1 (ko) 건축물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102093032B1 (ko) 철골구조와 목구조가 결합된 한식건축물 및 시공방법
KR101744751B1 (ko) 조립식 퓨전 전통가옥
SU1348468A1 (ru) Опалубка дл возведени сооружений из 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KR200413870Y1 (ko) 건축물용 지붕패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