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642B1 -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642B1
KR102345642B1 KR1020190153383A KR20190153383A KR102345642B1 KR 102345642 B1 KR102345642 B1 KR 102345642B1 KR 1020190153383 A KR1020190153383 A KR 1020190153383A KR 20190153383 A KR20190153383 A KR 20190153383A KR 102345642 B1 KR102345642 B1 KR 10234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ad transfer
binding
longitudinal direction
tend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787A (ko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6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metal or other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8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기둥으로써 사용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목부재를 상호 결합시 장착커넥터와 결속커넥터간 슬라이딩결합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을 텐셔너에 의해 인장고정하여 상기 목부재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장착되되 길이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110)가 형성된 장착커넥터(100); 상기 기둥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목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장착커넥터(100)를 바라보는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삽입되는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셔너(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는 상기 텐셔너(300)의 관통을 위한 장착걸림공(2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방향의 상기 장착걸림공(230)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31)이 형성되며, 상기 텐셔너(300)는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걸림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여 상기 목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헤더구(310)와, 상기 헤더구(31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텐던고정구(340)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걸림되는 걸림안착단(32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안착단(320)이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면과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CONNECTOR DEVICE FOR TENDON}
본 발명은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기둥으로써 사용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목부재를 상호 결합시 장착커넥터와 결속커넥터간 슬라이딩결합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을 텐셔너에 의해 인장고정하여 상기 목부재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각종 건축물은 철근 콘크리트, 벽돌 및 강구조로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아직도 전통방식에 따라 목조건축물을 시공하고 있으며, 특히 웰빙 바람과 새집증후군 등의 영향에 따라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서 관광지나 공원 같은 곳에서 다리, 원두막 등의 건조시에도 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집성목재는 건축물, 교량의 구조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판상 형태가 아닌 각재 형태이고, 상기 구조용 집성목재는 구조적 부재인 동시에 원목 특유의 미적 감각을 그대로 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둥, 아치형 천장, 대들보, 서까래 등에 사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 그대로 노출하여 마감재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구조용 집성목재는 원목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목의 무늬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용 집성목재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수직하중에는 철골빔보다 약해 장스판(span)구조나 상부에 고하중이 작용할때는 구조용 집성목재의 체적이 너무 커져 실용성과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0-1708670호의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통해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수평부재를 수직부재에 결합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사이에 브라켓, 긴장재 고정 지압판, 관통 고정핀 등의 여러 다양한 기술적 구성을 추가하고,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를 재가공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시공효율이 저하되고 구성품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는 물론 시공비용의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기둥으로써 사용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목부재를 상호 결합시, 상기 기둥부재에 장착되는 장착커넥터와 상기 목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는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목부재를 신속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을 인장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셔너를 통해 상기 목부재가 수직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기둥부재와 목부재의 연결부위에서의 결속력증대를 통해 안정된 구조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장착되되 길이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110)가 형성된 장착커넥터(100); 상기 기둥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목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장착커넥터(100)를 바라보는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삽입되는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셔너(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는 상기 텐셔너(300)의 관통을 위한 장착걸림공(2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방향의 상기 장착걸림공(230)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31)이 형성되며, 상기 텐셔너(300)는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걸림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여 상기 목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헤더구(310)와, 상기 헤더구(31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텐던고정구(340)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걸림되는 걸림안착단(32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안착단(320)이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면과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그립홈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에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보강걸림구(330)와,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슬라이딩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결속가이드홈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결속홈부(130)와, 상기 보강결속홈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그립홈(13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기둥으로써 사용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목부재를 상호 결합시, 장착커넥터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기둥부재와 목부재의 연결부위에서의 결속력이 증대되어 안정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고, 텐셔너를 통해 상기 목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긴장용 텐던을 인장고정하여 목부재의 수직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더욱 안정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폭방향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에 안착지지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에 연장걸림구가 형성된 상태를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의 폭방향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커넥터에 안착지지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에 연장걸림구가 형성된 상태를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는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장착되는 장착커넥터(100)와, 상기 기둥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목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커넥터(100)에 연결되는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와,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여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하는 텐셔너(30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텐던용 커넥터장치는 구조물의 기둥으로써 사용되는 기둥부재(10)와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목부재(20)를 상호 결합시,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상기 기둥부재(10)와 상기 목부재(20)를 신속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이루고,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텐셔너(300)를 통해 구조물의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상기 목부재(2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목부재(20)에 수직하중이 작용하거나 상기 기둥부재(10)가 흔들리는 경우, 상기 기둥부재(10)와 목부재(20)의 연결부위에서의 결속력증대를 통해 안정된 구조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커넥터(100)는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장착되되 길이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커넥터(100)에는 상기 기둥부재(10)에 결속되는 결속볼트(121)의 관통설치를 위한 볼트관통공(12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는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평면상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는 상기 기둥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목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장착커넥터(100)를 바라보는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삽입되는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는 상기 목부재(20)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속되는 관통볼트구(221)의 관통설치를 위한 다수개의 볼트장착공(22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는 상기 목부재(2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볼트장착공(220)을 관통하는 상기 관통볼트구(221)에 의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커넥터(100)를 바라보는 일면부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장착되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그립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홈부(111)는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단면상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와 연통되는 일측에서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측면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는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바디구(211)와, 상기 그립홈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슬라이딩바디구(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걸림구(21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착커넥터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에 의해 상기 목부재(20)가 상기 기둥부재에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상기 기둥부재(10)와 목부재(20)에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를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목부재(20)를 상기 기둥부재(10)게 신속하고 간단히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서 상기 슬라이딩걸림구(212)가 상기 그립홈부(111)에 걸림되는 구조의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로 인해 상기 기둥부재(10)와 목부재(20)의 결합부위에 대한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텐셔너(300)는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텐셔너(3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목부재(20)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상기 목부재(20)의 길이방향 단부에 장착시, 상기 목부재(2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서트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감춰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목부재(20)의 인서트홀(21) 내측에 길이방향을 설치되는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여 파지함으로써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텐셔너(3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상기 긴장용 텐던(22)에 의해 상기 목부재(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보다 안정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텐셔너(300)가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텐셔너(300)는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를 관통하는 중공형 장착걸림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텐셔너(300)가 상기 장착걸림공(23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목부재(20)의 인서트홀(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텐셔너(3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텐셔너(3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걸림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와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를 관통하여 상기 목부재(20)의 인서트홀(21)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헤더구(310)와, 상기 헤더구(31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텐던고정구(34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더구(3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부재이고, 상기 텐던고정구(340)는 상기 헤더구(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외측면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되 외주연이 상기 헤더구(310)의 내주연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텐던고정구(34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3개 이상의 분할쐐기편(341)과, 상기 분할쐐기편(341)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343)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할쐐기편(341)이 상기 탄성랩핑구(343)를 매개로 연결된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통과하는 텐던통과공(3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텐던고정구(340)가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방향의 상기 장착걸림공(230)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더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걸림되는 걸림안착단(32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안착단(320)은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310)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안착단(320)이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면과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안착단(320)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커넥터(100)에는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의 내측에 보강결속홈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결속홈부(1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그립홈부(1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강그립홈(13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셔너(300)에는 상기 헤더구(310)의 걸림안착단(320)에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걸림안착단(3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보강결속홈부(130)로 슬라이딩삽입되어 상기 보강그립홈(131)에 걸림되는 보강걸림구(33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에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도록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슬라이딩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결속가이드홈부(110) 내측에 상기 보강결속홈부(130)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보강그립홈(131)이 상기 보강결속홈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긴장용 텐던을 설치하고,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텐셔너(300)또한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로 상기 결속커넥터(200)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긴장용 텐던(22)은 하나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긴장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의 긴장재를 상기 기둥부재(10)와 목부재(20)의 설치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공(410)이 형성된 연장걸림구(400)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연장걸림구(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지지홈(50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공(410)을 관통한 장착볼트구(420)가 상기 장착커넥터(100)에 결속된다.
즉, 상기 하중전달 결속커넥터(200)을 상기 장착커넥터(100)에 결속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을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연장걸림구(400)가 상기 안착지지홈(500)에 안착되어 걸림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볼트구(420)가 상기 연장걸림구(400)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커넥터(100)에 결속됨에 따라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상기 하중전달 결속커넥터(200)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커넥터(100)와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을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갖는 일 예로써 건축물이나 파고라, 울타리 등의 구조물에 적용하여 구조물의 시공용이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둥부재 20: 목부재
22: 긴장용 텐던 100: 장착커넥터
110: 결속가이드홈부 111: 그립홈부
120: 볼트관통공 130: 보강결속홈부
200: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 210: 슬라이딩하중전달구
220: 볼트장착공 230: 장착걸림공
300: 텐셔너 310: 헤더구
320: 걸림안착단 330: 보강걸림구
340: 텐던고정구 341: 분할쐐기편
343: 탄성랩핑구

Claims (5)

  1.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장착되되 길이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110)가 형성된 장착커넥터(100); 상기 기둥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목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장착커넥터(100)를 바라보는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삽입되는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긴장용 텐던(22)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긴장용 텐던(22)이 상기 목부재(20)의 내측에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셔너(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는 상기 텐셔너(300)의 관통을 위한 장착걸림공(2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방향의 상기 장착걸림공(230)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31)이 형성되며,
    상기 텐셔너(300)는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걸림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와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를 관통하여 상기 목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헤더구(310)와, 상기 헤더구(31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긴장용 텐던(22)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텐던고정구(340)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걸림되는 걸림안착단(32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안착단(320)이 상기 슬로프걸림단(23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면과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가이드홈부(1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그립홈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안착단(320)의 상측에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보강걸림구(330)와,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슬라이딩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결속가이드홈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결속홈부(130)와, 상기 보강결속홈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걸림구(330)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그립홈(13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중전달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중전달형 결속커넥터(2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공(410)이 형성된 연장걸림구(400)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연장걸림구(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지지홈(50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공(410)을 관통한 장착볼트구(420)가 상기 장착커넥터(100)에 결속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텐던용 커넥터장치.
  5. 삭제
KR1020190153383A 2019-11-26 2019-11-26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34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83A KR102345642B1 (ko) 2019-11-26 2019-11-26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83A KR102345642B1 (ko) 2019-11-26 2019-11-26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87A KR20210064787A (ko) 2021-06-03
KR102345642B1 true KR102345642B1 (ko) 2021-12-31

Family

ID=7639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83A KR102345642B1 (ko) 2019-11-26 2019-11-26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6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557A (ja) * 2010-09-27 2012-04-05 Seiji Hosokaw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JP2015155611A (ja) * 2014-02-20 2015-08-27 ネットイーグル株式会社 接合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ならびに接合方法
KR101708670B1 (ko) * 2015-10-29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817A (ko) * 2017-03-14 2018-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 그 제작 방법,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를 이용한 접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557A (ja) * 2010-09-27 2012-04-05 Seiji Hosokaw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JP2015155611A (ja) * 2014-02-20 2015-08-27 ネットイーグル株式会社 接合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ならびに接合方法
KR101708670B1 (ko) * 2015-10-29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87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5935B (zh) 用于连接两个竖直部件的装置
KR101708670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104032891A (zh) 一种预应力双拼胶合木梁
KR102345642B1 (ko)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188098B1 (ko)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US1768626A (en) Concrete building unit
KR102188087B1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85B1 (ko)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NO176029B (no) Et system omfattende en sammensatt bjelke og en sammensatt plate
KR102157417B1 (ko) 난간시스템
KR102188103B1 (ko) 슬라이딩 체결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US6098360A (en) Offset web composite beam
KR102403606B1 (ko) 구조용집성재를 이용한 보행시설물용 기초구조물
KR101347298B1 (ko) 단열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20150142775A (ko) 긴장재 내장형 합성목재 바닥판
KR102188093B1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160091476A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347310B1 (ko)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KR20060091634A (ko) 건설용 구조재
US20230070197A1 (en) Wood and Steel Beam Composite Panel
CN216516140U (zh) 一种木张弦梁屋架结构
CN215759597U (zh) 抱箍固定结构及含有该结构的原竹建筑连接节点
KR20200125122A (ko)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20210133628A (ko) 목재기둥의 직립성이 향상된 목조 구조물
JP2018162590A (ja) 木製筒状部材、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