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70B1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670B1
KR101708670B1 KR1020150151169A KR20150151169A KR101708670B1 KR 101708670 B1 KR101708670 B1 KR 101708670B1 KR 1020150151169 A KR1020150151169 A KR 1020150151169A KR 20150151169 A KR20150151169 A KR 20150151169A KR 101708670 B1 KR101708670 B1 KR 10170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tressing
fixing
tension
glu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집성목재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하여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내구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척부재가 상호 적층되게 형성되어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된 집성 목재; 상기 집성목재의 긴장재 삽입공에 설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집성 보의 길이방향 양측단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되 상기 집성목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수용하여 인장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되는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STRUCTURE GLULAM HAVING PRESTRESS TENDON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에 보부재로써 설치되는 집성목재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하여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내구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각종 건축물은 철근 콘크리트, 벽돌 및 강구조로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아직도 전통방식에 따라 목조건축물을 시공하고 있으며, 특히 웰빙 바람과 새집증후군 등의 영향에 따라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어우러짐과 미관을 위해서 관광지나 공원 같은 곳에서 다리, 원두막 등의 건조시에도 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구조용 집성재는 작은 크기의 목재를 서로 접착하여 큰 각재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치수안정성과 구조신뢰성이 높고, 옹이 등과 같은 목재 특유의 결함을 제거하여 제조하므로 강도를 일반목재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사용용도에 따라 길이나 두께, 폭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목에 비해 뒤틀림, 갈라짐의 변형이 현저하게 적어 구조용의 기둥 및 보로 많이 사용되며,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힘든 대경목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집성목재는 건축물, 교량의 구조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판상 형태가 아닌 각재 형태이고, 상기 구조용 집성목재는 구조적 부재인 동시에 원목 특유의 미적 감각을 그대로 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둥, 아치형 천장, 대들보, 서까래 등에 사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 그대로 노출하여 마감재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구조용 집성목재는 원목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목의 무늬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용 집성목재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수직하중에는 철골빔보다 약해 장스판(span)구조나 상부에 고하중이 작용할때는 구조용 집성목재의 체적이 너무 커져 실용성과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려지는 다수개의 단척재를 활용하여 제조된 다수개의 단척부재를 상,하집성하여 구조용 집성목재로 제작함으로써 단척재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집성목재 제조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긴장재 삽입공을 형성하여 집성목재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상기 긴장재 삽입공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통해 집성목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휨강도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기둥부재 사이에 철재류의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집성목재를 설치시, 철재의 긴장재 인장고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목조구조물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건축구조물의 시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척부재가 상호 적층되게 형성되어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된 집성 목재; 상기 집성목재의 긴장재 삽입공에 설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집성 보의 길이방향 양측단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되 상기 집성목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수용하여 인장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되는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는,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수용하는 긴장재 고정지압판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인장 고정하는 긴장재 고정소켓과,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삽입되어 관통고정핀을 매개로 고정되는 기둥장착용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긴장재 삽입공은 상기 집성목재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은, 상기 집성목재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일정면적을 갖는 밀착면체와, 상기 집성목재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거나 집성목재보다 적은 높이를 갖는 상태로 상기 밀착면체의 좌우측단에서 상기 기둥부재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되 상측 단부에서 상기 밀착면체의 상단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갖도록 절취되고, 상기 관통고정핀의 삽입을 위한 다수개의 제1삽입공이 형성된 측부면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긴장재 삽입공은, 상기 집성목재에 요구되는 휨강성에 따라 상하좌우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측부면체를 커버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커버목재부와 상기 커버목재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측부면체 사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목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목재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을 수용하는 목재의 수용단위체가 설치되고, 상기 집성목재 상부에는 그 집성목재의 폭방향으로 가공되어 상기 긴장재 삽입공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을 통해 유입된 비탄성 수지게의 레진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외주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의 내주연 사이 공간에 충진된다.
한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은다수개의 단척부재가 상호 접착에 의해 양생되되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된 집성목재를 준비하는 집성목재 준비단계; 상기 집성목재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집성목재의 긴장재 삽입공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하되 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이 상기 긴장재 삽입공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설치를 완료하는 긴장재 설치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를 매개로 인장하여 고정하고, 기둥부재사이에 상기 집성목재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구조물에서 보의 역할을 수행할 있도록 하는 집성목재 시공단계;를 통해 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규격이나 버려지는 단척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목재로 된 집성목재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긴장재 삽입공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에 의해 집성목재의 휨현상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집성목재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성목재를 기둥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철재의 긴장재 인장고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목조구조물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더욱 미려한 건축구조물의 시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집성목재의 처짐현상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끝단에 커버목재부와 연장목재부가 형성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고정지압판이 집성목재에 밀착되는 면적에 따른 압축력의 분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인장고정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수용단위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가 기둥부재에 연결설치된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척부재 사이에 인발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집성목재에 상하 두개의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삽입공에 레진을 충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충진공이 형성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하부', "폭방향", 상측", "하측"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끝단에 커버목재부와 연장목재부가 형성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고정지압판이 집성목재에 밀착되는 면적에 따른 압축력의 분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인장고정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수용단위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가 기둥부재에 연결설치된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는 다수개의 단척부재(110)가 상호 적층되게 형성되는 집성목재(100)와, 상기 집성목재(100)에 형성되는 긴장재 삽입공(111) 내측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인장 고정하면서 상기 집성목재(100)를 기둥부재(10)에 연결하는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성목재(100)는 다수개의 단척부재(110)가 상호 적층되게 형성되어 구조물의 기둥부재(10)와 기둥부재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단척부재(11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단척부재(110)는 옹이와 같은 결함부위의 제거가 완료된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척재를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척재는 그 사용위치에 따라 요구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방부목, 난연목재등을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집성목재 규정에 따른 수종군(A군, B군, C군, D군)에서 동등 수종군으로 분포되는 경우 다른 수종을 일부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호 적층되어 접착 양생되는 상기 단척부재들은 균일한 길이로 제작되고, 단척재 간 이음부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몰딩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성목재(100)에 형성되는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은 상기 집성목재(100)의 단면상 폭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성목재(100)가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폭방향 하단이 인장되어 처짐 현상이 발행하는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설치되는 긴장재 삽입공(111)을 집성목재의 폭단면상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폭방향 하단이 인장되어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집성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내측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외주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이격공간에 레진(115)과 같은 비탄성계 합성수지를 채워 상기 집성목재(100)와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일체화시키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상기 집성목재(100)의 긴장재 삽입공(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진되는 상기 레진(115)에 의해 그 집성목재와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성목재(100)에 휨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집성목재(100)에는 그 집성목재의 폭방향으로 가공되어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충진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117)을 통해 유입된 비탄성 수지계의 레진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외주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내주연 사이 공간에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공(117)은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되어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부가 압축력을 받아 휨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은 상기 집성목재(100)에 요구되는 휨강성에 따라 상하좌우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긴장재 삽입공(111)에 설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는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내측방향으로 인입하여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내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되 상기 집성목재(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을 수용하여 인장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설치되어 인장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일정한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집성목재(100)를 상기 기둥부재(10)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을 수용하는 긴장재 고정지압판(310)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인장 고정하는 긴장재 고정소켓(350)과,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관통고정핀(340)을 매개로 고정되는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은 상기 집성목재(100)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일정 면적을 갖는 밀착면체(320)와,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태로 상기 밀착면체(320)의 좌우측단에서 상기 기둥부재(10)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되 상측 단부에서 상기 밀착면체(320)의 상단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면(332)을 갖도록 절취되고, 상기 관통고정핀(340)의 삽입을 위한 다수개의 제1삽입공(335)이 형성된 측부면체(330)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면체(32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폭단면상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의 집성목재 일단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일정면적의 판상으로, 상기 밀착면체(320)를 상기 집성목재(100)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이 상기 밀착면체(320)의 관통공(321)을 통해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측부면체(33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집성목재(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일정면적의 판상으로, 상기 제1삽입공(335)은 상기 측부면체(33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필요시 좌우로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측부면체(330)는 상기 밀착면체(320)와 동일한 높이 또는 집성목재(100)보다 적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연결면부(333)와 상기 연결면부의 상측에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100)를 바라보는 측단에 상기 완만한 경사면(332)이 형성된 측면부(3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착면체(320)가 집성목재(100)의 폭단면상 가상의 중심선(120)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의 집성목재 일단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측부면체(330)의 측면부(331) 일부를 절취하여 경사면(332)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면체(320)가 상기 집성목재(100)의 일단면 전체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집성목재의 단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통해 인장하여 고정시, 상기 밀착면체(320)에 의해 집성목재의 상하부 즉 가상의 중심선(120)을 기준으로 상부(121) 및 하부(123) 전체에 압축력이 전달되는데, 이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집성목재(100)의 중심 상부까지 압축력이 전달되어 구조물의 보 부재로 이용될 경우, 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면체(320)를 집성목재의 하부(123)에만 밀착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집성목재(100)를 바라보는 상기 측면부(331)의 측단부가 상기 집성목재(100)의 단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그 측면부 일부를 절취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인장시 발생하는 압축력이 집성목재의 하부(123)에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밀착면체(320)의 면적을 줄이고, 상기 측부면체(330)의 측면부(331) 일부를 절취하여 경사면(33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인장시 집성목재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123)에만 압축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은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것으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인장장치에 의해 일정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여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로 고정하여 그 인장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은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단면상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관통고정핀(34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은 상기 기둥부재(10)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고정철물(36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체(361)와, 상기 고정면체(361)의 좌우측단에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그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335)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제2삽입공(364)이 형성된 인입면체(36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고정면체(361)가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철물(362)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입면체(363)가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고정핀(340)이 상기 제1,2삽입공(335,364)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과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이 연결고정되고, 그로 인해 상기 집성목재(100)를 상기 기둥부재(10)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가 구조물의 보 부재로써 장스판 구조물에 적용될 경우 고 하중을 받게 되므로 철물간 힌지 결합의 개념으로 접근시켜 철물간 결합부위에서 많은 가공으로 약해진 집성목재(100) 양 끝단부분에 직접적인 하중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를 매개로 상기 집성목재(100)를 상기 기둥부재(10)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철재로 이루어진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의 긴장재 고정지압판(310)과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이 외부로 노출되어 구조물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연장목재부(150)와 커버목재부(160)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고,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수용하는 목재의 수용단위체(170)를 설치하여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를 커버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커버목재부(160)와 상기 커버목재부(160)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사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목재부(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목재부(15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121)의 단면에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목재부(16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집성목재(100)보다 적은 높이를 갖는 상태로 그 집성보의 측면에서 상기 기둥부재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장목재부(150)와 동일한 연장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를 커버하게 된다.
또한, 목재의 상기 수용단위체(170)는 상기 연장목재부(15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수용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용단위체(170)에는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17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목재부(150)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수용단위체(170)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상기 수용공(171)에 수용되게 설치하면 상기 수용단위체(170)이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장목재부(15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목재부(160)와 연장목재부(150), 수용단위체(170)에는 상기 관통고정핀(340)의 삽입을 위한 통공(180)이 형성되며, 그 통공은 상기 제1,2삽입공(335,36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관통고정핀(340)이 상기 통공(180) 및 상기 제1,2삽입공(335,364)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연장목재부(150)와 수용단위체(170) 및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의 시공방법은 집성목재를 준비하는 집성목재 준비단계(S10)와, 상기 집성목재(100)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S20)와, 상기 집성목재(100)를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집성목재 시공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성목재 준비단계(S10)에서는 다수개의 단척부재(110)가 상호 접착에 의해 양생되되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111)이 형성된 집성목재를 준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성목재 준비단계(S10)는 다수개의 단척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와, 단척부재(110)간 접착되는 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홈따기 작업을 통해 반원형의 홈부(130)를 형성하는 단계와, 플라스틱이나 철재로 구성된 단면상 원형의 인발파이프(400)를 단척부재(110)의 홈부(130)에 위치시킨 상태로 수용성 접착재에 의해 단척부재를 상호 접착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단척부재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인발파이프(400)를 인발 제거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긴장재 삽입공(111)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척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옹이와 같은 결함부위의 제거가 완료된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척재를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일정길이의 단척부재를 제작하고, 단척재간 이음부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몰딩작업을 통해 균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척부재(110)를 준비하게 된다.
상기 양생하는 단계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각각의 단척부재를 상호 접착시 플라스틱이나 철재로 구성된 원형의 인발파이프(400)를 각각의 단척부재에 형성된 홈부(130)에 절반씩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단척부재의 면부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한 후, 가압하여 양생하게 된다.
즉, 각각의 단척부재를 수용성 접착재에 의해 상호 접착하는 과정에서 홈부의 내측으로 수용성 접착재가 유입되어 그 홈부의 내측을 불규칙하게 좁힐 수 있으므로 단척부재의 홈부에 상기 인발파이프(400)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성 접착제가 홈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인발파이프(400)의 제거를 통해 완성되는 긴장재 삽입공(111)의 내측이 좁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단척부재가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는 원형의 긴장재 삽입공이 좁아지고, 그 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 내측으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긴장재 삽입공의 내경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긴장재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홈부(130)에 위치하는 상기 인발파이프(400)를 인발하여 제거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설치를 위한 원형의 긴장재 삽입공(111)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목재를 집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용성 접착제가 플라스틱이나 철재와는 접착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각각의 단척부재가 상기 인발파이프(400)의 절반씩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양생시, 상기 수용성 접착재가 경화될 때까지 단척부재의 사이에 상기 인발파이프(400)의 설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접착제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인발파이프(400)를 인발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수개의 단척부재를 상하 적층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두개의 긴장재 삽입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수평으로 두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상측의 긴장재 삽입공(111a)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하측의 긴장재 삽입공(111b)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보다 높은 인장력을 갖는 상태로 인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수평으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2개 이상을 설치될 경우에는 동일한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집성목재의 처짐현상시 하측에 위치하는 긴장재 삽입공(111b)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먼저 인장력을 받게 되는 구조상 상측의 긴장재 삽입공(111a)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는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인장력에 원활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측의 긴장재 삽입공(111a)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인장력을 하측의 긴장재 삽입공(111b)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보다 크게 하여 집성목재의 처짐에 따른 대응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성목재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설치를 위한 긴장재 삽입공을 형성시, 집성목재(100)의 폭단면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집성목재부재의 처짐시, 하단이 인장되어 처짐현상이 발생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설치되는 긴장재 삽입공(111)을 집성목재의 폭단면상 중심선에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집성목재의 하단이 인장되어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집성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구조물의 보로 사용될 집성목재를 준비한 후, 상기 집성목재(100)의 긴장재 삽입공(111)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양끝단은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는, 후술되는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의 긴장재 고정소켓(350)이 연결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집성목재(100)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를 매개로 인장하여 고정하고, 기둥부재 사이에 그 집성목재를 고정되게 설치하는 집성목재 시공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긴장재 고정지압판(310)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을 고정하는 긴장재 고정소켓(350)과,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는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는 상기에 기재된 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집성목재 시공단계(S3)에서는 여러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의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을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을 수용하도록 설치한다.
이후,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외부로 노출된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잡아 인장하고, 인장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을 상기 집성목재(100)가 설치될 위치의 기둥부재에 고정철물(362)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설치한 후,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을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과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을 관통하는 관통고정핀(340)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집성목재(100)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를 매개로 상기 집성목재(100)를 상기 기둥부재(10)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철재로 이루어진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가 외부로 노출되어 구조물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목재부(160)와 상기 커버목재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목재부(15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은 수용단위체(170)의 내측에 수용시켜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성목재의 단부에 상기 커버목재부와 연장목재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300)를 매개로 상기 집성목재를 기둥부재사이에 보로써 시공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를 상기 커버목재부(160)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밀착면체(320)가 상기 집성목재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커버목재부(16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목재부(150)가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측부면체(330) 내측방향으로 삽입된다.
이후,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끝단을 파지하여 인장한 후,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이용하여 인장된 상태의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350)을 수용하는 목재의 수용단위체(170)를 상기 연장목재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단위체(170)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부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의 외주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 내주연 사이 공간에 레진(115)과 같은 비탄성 수지계를 충진하여 채우도록 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성목재의 상면에서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까지 충진공(미부호)을 형성한, 후, 그 충진공을 통해 비탄성계 수지인 레진를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에 주입한다.
여기서, 충진용 레진을 비탄성계로 사용하는 이유는 레진이 경화될 때 탄성력이 없는 상태로 경화되어야만 집성목재 부재가 휨응력을 받을 때 프리스트레스 긴장재(200)가 받는 응력이 곧바로 목재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내측에 레진이 채워졌는지는 상기 긴장재 삽입공(11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레진이 흘러나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흘러나온 레진을 깨끗히 정리한 후, 상기 수용단위체(1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단위체(17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을 상기 기둥부재(10)에 고정철물(362)을 매개로 결합하고, 상기 집성목재(1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긴장재 고정지압판(310)의 내측으로 상기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목재부(160)와 긴장재 고정지압판(310), 기둥장착용 브라켓(360)을 관통하는 관통고정핀(340)에 의해 상기 집성목재를 상기 기둥부재사이에 설치하여 보부재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성목재(100)에 레진과 같은 비탄성 수지계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충진공의 형성위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성목재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단부에서 1/4지점을 넘지 않는 범위에 상기 충진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충진공은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집성목재(100)의 상부가 압축력을 받아 휨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이 집성목재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설치되는 긴장재 삽입공의 내부에 비탄성 수지계를 채워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성목재가 보부재로 사용되는 경우 지면방향으로 휘게 되는 처짐현상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집성목재의 휨강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둥부재 100: 집성목재
110: 단척부재 111: 긴장재 삽입공
115: 레진 120: 중심선
150: 연장목재부 160: 커버목재부
170: 수용단위체 200: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300: 긴장재 인장고정부재 310: 긴장재 고정지압판
320: 밀착면체 330: 측부면체
340: 관통고정핀 350: 긴장재 고정소켓
360: 기둥장착용 브라켓 361: 고정면체
362: 고정철물 363: 인입면체
400: 인발파이프

Claims (13)

  1. 다수개의 단척부재가 상호 적층되게 형성되어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단척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 삽입공이 형성된 집성목재; 상기 집성목재의 긴장재 삽입공에 설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되 상기 집성목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수용하여 인장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되는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긴장재 삽입공은 상기 집성목재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 인장고정부재는,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을 수용하는 긴장재 고정지압판과,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인장 고정하는 긴장재 고정소켓과,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 삽입되어 관통고정핀을 매개로 고정되는 기둥장착용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은, 상기 집성목재의 단면상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의 집성목재 일단면에 밀착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끝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일정면적을 갖는 밀착면체와, 상기 집성목재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거나 집성목재보다 적은 높이를 갖는 상태로 상기 밀착면체의 좌우측단에서 상기 기둥부재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되 상측 단부에서 상기 밀착면체의 상단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갖도록 절취되고, 상기 관통고정핀의 삽입을 위한 다수개의 제1삽입공이 형성된 측부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집성목재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측부면체를 커버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커버목재부와 상기 커버목재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측부면체 사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목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 고정지압판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목재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 고정소켓을 수용하는 목재의 수용단위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삽입공은, 상기 집성목재에 요구되는 휨강성에 따라 상하좌우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목재에는 그 집성목재의 폭방향으로 가공되어 상기 긴장재 삽입공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을 통해 유입된 비탄성 수지계의 레진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외주연과 상기 긴장재 삽입공의 내주연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51169A 2015-10-29 2015-10-29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70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69A KR101708670B1 (ko) 2015-10-29 2015-10-29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69A KR101708670B1 (ko) 2015-10-29 2015-10-29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670B1 true KR101708670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169A KR101708670B1 (ko) 2015-10-29 2015-10-29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870A (zh) * 2017-11-14 2018-04-13 东南大学 一种体内预应力胶合木梁抗弯承载能力的分析方法
CN110863567A (zh) * 2019-11-26 2020-03-06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控预应力钢填板螺栓连接梁柱装置
WO2020091285A1 (ko) * 2018-10-31 2020-05-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62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57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54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WO2020218692A1 (ko) * 2019-04-26 2020-10-29 휴인 주식회사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20210064787A (ko) * 2019-11-26 2021-06-03 휴인 주식회사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261844B1 (ko) * 2020-01-10 2021-06-08 휴인 주식회사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065A (ja) * 1993-01-29 1994-08-16 Takenaka Komuten Co Ltd 大スパン用の集成材梁
JP2003201739A (ja) * 2001-12-28 2003-07-18 Tatsumi:Kk 連結用木材の連結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065A (ja) * 1993-01-29 1994-08-16 Takenaka Komuten Co Ltd 大スパン用の集成材梁
JP2003201739A (ja) * 2001-12-28 2003-07-18 Tatsumi:Kk 連結用木材の連結金具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870A (zh) * 2017-11-14 2018-04-13 东南大学 一种体内预应力胶合木梁抗弯承载能力的分析方法
CN107908870B (zh) * 2017-11-14 2021-01-05 东南大学 一种体内预应力胶合木梁抗弯承载能力的分析方法
KR102188093B1 (ko) 2018-10-31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62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57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20200048954A (ko) * 2018-10-31 2020-05-08 휴인 주식회사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87B1 (ko) 2018-10-31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98B1 (ko) * 2018-10-31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WO2020091285A1 (ko) * 2018-10-31 2020-05-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WO2020218692A1 (ko) * 2019-04-26 2020-10-29 휴인 주식회사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CN110863567A (zh) * 2019-11-26 2020-03-06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控预应力钢填板螺栓连接梁柱装置
KR20210064787A (ko) * 2019-11-26 2021-06-03 휴인 주식회사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345642B1 (ko) * 2019-11-26 2021-12-31 휴인 주식회사 텐던용 커넥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261844B1 (ko) * 2020-01-10 2021-06-08 휴인 주식회사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70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도입한 구조용 집성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289934B1 (ko)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US11686083B2 (en) Laminated bamboo platform and concrete composite slab system
US8161697B1 (en) Studless load bearing panel wall system
US20080250747A1 (en) T-chord open web joist with adjustable ends
CN108162519B (zh) 一种纵向增强正交胶合木及其制造方法
Jang et al. Lateral resistance of CLT wall panels composed of square timber larch core and plywood cross bands
KR10174678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내진보강형 목조 건축물과 이의 시공방법
KR101850948B1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0704870B1 (ko) Pc기둥과 pc보의 압착식 접합구조 및 그 방법
JP6820970B2 (ja) 配筋付き製材型枠および配筋付き製材型枠を用いた工法
JP6402949B2 (ja) 補強木質系構造材
JP3027931B2 (ja) プレストレスト集成材製長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72241A (ko) 원통형 구조용 집성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U2019203601A1 (en) Structural Building Element
JP2008230032A (ja) 構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075607A (zh) 一种钢筋混凝土结构及加固方法
KR102261844B1 (ko)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KR102403606B1 (ko) 구조용집성재를 이용한 보행시설물용 기초구조물
US20230417052A1 (en) Timber-concrete composite slab with notched plywood shear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3307935U (zh) 接触面增强型大跨度胶合木柱梁连接结构
JP2019015061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製造方法
KR20120057207A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FI109222B (fi) Tasomainen rakenne, menetelmä tasomaisten rakenteiden valmistamiseksi, yhdistävä elementti tasomaisia komposiittirakenteita varten sekä menetelmä rakenteiden pystyttämiseksi
KR20200137683A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