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775A -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775A
KR20200048775A KR1020180131225A KR20180131225A KR20200048775A KR 20200048775 A KR20200048775 A KR 20200048775A KR 1020180131225 A KR1020180131225 A KR 1020180131225A KR 20180131225 A KR20180131225 A KR 20180131225A KR 20200048775 A KR20200048775 A KR 20200048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agent
coating composition
isocyanate
carboxyl group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진
고지선
석 이
Original Assignee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도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775A/ko
Publication of KR2020004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9Masked arom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THERMAL ACID GENERATOR AND THERMOSETTING RESI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자동차용 이중 경화형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교경화형 코팅화학 소재 기술에 대한 친환경적인 저온경화형 기반기술로의 전환요청은 자동차, 항공기, 철도차량, 선박 등 수송기기 및 가전, 건축/공업용 분야에의 필수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이슈로 자동차, 항공, 조선 등 수송기기 분야에서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기존 고온경화공정에 대한 플라스틱 소재의 변형으로 저온화를 위한 대체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100 ℃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가능한 이중저온경화형 코팅화학소재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경화 시 경화 온도가 높아 플라스틱 소재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온에서 경화반응이 가능하고 경화 후 코팅막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코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저온에서 경화되고 경화 시 물성이 우수한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중 경화가 가능하여 저온에서 경화되고,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경화 시 물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2)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3)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레벨링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카르보닐 화합물의 반응으로 수득될 수 있다.
이때,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2-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N,N'-비스아크릴로일-2,2-디아미노에탄, N,N'-비스아크릴로일-1,6-디아미노헥산 또는 N,N'-비스아크릴로일피페라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카르보닐 화합물은, 글리옥살, 숙신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프탈알데히드, 이소프탈알데히드 및 테레프탈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는 총 조성물에 대해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2)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두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2-HEMA 및 ε-Caprolactone로부터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IPDI trimer, 2-HEMA와 ε-Caprolactone 반복단위 수(n)가 2인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부터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3)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로킹제와의 결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H12M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뷰렛(HDI Biuret),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이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제1 이소시아네이트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두 종류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표 1과 같은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 제2이소시아네이트
HDI 다관능 H12MDI
IPDI 다관능 HDI
IPDI 다관능 H12MDI
HDI 다관능 HDI
IPDI 다관능 HDI
IPDI 다관능 HDI 다관능
HDI 다관능 H12MDI
HDI 다관능 HDI Biuret
HDI 다관능 x
HDI 다관능 x
HDI 다관능 x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소시아네이트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일 때,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보다 높은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제는, 디에틸 말로네이트(Diethyl malonate, DEM), 디메틸 말로네이트(Dimethyl malonate, DMM), 디이소프로필 말로네이트(DIPM), 3,5-다이메틸피라졸(3,5-dimethyl pyrazole, DMP), 디n-부틸아민, 에틸 헥사놀, 아세토아세트산 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로킹제는 제1 블로킹제 및 제2 블로킹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로킹제는 두 종류의 블로킹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로킹제(Hybrid blocking agent)일 수 있다.
상기 블로킹제는, 예를 들면 하기 표 2와 같은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블로킹제 제2 블로킹제
DEM DMP
DMP 디n-부틸아민
DEM 디n-부틸아민
DMM DIPM
DIPM 에틸 헥사놀
DIPM 디n-부틸아민
DIPM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DIPM 에틸 헥사놀
DIPM 디n-부틸아민
DIPM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DIPM 에틸 헥사놀
DIPM 디n-부틸아민
DIPM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표 1]의 조합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표 2]의 조합의 블로킹제의 결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해리 온도가 낮고, 해리된 후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 물질 발생을 낮출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이때,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총 조성물에 대하여 3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질리덴히단트계, 벤조페논계, 벤조구아닌계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파장이 250~400 μm의 빛을 흡수한 뒤 자외선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역학을 하는 것으로 소량 사용에도 효과가 있어야 하며 흡수파장 영역이 250~400 μm이어야 하며 열안정성 및 상용성 등이 우수해야 하며 1.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사용량이 1.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혼탁한 외관을 제공할 우려가 있다.
자외선 안정제(UV Stabilizer, HALS)는 펜타메틸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 유도체의 화학적 구조를 갖는 안정제의 사용이 가능하며, 아민형태의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성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갖으며,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특성이 저하되어 내후성 및 장기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클리어 코트의 황변 및 외관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레벨링제는 클리어 코트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자동차 차체 표면에 향상된 습윤(wetting)성을 부여함으로써 안정적인 평활성을 가져 수려한 외관을 유도하기 위하여 폴리에테르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로는 폴리에테르변성 폴리메틸알킬실록산, 폴리에스테를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1.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 평활성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사용량이 1.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소재면과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용제는 자이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티이소부틸케톤 등과 같은 케톤계;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노말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카비톨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에틸알콜,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터셔리부탄올과 같은 알콜계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용제의 함량을 최소화 하는 시스템으로 0.5~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클리어코트 외관이 저하되고, 사용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수직 도장 시에 흐름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고형분 저하로 작업성이 상당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및 (2)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열 경화 및 UV 경화(이중 경화)할 수 있어 경화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고 경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해리 온도가 낮아 상기 수지들을 저온에서 경화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경화시간을 매우 앞당길 수 있고 이로 인해서 표면경도 및 경화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먼지와의 접촉 및 공정조건에서의 물성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중 경화로서 보다 증진된 고분자 가교도를 제공하여 높은 모듈러스를 부여하게 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화학적 물성에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Laromer 9000은 이액형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비해 본 발명은 일액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간편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하기 제조방법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의 제조
이소프탈알데히드 (134 mg, 1.0 mmol) 및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77 μl, 1.0 mmol)의 교반 혼합물을 퀴뉴클리딘 (111 mg, 1.0 mmol) 및 메탄올 (60 μl, 1.5 mmol)과 혼합하였다. 반응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0.2 ml의 THF를 첨가하였다. 균일한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고, 24 시간의 교반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2)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제조
①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제조
환류냉각기, 질소유입구, 온도계, 압력계, 교반 모터가 모두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에 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ε-Caprolactone을 투입하고 중합 금지제로 2,5-die-tert-butylhydroquinone(DTBHQ) 500ppm, 반응 촉매로 butyl-stannoic acid(DBTL) 400ppm 투입하여 상온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 교반 후, 110℃로 12시간 교반 후 반응을 종료 하였다. 2-HEMA 1몰에 대하여 ε-Caprolactone 의 몰비를 3몰로 한다.
②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제조
환류냉각기, 질소주입구, 온도계, 압력계, 교반 모터가 모두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에 IPDI trimer(Trimer of Isophorone diisocyanate) 1당량에 대하여 2-HEMA와 ε-Caprolactone 반복단위 수(n)가 2인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당량 합이 1.3 되도록 투입하였다. 중합금지제인 DTBHQ는 반응물 총량 대비 500ppm, 반응 촉매인 DBTL은 총량 대비 300ppm을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하였다. 교반을 시작하면서 급격한 자체 발열로 인하여 50℃이내로 반응온도가 유지 되었다. 자체 발열이 떨어지는 시점에서 반응온도를 75℃ 승온하여 FT-IR 이소시아네이트 특성 피크인 2260Cm-1 흡수대가 소멸되는 시점으로 반응 종결하였다.
(3) 블록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질소 주입관, 적하로트를 부착한 4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제1 이소시아네이트와 제2 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 표 3에 따라 총 100% 질량부(이 경우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몰수를 100으로 한다) 투입 후, 상온에서 제1 블로킹제 40 % 질량부 투입 후 3시간 유지 후, 제2 블로킹제 40 %질량부 투입하였다. 발열 후 안정기 온도에서 반응액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3시간 유지했다. n-부틸 아세테이트 용제 투입 후 고형분 농도 70 질량%의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얻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 제2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중량비 제1블로킹제 제2블로킹제 ** 블로킹제중량비
실시예 1 HDI 다관능 H12MDI 60:40 DEM DMP 50:50
실시예 2 IPDI 다관능 HDI 60:40 DMP 디n-부틸아민 50:50
실시예 3 IPDI 다관능 H12MDI 60:40 DEM 디n-부틸아민 50:50
비교예 1 HDI 다관능 - 100 디n-부틸아민 x 100
비교예 2 HDI 다관능 - 100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x 100
*이소시아네이트 중량비는, 제1 이소시아네이트:제2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를 나타냄
**블로킹제중량비는, 제1 블로킹제:제2블로킹제의 중량비를 나타냄
(4)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 제조
상기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50 중량부, (2)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50 중량부, (3) 블록이소시아네이트 35중량부를 투입하고,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레벨링제 및 용제를 15 중량부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경화온도 비교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의 경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경화온도 (℃) 경화시간 (분)
실시예 1 95 30
실시예 2 99 30
실시예 3 97 30
비교예 1 140 50
비교예 2 130 6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들의 경우 경화 온도가 100 ℃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들의 경우 130 ℃ 내지 140 ℃로 나타나 본 발명의 특정한 조합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경화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실시예들의 경우 경화 시간이 약 30분이었으나, 비교예들의 경우 50분 내지 60분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특정한 조합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경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코팅막의 물성 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코팅 조성물을 경화 온도 110℃에서 경화하여, 코팅막의 내용제성, 내충격성, 연필경도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내용제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쟈일렌을 묻힌 거즈를 1kg/min 힘으로 시편 위에서 눌러주고, 분당으로 표면의 쟈일렌 제거 후 4kg 힘으로 긁어준다. 이때 표면에 손상이 가면 실험을 종료하고, 표면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 앞의 방법으로 다시 진행한다. 표면의 손상이 있을 때까지, 시간은 최대 10min으로 진행한다.
내충격성은, Dupont Test방법으로써, 500g추를 이용하여 자유낙하 시키는 방법으로 표면의 깨짐 및 손상을 확인하여 측정한다. 표면의 손상이 가지 않을 때까지 거리를 조절하며 실험한다.
연필경도는, 1kg 무게의 본체 내 45도 각도의 연필이 삽입되어 표면과 45도 각도에서 표면의 스크래치를 측정한다. 이는 최저 6B에서 최고 6H까지 측정한다..
부착성은, 총 100칸으로 표면을 CROSS CUT한 다음 테이프로 100칸 위를 부착 후 뜯어내어 측정한다. 이에 얼마나 많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지(100%부착 시 100/100) 확인 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과 같다.
내용제성 내충격성 연필경도 부착성
실시예 1 >10min 40cm Min.B 100/100
실시예 2 >10min 40cm Min.B 100/100
실시예 3 >10min 35cm Min.B 100/100
비교예 1 <1min 5cm Min.4B 0/100
비교예 2 <1min 5cm Min.4B 0/100
비교예 3 <1min 5cm Min.4B 0/100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막이 비교예들에 비해 내용제성, 내충격성, 연필경도 및 부착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이중결합과 수산화기를 동시에 가지는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카르보닐 화합물의 반응으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2-HEMA 및 ε-Caprolactone로부터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제1단계; 및
    IPDI trimer, 2-HEMA, ε-Caprolactone 반복단위 수(n)가 2인 카르복실기를 가진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부터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는 제2단계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로킹제와의 결합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diisocyanate, H12M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뷰렛(HDI Biuret),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IPDI) 및 이의 다관능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제는제1 블로킹제 및 제2 블로킹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로킹제 또는 제2 블로킹제는,
    디에틸말로네이트(Diethyl malonate, DEM), 디메틸말로네이트(Dimethyl malonate, DMM), 디이소프로필말로네이트(DIPM), 3,5-다이메틸피라졸(3,5-dimethyl pyrazole, DMP), 디n-부틸아민, 에틸 헥사놀, 아세토아세트산에틸로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블로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 UV 안정제, 레벨링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하는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KR1020180131225A 2018-10-30 2018-10-30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KR20200048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25A KR20200048775A (ko) 2018-10-30 2018-10-30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25A KR20200048775A (ko) 2018-10-30 2018-10-30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75A true KR20200048775A (ko) 2020-05-08

Family

ID=7067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225A KR20200048775A (ko) 2018-10-30 2018-10-30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7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20B1 (ko) * 2021-08-02 2022-04-20 주식회사 에이치티 성형탄용 착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3783B1 (ko) * 2021-12-03 2023-03-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중 열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53412A (ko) * 2021-10-14 2023-04-21 한국화학연구원 라디칼 반응이 가능한 저온가교형 피라졸계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20B1 (ko) * 2021-08-02 2022-04-20 주식회사 에이치티 성형탄용 착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53412A (ko) * 2021-10-14 2023-04-21 한국화학연구원 라디칼 반응이 가능한 저온가교형 피라졸계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13783B1 (ko) * 2021-12-03 2023-03-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중 열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200B2 (ja) 高架橋性、低粘度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塗料組成物
JP6005212B2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料組成物
JP5183206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塗料組成物
CN107922584B (zh) 封端多异氰酸酯组合物、单液型涂覆组合物、涂膜、及涂装物品
KR20200048775A (ko)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US8637157B2 (en) Copolycarbonates, their derivatives and the use thereof in silicone hardcoat compositions
JP2006335954A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一液型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680353B1 (ko) 차열 효과를 갖는 친환경 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CN110194930B (zh) 一种耐高温抗高寒涂料及其应用
JP2728304B2 (ja) ポリアルジミン誘導体
CN104194603A (zh) 聚碳酸酯型聚氨酯防水涂料
KR2015000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JP2007508322A (ja) アミドアセタールの製造方法
JP2012107091A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KR20220101649A (ko)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도료 조성물
JP2010280778A (ja) 高伸度、低温硬化性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JP2014185269A (ja) ウレタン硬化性組成物
KR102083311B1 (ko) 저온가교형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9824852A (zh) 一种聚氨酯固化剂
KR20210155152A (ko) 저온 경화형 코팅 조성물
JP4750952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該ポリイソシアネートを含有する混合物、その製造方法、2成分塗料、物品の被覆方法、および被覆された物品
JP7287795B2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系塗料組成物及び塗膜
CN115246921A (zh) 封端多异氰酸酯组合物、亲水性多异氰酸酯组合物、树脂组合物、树脂膜和层叠体
JP2021101007A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親水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樹脂組成物、樹脂膜及び積層体
CN115505085B (zh) 一种槲皮素基可降解热固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