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626A -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 Google Patents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626A
KR20200048626A KR1020180130887A KR20180130887A KR20200048626A KR 20200048626 A KR20200048626 A KR 20200048626A KR 1020180130887 A KR1020180130887 A KR 1020180130887A KR 20180130887 A KR20180130887 A KR 20180130887A KR 20200048626 A KR20200048626 A KR 2020004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hantom
spatial resolution
indicator
bar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590B1 (ko
Inventor
강수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5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막대군; 및 상기 제1 HU값과 같거나 다른 제2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상기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HU값과 다른 제3 HU값을 갖는 제3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선형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Phantom for measuring spatial resolution of CT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엑스선(X-ray) 영상 생성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조사하고, 인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체 내부의 이상을 검출한다.
특히, 치과에서 진단 목적으로 활용되는 엑스선(X-ray) 촬영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엑스선을 조사하고, 수진자의 신체를 일부 투과하거나 또는 투과하지 않고 도달하는 엑스선을 상기 제너레이터와 마주보는 센서를 통해 수광한다. 그 다음, 수광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투영 데이터를 획득한다.
특히 이러한 엑스선 촬영 장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너레이터와 센서를 회전시키면서 엑스선을 연속 조사 및 수광하여 엑스선 영상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투영 데이터 획득 방법은 한 번의 촬영으로 모든 치아 및 해부학적 구조물의 상태를 전부 검사할 수 있고, 낮은 방사선량 및 빠른 영상화 시간 등의 장점을 가진다. 상기 투영 데이터는 재구성(reconstruction) 과정을 거쳐 CT 영상과 같은 엑스선 영상으로 변환된다.
엑스선(X-ray) 촬영 장치 중에 CT 촬영 장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등을 위해 치조골의 두께, 주요 신경의 위치 등 해부학적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CT 촬영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의 하나는 바로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이다. 공간 분해능은 이미징 방식이 두 객체를 구별 할 수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phantom)을 촬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팬텀은 인체가 받는 방사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인체 대신으로 이용하는 모형으로, 물체 속에서 방사선의 감쇠, 산란 또는 방사성 물질의 분포 등을 모의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체를 의미한다.
상기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은 소정의 HU 값(엑스선이 몸을 투과할때 부위별 밀도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막대를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한 막대군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대군들마다 상기 막대의 굵기, 간격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팬텀을 CT 촬영 장치로 촬영하여 획득한 CT 영상을 분석하여, 각 막대들이 잘 구분되는 막대군을 찾은 후, 상기 막대군에 대응되는 분해능 기준값을 테이블을 통해 찾는 방법에 의해, 상기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팬텀의 경우, CT 영상에서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을 찾아 보기가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의 공간 분해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 경우, 그 공간 분해능이 좋지못한 원인 또는 좋지 못한 정도를 직관적으로 분석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T 영상에서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을 수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의 공간 분해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 경우, 그 원인 또는 정도를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험실에서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phantom)은, 제1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막대군; 및 상기 제1 HU값과 다른 제2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상기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HU값과 다르고 상기 제2 HU값과 같거나 다른 제3 HU값을 갖는 제3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선형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은 상기 본체의 일 평면에 환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시자는, 제4 HU값을 갖는 제4 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의 상기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과 상기 제4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은 소정의 제2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제1 HU값 및 상기 제4 HU값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작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HU값 및 상기 지시자의 형상은,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측정이 가능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소정의 길이,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은 상기 본체의 일 평면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면의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시자가 고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의 각각은 서로 다른 분해능 기준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면에 골이 형성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골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고정 가능하거나 상기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을 촬영한 CT 영상에서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을 수월하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 내의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막대군이 공간 분해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 경우, 그 원인 또는 정도를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실험실에서 공간 분해능 평가용 팬텀으로 CT 촬영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는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CT 영상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및 사시도(b)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및 좌측면도(b)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CT 영상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엑스선 촬영 장치(10)는 수진자의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의 형상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300)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10)는 받침대(90), 지지기둥(85), 모니터(75), 갠트리(Gantry)(30), 손잡이(95) 및 헤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90)는 엑스선 촬영 장치(10)의 스탠딩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1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대면하는 구성이고, 지지기둥(85)은 받침대(90)로부터 수직하게 기립할 수 있다.
모니터(75)는 사용자가 장치(10)의 사용(예컨대, 갠트리(13)의 회전, CT 촬영 시작 및 종료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갠트리(13)는 장치(10) 상부의 헤드부(8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60)는 턱받이(chin-nest)(61), 바이트 블록(bite block)(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턱받이(61)는 수진자가 턱을 괴는 부품이다. 또한, 바이트 블록(63)은 상기 수진자가 치아로 물 수 있는 부품이다.
상기 갠트리(13)는 수진자의 머리의 상하 방향의 직선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갠트리(13)의 양 끝단에는 엑스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제너레이터(11)와 수진자를 통과한 상기 엑스선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즉 수진자를 엑스선 촬영하는 센서(12)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CT 촬영 장치(10)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의 하나는 바로 CT 촬영 장치(10)의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이다. 공간 분해능은 이미징 방식이 두 객체를 구별 할 수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100)은 이러한 CT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CT 촬영 장치(10)의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을 평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T 촬영 장치(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100)이 거치되어 엑스선 촬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트 블록(63)을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엑스선 촬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및 사시도(b) 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phantom)(10)은, 본체(200), 복수의 제1 막대군(300), 지시자(4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는, 제1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다.
HU 값이란, 엑스선이 몸을 투과할때 부위별 밀도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HU값은, 공기의 경우 -1000, 물의 경우 0, 근육의 경우 10 내지 40, 뼈의 경우 700 내지 3,00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1 HU값은 70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값으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은 상기 본체(2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시자(400)는 상기 제1 HU값과 다른 제2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상기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1 막대군(300)이 상기 본체(200)의 일 평면에 환형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상기 지시자(400)는 또한 상기 일 평면 상의 환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막대군(300)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400)는 상기 제1 막대군(300)과 함께 엑스선 촬영되어, 공간 분해능 평가를 위한 CT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막대군(300) 중 CT 영상에서 실험 또는 평가 대상인 것을 찾아 보기가 수월해 진다.
상기 제2 HU값은, 일 실시 예로 400 내지 450의 범위 내에서 선정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HU값에 따른 엑스선 촬영 성능의 평가가 가능한 더 넓은 범위의 값에서 선택 될 수 있다.
또한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 각각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HU값과 다르고 상기 제2 HU값과는 같거나 다른 제3 HU값을 갖는 제3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선형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막대군(300)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막대의 굵기, 간격에는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HU값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450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값으로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의 각각은 서로 다른 분해능 기준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막대군(300) 각각의 형상적 특징과 대응되는 분해능 기준값은 아래와 같은 테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분해능 기준값(lp/cm) 막대 굵기(cm) 막대 간격(cm) 막대 갯수
5 0.1 0.1





5개
6 0.083 0.083
7 0.0714 0.0714
8 0.0625 0.0625
9 0.0556 0.0556
10 0.05 0.05
11 0.0455 0.0455
12 0.0417 0.0417
13 0.0385 0.0385
14 0.0357 0.0357
15 0.33 0.33
16 0.31 0.31
다만, 상기의 테이블의 각 값은 절대 불변은 아니며, 필요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막대 갯수는 5개가 아닌 3개나 4개 일 수 있다.
이러한 팬텀(100)을 CT 촬영 장치(10)로 촬영하여 획득한 CT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막대군(300) 중 각 막대들이 잘 구분되는 것을 찾은 후, 대응되는 분해능 기준값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찾는 방법에 의해, 상기 CT 촬영 장치(10)의 공간 분해능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은 상기 본체(200)의 일 평면에 환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400)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1 막대군(300)과 상기 지시자(400)의 영상들간에 아티팩트 등에 의한 간섭이 유의미하지 않게 되는 거리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의 크기는 일 실시 예로 지름 12cm, 높이 2cm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높이를 이보다 다소 높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막대군(300)을 이루는 막대들의 높이는 5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시자(400)는, 제4 HU값을 갖는 제4 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400)의 상기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410)과 상기 제4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420)은 소정의 제2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제1 HU값 및 상기 제4 HU값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작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시자(400)가 서로 다른 HU값을 갖는 막대 쌍을 포함함으로써, 제1 막대군(300) 중 상기 지시자(400)가 지시한 것이 CT 영상 내에서 분해능이 좋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 경우, 이러한 원인이 HU 값과 관련된 엑스선 촬영 성능의 저하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공간 분해능 평가용의 팬텀을 촬영하면서, HU 촬영 성능을 참조용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게 된다.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1 막대군(300)과 상기 지시자(400)의 영상들간에 아티팩트 등에 의한 간섭이 유의미하지 않게 되는 거리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면의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시자(400)가 고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의 수단으로는, 상기 지시자(400)를 끼울 수 있는 홈 등을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의 각각은 서로 다른 분해능 기준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면에 골(2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시자(400)는 상기 골(2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HU값 및 상기 지시자(400)의 형상은,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측정이 가능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MTF 는, 정현파를 촬영해 영상과의 진폭비를 구한 뒤 공간주파수에 대한 진폭을 작성함으로써 영상의 공간적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을 평가하는 경우, 촬영된 CT 영상 내에서 상기 제1 막대군 내의 막대들이 잘 구분되어 촬영되는지를 평가하는 방법 이외에 상기 MTF를 수치화한 값을 도출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MTF를 평가할 수 있는 HU값을 갖는 소재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시자(40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내릴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한 변이 2cm인 박스 형상의 아크릴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길이,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은 상기 본체(200)의 일 평면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400)는,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300)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및 좌측면도(b)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텀(100)은, 상기 본체(200)를 거치하는 거치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400)는, 상기 거치대(500)에 체결되어 고정 가능하거나 상기 거치대(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상기 거치대(500)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200)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500)에는 상기 팬텀(10)이 삽입될 수 있는 홈(5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00)의 상기 제1 막대군(300)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의 중앙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500)의 상기 팬텀 삽입 홈(520)의 중앙에 돌기 형상의 회전 지지부(530)를 형성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200)를 상기 본체(200)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거치대(500)는 상기 CT 촬영 장치(10)의 바이트 블록(63)을 장착하는 홈 등에 장착할 수 있는 고정부(51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500)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가로 15cm, 세로 15cm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엑스선 촬영 장치 11: 제너레이터
12: 센서 13: 갠트리
60: 정렬부 61: 턱받이
63: 바이트 블록 75: 모니터
80: 헤드부 85: 지지기둥
90: 받침대 95: 손잡이
100: 팬텀 200: 본체
210: 골 300: 제1 막대군
400: 지시자 410: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
420: 제4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 500: 거치대
510: 고정부 520: 팬텀 삽입 홈
530: 회전 지지부

Claims (10)

  1. 제1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막대군; 및
    상기 제1 HU값과 다른 제2 HU(Hounsfield Unit)값을 갖는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상기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HU값과 다르고 상기 제2 HU값과 같거나 다른 제3 HU값을 갖는 제3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선형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은 상기 본체의 일 평면에 환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제4 HU값을 갖는 제4 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의 상기 제1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과 상기 제4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은 소정의 제2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제1 HU값 및 상기 제4 HU값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작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HU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HU값 및 상기 지시자의 형상은,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측정이 가능하도록 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소정의 길이,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은 상기 본체의 일 평면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 각각과 제1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의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시자가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막대군의 각각은 서로 다른 분해능 기준값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 골이 형성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골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고정 가능하거나 상기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KR1020180130887A 2018-10-30 2018-10-30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KR10220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87A KR102203590B1 (ko) 2018-10-30 2018-10-30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87A KR102203590B1 (ko) 2018-10-30 2018-10-30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26A true KR20200048626A (ko) 2020-05-08
KR102203590B1 KR102203590B1 (ko) 2021-01-15

Family

ID=7067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87A KR102203590B1 (ko) 2018-10-30 2018-10-30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5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5567A (ja) * 2010-12-15 2012-07-05 General Electric Co <Ge> スペクトルct画像システムの較正用ファントム
CN103340643A (zh) * 2013-06-09 2013-10-09 成都军区昆明总医院 应用多功能标准体模对ct关键技术指标进行检测的方法
KR101798327B1 (ko) * 2016-05-23 2017-11-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US20180047303A1 (en) * 2015-03-06 2018-02-15 Stellenbosch University Imaging phantom for radiation based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5567A (ja) * 2010-12-15 2012-07-05 General Electric Co <Ge> スペクトルct画像システムの較正用ファントム
CN103340643A (zh) * 2013-06-09 2013-10-09 成都军区昆明总医院 应用多功能标准体模对ct关键技术指标进行检测的方法
US20180047303A1 (en) * 2015-03-06 2018-02-15 Stellenbosch University Imaging phantom for radiation based equipment
KR101798327B1 (ko) * 2016-05-23 2017-11-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590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Dosimetric characterization of a cone-beam O-arm™ imaging system
JP2006026417A (ja) 線量報告のための計算機式断層写真法線量指標測定用ファントムの選択
JP6351983B2 (ja) 推定装置、x線診断装置及び推定プログラム
JP2007021217A (ja) 運動する生物体範囲の画像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x線診断装置
US9784695B2 (en) Test body and method for checking the transmission properties of volume tomographs
KR102368907B1 (ko) 구강 내 x선 촬영용 x선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스템
KR101215917B1 (ko) X선 피폭을 감소시킨 복합디지털x선 촬영장치
JP2013111271A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被曝線量計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6064257A1 (ko) 구강 내 엑스선 촬영용 엑스선 발생장치, 가이드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 시스템
WO2011030460A1 (ja) 放射線断層撮影方法
WO2015005485A1 (ja) X線ct装置、x線ctシステム及びインジェクター
KR101900463B1 (ko) 엑스선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물 선량 측정 장치
JP2007010332A (ja) 放射線検出装置
JP2006192286A (ja) 放射線診断装置
JP2020508834A (ja) 局所照射線量のレベルを測定しおよび表現するための方法
JP4188042B2 (ja) X線ct装置及び線量検出装置
KR102203590B1 (ko)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JP6483490B2 (ja) X線ct装置用ファントム
JPH095443A (ja) 核医学診断装置
JPH07171145A (ja) X線ct装置及びx線ct装置用ファントム
JP6127929B2 (ja) 乳房専用核医学診断装置
KR101300861B1 (ko)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Dewang et al. Study of image quality from CT scanner multi-detector by using Americans College of Radiology (ACR) phantom
KR102329046B1 (ko) 구강 내 x선 촬영시스템과 촬영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가이드홀더
Heikkinen et al. A Finnish multicentre quality assurance project in bone scintigraphy and brain SPET: a phantom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