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327B1 -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 Google Patents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327B1
KR101798327B1 KR1020160063032A KR20160063032A KR101798327B1 KR 101798327 B1 KR101798327 B1 KR 101798327B1 KR 1020160063032 A KR1020160063032 A KR 1020160063032A KR 20160063032 A KR20160063032 A KR 20160063032A KR 101798327 B1 KR101798327 B1 KR 10179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antom
dosimeter
measuremen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정원규
윤명근
임영경
구지혜
정미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327B1/ko
Priority to PCT/KR2017/003822 priority patent/WO20171886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체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체에 부착 가능한 팬텀유닛 및 팬텀유닛에 마련되어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체 부착에 따른 정확한 선량 예측이 가능해져 환자의 선량 관리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ATTACHABLE PHANTOM}
본 발명은 팬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료 중 환자의 환부에 부착이 용이하여 방사선 선량 측정 정확성 확보에 유리한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환자의 방사선 치료방법으로써 원격 방사선 치료법과 근접 방사선 치료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원격 방사선 치료법은 환자의 외부에서 방사선을 환자에게 조사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며, 근접 방사선 치료법은 환자의 체내(體內)의 환부로 방사선동위원소를 삽입하여 체내의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한편, 기존의 방사선 치료 및 환자의 품질관리에서 인체 표면의 선량 측정은 장비가 미비하며 치료 중 임상적용이 어렵다. 그로 인해, 인체의 표면 선량의 확인이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치료계획 시스템을 통해 선량을 확인함이 일반적이다.
특히,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 방사선 치료는 현재 치료 전 환자 치료 선량의 품질 관리를 통해 선량이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들어가는지 확인 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증은 치료 전 팬텀을 이용한 확인이기 때문에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될 경우 환자의 움직임 등 여러가지 상황으로 인해 선량이 변화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
또한, 방사성원소를 사용하는 근접방사선치료의 경우, 치료 전 환자 치료 선량 품질관리는 물론 치료 중 정확히 계획된 선량이 전달되었는지에 대한 선량관리가 요구된다. 아울러, 외부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모든 방사선 치료에서 피부 선량은 과도할 경우 화상이 발생되어 환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킴에 따라, 선량 확인 방법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환자의 표면으로 입사 또는 인체를 통과한 투과 선량의 실질적인 품질관리 및 이를 통한 방사선 치료의 정확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421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980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료 중 환자의 환부에 부착이 용이하여 방사선 선량 측정의 정확성 확보에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팬텀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곡률을 가지는 인체에 부착 가능한 팬텀유닛 및 상기 팬텀유닛에 마련되어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실리콘(Silicon)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띠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은 상기 인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측정유닛이 마련되되, 일면이 타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인체의 복부와 유사한 면적을 가지고 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에는 상기 측정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감광 필름이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측정유닛은 유리 선량계,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및,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측정유닛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된 선량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부가 상기 팬텀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는 상호 '11'자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ㅏ' 또는 'H'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팬텀장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곡률을 가지는 인체에 부착 가능한 팬텀유닛 및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선량계를 포함하여 상기 팬텀유닛에 마련되는 복수의 측정부를 포함하여,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실리콘(Silicon)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인체의 복부와 유사한 면적을 가지고 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띠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은 상기 인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측정유닛이 마련되되, 일면이 타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에는 상기 측정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감광 필름이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측정유닛은 유리 선량계,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및,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측정부는 상호 다열 및 다행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량계는 상호 '11'자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ㅏ' 또는 'H'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환부에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환부의 표면으로부터 입사 또는 인체를 통과한 투과 선량의 실질적인 품질관리가 유리하다.
둘째,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 등과 같은 선량이 변화될 수 있는 요소를 배재시킬 수 있어, 정확한 환자 선량 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방사선 치료의 정확한 계획 수립에 유리하여, 환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팬텀유닛의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부착시의 위치 오차 보상이 가능하다.
다섯째, 측정유닛이 적어도 한 쌍으로 선량계를 가짐으로써, 어느 하나의 선량계의 불량을 다른 하나의 선량계가 보상할 수 있게 되어 항시 일정 품질의 방사선 선량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인체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1)는 팬텀유닛(10) 및 측정유닛(2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팬텀장치(1)는 근접 방사선 치료(Brachytherapy Radiation Treatment)의 정도 관리를 위한 방사선량 측정에 사용되는 근접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팬텀유닛(1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체에 부착된다. 이러한 팬텀유닛(10)은 인체 조직과 방사선 특성이 유사한 즉, 인체 유사한 재질인 실리콘(Silicon)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텀유닛(10)은 도 2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대략 100mm의 길이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가짐으로써, 인체의 곡률을 따라 유연하게 부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팬텀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측면도와 같이 대략 3mm 이하의 제1높이(h1)를 가짐으로써, 인체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도록 얇은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팬텀유닛(10)은 인체에 부착시 이물감이 적고 방사선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팬텀유닛(1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일면은 인체에 부착되고 타면에는 측정유닛(2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일면이 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도록 팬텀유닛(10)이 형성됨으로써, 팬텀유닛(10)의 단부가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팬텀유닛(10)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경사진 각도(θ)는 대략 45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팬텀유닛(10)의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팬텀유닛(10)이 방사선 측정을 위한 부착 시의 위치 오차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유닛(20)은 팬텀유닛(10)에 마련되어 방사선 선량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유닛(2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된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부(21)(22)(23)(24)(25)를 포함하여, 팬텀유닛(10)의 타면에 인입(引入)되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측정유닛(20)은 선량계(20a)의 직경(W)에 대응되는 제2높이(h2)를 가지고 팬텀유닛(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높이(h2) 즉, 선량계(20a)의 직경(W)은 대략 1.5mm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측정유닛(20)의 복수의 측정부(21)(22)(23)(24)(25)는 각각 팬텀유닛(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제1간격(d1) 만큼 상호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선량계(20a)를 포함하여,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유닛(20)이 한 쌍의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5측정부(21)(22)(23)(2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정부(21)는 팬텀유닛(10)의 일단으로부터 제2간격(d2) 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제1측정부(21)로부터 제3간격(d3)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제2측정부(2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측정부(22)에 대해 제3간격(d3)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제3측정부(23)가 마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측정부(23)에 대해 제3간격(d3)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제4측정부(24)가 마련되고, 제4측정부(24)에 대해 제3간격(d3) 만큼 이격된 위치이면서 팬텀유닛(10)의 타단으로부터 제1간격(d1)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선량계(20a)를 포함하는 제5측정부(25)가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한 쌍의 선량계(20a)의 이격된 간격인 제1간격(d1)은 대략 1.5mm이고,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제1 및 제5측정부(21)(25)가 각각 상호 이격되는 간격인 제2간격(d2)은 10mm인 것으로 예시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5측정부(21)(22)(23)(24)(25)들 사이의 상호 이격된 간격인 제3간격(d3)은 제2간격(d2)보다 상대적으로 긴 12.5mm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간격(d1)(d2)(d3)의 값은 일 예일 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방사선 선량 측정 조건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유닛(20)이 제1 내지 제5측정부(21)(22)(23)(24)(25)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측정유닛(20)이 4개 이하 또는 6개 이상의 측정부를 포함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측정부(21)(22)(23)(24)(25)들은 각각 두 개 이상의 선량계(20a)들이 상호 '11'자 형상을 가지고 나란하게 마련됨으로써, 한 쌍의 선량계(2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량계(20a)가 방사선 선량 측정 중 불량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방사선 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측정유닛(20)은 방사선 선량 측정 불량 없이 항시 일정한 측정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정유닛(20)은 유리 선량계(20a)를 포함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유닛(20)이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20a),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20a),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20a)와 같은 다양한 선량계(20a) 중 어느 하나가 채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10)은 대략 3mm 이내의 제1높이(h1)를 가지는 띠 형상을 가지고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곡률에 상관없이 방사선 선량 측정이 요구되는 임의의 부위에 부착이 용이하다. 이렇게 인체에 부착된 팬텀유닛(10)으로 인해 팬텀유닛(10)에 마련된 측정유닛(20)에 의한 근접 방사선 선량 측정 정확도가 향상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100)가 도시된다. 도 3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100)는 팬텀장치(110) 및 측정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닛(120)은 한 쌍의 선량계(120a)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5측정부(121)(122)(123)(124)(125)를 포함하는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측정유닛(10)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팬텀유닛(110)은 3mm 이하의 높이(h1)를 가지며 대략 100mm의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을 가지되, 복수의 팬텀부(111)(112)(113)로 분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텀유닛(110)이 길이방향으로 분리됨에 있어서, 상호 나란한 3개의 제1 내지 제3팬텀부(111)(112)(113)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팬텀부(111)(112)(113)는 상호 분리되어 곡률을 가지는 인체에 부착되거나, 상호 이어진 상태로 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팬텀부(111)(112)(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이 인체에 부착되어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팬텀유닛(110)의 제1 내지 제3팬텀부(111)(112)(113)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부착 가능한 유연한 재질인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200)이 도시된다.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200)은 팬텀유닛(210)과 측정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팬텀유닛(210)은 인체의 복부와 유사한 면적을 가지고 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팬텀유닛(21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8cm 및 15cm이고 높이(h1)는 대략 1cm 이하로 형성됨이 좋다. 참고로, 상기 팬텀유닛(210)은 인체의 복부 중에서도 하복부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삼각형으로 좁아지는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팬텀유닛(210)은 중앙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도록 단차진 단차 영역(2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팬텀유닛(210)의 단차 영역(210a)에는 감광 필름(211)이 설치됨으로써, 후술할 측정유닛(220)에 의한 방사선 선량 분포를 획득한다. 상기 감광 필름(211)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대략 10cm인 정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측정유닛(220)은 복수의 측정부(221)(222)(223)(224)(225)(226)가 다열 및 다행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측정부(221)(222)(223)(224)(225)(226)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팬텀유닛(210)의 가로 방향 기준으로, 제1간격(d1)으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220a)를 가진다. 이때, 상기 선량계(220a)는 직경에 대응되는 제2높이(h2)를 가지고 팬텀유닛(210)에 마련되며, 제2높이는 대략 2.8mm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제1측정부(221)는 한 쌍의 선량계(220a)를 가지고 팬텀유닛(210)의 일단으로부터 제2간격(d2) 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제2 내지 제5측정부(222)(223)(224)(225)는 상호 제3간격(d3)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5측정부(225)는 팬텀유닛(210)의 타단으로부터 제2간격(d2) 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5측정부(221)(222)(223)(224)(225)는 세로 방향에 나란하게 각각 다행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서는 팬텀유닛(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및 제5측정부(221)(225)는 3행으로 배치되고, 제2 내지 제4측정부(222)(223)(224)는 4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아울러, 상호 제1간격(d1)으로 이격된 3개의 선량계(220a)를 포함하는 제6측정부(226)가 팬텀유닛(210)의 세로 방향 기준으로 삼각형상을 가지는 최하단에 위치한다. 이렇게 팬텀유닛(210)의 세로 방향 기준으로 복수의 측정부(221)(222)(223)(224)(225)(226)들은 제4간격(d4)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참고로, 제3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측정부(221)(222)(223)(224)(225)(226)들의 제1간격(d1)은 3.2mm, 제2간격(d2)은 2cm, 제3간격(d3)은 2.4cm, 제4간격(d4)은 1cm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그리고, 상기 선량계(220a)는 13mm의 길이를 가지며 직경(h2)은 2.8mm인 유리 선량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선량계(220a)는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및,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측정부(222)(223)(224)는 팬텀유닛(210)의 단차 영역(210a)에 마련됨으로써, 감광 필름(211)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200)는 팬텀유닛(210)이 인체의 하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면, 측정유닛(220)의 선량계(220a)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6측정부(221)(222)(223)(224)(225)(226)와 감광 필름(211)에 의해 방사선 선량과 선량 분포가 측정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300)가 도시된다. 도 5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300)는 팬텀유닛(310)과 측정유닛(320)을 포함한다.
상기 팬텀유닛(310)은 단차 영역(310a)을 구비하여 감광 필름(311)이 마련되며, 인체의 하복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인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4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310)의 구성은 도 4를 참고하여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21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정유닛(320)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320a)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6측정부(321)(322)(323)(324)(325)(326)가 다열 및 다행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측정부(321)(322)(323)(324)(325)(326)는 팬텀유닛(3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도록 즉, 'ㅏ'자형 또는 'H'자 형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320a)를 포함한다. 이렇게,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320a)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선량계(320a)의 길이 방향으로도 정확한 공간 선량 분포 획득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1측정부(321)는 'ㅏ'자형으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선량계(320a)를 가지고 팬텀유닛(310)의 일단으로부터 제1간격(d1)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5측정부(322)(323)(324)(325)는 각각 제2간격(d2) 만큼 팬텀유닛(310)의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5측정부(325)는 팬텀유닛(310)의 타단으로부터 제1간격(d1)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5측정부(321)(322)(323)(324)(325)는 세로 방향에 나란하게 각각 다행으로 배치되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5측정부(321)(325)는 3행으로 배치되고, 제2 내지 제4측정부(322)(323)(324)는 4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아울러, 'H'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3개의 선량계(320a)를 포함하는 제6측정부(326)는 팬텀유닛(310)의 세로 방향 기준으로 삼각형상을 가지는 최하단에 위치한다. 이렇게 팬텀유닛(310)의 세로 방향 기준으로 복수의 측정부(321)(322)(323)(324)(325)(326)들은 제3간격(d3)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내지 제4측정부(322)(323)(324)는 팬텀유닛(310)의 단차 영역(310a)에 마련됨으로써, 감광 필름(311)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400)가 도시된다. 상기 제5실시예에 의한 팬텀장치(400)는 팬텀유닛(410)과 측정유닛(420)을 포함한다.
상기 팬텀유닛(410)은 단차진 단차 영역(410a)에 감광 필름(411)이 마련되며, 인체의 하복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인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410)의 구성은 도 3을 참고하여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팬텀유닛(21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정유닛(420)은 팬텀유닛(4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ㅏ' 또는 'H'자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420a)를 가지는 제1 내지 제4측정부(421)(422)(423)(4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정부(421)는 'ㅏ'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선량계(420a)를 가지며, 팬텀유닛(410)의 가로 방향에 대해 제1간격(d1)으로 이격 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정부(421)가 2.6cm의 제1간격(d1)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3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2측정부(422)는 'ㅏ'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선량계(420a)를 가지며, 제2간격(d2)으로 팬텀유닛(410)의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측정부(422)가 2.3cm의 제2간격(d2)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4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3측정부(423)는 'ㅏ'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선량계(420a)를 가지며, 제3간격(d3)으로 팬텀유닛(410)의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측정부(423)가 3cm의 제3간격(d3)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4측정부(424)는 'ㅏ'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선량계(420a)를 가지고 단수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제1 내지 제4측정부(421)(422)(423)(424)는 팬텀유닛(410)의 세로 방향으로 제4간격(d4) 만큼 상호 이격되도록 다행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d4)은 1.9cm인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4간격(d1)(d2)(d3)(d4)의 값은 일 예일 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4측정부(421)(422)(423)(424)의 개수 또한,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선량계(420a)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선량계(420a)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정확한 공간 선량 분포 획득에 유리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측정부(421)(422)(423) 중 일부가 감광 필름(411)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방사선 선량 측정과 함께 선량 분포 획득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300, 400: 팬텀장치
10, 110, 210, 310, 410: 팬텀유닛
20, 120, 220, 320, 420: 측정유닛

Claims (19)

  1.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곡률을 가지는 인체에 부착 가능한 팬텀유닛; 및
    상기 팬텀유닛에 마련되어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은 상기 인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측정유닛이 마련되는 인체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실리콘(Silicon) 재질로 형성되는 팬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띠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이 타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인체의 복부와 유사한 면적을 가지고 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에는 상기 측정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감광 필름이 마련되는 팬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유리 선량계,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및,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팬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된 선량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부가 상기 팬텀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팬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선량계는 상호 '11'자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ㅏ' 또는 'H'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팬텀장치.
  11.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곡률을 가지는 인체에 부착 가능한 팬텀유닛; 및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선량계를 포함하여 상기 팬텀유닛에 마련되는 복수의 측정부를 포함하여,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은 상기 인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측정유닛이 마련되는 인체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실리콘(Silicon) 재질로 형성되는 팬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인체의 복부와 유사한 면적을 가지고 부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은 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띠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의 일면이 타면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단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팬텀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유닛에는 상기 측정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감광 필름이 마련되는 팬텀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유리 선량계,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선량계, OSLD(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및, TLD(Thermo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팬텀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부는 상호 다열 및 다행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팬텀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량계는 상호 '11'자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ㅏ' 또는 'H'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팬텀장치.
KR1020160063032A 2016-04-28 2016-05-23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KR10179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32A KR101798327B1 (ko) 2016-05-23 2016-05-23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PCT/KR2017/003822 WO2017188621A1 (ko) 2016-04-28 2017-04-07 팬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32A KR101798327B1 (ko) 2016-05-23 2016-05-23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327B1 true KR101798327B1 (ko) 2017-11-15

Family

ID=6038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032A KR101798327B1 (ko) 2016-04-28 2016-05-23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26A (ko) * 2018-10-30 2020-05-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25B1 (ko) * 2010-12-07 2012-03-13 (주)에너지플러스 양쪽 절연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장치
JP2013027730A (ja) * 2012-09-28 2013-02-07 Masayoshi Fukuda 生体電極用の粘着パッド及び粘着パッドシート
KR101444218B1 (ko) * 2013-04-30 2014-10-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실시간 입사표면선량의 측정을 위한 광섬유 방사선량계 및 이를 이용한 수정된 직접 선량측정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25B1 (ko) * 2010-12-07 2012-03-13 (주)에너지플러스 양쪽 절연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장치
JP2013027730A (ja) * 2012-09-28 2013-02-07 Masayoshi Fukuda 生体電極用の粘着パッド及び粘着パッドシート
KR101444218B1 (ko) * 2013-04-30 2014-10-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실시간 입사표면선량의 측정을 위한 광섬유 방사선량계 및 이를 이용한 수정된 직접 선량측정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26A (ko) * 2018-10-30 2020-05-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KR102203590B1 (ko) 2018-10-30 2021-01-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촬영 장치의 공간 분해능 측정용 팬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nsley Present state and issues in IORT physics
Suchowerska et al. Clinical trials of a urethral dose measurement system in brachytherapy using scintillation detectors
Fonseca et al. In vivo dosimetry in brachytherapy: requiremen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clinical practice
US8039790B2 (en) Phantoms and methods for verification in radiotherapy systems
JP5771219B2 (ja) 形状検知による追跡を行うことを特徴とする小線源治療方法及び装置
Cartwright et al. Dose mapping of the rectal wall during brachytherapy with an array of scintillation dosimeters
US20060027756A1 (en) Dosimeter having an array of sensors for measuring ionizing radiation, and dosimetry system and method using such a dosimeter
Qi et al. Real-time in vivo dosimetry with MOSFET detectors in serial tomo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O2018029392A1 (es) Método para la automatización en la calibración dosimétrica, reconstrucción y verificación de tratamientos complejos de radioterapia integrada en un entorno y sistema para la puesta en práctica del mismo
WO2018191737A1 (en) Apparatus for combined localization and dosimetry in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of the head and neck
Son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proton dosimetry system using an array of fiber-optic Cerenkov radiation sensors
Tenconi et al. TRUS-probe integrated MOSkin detectors for rectal wall in vivo dosimetry in HDR brachytherapy: in phantom feasibility study
KR101798327B1 (ko) 부착 가능한 팬텀장치
Van Gellekom et al. In vivo dosimetry in gynecological applications—A feasibility study
Houlihan et al. In vivo dosimetry in pelvic brachytherapy
Melchert et al. Quality assurance during interstitial brachytherapy: in vivo dosimetry using MOSFET dosimeters
Cho et al. Verification of source and collimator configuration for Gamma Knife® Perfexion™ using panoramic imaging
Bloemen-van Gurp et al. Clinical dosimetry with MOSFET dosimeters to determine the dose along the field junction in a split beam technique
Engström et al. In vivo dose verification of IMRT treat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Poder et al. Towards real time in-vivo rectal dosimetry during trans-rectal ultrasound based high dose rate prostate brachytherapy using MOSkin dosimeters
Able et al. Quality control of high-dose-rate brachytherapy: treatment delivery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cess control
KR101915397B1 (ko) 선량 측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터
Palmer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BEBIG MultiSource®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treatment unit
Alnaghy et al. In vivo endorectal dosimetry of prostate tomotherapy using dual MOSkin detectors
KR102208647B1 (ko) 근접 치료를 위한 선량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