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27A -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27A
KR20200048127A KR1020180129858A KR20180129858A KR20200048127A KR 20200048127 A KR20200048127 A KR 20200048127A KR 1020180129858 A KR1020180129858 A KR 1020180129858A KR 20180129858 A KR20180129858 A KR 20180129858A KR 20200048127 A KR20200048127 A KR 2020004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umidity sensor
seat
sensor modu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조은상
홍영대
나상민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127A/ko
Publication of KR2020004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sucked from the sea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부압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와,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 및 상기 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vhentilation seat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습도센서가 마련되어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신속하게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도센서가 덕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주지 않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장착된다. 이러한 시트는 보통 철재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 프레임에 탑승자가 앉았을 때 쿠션력이 발휘되어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우레탄 폼과 같은 폼 패드 등을 설치하고 그 외부에 섬유 또는 인조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커버가 씌워져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는 통풍이 잘되지 않아 여름철 운행 시 탑승자의 등부분 및 둔부와 시트 사이에 땀이 많이 배게 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은 곧바로 운전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다.
그 중 하나가 통풍 기능을 가진 통풍시트로 이러한 통풍시트는 장시간 착좌 또는 무더운 날씨에 탑승자의 둔부 또는 등에서 발생하는 땀을 바람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시트의 온도를 낮추어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통풍시트는 공기 발생장치, 예를 들어 블로워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시트의 착좌면으로 공급하여 시트의 착좌부 습기를 제거하거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를 위해 통풍시트의 폼 패드에 홈 또는 홀을 형성하여 블로워와 시트 착좌면 사이에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통풍시트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45961호의 "실내공기 흡입형 차량용 통풍시트"가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통풍시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은 시트 등받이부와 좌석부에 제각기 흡입구가 마련되고, 시트 등받이부 및 좌석부의 내부에는 흡입구와 연통되는 유로(20)가 제각기 형성된다. 또한, 유로(20)에는 송풍팬(30)이 설치되며 송풍팬(30)과 인접하게 시트 표면 방향으로 토출유로(40)가 형성되어 시트 등받이부와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차량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마련되거나 송풍팬(30)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습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워 차량 내부의 습도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은 대시보드 또는 송풍팬에 마련된 습도센서를 통해 차량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게 되지만 탑승자가 비 또는 땀에 의해 의복이 젖은 경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와 탑승자가 체감하는 습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습도센서를 시트표면 또는 시트커버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탑승자가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느끼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하중이 습도센서에 직접 가해지기 때문에 습도센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KR, B, 10-1345961(2013.12.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주지 않으면서 탑승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습도센서가 마련되어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신속하게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부압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와,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 및 상기 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는 선단에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기단과 연결되며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기단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 블로워가 마련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모듈은 상기 제1몸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상기 습도센서모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또는 제2몸체와 제3몸체는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모듈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커넥터의 일부를 패킹한 상태로 상기 덕트에 형성된 결속홈에 조립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커넥터가 인출되는 인출홈이 형성되며 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덕트에 형성된 결속홈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정면 가장자리는 테이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결속홈에 슬롯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고 배면에 상기 덕트에 형성된 결속홈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가 상기 결속홈의 테두리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검출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은 상기 덕트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출소자는 상기 덕트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은 상기 검출소자를 제외한 부분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돔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흡입 블로워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단계와, 상기 작동판단단계 후 상기 덕트에 마련된 습도센서모듈로부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에 의하면, 탑승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습도센서가 마련되어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신속하게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도센서가 덕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센서모듈이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덕트를 구성하는 제1몸체 중 절곡부에 설치되어 습도센서모듈과 공기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의 검출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센서모듈의 일부분만이 덕트의 내부에 노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덕트에 습도센서모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편하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인쇄회로기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하우징과 덕트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은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덕트(110),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부압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120),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130), 상기 흡입 블로워(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은 습도센서가 탑승자와 근접하게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 연결되는 덕트(110)의 유입구(111a) 내부에 설치되어 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흡입 블로워(1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덕트(110)는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어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덕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111a)가 형성된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기단과 연결되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몸체(112) 및 상기 제2몸체(112)의 기단과 연결되고 흡입 블로워(120)가 마련되는 제3몸체(113)로 구성된다.
이때, 습도센서모듈(130)은 제1몸체(111)의 내부에 마련되어 습도센서모듈(130)가 탑승자와 가깝게 위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흡기된 공기가 제1몸체(111)로 집중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습도센서모듈(130)이 설치되는 제1몸체(111)는 바람직하게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1c) 및 상기 수평부(111c)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11d)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111d)에 습도센서모듈(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습도센서모듈(130)이 수평부(111c)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11d)에 설치되는 것에 따라 유입구(111a)를 통해 수평부(111c)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수평부(111c)의 끝단에서 절곡부(111d)를 향해 변경되고, 이러한 공기 흐름의 방향이 수평부(111c)에서 절곡부(111d)로 변경되는 것에 따라 유속이 감속되고 와류를 일으키게 되어 습도센서모듈(130)과 공기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의 검출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습도센서모듈(130)이 마련되는 제1몸체(111)와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몸체(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가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 좌석부로부터 등받이가 기울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블로워(120)가 마련되는 제3몸체(113)와 제2몸체(1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3몸체(113)와 제2몸체(112)가 신축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 또는 제2몸체(112)와 제3몸체(113)가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 또는 제2몸체(112)와 제3몸체(113) 사이에 주름관이 마련되거나 또는 제1몸체(111)의 기단에 제2몸체(112)의 선단이 삽입되어 연통되거나 제2몸체(112)의 기단에 제3몸체(113)의 선단이 삽입되어 연통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한편, 선단에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111a)가 형성된 제1몸체(111)에 마련되는 습도센서모듈(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1), 커넥터(132), 하우징(133)으로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131)은 유입구(111a)를 통해 제1몸체(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소자(131a)가 실장된다. 이때, 검출소자(131a)는 제1몸체(111)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에 실장되어 제1몸체(111)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검출소자(131a)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31)의 타면에는 검출소자(131a)에서 검출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13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31)과 커넥터(132)는 하우징(133)에 의해 제1몸체(111)에 설치된다. 즉, 하우징(133)은 인쇄회로기판(131)과 커넥터(132)의 일부를 패킹한 상태로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에 조립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33)은 정면에 인쇄회로기판(131)이 안치되는 안치홈(133a)이 형성되고 배면에 커넥터(132)가 인출되는 인출홈(133b)이 형성된다. 이때 안치홈(133a)과 인출홈(133b)은 연통된다. 또한, 하우징(133)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함몰홈(133c)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133)은 바람직하게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33)이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에 조립될 때 하우징(133)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함몰홈(133c)이 결속홈(111b)의 테두리와 밀착되어 유입구(111a)를 통해 제1몸체(111)로 유입된 공기가 결속홈(111b)과 함몰홈(133c)의 경계를 통해 제1몸체(11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133)이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따라 습도센서모듈(130)을 제1몸체(111)의 후방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우징(133)이 제1몸체(111)의 후방에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우징(133)의 정면 가장자리에 테이퍼(133d)가 형성된다. 이처럼 하우징(133)의 정면 가장자리에 테이퍼(133d)가 형성되는 것에 따라 하우징(133)이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에 조립될 때 하우징(133)의 정면이 결속홈(111b)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속홈(111b)의 테두리가 함몰홈(133c)에 삽입될 수 있어 습도센서모듈(130)을 제1몸체(111)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둘레를 따라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함몰홈(133c)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33)의 배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함몰홈(133c)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3)은 정면에 인쇄회로기판(131)이 고정되고 배면에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플랜지(133e)가 형성되어 플랜지(133e)가 결속홈(111b)의 테두리와 접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하우징(133)의 배면에 플랜지(133e)가 형성되어 결속홈(111b)의 테두리와 접착되는 것에 따라 습도센서모듈(130)을 제1몸체(111)의 후방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하우징(133)의 배면에 플랜지(133e)가 형성되는 것에 따라 하우징(133)과 제1몸체(111)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습도센서모듈(130)을 견고하게 덕트(1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덕트(110)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모듈(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110)에 형성된 결속홈(111b)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함몰홈(133c)이 하우징(133)에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133)에 플랜지(133e)가 형성되어 고정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덕트(110)에 슬롯이 형성되어 습도센서모듈(130)이 덕트(11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도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중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습도센서모듈(130)을 덕트(110)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게 제1몸체(111)의 결속홈(111b)에 슬롯(114)이 형성되어 습도센서모듈(130)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렇게 제1몸체(111)의 결속홈(111b)에 형성되는 슬롯(114)은 결속홈(111b)의 후방에서 습도센서모듈(130)의 배면 일부를 감싸도록 스커트를 형성하며, 스커트에는 습도센서모듈(130)의 커넥터(132)가 인출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스커트는 습도센서모듈(130)이 제1몸체(111)의 결속홈(111b)에 위치하게 될 때 탄성력이 발휘되어 하우징(13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몸체(111)에 슬롯(114)이 형성되는 것에 따라 습도센서모듈(130)을 제1몸체(111)의 결속홈(111b)에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어 습도센서모듈(130)을 덕트(110)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131)에 실장되어 덕트(110)의 내부를 향하는 검출소자(131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게 되지만, 검출소자(131a)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31)은 수분과 접촉하는 것에 따라 부식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즉, 검출소자(131a)는 제1몸체(1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에 실장되는데, 이때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소자(131a)를 제외한 부분에 방수층(134)이 형성되어 수분이 인쇄회로기판(131)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인쇄회로기판(131)의 부식 및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층(134)은 바람직하게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에 돔의 형태로 형성된 유선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유입구(111a)를 통해 공기가 흡입 블로워(120)를 향해 흐를 때 인쇄회로기판(131)에 의해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덕트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습도센서모듈(130)에서 측정된 수분에 따라 흡입 블로워(1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흡입 블로워(120)를 능동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상기 흡입 블로워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단계와, 상기 작동판단단계 후 상기 덕트에 마련된 습도센서모듈로부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단계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제어부는 통풍시트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의 ON을 판단(S10)하는 작동판단단계가 실시된다.
검출단계는 작동판단단계 후 S20의 단계에서 센서 데이터를 1차 추출하고, C초 후 S40의 단계에서 센서 데이터를 2차 추출한다. 그리고, S40의 단계에서 상기 S20의 단계와 S30의 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의 절대 습도를 계산한다. 이때, 상대습도는 온도에 따라 습도값이 달라지므로 절도 습도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0의 단계에서는 S40의 단계에서 계산된 두 개의 습도값의 습도 변화량(기울기 또는 적분값)을 계산하며, S60의 단계에서는 S50의 단계에서 계산된 값 D를 설정된 E와 비교하게 되고, S70의 단계와 S80의 단계와 같이 초기 기울기 D에 따른 사용자 습도값 추정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S70의 단계와 S80의 단계는 초기 습도값 및 흡입 블로워(120)의 흡입량에 따라 사용자의 습도값 변화량의 차이가 예상되어 상기와 같은 보정을 해주며, 상기의 보정작업은 여러 단계로 나눠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산된 습도 추정치는 S90의 단계에서 쾌적습도 여부를 판단하며, 상수 K%보다 높을 경우 습도에 따른 흡입 블로워(120)의 속도 제어를 S120의 단계로 실시하는 제어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S90의 단계에서 쾌적습도값(K) 이내에 습도 추정치가 만족할 경우, S100의 단계와 S110의 단계에서 쾌적온도 여부를 판단하며 각 온도에 따른 흡입 블로워의 속도 제어를 S120의 단계 내지 S150의 단계로 실시하여 흡입 블로워(120)를 능동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에 의하면, 탑승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습도센서가 마련되어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신속하게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도센서가 덕트(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센서모듈(130)이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1c) 및 상기 수평부(111c)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11d)로 이루어진 덕트(110)를 구성하는 제1몸체(111) 중 절곡부(111d)에 설치되어 습도센서모듈(130)과 공기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검출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센서모듈(130)의 일부분만이 덕트(110)의 내부에 노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덕트(110)에 습도센서모듈(13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편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센서모듈(130)이 제1몸체(111)에 설치될 때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검출소자(131a)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은 제1몸체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우징(133)은 정면에 인쇄회로기판(131)이 고정되고 배면에 제1몸체(111)에 형성된 결속홈(111b)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플랜지(133e)가 형성되어 플랜지(133e)가 결속홈(111b)의 테두리와 접착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때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은 제1몸체(111)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여 제1몸체(111)의 내측면과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이 평탄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1)의 일면과 제1몸체(111)의 내측면이 동일한 평면을 갖는 것에 따라 제1몸체(111)의 내부에 공기가 흐를 때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아 공기의 유속이 감소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10 : 덕트 111 : 제1몸체
111a : 유입구 111b : 결속홈
111c : 수평부 111d : 절곡부
112 : 제2몸체 113 : 제3몸체
114 : 슬롯 120 : 흡입 블로워
130 : 습도센서모듈 131 : 인쇄회로기판
131a : 검출소자 132 : 커넥터
133 : 하우징 133a : 안치홈
133b : 인출홈 133c : 함몰홈
133d : 테이퍼 133e : 플랜지
134 : 방수층

Claims (5)

  1.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부압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 및
    상기 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선단에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기단과 연결되며 상기 시트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기단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 블로워가 마련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모듈은
    상기 제1몸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모듈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커넥터의 일부를 패킹한 상태로 상기 덕트에 형성된 결속홈에 조립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커넥터가 인출되는 인출홈이 형성되며 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덕트에 형성된 결속홈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을 포함하는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흡입 블로워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단계;
    상기 작동판단단계 후 상기 덕트에 마련된 습도센서모듈로부터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단계;
    상기 검출단계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블로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KR1020180129858A 2018-10-29 2018-10-29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KR20200048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58A KR20200048127A (ko) 2018-10-29 2018-10-29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58A KR20200048127A (ko) 2018-10-29 2018-10-29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27A true KR20200048127A (ko) 2020-05-08

Family

ID=7067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58A KR20200048127A (ko) 2018-10-29 2018-10-29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1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961B1 (ko) 2011-11-14 2014-01-16 갑을오토텍(주) 실내공기 흡입형 차량용 통풍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961B1 (ko) 2011-11-14 2014-01-16 갑을오토텍(주) 실내공기 흡입형 차량용 통풍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925A (en) Backrest for vehicle seats
US9511646B2 (en) Seat assembly with temperature or humidity sensor
US6277023B1 (en) Motor vehicle seat with ventilation device
US20140152057A1 (en) Heated headrest
US11628756B2 (en) Sensor disposition structure in seat
WO2018079041A1 (ja) 通風シートおよび座席空調装置
WO2000044584A1 (en) Occupant detecting device
JP3781957B2 (ja) 車両の着座センサー配置構造
US20020000742A1 (en) Vehicle seat sensor
KR101662786B1 (ko) 통풍시트
US20080315639A1 (en) Foam Seat with Sensor
KR20200048127A (ko) 덕트에 습도센서가 마련된 차량용 통풍시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통풍시트유닛의 제어방법
JP5499698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4231256A (ja) 乗物用シート
CN211844166U (zh) 一种汽车后排整体式座盆通风系统
JP6646235B2 (ja) 乗員検知センサー及び車両用シート
CN210792901U (zh) 通风系统与压力传感器的装配结构及汽车座椅
CN211166562U (zh) 用于机动车辆的座椅
KR101372515B1 (ko) 차량용 시트의 통풍장치
KR101601547B1 (ko) 시트의 통풍장치
JP2022125263A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
JP5761039B2 (ja) 車両用シート
CN106608208A (zh) 一种检测湿度的汽车座椅靠背
JP7121259B2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WO2019194125A1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