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865A -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865A
KR20200047865A KR1020180128112A KR20180128112A KR20200047865A KR 20200047865 A KR20200047865 A KR 20200047865A KR 1020180128112 A KR1020180128112 A KR 1020180128112A KR 20180128112 A KR20180128112 A KR 20180128112A KR 20200047865 A KR20200047865 A KR 20200047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upper side
lower plate
plate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434B1 (ko
Inventor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성산업
Priority to KR10201801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이 지상에서 지하로 진입하는 출입구에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캐노피(canopy)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제공되며, 연결통로의 양측에 지중보가 설치되는 지하철 역사에 대해 캐노피를 설치하는 캐노피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상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 및,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측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하판과 기둥 및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 설치단계는 상부 구조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판을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Canopy Structure for Subway Building And The constrcu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나 그 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출입구의 상측을 가리는 캐노피(canopy)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이 지상에서 지하로 진입하는 출입구에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으로 받치거나 매달아 놓은 덮개를 캐노피라 한다. 이러한 캐노피는 출입구나 창문 등과 같이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 부분이나, 버스 정류장, 자전거 거치대, 주차 공간 등과 같이 일정 공간을 우천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로 설치된다. 특히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이 출입구가 지상으로부터 지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공간 부분에는 우천 등에 대비하여 출입구의 상측을 덮어서 가릴 수 있는 캐노피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9350호(명칭: 지하철 외부 출입구용 캐노피), 특허공개 10-2011-0115892호(명칭: 지하철역 캐노피) 및 등록특허 10-0938982호(명칭: 자동 접이식 캐노피장치) 등에는 지하철 역사에 적용할 수 있는 캐노피 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캐노피는 기둥의 상측에 덮개나 지붕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하철 역사의 출입구에 캐노피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우선 출입구의 외측 주변에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 위에 프레임을 조립 설치한 후 프레임 상측에 예컨대 강화 유리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지붕 또는 덮개를 설치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성되고, 이들 프레임 부재들은 현장에서 기둥 또는 상호간에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 및 조립된다. 또한 이들 프레임 부재들과 덮개의 무게는 중량이 많이 나가서 통상 수 톤에서 수십 톤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기둥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통상 크레인(crane)으로 프레임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매달은 상태에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이들을 기둥에 또는 상호간에 단계적으로 조립해나가는 방법으로 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공에는 수 일에서 수십 일에 이르는 많은 시간과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는 도로에 접해있는 인도에 설치되어 있고, 특히 지하철 역사 주변에는 많은 차량과 이용자의 이동이 있기 때문에 통상 높은 혼잡도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캐노피 시공에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설비와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캐노피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하철 역사와 인접하는 도로와 인도의 통행을 제한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통행 제한은 역사 주변의 혼잡도를 증가시켜 이용자의 불편함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캐노피 시공을 매우 단순화 하여 그 시공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는 지하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제공되며, 연결통로의 양측에 지중보가 설치되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캐노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 및, 결속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하판은 하부 구조체를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은 상기 상부 구조체의 제2 하판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제2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제2 하판과, 상기 제2 하판의 상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 덮개가 안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하판에는 상기 상판의 제2 체결공에 대응하여 다수의 제3 체결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중보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구조체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보강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체의 제1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체의 제2 하판과 기둥 및 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시공방법은 지하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제공되며, 연결통로의 양측에 지중보가 설치되는 지하철 역사에 대해 캐노피를 설치하는 캐노피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상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 및,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측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하판과 기둥 및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 설치단계는 상부 구조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판을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체 설치단계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판을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노피 시공에 앞서, 상기 하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지중보의 하측에 1개 이상의 보강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캐노피 시공이 완료된 후, 지중보와 하부 프레임을 마감재로 마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에 대한 제작이 별도의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현장에서는 단지 간단한 설치 공사만으로 캐노피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캐노피 시공을 수 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캐노피 시공을 위한 인력이 최소화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지하철 역사에 설치한 경우의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캐노피 구조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캐노피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캐노피의 하부 구조체(10)의 외관 형상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을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의 출입구, 특히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가 지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 지하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출입구 또는 연결통로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별한 공간적인 제한에 의해 그 실시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건축물에 있어서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나 연결통로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대나 차량 주차 공간 등과 같이 상부 덮개가 요구되는 장소나 시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지하철 역사에 설치한 경우의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캐노피 구조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캐노피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지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 구조물, 예컨대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 상가의 출입구이고, 2는 이 출입구(1)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를 연결하는 계단이다. 계단(2)은 상기 출입구(1)에 대한 연결통로의 한 수단으로서 제공된 것이다. 연결 계단(2)의 양측에는 통상 계단 난간대(3)가 설치되고, 양 측벽(4)의 상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지중보(5)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지중부(5)의 상측에는 캐노피가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노피 구조는 하부 구조체(10)와 상부 구조체(20) 및 덮개(30)를 구비한다. 하부 구조체(10)는 지중보(5)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하부 구조체(10)의 상측에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부 구조체(20)가 체결된다. 덮개(30)는 채광 효과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덮개(30)는 예컨대 스파이더 등의 결속부재(31)를 통해 상부 구조체(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캐노피는 전체적으로 수 톤에서 수십 톤의 중량을 갖게 된다. 따라서 캐노피의 전체적인 하중을 고려하여 하부 구조체(10)에 대응하는 지중보(5)의 하측에는 보강빔(40)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보강빔(40)은 계단(2)의 상측과 지중보(5)의 하측 사이에 예컨대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캐노피의 설치가 완료되면 측벽(4)과 캐노피의 상부 구조체(20) 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예컨대 대리석이나 타일 등의 마감재(6)가 설치된다.
도 4는 캐노피의 하부 구조체(10)의 외관 형상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부 구조체(10)는 하판(11)과 상판(12) 및 지지부재(13)를 구비한다. 하판(11)은 도 2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중보(5)의 상면과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11)에는 하부 구조체(10)를 지중보(5)에 설치할 때 예컨대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삽입된다. 하판(11)의 상측에는 지지부재(13)를 통해 상판(12)이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하판(11)과 상판(12) 및 지지부재(13)는 예컨대 용접을 통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판(12)의 상측에는 상부 구조체(20)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재(13)는 상부 구조체(2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판(12)에는 상부 구조체(20)를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21)이 형성된다.
상부 구조체(20)는 하판(21)과 기둥(22) 및 프레임(23)을 구비한다. 하판(21)은 본 상부 구조체(20)를 하부 구조체(1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하판(21)은 바람직하게 하부 구조체(10)의 상판(12)과 그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판(12)의 체결공(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211)이 마련된다. 하부 구조체(10)의 상판(12)과 상부 구조체의 하판(21)은 이 체결공(121, 211)들을 통해 체결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12)과 하판(21)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판(12)과 하판(21)은 그 결합 면적을 넓히기 위해 접합면이 요철(凹凸) 등의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22)은 프레임(23)을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둥(22)을 지중보(5)에 각각 하나씩 2개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기둥(22)의 형상이나 수효 및 위치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기둥(22)의 개수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하부 구조체(20)의 개수와 위치도 그에 대응되게 변경될 것이다. 그리고 하부 구조체(20)의 설치 위치 변동에 따라 보강빔(4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도 달라지게 될 것이다.
프레임(23)은 덮개(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23)은 기둥(22)에 고정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계단(2), 즉 연결통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231)과, 이 측면 프레임(23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232)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중앙 부분이 개방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레임(23)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것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하판(21)과 기둥(22) 및 프레임(23)은 예컨대 용접 등의 결합방법을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23)의 상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부재(31)를 통해 덮개(30)가 설치된다.
이어,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캐노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지중보(5)의 상측에 기둥(22)을 세우고, 이 기둥의 상측에 프레임(23)을 조립해서 설치하는 일련의 작업이 모두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매우 길고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별도의 공장에서 하부 구조체(10)와 상부 구조체(20) 및 덮개(30)에 대한 제작 작업이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캐노피를 설치해야 하는 지하철 역사에서는 필요에 따라 캐노피의 설치 공사에 앞서 지중보(5)에 대한 보강빔(40)의 설치 공사를 실행하게 된다. 보강빔(40)의 설치는 지하철 계단(2)의 안쪽 측벽(4)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하철 역사 주변의 도로나 인도의 통행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지중보(5)에 대한 보강 공사가 완료되면 캐노피에 대한 설치 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캐노피 설치 공사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실행하게 된다. 우선 작업자는 지중보(6)에 대해 하부 구조체(10)를 설치하게 된다. 하부 구조체(10)의 설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체(10)를 지중보(5) 상측의 적절한 위치, 즉 상부 구조체(20)의 기둥(22)을 배치할 위치에 올려놓고, 하부 구조체(10)의 하판(1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1)을 통해 지중보(5)에 예컨대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게 된다.
하부 구조체(10)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 구조체(20)를 들어올린 후,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부 구조체(20)의 하판(21)을 하부 구조체(10)의 상판(12)에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지중보(5)상에 상부 구조체(2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덮개(30)를 상부 구조체(20)의 프레임(23) 상측에 배치하고 결속부재(31)로 덮개(30)를 프레임(23)에 고정하는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지하철 출입구에 대한 캐노피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노피에 대한 제작이 별도의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현장에서는 단지 간단한 설치 공사만으로 캐노피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캐노피 시공을 수 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캐노피 시공을 위한 인력이 최소화 된다.
또한 종래의 캐노피는 그 구조 및 시공 방법 상 일체의 캐노피 조립 공사가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둥과 프레임 등의 체결이 전적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체결수단의 체결 강도에 따라 캐노피 구조의 안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캐노피 제작 공정이 별도의 공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캐노피의 제작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용접 등과 같이 보다 안정적인 제작 방법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장소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캐노피 제작 공정을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캐노피의 외관 형상에 대한 미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5: 지중보, 10: 하부 구조체,
20: 상부 구조체, 30: 덮개,
49: 보강빔.

Claims (8)

  1. 지하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제공되며, 연결통로의 양측에 지중보가 설치되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캐노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 및,
    결속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하판은 하부 구조체를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은 상기 상부 구조체의 제2 하판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제2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제2 하판과, 상기 제2 하판의 상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 덮개가 안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하판에는 상기 상판의 제2 체결공에 대응하여 다수의 제3 체결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구조체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보강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의 제1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의 제2 하판과 기둥 및 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5. 지하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와 지상의 인도 또는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제공되며, 연결통로의 양측에 지중보가 설치되는 지하철 역사에 대해 캐노피를 설치하는 캐노피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중보의 상측에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상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 및,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측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하판과 기둥 및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 설치단계는 상부 구조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판을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 하판과 상판 및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체 설치단계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판을 지중보의 상측에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 시공에 앞서, 상기 하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지중보의 하측에 1개 이상의 보강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캐노피 시공이 완료된 후, 지중보와 하부 프레임을 마감재로 마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시공방법.
KR1020180128112A 2018-10-25 2018-10-25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12A KR102114434B1 (ko) 2018-10-25 2018-10-25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12A KR102114434B1 (ko) 2018-10-25 2018-10-25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865A true KR20200047865A (ko) 2020-05-08
KR102114434B1 KR102114434B1 (ko) 2020-06-18

Family

ID=7067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12A KR102114434B1 (ko) 2018-10-25 2018-10-25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147A (zh) * 2021-04-13 2021-07-13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地铁车站出入口的雨棚的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161B2 (ja) * 1995-06-27 1999-11-29 株式会社冨士工 片持屋根の先端高さ調整方法
KR200376886Y1 (ko) * 2004-11-23 2005-03-11 이성균 광고판이 부설된 지하철 출입구용 지붕구조
KR100873266B1 (ko) * 2008-04-01 2008-12-11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100008321U (ko) * 2009-02-12 2010-08-20 알루텍 (주)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120006521U (ko) * 2011-03-14 2012-09-24 안기풍 밴딩파이프를 사용하는 차양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161B2 (ja) * 1995-06-27 1999-11-29 株式会社冨士工 片持屋根の先端高さ調整方法
KR200376886Y1 (ko) * 2004-11-23 2005-03-11 이성균 광고판이 부설된 지하철 출입구용 지붕구조
KR100873266B1 (ko) * 2008-04-01 2008-12-11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100008321U (ko) * 2009-02-12 2010-08-20 알루텍 (주)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120006521U (ko) * 2011-03-14 2012-09-24 안기풍 밴딩파이프를 사용하는 차양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147A (zh) * 2021-04-13 2021-07-13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地铁车站出入口的雨棚的施工方法
CN113107147B (zh) * 2021-04-13 2022-12-06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地铁车站出入口的雨棚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434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5070C (en) A cable-stay retractable skylight roof for stadium or arena or othe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CN108699850B (zh) 建筑结构和方法
KR102114434B1 (ko)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223341A (ja) 移動設置式歩道橋
US20210310241A1 (en) Facade panel system and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KR101522887B1 (ko)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573683B (zh) 屋顶构造物及其施工方法
KR100863592B1 (ko) 자동화건축의 가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화 건축방법
JP2843016B2 (ja)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
KR20180058959A (ko) 지붕 분리형 컨테이너 하우스
KR20220001734A (ko) 모듈형 작업 발판대
JP4171350B2 (ja) 屋外階段及び屋外階段の構築方法
JP4257153B2 (ja) 屋外階段及び屋外階段の構築方法
KR100512198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이동식 경비실 설치방법
JP5953585B2 (ja) 建物移動システムとモバイルハウス
CN216475992U (zh) 一种无柱旋转楼梯
CN215405537U (zh) 一种可装配半开放式钢结构人行天桥
KR102203972B1 (ko) 주차장용 캐노피형 구조물
KR102505816B1 (ko) 지하 주차장 진입로 캐노피 시공 공법
NL1043999B1 (en) Aluminium frame building, build element and method therefor
NL1044001B1 (en) Aluminium frame building, build element and method therefor
JP2003292264A (ja) 高架施設用エレベータ施設設置方法
JP3113581B2 (ja) スーパーストラクチャー構造における建物の構築工法
RU2346104C2 (ru) Мост-платформа
CN205653885U (zh) 一种集成化钢筋混凝土活动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