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687A -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 Google Patents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687A
KR20200045687A KR1020180126522A KR20180126522A KR20200045687A KR 20200045687 A KR20200045687 A KR 20200045687A KR 1020180126522 A KR1020180126522 A KR 1020180126522A KR 20180126522 A KR20180126522 A KR 20180126522A KR 20200045687 A KR20200045687 A KR 2020004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fabric
filling
filling space
connec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숙
Original Assignee
이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숙 filed Critical 이호숙
Priority to KR102018012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687A/ko
Publication of KR2020004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이격된 2개 층 이상을 가지는 다중직 형태의 직물지로서, 상기 이격된 층들이 경사 또는 위사의 접결에 의해 접결되어 이루어진 테두리 접결선에 의해 구획된 충전 공간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된 단위 침구 패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테두리 접결선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충전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재 주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 접결선의 내부의 충전 공간에는, 상기 충전 공간을 2이상으로 분리하여 구획하지 않는 다수의 비연속 접결선들이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직물과 이를 이용한 침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Fabric for bedding and bed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에 의해 다운 등의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충전 작업 및 재봉이 용이하도록 개량된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이다.
섬유 제품의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기와의 사이에 다량의 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모 등과 같이 자체적인 크림프가 있어서 다량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는 섬유는 보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모방하여 인조섬유들에도 이와 같이 공기를 다량 함유할 수 있도록 섬유에 인공적인 크림프를 주기도 한다. 또한, 공기를 많이 함유할 수 있도록 직물이나 편물 조직을 두툼하게 조직하기도 하며, 2겹으로 된 직물 등의 내부에 다량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는 솜이나 다운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패딩제품으로 만들기도 한다.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경우, 종래에는 예컨대 2겹의 직물을 재봉사를 이용하여 봉제하여 하나 이상의 공기방 또는 다운방 등의 충전 공간을 만들어 충전 공간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거나, 충전솜 등을 직물 사이에 넣은 상태로 누빔하여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된 섬유제품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는, 봉제선에서의 다운이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봉제 대신 심리스 퀼팅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핫멜트 퀼팅 등에 다운방을 만들거나, 직물의 형성단계에서 직조에 의해 접결사가 접결선을 형성함으써 직접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방식도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물의 형성단계에서 직조에 의해 접결사가 이어진 접결선을 이용하여 충전공간을 만들고, 충전공간에 다운을 충전하여 이불 등의 침구를 만들어서 다운의 빠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불에 관한 발명이 한국 등록특허 제10-14462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이불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물 제직을 통하여 몸체(10)에는 구획된 절단선(41)과 다수의 격벽 라인(30), 몸체 공간부(30), 주입구(31)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몸체 공간부(20)에는 상부층(21)과 하부층(22)의 이중지 분리 제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층(21)과 하부층(22)은 제직된 격벽 라인(30)에 의해 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격벽 라인(30)에 형성된 주입구(31)를 통하여 다운이 충전되면서 하나의 다운 주머니로 형성되어 보온성이 필요한 다운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이불은, 다수의 격벽 라인(30)에 의해 단절된 여러 개의 다운 주머니(다운방, 충전공간)가 형성되고, 각 다운 주머니는 격벽라인에 형성된 주입구(31)를 통하여 다운이 충전된 후에, 주입구(31)를 일일이 막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다운의 주입에 노동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봉제 등의 방법에 의해 막음된 여러 개의 주입구(31)는 다운의 누출이 발생하는 부분이 되어, 다운 누출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다운을 충전하여 보온력을 높인 이불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침구 제조시의 다운 등의 충전과 주입구의 막음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다운의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직물은,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이격된 2개 층 이상을 가지는 다중직 형태의 직물지로서,
상기 이격된 층들이 경사 또는 위사의 접결에 의해 접결되어 이루어진 테두리 접결선에 의해 구획된 충전 공간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된 단위 침구 패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테두리 접결선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충전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재 주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 접결선의 내부의 충전 공간에는, 상기 충전 공간을 2이상으로 분리하여 구획하지 않는 다수의 비연속 접결선들이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는, 상기 침구용 직물에서 분리된 단위 침구 패턴의 충전 공간내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충전재 주입구는 막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운 침구용 직물은, 테두리 접결선에 의해 구획된 충전 공간에 다운 등의 충전재가 충전되기 때문에, 봉제선 등을 통한 다운의 누출이 최소화되면서도, 충전재의 주입구의 막음 작업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막음된 주입구를 통한 다운의 누출도 적어, 이 직물을 이용하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운의 누출이 최소화된 이불 등의 침구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 등의 방식으로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서도 외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의한 냄새, 접착선의 박리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용도에 따라 테두리 접결선의 크기와 모양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이불, 매트리스, 방석, 침낭 등의 다양한 형태의 침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연속 접결선 들이 충전 공간 내에 산재함으로써, 다운의 쏠림이 방지되어 높은 형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직물의 형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불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직물의 형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직물(1, 1', 1")과 이를 이용한 침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직물(1, 1', 1")은, 도 1 내지 도 3에는 도면상 나타나지 않지만 직조에 의해 형성된 이격된 2개 층 이상을 가지는 다중직 형태의 직물지이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충전재(F)를 충진하여 만든 이불(100)의 파단 사시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접결된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각층(1A, 1B)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각 침구용 직물(1, 1', 1")에는, 상기 이격된 층들이 경사 또는 위사의 접결에 의해 접결되어 이루어진 테두리 접결선(2)에 의해 구획된 충전 공간(3)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위 침구 패턴(4, 4', 4")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직물의 폭방향(WF)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 침구 패턴이 형성되고, 이러한 형태가 직물의 길이방향(WP)으로 반복된다.
도 1과 도 2에는 직물의 폭 전체에 하나의 단위 침구 패턴(4, 4')이 형성되고, 이 단위 침구 패턴(4, 4')이 길이방향(WP)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의 직물(1, 1')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에는 직물의 폭 전체를 2등분하여 2개의 단위 침구패턴(4")이 형성된 형태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된 형태의 직물(1")을 보여준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단위 침구 패턴(4')은 테두리 접결선(2)이 최외곽(2a')뿐만 아니라, 가로(2b')와 세로(2c')의 중간에도 형성되어, 충전 공간(3)이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지 않고 4등분된 4개의 분할 충전 공간(3')을 갖는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폭방향으로 3개 이상의 좁은 단위 침구패턴이 형성된 형태로도 할 수 있다. 이불이 아니라 방석 등의 소품을 제작할 경우에는 이와 같이 폭이 좁은 단위 침구패턴을 폭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할 수 있다.
각 단위 침구패턴(4, 4', 4")들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폭일 경우에는 직물의 셀비지(S)로부터 소정폭 이격되어 배치되어, 각 단위 침구패턴(4)들은 마무리를 위한 여분(5)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이 여분(5)을 구획하는 절단선(6)을 변형 조직이나 이색사에 의해 형성하여, 이 절단선(6)을 기준으로 직물을 절단하여, 침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변형 조직은 접결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접결선의 형태일 필요는 없다.
이때, 각 충전 공간(3)을 둘러싼 테두리 접결선(2)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충전 공간(3)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재 주입구(7)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재 주입구(7)는 다운 등의 충전재(F)가 충전된 이후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마감된다.
충전재(F)의 충전전 또는 충전후에 상기 절단선(6)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위 침구패턴(4, 4', 4")의 여분(5)은 접어박기, 바이어스, 프릴 달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형태의 마무리나 장식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접결선(11)의 내부의 충전 공간(12)에는, 상기 충전 공간(3)을 2 이상으로 분리하여 구획하지 않는 다수의 비연속 접결선(8)들이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연속 접결선(84)들은 경사 또는 위사의 접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비연속 접결선(8)들은 경사간의 접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위사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비연속 접결선 행들(8A, 8B, 8C,...)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가로로 배열된 일자형 비연속 접결선 형태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형태, 꺾쇠 모양이나 계단 모양과 같이 꺾인 선 형태의 비연속 접결선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들에 나타나 있듯이, 이웃하는 비연속 접결선의 행(8A, 8B, 8C)들을 구성하는 각 비연속 접결선(8)은 경사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비연속 접결선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충전재 충전통로(도면에 나타낸 화살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주입구(7)에 튜브 등의 주입도구(미도시)를 연결하여, 다운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면, 충전재(F)는 충전통로를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여 반대편까지 쉽게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재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나면 충전재 주입구(7)는 봉제 등의 방법으로 막음되고, 여분(5) 부분을 원하는 형태로 마무리하고 장식하여,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하는 형태의 침구(100)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 같이 침구(100)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불에 한정되지 않고, 직물지의 구성에 따라 매트리스나 방석, 침낭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1,1',1":직물지 2: 테두리 접결선
3: 충전 공간 4, 4',4": 단위 침구패턴
5: 여분 6: 절단선
7: 주입구 8: 비연속 접결선
100: 침구

Claims (4)

  1.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이격된 2개 층 이상을 가지는 다중직 형태의 직물지로서,
    상기 이격된 층들이 경사 또는 위사의 접결에 의해 접결되어 이루어진 테두리 접결선에 의해 구획된 충전 공간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된 단위 침구 패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테두리 접결선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충전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재 주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 접결선의 내부의 충전 공간에는, 상기 충전 공간을 2 이상으로 분리하여 구획하지 않는 다수의 비연속 접결선들이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접결선들은 경사간의 접결에 의해 형성되며, 위사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비연속 접결선 행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직물.
  3. 제 2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비연속 접결선 행들을 구성하는 각 비연속 접결선은 경사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비연속 접결선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충전재 충전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직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침구용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침구용 직물에서 분리된 단위 침구 패턴의 충전 공간내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충전재 주입구는 막음된 것을 특징으로 침구.
KR1020180126522A 2018-10-23 2018-10-23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KR20200045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22A KR20200045687A (ko) 2018-10-23 2018-10-23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22A KR20200045687A (ko) 2018-10-23 2018-10-23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687A true KR20200045687A (ko) 2020-05-06

Family

ID=7073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22A KR20200045687A (ko) 2018-10-23 2018-10-23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6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066B1 (ko) 2020-10-22 2021-03-24 김수호 융털이 형성된 침구용 직물
KR20240046656A (ko) 2022-10-01 2024-04-09 최은제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대체 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066B1 (ko) 2020-10-22 2021-03-24 김수호 융털이 형성된 침구용 직물
KR20240046656A (ko) 2022-10-01 2024-04-09 최은제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대체 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4791B2 (ja) 断熱充填材料のためのバッフル構築体
US11857077B2 (en) Performance bed sheets
JP4611452B1 (ja) 羽毛の吹き出し防止構造
ES2914320T3 (es) Método de tejido de punto
KR101862821B1 (ko) 편성포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CN106192164A (zh) 一种立体织物及其用途
CN101257820A (zh) 带有堆叠部分的床上用品
KR20200045687A (ko) 침구용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침구
US7356864B1 (en) Tubule featherbed
TW201837257A (zh) 經編機、經編織物之製造方法及經編織物
KR101914280B1 (ko) 삼중직 보온 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US20230160113A1 (en) Multilayer weft-knitted fabrics for mattress covers
KR102044007B1 (ko) 보온 이중 직물지 및 이를 이용한 패딩물
CN206170794U (zh) 一种无绗缝羽绒制品
CN109906045B (zh) 在立体构造区域收纳芯材而形成的被褥及其制造方法
JP3089546B2 (ja) 羽毛ふとん
KR102533965B1 (ko) 제직 기술을 이용한 침구류 및 의류 원단
KR20180012454A (ko) 3중 누비직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원단
JP2000106999A (ja) 羽毛ふと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62847B1 (ko) 직물 제직을 통해 형성되는 충전 백들을 갖는 침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225616B2 (ja) 編地製袋体
JPS6228954Y2 (ko)
CN115404598B (zh) 一种用于家纺填充式制品内立衬缝制方法
CN106042562A (zh) 一种无绗缝羽绒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