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37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237A
KR20200044237A KR1020180124270A KR20180124270A KR20200044237A KR 20200044237 A KR20200044237 A KR 20200044237A KR 1020180124270 A KR1020180124270 A KR 1020180124270A KR 20180124270 A KR20180124270 A KR 20180124270A KR 20200044237 A KR20200044237 A KR 2020004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egion
polarizing plate
lay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935B1 (ko
Inventor
노동섭
김인찬
김진호
장원호
장재영
조성환
최길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935B1/ko
Priority to CN201910701699.7A priority patent/CN111081893A/zh
Priority to US16/527,794 priority patent/US11228021B2/en
Publication of KR2020004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27/32
    • H01L51/529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56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단부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단부보다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 단부가 표시 패널의 제1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편광판, 그리고 표시 패널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편광판으로부터 제2 방향에 위치하며, 단부가 표시 패널의 제2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 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수분에 매우 취약하여 투습으로 인한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표시 패널이 노출되는 경우에 노출된 표시 패널의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유기 발광 소자가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패널 내부로의 투습이 방지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 내부로의 투습 방지를 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편광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며,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2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2 단부와 평면상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3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벤딩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상기 벤딩 보호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 단부와 접하는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접착층 및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투명 접착층의 단부에 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유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와 상기 편광판의 단부는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와 상기 유기층의 단부는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제1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경계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판 및 상기 유기층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더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 및 상기 편광판의 단부에 접하는 방수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편광판 상에 투명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커버 윈도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단부와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단부가 평면상 정렬됨으로써, 표시 패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단 라인을 따라 표시 패널과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단부와 편광판의 단부가 평면상 정렬되고, 표시 패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3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3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II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를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표시 장치를 IV-I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표시 장치를 V-V'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편광판(200), 및 유기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벤딩 보호층(350), 투명 접착층(400), 커버 윈도우(500), 및 방수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평면 영역(FA1), 벤딩 영역(BA), 및 제2 평면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 벤딩 영역(BA), 및 제2 평면 영역(FA2)은 각각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평면 영역(FA2)은 제1 평면 영역(FA1)으로부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고, 벤딩 영역(BA)은 제1 평면 영역(FA1)과 제2 평면 영역(F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벤딩 영역(BA)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벤딩축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구부러진다는 용어는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로부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축, 예를 들면, 상기 벤딩축을 따라 접히거나(folded), 휘거나(curved), 말리는(rolled)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 평면 영역들(FA1, FA2)의 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두 평면 영역들(FA1, FA2)의 면들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예각, 직각 또는 둔각)를 이루며 구부러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3 영역(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3 영역(3A)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3 영역(3A)은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영역(2A)은 제1 영역(1A)으로부터 제1 방향(D1)에 위치하고, 제3 영역(3A)은 제2 영역(2A)으로부터 제1 방향(D1)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A)에 위치하는 제1 단부(100E1), 제2 영역(2A)에 위치하는 제2 단부(100E2), 및 제3 영역(3A)에 위치하는 제3 단부(100E3)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는 표시 패널(1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는 표시 패널(1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보다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로부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3 단부(100E3)는 표시 패널(1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3 단부(100E3)는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보다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3 단부(100E3)는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로부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편광판(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판(200)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평면 영역(F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200)은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광이 편광판(200)을 통과하여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서 반사된 후에 다시 편광판(200)을 통과하는 경우에, 편광판(200)을 2 회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외광의 위상이 바뀔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위상이 편광판(200)으로 진입하는 외광의 위상과 달라짐으로써 소멸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광 반사가 감소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편광판(200)은 제1 영역(1A) 상에 위치하는 제1 단부(200E1),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하는 제2 단부(200E2), 및 제3 영역(3A) 상에 위치하는 제3 단부(200E3)를 가질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는 편광판(2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 사이의 공차는 실질적으로 0일 수 있다. 상기 공차는 평면상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가 평면상 정렬됨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A)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는 편광판(2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는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보다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는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로부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는 평면상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로부터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3 단부(200E3)는 편광판(2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3 단부(200E3)는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와 평면상 나란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제3 단부(200E3)는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로부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2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편광판(200)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200)의 제2 단부(200E2)와 접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2A) 상의 편광판(20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덮어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2A)의 상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층(300)은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유기층(300)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하는 단부(300E)를 가질 수 있다. 유기층(300)의 단부(300E)는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유기층(300)의 단부(300E)는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와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와 유기층(300)의 단부(300E) 사이의 공차는 실질적으로 0일 수 있다. 상기 공차는 평면상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와 유기층(300)의 단부(300E)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표시 패널(100)의 제3 영역(3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을 전체적으로 덮고,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1 평면 영역(FA1)의 일부 및 제2 평면 영역(FA2)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편광판(200)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제3 영역(3A)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200)의 제3 단부(200E3)와 접할 수 있다.
어떤 적층체를 구부리는 경우에, 상기 적층체 내에는 스트레스 중성 평면(stress neutral plane)이 존재할 수 있다. 만일 벤딩 보호층(350)이 존재하지 않으면, 표시 패널(100)을 구부림에 따라 벤딩 영역(BA) 내의 도전층에 과도한 인장 스트레스 등이 인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전층의 위치가 스트레스 중성 평면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벤딩 보호층(350)을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하고, 벤딩 보호층(350)의 두께 및 모듈러스 등을 조절함으로써, 표시 패널(100), 벤딩 보호층(350) 등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있어서 스트레스 중성 평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보호층(350)을 통해 스트레스 중성 평면이 상기 도전층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전층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보호층(350)은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층(300)은 벤딩 보호층(3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층(300)과 벤딩 보호층(35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200) 상에는 투명 접착층(400)이 배치되고, 투명 접착층 상에는 커버 윈도우(500)가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접착층(400)은 편광판(200)에 커버 윈도우(500)를 접착시킬 수 있다. 투명 접착층(400)은 투명 접착제,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10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수 부재(600)는 제1 영역(1A)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 및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와 접할 수 있다. 방수 부재(60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 및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를 밀봉하여 수분이 표시 패널(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 부재(600)는 투명 접착층(400)의 단부에도 접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기판(110), 절연층들(121, 123, 125, 127, 129), 박막 트랜지스터(130), 유기 발광 소자(140), 봉지층(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평면 영역(FA1)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 외에도 표시 영역(DA) 외측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면 영역(FA2) 및 벤딩 영역(BA)도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30)와 같은 스위칭 소자, 유기 발광 소자(140)와 같은 표시 소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 전원을 전달하는 구동 전원선, 공통 전원선 등의 신호 배선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상기 구동 전원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130), 상기 공통 전원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140) 등의 전기적 결합에 의해 화소가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는 화소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 및 공통 전원에 따라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소자(140)를 통과하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기판(110)은 가요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1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30)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또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31), 게이트 전극(133a),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3a)은 박막 트랜지스터(130)에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저저항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133a)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전도성이 좋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으며, 반도체층(13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반도체층(131)과 게이트 전극(133a)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123)이 반도체층(131)과 게이트 전극(133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33a)의 상부에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125)이 배치될 수 있고,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층간 절연막(12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반도체층(131)과 접촉 구멍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30)와 기판(110) 사이에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층(121)이 개재될 수 있다. 버퍼층(121)은 기판(110)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거나 기판(110)을 통한 불순물이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반도체층(13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30) 상에는 평탄화층(127)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130)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140)가 배치되는 경우에, 평탄화층(127)은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평탄화층(127)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층(127)이 표시 영역(DA)의 외측에서 개구를 가짐으로써, 표시 영역(DA)의 평탄화층(127)의 부분과 벤딩 영역(BA)의 평탄화층(127)의 부분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에서 침투한 불순물 등이 평탄화층(127)을 통해 표시 영역(DA) 내부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영역(DA) 내의 평탄화층(127) 상에는 화소 전극(141), 대향 전극(145)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4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140)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141)은 평탄화층(127)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평탄화층(127) 상부에는 화소 정의막(129)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9)은 각 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화소 전극(141)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정의막(129)은 화소 전극(141)의 가장자리와 화소 전극(141) 상부의 대향 전극(145)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 전극(141)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9)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40)의 중간층(143)은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143)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이 단일한 또는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143)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정공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공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 전극(145)은 표시 영역(D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향 전극(145)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140)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 전극들(141)에 대응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40)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봉지층(150)은 유기 발광 소자(140)를 덮어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50)은 표시 영역(DA)을 덮으며 표시 영역(DA)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봉지층(150)은 제1 무기 봉지층(151), 유기 봉지층(153), 및 제2 무기 봉지층(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층(151)은 대향 전극(145)을 덮으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무기 봉지층(151)과 대향 전극(145) 사이에 캡핑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제1 무기 봉지층(151)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므로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유기 봉지층(153)은 제1 무기 봉지층(151)을 덮으며, 제1 무기 봉지층(151)과 다르게 그 상면이 대략 평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봉지층(153)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봉지층(153)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 봉지층(155)은 유기 봉지층(153)을 덮으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 봉지층(155)은 표시 영역(DA) 외측에 위치한 그 가장자리에서 제1 무기 봉지층(151)과 접촉함으로써, 유기 봉지층(15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봉지층(150) 상에는 투광성 접착제(450)에 의해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다. 투광성 접착제(450)와 편광판(200)은 평탄화층(127)의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버퍼층(121), 게이트 절연막(123) 및 층간 절연막(125)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135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35c)은 제1 평면 영역(FA1)에서 벤딩 영역(BA)을 거쳐 제2 평면 영역(F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도전층(135c)은 표시 영역(DA)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35c)은 소스 전극(135a) 또는 드레인 전극(135b)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도전층(135c) 외에 제2 도전층(13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도전층(133b)은 제1 도전층(135c)이 위치한 층과 상이한 층에 위치하도록 제1 평면 영역(FA1)에 배치되며, 제1 도전층(135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2 도전층(133b)이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게이트 전극(133a)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제1 도전층(135c)이 층간 절연막(125)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제1 평면 영역(FA1)에 위치하는 제2 도전층(133b)에 접촉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2 도전층(133b)은 표시 영역(DA)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도전층(135c)이 제2 도전층(133b)을 통해 표시 영역(DA)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을 가로지르는 제1 도전층(135c)이 연신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도전층(135c)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제1 도전층(135c)이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평면 영역(FA1)에는 제1 도전층(135c)보다는 연신율이 낮지만 제1 도전층(135c)과 상이한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갖는 물질로 제2 도전층(133b)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 전달의 효율성이 높아지거나 제조 과정에서의 불량 발생률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도전층(133b)은 몰리브덴을 포함하고, 제1 도전층(135c)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칩(37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평면 영역(F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칩(370)은 제2 평면 영역(FA2) 상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135c), 제2 도전층(133c), 또는 이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도전층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1 도전층(135c)의 단부에 구동회로칩(370)이 배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동회로칩(370)은 다른 도전층과 연결될 수도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 상에 위치하는 벤딩 보호층(350)의 단부는 편광판(200)에 접촉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350)은 평탄화층(127), 화소 정의막(129) 및 봉지층(150)의 유기 봉지층(15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550)은 기판(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55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개구부(OP)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10)과 보호 필름(550) 사이에는 보호 필름(550)을 기판(110)에 접착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 물질(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등을 포함하는 점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 상에 편광판(200)을 부착하고, 유기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표시 패널(100) 상에 편광판(200)을 부착할 수 있다. 편광판(200)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평면 영역(FA1)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판(200)은 투광성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 표시 패널(100) 상에 유기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편광판(200)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 벤딩 영역(BA)에 인접하는 제1 평면 영역(FA1)의 일부 및 제2 평면 영역(FA2)의 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300)은 편광판(200)과 제1 평면 영역(FA1) 상에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200)과 유기층(300) 사이에 경계(BD)가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200)과 유기층(300) 사이의 경계(BD)는 제1 방향(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층(300)은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절단 라인(CL)을 따라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을 동시에 절단하고, 표시 패널(100)과 유기층(300)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표시 패널(100), 편광판(200), 및 유기층(300)을 절단하기 전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도 13 및 도 14는 표시 패널(100), 편광판(200), 및 유기층(300)을 절단한 후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절단 라인(CL)은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2 영역(2A)과 제3 영역(3A)의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절단 라인(CL)을 따라 제1 영역(1A)에서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이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절단 라인(CL)을 따라 제2 영역(2A) 및 제2 영역(2A)과 제3 영역(3A)의 사이에서 표시 패널(100)과 유기층(300)이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제2 영역(2A)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은 제1 영역(1A)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보다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라인(CL)은 제1 영역(1A)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의 경계에서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영역(1A)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영역(1A)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은 편광판(200)과 유기층(300)의 경계(BD)로부터 제3 방향(D3)에 위치하고, 제2 영역(2A)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은 편광판(200)과 유기층(300)의 경계(BD)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 라인(CL)은 편광판(200)과 유기층(300)의 경계(BD)와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의 경계가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갈 수 있다.
제2 영역(2A)과 제3 영역(3A) 사이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은 제2 영역(2A)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CL)보다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라인(CL)은 제2 영역(2A)과 제3 영역(3A) 사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 편광판(200), 및 유기층(300)은 레이저(700)를 이용하여 절단될 수 있다. 레이저(700)를 이용하여 절단 라인(CL)을 따라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함으로써,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이 동시에 절단되고, 표시 패널(100)과 유기층(300)이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제1 영역(1A)에서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이 동시에 절단됨에서 따라, 절단 라인(CL)에 형성된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는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비교예에 있어서, 편광판(200)을 절단한 후에 편광판(200)의 단부와 표시 패널(100)의 단부가 평면상 정렬되도록 편광판(200)을 표시 패널(100) 상에 부착하는 경우,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편광판(200)이 수축하여 편광판(200)의 단부가 제3 방향(D3)으로 이동하여 편광판(200)의 단부와 표시 패널(100)의 단부가 평면상 정렬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판(200)의 수축에 따라 노출된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 상에 편광판(200)을 부착한 후에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을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제1 영역(1A)에서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와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가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제2 영역(2A)에서 표시 패널(100)과 유기층(300)이 동시에 절단됨에서 따라, 절단 라인(CL)에 형성된 표시 패널(100)의 제2 단부(100E2)와 유기층(300)의 단부(300E)는 평면상 정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단 라인(CL)을 따라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을 동시에 절단하고, 표시 패널(100)과 유기층(300)을 동시에 절단한 후에, 편광판(200) 상에 투명 접착층(400)을 부착하고, 투명 접착층(400) 상에 커버 윈도우(500)를 부착하며,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 및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에 방수 부재(600)를 형성할 수 있다. 평면상 정렬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 및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에 방수 부재(600)가 접함에 따라, 방수 부재(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1 단부(100E1) 및 편광판(200)의 제1 단부(200E1)를 밀봉하여 수분이 표시 패널(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편광판
300: 유기층 350: 벤딩 보호층
400: 투명 접착층 500: 커버 윈도우
600: 방수 부재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편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며,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단부와 평면상 정렬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2 단부와 접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제2 단부와 평면상 나란한,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3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벤딩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상기 벤딩 보호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 단부와 접하는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접착층; 및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투명 접착층의 단부에 접하는, 표시 장치.
  1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유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와 상기 편광판의 단부는 평면상 정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와 상기 유기층의 단부는 평면상 정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제1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경계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유기층의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판 및 상기 유기층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더 정의되는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절단된 상기 표시 패널의 단부 및 상기 편광판의 단부에 접하는 방수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을 동시에 절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유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편광판 상에 투명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커버 윈도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124270A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70A KR102651935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910701699.7A CN111081893A (zh) 2018-10-18 2019-07-31 显示装置和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US16/527,794 US11228021B2 (en) 2018-10-18 2019-07-31 Display panel and device including protruding end overlapping ends of organic layer and polariz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70A KR102651935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37A true KR20200044237A (ko) 2020-04-29
KR102651935B1 KR102651935B1 (ko) 2024-03-28

Family

ID=7027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270A KR102651935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8021B2 (ko)
KR (1) KR102651935B1 (ko)
CN (1) CN1110818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49A (zh) * 2017-08-31 2019-03-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197845B (zh) * 2019-06-20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165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5659A (ko) * 2014-09-23 2016-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834402T3 (en) 2012-04-04 2018-01-15 Ucomposites As Process for converting a fiberglass material and products obtained by the process
KR102000043B1 (ko) 2012-10-31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4267848B (zh) 2014-09-26 2017-10-31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307693B1 (ko) 2014-12-12 2021-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68467B2 (en) * 2016-03-15 2019-11-05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2651056B1 (ko) * 2016-08-18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2719A (ko) * 2016-09-22 2018-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3364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3196B1 (ko) * 2017-03-24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US10665649B2 (en) * 2018-04-24 2020-05-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165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5659A (ko) * 2014-09-23 2016-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7229A1 (en) 2020-04-23
KR102651935B1 (ko) 2024-03-28
US11228021B2 (en) 2022-01-18
CN111081893A (zh)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20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48942B2 (en) Display device
US11437444B2 (en) Display device
US9991465B2 (en) Display device having crack prevention portion
US11256357B2 (en) Display device
KR102664207B1 (ko)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1533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982112B2 (en) Display panel
KR20180032719A (ko) 표시 장치
US104316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73004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wirings electrically connecting oxide conductive layer and sensor electrode
US10901463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1155213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5075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detecting unit having an insulating pattern
KR20180089608A (ko) 표시 장치
KR10265193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751416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guide structure used therein
US2021026558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69393B2 (en) Display device
US12004365B2 (en) Display device
US20220352485A1 (en) Display device
KR102671367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80208A1 (en) Display device
CN109300909B (zh) 具有柔性电路膜的显示装置
KR20230090379A (ko) 표시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