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278A -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 Google Patents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278A
KR20200043278A KR1020190125070A KR20190125070A KR20200043278A KR 20200043278 A KR20200043278 A KR 20200043278A KR 1020190125070 A KR1020190125070 A KR 1020190125070A KR 20190125070 A KR20190125070 A KR 20190125070A KR 20200043278 A KR20200043278 A KR 20200043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speaker
loudspeaker array
array
hea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919B1 (ko
Inventor
마르쿠스 에. 크리스토프
폴 주콥스키
플로린 네그룻
팅리 카이
안드레아스 프랑크
Original Assignee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43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3/00Details of 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3/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3/12Beamforming aspects for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with loudspeake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4Positioning of loudspeaker enclosures for spatial sound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예시적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는 청자의 머리가 청취 위치에 있도록 좌석에 앉아 있는 청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좌석; 및 좌석에 고정되고 좌석의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머리가 청취 위치에 있을 때 머리 한쪽으로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포함한다.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고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가지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메인 방송 방향은 머리를 가리킨다.

Description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LOUDSPEAKER ARRANGEMENT}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출원 번호 62/746,817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 사운드 존(ISZ, Individual sound zone) 시스템들은 임의의 주어진 공간에 가상의 소스들 또는 상호 격리된 음향 존들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개별 사운드 존"(ISZ) 또는 그냥 사운드 존이라고도 한다. 개별 사운드 존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양한 영역에서 상이한 음원들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음향적으로 격리된 존에서 스피커폰 대화를 수행할 수 있음으로 인해 보다 큰 관심을 불러왔다. ISZ 시스템들은 특정 위치들에 음향적으로 조명되는(강화되는) 존들(브라이트 존들이라고 함)을 생성하고, 그 외 다른 영역들에 음향적으로 희미해지는(억제되는) 존들(다크 존들이라고 함)을 생성하는 음파장을 만든다. 브라이트 존과 다크 존 사이의 음향 대비가 클수록, 특정 존들 사이의 크로스 토크 제거(CTC, cross talk cancellation)가 보다 효과적일 것이고 ISZ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들에 설치된 통상적인 ISZ 시스템들은 좌석들의 머리 받침대들에 통합되는 라우드 스피커들을 이용한다. 그에 따라 라우드 스피커들은 청자가 좌석에 앉을 때 청자의 머리의 뒤에 배치되는데, 이는 대개의 경우 대응하는 사운드 존들의 뒷부분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사운드가 뒤로부터 오는 것으로 인지되기 때문에 브라이트 존에 바람직하지 않은 음향 성능을 야기하며, 이는 청자에게 부자연스러운 사운드 느낌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청자의 머리와 어깨에서 사운드가 회절됨에 따라 머리 받침대의 라우드 스피커들에 의해 방사되는 사운드의 대규모 산란으로 인해 CTC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ISZ 시스템들 및 유사한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요구가 있다.
예시적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는 청자의 머리가 청취 위치에 있도록 좌석에 앉아 있는 상기 청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좌석; 및 상기 좌석에 고정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좌석의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상기 머리가 상기 청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머리 좌우로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고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가지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메인 방송 방향은 상기 머리를 가리킨다.
그 외 다른 배열체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및 첨부된 도면들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한 모든 추가 배열체, 특징 및 이점은 이 설명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배열체는 이하의 도면들 및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의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인 것은 아니고, 대신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도면들에서, 같은 참조 부호들은 상이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도 1은 대표적인 음향 머리 받침대를 갖는 좌석에 앉아 있는 청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황의 상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황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에 통합되고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갖는 라우드 스피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하우징에 통합되고 두 개의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를 갖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하우징에 통합되는 양방향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라우드 스피커들을 청자의 귀에 더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그것들을 청자의 머리에 관하여 좌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브라이트 존에서 고유 사운드가 보다 많이 인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TC 성능이 양호해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방의 음향 특성(예를 들어, 경질 반사 표면들의 크기 및 위치에 의해 획정되는)을 고려함으로써 추가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설계된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는 귀에 음향을 집중시킴으로써 브라이트 존의 음향 상태를 개선하고 다크 존들 내에서 인지되는 반사 사운드 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그리고 청자의 머리 및 어깨로부터의 그리고 방의 반사 표면들로부터의 편향에 의해 야기되는 음향 간섭이 상당히 감소되도록 머리 받침대 스피커들의 정렬을 개선시킴으로써 CTC 성능을 개선한다. 라우드 스피커 위치들을 (브라이트 및 다크) 사운드 존들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시스템의 수동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청자(101)가 머리 받침대(102)를 갖는 좌석(도시되지 않음)에 앉아 청자의 머리(103)의 청취 위치를 정의할 때 청자(101)의 전방 우측 방향으로부터 청자(101)의 사시도이다.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4 및 105)(어레이(105)는 도 1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머리 받침대(102)를 통해 좌석에 부착되고 좌석의 등받이(도시되지 않음) 앞 그리고 머리(103)가 청취 위치에 있을 때 머리(103) 양쪽 위치들에 배치된다. 이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이 머리(103) 좌우로, 즉 머리(103)의 귀(106 및 107)(귀(107)는 도 1에서 보이지 않는다)에 인접하여 배치됨을 의미한다.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 각각은 각각의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방향)(108, 109)을 갖는다.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4 및 105)의 메인 방송 방향들은 머리(103)를 가리킨다. 도시된 예에서, 메인 방송 방향들은 특히 머리(103)의 턱(110) 또는 입(111)을 가리킨다.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은 좌석에 직접(도시되지 않음) 또는 간접적으로(도시됨)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그 외 다른 적절한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진 기본적으로 u자형 단단한 시트(112)(이는 탑승자 안전 및/또는 안락함을 이유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폼층 또는 임의의 그 외 다른 적절한 부드러운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가 머리 받침대(102)에서부터 거꾸로 뒤집어 씌워진다. 대략 u자형 지지 구초제(113)가 시트(112) 뒤쪽으로, 즉 머리(103)로부터 돌아선 쪽으로 시트(112)에 고정되고,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을 머리(103)에 관해 좌우 위치들에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체는 머리 받침대(102) 또는 좌석(예를 들어, 그것의 등받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 구조체(113)는 다수의(예를 들어, 다섯 개의) 상호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지만 대안적으로는 일체로, 즉 한 피스로 설계될 수도 있다. 추가 대안 예에서, 한 피스 또는 다중 피스의 지지 구조체는 등받이 또는 머리 받침대에 통합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 구조체는 청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또는 기계식으로 기울일 수 있거나(tiltable) 옮길 수 있거나(shiftable) 또는 오므릴 수 있다(retractable).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을 지지 구조체(113)에 고정할 수 있는 각각의 (통기되는 또는 통기되지 않는) 하우징들(114 및 115)에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열체의 정면도이며, 여기서 z축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104)의 중심점(A)과 만나고(에서 생기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화살표(Z)로 표기된다. y축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104))의 중심점(A)에서 생기고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로부터 수직하게(떠나 수직하게) 만나는 직선 화살표(Y)로 표기되고, z축과 y축 간 각도(α)는 곡선 화살표로 표기된다. 나아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105)의 중심점들은 도 2에서 점들(A 및 B)로 도시된다. 중심점(A)(뿐만 아니라 중심점(B))은 z축에 따른 레벨의 관점에서 청자(101)의 턱(110)의 레벨에 대응할 수 있고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105)이 통합된 인클로저들(114, 115)의 크기는 브라이트 존에서의 음향 상태 및 CTC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청자(101)의 가로막는 것이 없는 파노라마 뷰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레벨에 배치된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은 높은 레벨들에서, 예를 들어, 귀 레벨에서의 경우보다 운행시 청자의 머리에서 보다 적은 반사를 일으켜, CTC 성능이 향상된다. 다른 예에서, 점(A)와 점(B) 사이 거리는 머리 받침대(102)의 폭을 초과하고 좌석의 등받이의 폭 이하이도록 선택된다. 청자(101)의 자유롭고 안전한 움직임을 감안하여 그 거리는 예를 들어, 350mm일 수 있다. 각도(α)로 표현되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104))의 대응하는 기울기는 0° 내지 50°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각도(α)는 일반적으로 브라이트 존들과 다크 존들로의 분리, 특히 방, 예를 들어, 그것의 천장을 건축하거나 피복하는 데 이용되는 재질 및 형상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천장에 유리와 같은 반사성 경질 표면이 사용될 경우, 사운드 반사 각도는 이러한 방에서 더 많은 탑승자가 앉아 있는 곳에 따라 그리고 탑승자의 머리와 천장에서 일어나는 반사를 통해 사운드가 브라이트 존에서 다크 존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각도(α)는 다크 존들에서 인지할 수 있는 반사가 최소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이 반사적이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선 루프가 없을 경우), 각도(α)는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천장(예를 들어, 헤드라이너의 흡음재)의 흡음 특성들이 사운드를 감쇠시키고, 그에 따라 다크 존으로 전달되는 반사음 에너지를 줄이기 때문이며, 이것이 CTC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각도(α)는 대략 20°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열체의 상면도이며, 여기서 x축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104)의 중심점(A)과 만나고(에서 생기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화살표(X)로 표기된다. y축은 다시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104))의 중심점(A)과 만나고(에서 생기고)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104))로부터 떠나 x축에 관하여 각도(β)(곡선 화살표로 표기됨) 아래로 연장되는 직선 화살표(Y)로 표기된다.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105)의 중심점들은 도 3에서 점들(A 및 B)로 도시된다. 중심점들(A 및 B)은 CTC는 다소 양호하지만 브라이트 존에서의 음향 상태는 좋지 않은 귀 뒤에, 즉 머리 받침대에 보다 가깝게 배열된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과 대조적으로, 브라이트 존 성능과 CTC 사이의 최적의 균형을 감안하여 중심점들(A와 B) 사이 가상선이 청자의 귀(106, 107)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이 머리 받침대로부터 x 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되면, 인지 가능한 스위트 스폿 영역 또한 전방으로 이동하여, 브라이트 존에서의 음향 상태는 양호해지지만 CTC는 다소 악화된다. 머리 받침대로부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중간 위치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어, 대략 130mm일 수 있다.
각도(β)로 표현되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대응하는 기울기는 0° 내지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이러한 기울기가 청자의 머리에서 그 바로 옆 탑승자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사운드를 반사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다크 존으로부터 브라이트 존을 분리하는 데 다소 중요하다. 이러한 기울기 각도는 또한 브라이트 존을 확장할 수 있게 하고 머리가 청취 위치 부근으로 움직이더라도 인지적 성능에 유리하다. 이러한 기울기 각도는 또한 청자의 머리가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힐 수 있게 한다. 각도(β)는 예를 들어, 대략 15°일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배열체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도 2 및 도 3과 관련되어 상술된 바와 같은 x축 및 z축은 x축과 z축 사이 기울기 각도(γ)와 관련되어 도시된다. 이러한 기울기 각도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105(104))의 지향성 패턴(방사 특성들)의 회전 대칭으로 인해 존 분리 및 CTC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은 각각 하나 이상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구성으로 어레이(및 하우징(502))마다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501)가 시용된다. 이러한 최소 구성은 비용 및 공간을 이유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라우드 스피커 표면의 중심점이 x축에 따른 청자의 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어레이의 중심점(A(B))을 형성한다. 두 개 이상의 스피커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배열체의 성능이 더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라우드 스피커들의 수에 관한 개선의 정도를 고려시, 어레이마다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가 최상의 비용 대 성능 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어레이(603)(및 하우징(604))마다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601 및 60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경우, 라우드 스피커들(601과 602) 사이에 정확하게 있는 라우드 스피커의 중심점(A(B))의 배치는 x축에 따른 청자의 귀(들)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심점은 라우드 스피커들(601 또는 602) 중 어느 하나의 중심일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어레이마다 두 개(또는 그보다 많은) 라우드 스피커는 서로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된다. 나아가, 각각의 스피커는 선택적으로 그것들이 가능한 최대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그 자체의 밀폐된 음향 볼륨으로 작동할 수 있다. 어레이마다 두 개 이상의 라우드 스피커를 채용하면 빔성형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CTC 성능뿐만 아니라 브라이트 존에서의 음향 상태도 더 개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추가 예에서는,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701 및 702)가 하우징(704)에 통합되는 어레이(703)를 형성한다. 상이한 사운드 존들의 저주파수 분리를 개선하기 위해, 라우드 스피커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라우드 스피커(701)는 우퍼 또는 적합한 중역 라우드 스피커와 같은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이다. 다른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702)는 적합한 중역 라우드 스피커 또는 트위터와 같은 보다 높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일 수 있다.
추가 예에서, 라우드 스피커(702)의 중심점은 어레이(703)의 중심점(A(B))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추가 예에서, 어레이(703)의 중심점(A(B))은 x축에 따른 청자의 귀(들)의 위치에 가깝에 위치될 수 있는 한편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701)는 x축에 따른 위치에서 청자의 귀(들)의 위치 뒤에, 즉 라우드 스피커(702)의 위치보다 머리 받침대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추가 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는 머리 받침대 또는 등받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나 청자의 귀 위치들을 가리킬 수 있다. 머리 받침대 그리고 더 큰 정도로 등받이는 예를 들어, 개별 사운드 존 시스템들 및 로드 노이즈 조절 시스템들과 같은 몇몇 적용 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보다 높은 전력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들과 같이 보다 큰 라우드 스피커들을 구비하는 것을 감안한다.
다른 추가 예에서,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701) 및 보다 높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702)는 서로에 가능한 가깝게 배열된다. 그러나, 설계, 안전 또는 공간적 배치의 이유들로 인해, 보다 낮은 주파의 라우드 스피커를 머리 받침대에 더 가깝게, 머리 받침대로 또는 등받이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우드 스피커 위치의 변경은 저주파에 대한 CTC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이는 보다 강력한 라우드 스피커를 사용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저주파의 라우드 스피커가 개별 존들에 매우 근접함으로 인해 통상적인 배열체들에 비해 저주파 성능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는 CTC 성능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를 다시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113)는 여기서, 이미 개요가 서술된 바와 같이, 다중 피스 구조체이고 전면이 탑승자 안전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브라이트 존에서 인지 가능한, 고주파에서의 보다 양호한 음향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람직한 브레이크-오프 에지가 나타나도록 설계되는 반면, 하우징들(114, 115)의 모든 측 내에 하우징들(114, 115)을 포함함으로써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들(104 및 105)이 통합된 하우징들(114 및 115)에 대한 운반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두 선단 피스(116 및 117)를 갖는다. 또한 5-10mm의 깊이를 갖는 경질 브레이크-오프 에지(연질 몰딩이 없는)가 CTC에 아무런 악영향이 없는 양호한 음향 결과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우징(114(115))과 선단 피스(116(117)) 사이에는 도파관(119(120))이 배열된다. 하우징(114(115))은 선단 피스(116(117))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파관(119(120))은 경질 브레이크-오프 에지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20kHz까지의 보다 높은 주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을 참조하면, 어레이들에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118)을 통합시킴으로써, 개별 사운드 존 시스템들 및 유사한 요건들을 갖는 시스템들, 이를테면 핸즈 프리 전화 통신 시스템들, 차량 내 통신 시스템들, 자동 노이즈 조절 시스템들 등에서의 하우징들 및/또는 운반체들 또한 개선될 수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폰들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운반체(116, 117)의 (상반부 및) 앞부분과 뒷부분 사이 중간에서 하우징(114, 115) 위에 있을 청자의 입 또는 귀의 잠재적인 위치에 매우 근접하기 때문이다. x축에 따른 운반체의 위치에 따라, 마이크로폰(들)은 대안적으로 운반체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마이크로폰(들)은 운반체 대신 하우징 또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에 통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이 머리의 양쪽에 배치될 경우, 이는 청자가 그/그녀의 머리를 돌릴 때 레코딩되는 음성 레벨의 편차를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빔성형이 적용되어 성능을 더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신호 대 잡음 비(SNR)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폰 위치(들)가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미 양호하게 잔향 반경 내에 있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한쪽에 하나의 마이크로폰이면 충분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마이크로폰들은 라우드 스피커들과 같이, 청자의 머리, 예를 들어, 탑승자의 입을 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및/또는 운반체의 셰이딩 효과가 탑승자의 입이 아닌 소스들로부터의 사운드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실시 예들에 적합한 변형 및 변경이 상기한 설명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방법들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설명된 배열체들은 사실상 대표적인 것이고, 추가 요소들을 포함하고/거나 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단수로 나열되고 "하나" 또는 "한"이라는 단어가 선행되는 요소는 배제가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상기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 예" 또는 "일례"의 언급들은 또한 나열된 특징부들을 통합하는 추가 실시 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그것들의 대상들에 수치적 요건들 또는 특정 위치적 순서를 지우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실시 예 및 구현 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당업자는 상이한 실시 예들로부터의 다양한 특징의 호환성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들 및 배열체들이 특정 실시 예들 및 예들의 상황에서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기술들 및 시스템들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예들을 넘어서 그 외 다른 실시 예들 및/또는 용례들 및 명백한 변형 예들로 확장될 수 있다.

Claims (31)

  1.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로서,
    청자의 머리가 청취 위치에 있도록 좌석에 앉아 있는 상기 청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좌석; 및
    상기 좌석에 고정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좌석의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상기 머리가 상기 청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머리 한쪽으로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로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고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가지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메인 방송 방향은 상기 머리를 가리키는,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는 :
    상기 좌석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머리가 상기 청취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좌석의 상기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상기 머리 한쪽으로 배치되어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가 상기 머리 양쪽에 배치되게 하는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고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가지며,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메인 방송축은 상기 머리를 가리키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 방송 방향이 상기 머리의 턱 또는 입을 가리키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 부착되는 머리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머리 받침대를 통해 상기 좌석에 고정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좌석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기울일 수 있거나(tiltable) 옮길 수 있거나(shiftable) 또는 상기 좌석의 머리 받침대 또는 상기 등받이에 집어넣을 수 있는(retractable), 라우드스피커 배열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에 통합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음향 볼륨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9. 청구항 2에 있어서,
    중심점은 z축에 따른 상기 머리의 턱 또는 입의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z축에 따른 레벨을 가지며, 상기 z축은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점과 만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z축과 y축 사이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y축은 상기 중심점과 수직하게 만나고, 상기 z축과 상기 y축 사이 각도는 0°와 50° 사이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y축과 x축 사이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x축은 상기 중심점 및 머리 받침대와 만나며, 상기 y축과 상기 x축 사이 각도는 0°와 30° 사이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은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청자의 귀 또는 상기 청자의 상기 귀 뒤 또는 상기 청자의 상기 귀 앞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3. 청구항 9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중심점들을 갖는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중심점들 간 거리가 상기 좌석의 머리 받침대의 폭을 초과하고 상기 등받이의 폭 이하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는 상기 청자의 가로막는 것이 없는 파노라마 뷰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높은 레벨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두 개의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점이 상기 두 개의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 사이 거리의 절반에 의해 또는 상기 두 개의 동일한 라우드 스피커 중 하나의 중심에 의해 정의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상기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 중 하나가 저주파수 특성들을 갖고 상기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 중 다른 하나는 고주파수 특성들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심점이 상기 고주파수 특성들을 갖는 상기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의 중심에 의해 정의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이한 스펙트럼 특성들을 갖는 라우드 스피커들을 갖는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심점이 상기 청자의 귀 또는 상기 청자의 귀와 상기 좌석의 머리 받침대 또는 상기 등받이 사이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추가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청자의 귀 또는 상기 청자의 입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반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4. 청취자의 머리가 청취 위치에 있도록 좌석에 상기 청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 받침대를 갖는 좌석에서의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로서,
    기울일 수 있거나 옮길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머리 받침대에 집어넣을 수 있는 지지 구조체;
    제1 운반체 상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로서,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좌석의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상기 머리가 상기 청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머리 한쪽으로 배치되는,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갖는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로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메인 방송 방향이 상기 머리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
    제2 운반체 상 제2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로서,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는 상기 머리가 상기 청취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좌석의 상기 등받이 앞 위치에 그리고 상기 머리 양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가 상기 머리 한쪽에 배치되게 하는,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메인 방송 방향을 나타내는 메인 방송축을 갖는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로서,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상기 메인 방송 방향이 상기 머리를 가리키는,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1 운반체 및 상기 제2 운반체 중 적어도 하나가 획정된 브레이크-오프 에지(break-off edge)를 갖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관된 제1 음향 볼륨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관된 제2 음향 볼륨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중심점이 z축에 따른 상기 머리의 턱 또는 입의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z축에 따른 레벨을 가지며, 상기 z축은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및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점과 만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중심점 및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의 중심점 간 거리가 상기 좌석의 상기 머리 받침대의 폭을 초과하고 상기 등받이의 폭 이하인,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청자의 가로막는 것이 없는 파노라마 뷰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높은 레벨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29.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상기 제2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1 운반체 및 상기 제2 운반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1 운반체 및 상기 제2 운반체의 상반에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자의 입 또는 상기 청자의 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KR1020190125070A 2018-10-17 2019-10-10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KR102640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6817P 2018-10-17 2018-10-17
US62/746,817 2018-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278A true KR20200043278A (ko) 2020-04-27
KR102640919B1 KR102640919B1 (ko) 2024-02-27

Family

ID=6828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70A KR102640919B1 (ko) 2018-10-17 2019-10-10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9981B2 (ko)
EP (1) EP3641330A1 (ko)
JP (1) JP2020063036A (ko)
KR (1) KR102640919B1 (ko)
CN (1) CN1110650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42B1 (ko) * 2020-05-15 2022-02-08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JP7485548B2 (ja) 2020-05-29 2024-05-16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内異音検知装置
US11590869B2 (en) 2021-05-28 2023-02-28 Bose Corporation Seatback speakers
EP4158907A1 (en) 2020-06-01 2023-04-05 Bose Corporation Backrest speakers
KR102378865B1 (ko) * 2020-06-16 2022-03-25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N116724566A (zh) * 2020-12-31 2023-09-08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与车辆头枕一起使用的模块化音频组件
CN114051188B (zh) * 2021-11-04 2022-07-01 湖南捷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耳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01A (ko) * 2008-12-16 201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인 어레이 스피커의 음향제어 방법
US20120170788A1 (en) * 2011-01-05 2012-07-05 Cherno Waka Jagne Configurable headset support with variable positioning
US20160100250A1 (en) * 2014-10-02 2016-04-07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Noise-cancel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headrest
WO2018033885A2 (en) * 2016-08-18 2018-02-22 Guerrini Pierpaolo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CN108471576A (zh) * 2018-06-13 2018-08-31 佛山市优美科技有限公司 汽车座椅独立音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791A (en) * 1975-02-27 1977-08-16 Murriel L. Wiseman Stereophonic head rest
LU74292A1 (ko) 1975-07-25 1976-06-18
JPH0385096A (ja) 1989-08-28 1991-04-10 Pioneer Electron Corp 体感音響装置用スピーカシステム
US5133017A (en) * 1990-04-09 1992-07-21 Active Noise And Vibration Technologies, Inc. Noise suppression system
JPH04116450U (ja) 1991-03-29 1992-10-19 宏 吉原 自動車電話用受話器
JP2001112572A (ja) 1999-10-20 2001-04-24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付シート並びに音響システム
JP2002191469A (ja) 2000-12-25 2002-07-09 Sony Corp シート及びヘッドレスト
US7684577B2 (en) * 2001-05-28 2010-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mounted stereophonic sound field reproducer
BRPI0515643A (pt) * 2004-09-07 2008-07-29 Sensear Pty Ltd equipamento e método para melhoria do som
US8126159B2 (en) 2005-05-17 2012-02-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ersonalized sound zones
US8325938B2 (en) * 2008-08-12 2012-12-04 Sony Corporation Handsfree call apparatus, acoustic reproducing apparatus with handsfree call function, and handsfree call method
US9950793B2 (en) 2009-10-02 2018-04-24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JP2011205487A (ja)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指向性音響システム
US9449591B2 (en) 2012-10-25 2016-09-20 Domash Design Source LLC Visual and/or acoustic privacy features
KR102025162B1 (ko) * 2015-01-20 2019-09-25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자동차에서 3 차원 사운드 재생을 위한 라우드 스피커 배치
EP3133831A1 (en) 2015-08-20 2017-02-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and method for in-car communication
US10477303B1 (en) * 2018-09-25 201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justable positioning head restraint speak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01A (ko) * 2008-12-16 201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인 어레이 스피커의 음향제어 방법
US20120170788A1 (en) * 2011-01-05 2012-07-05 Cherno Waka Jagne Configurable headset support with variable positioning
US20160100250A1 (en) * 2014-10-02 2016-04-07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Noise-cancel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headrest
WO2018033885A2 (en) * 2016-08-18 2018-02-22 Guerrini Pierpaolo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CN108471576A (zh) * 2018-06-13 2018-08-31 佛山市优美科技有限公司 汽车座椅独立音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1330A1 (en) 2020-04-22
US11509981B2 (en) 2022-11-22
JP2020063036A (ja) 2020-04-23
KR102640919B1 (ko) 2024-02-27
CN111065033B (zh) 2023-04-11
CN111065033A (zh) 2020-04-24
US20200128312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919B1 (ko) 라우드 스피커 배열체
KR100840081B1 (ko) 차량용 스피커 어레이
US9854363B2 (en) Loudspeaker system
US7343020B2 (en) Vehicle audio system with directional sound and reflected audio imaging for creating a personal sound stage
US20070098205A1 (en) Headrest surround channel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JPS61131998A (ja) 音響装置
EP3546285A1 (en) Automobile headrest and automobile seat
US20190039492A1 (en) Headrest with speakers
GB2595318A (en) Loudspeaker arrangement
US20240059201A1 (en) Vehicle headrest assembly with configurable speaker modules and control for multiple audio modes
US9967672B2 (en) Audio system
CN116724566A (zh) 与车辆头枕一起使用的模块化音频组件
JP2006273164A (ja) 車載用音響システムおよび車載用シート
CN115299076A (zh) 用于在独立声区中生成低频音频输出的扬声器系统布局
US20240051447A1 (en) Vehicle headrest assembly with deployable speaker modules
US11889250B2 (en) Near to the ear subwoofer
US11838740B2 (en) Automotive audio system and method with tri-polar loudspeaker configuration and floating waveguide equipped transducers in an automotive headrest
JP2001095646A (ja) ヘッドレスト
JP2010245890A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WO2023081437A1 (en) Instrument panel speaker system
JPH07225588A (ja) 車載用スピー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