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253A -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253A
KR20200043253A KR1020190031636A KR20190031636A KR20200043253A KR 20200043253 A KR20200043253 A KR 20200043253A KR 1020190031636 A KR1020190031636 A KR 1020190031636A KR 20190031636 A KR20190031636 A KR 20190031636A KR 20200043253 A KR20200043253 A KR 2020004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line
surface area
paper structur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수
Original Assignee
국일피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일피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일피앤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로서, 상기 종이 구조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종이 구조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하면영역, 상기 종이 구조체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상면영역,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일측에 형성된 제1측벽부,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타측에 형성된 제2측벽부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영역을 분리하는 영역분리벽을 포함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Paper structure for keeping containers and paper member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paper structure for keeping containers}
본 개시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일회용 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포장용 용기가 이미 존재한다. 위 포장용 용기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으며, 구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플라스틱 용기의 상면을 비닐 커버로 덮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한편, 위 포장용 용기 상에는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한 디자인, 예를 들어 포장용 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제품의 사진 등을 프린팅하기 어렵다. 또한 포장용 용기 상면의 비닐 커버는 그 재질의 특성상 찢어지는 등 손상되기 쉽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포장용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 보관용 구조체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이와 같은 용기 보관용 구조체들(100, 10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 100')는 제조의 편의성 및 광고 문구 또는 도안의 프린팅의 용이성 등을 위해 종이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는 한 개의 포장용 용기(C)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는 포장용 용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제조된다. 또한, 제품 판매시에는 제품이 보관된 포장용 용기가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에 수용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된다.
한편, 도 1c에는 두 개의 포장용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각각의 포장용 용기를 제품 섭취 또는 제품 상태 확인 등 필요시마다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다만 이 때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 상에 보관된 각각의 포장용 용기는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포장용 용기를 꺼낼 때 이에 접촉된 다른 포장용 용기도 같이 끌려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끌려 나온 다른 포장용 용기를 다시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 내로 다시 밀어넣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한편, 도 2에는 복수의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의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에는 총 세 개의 포장용 용기 C1, C2, C3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각각의 포장용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용 용기의 커버부가 삽입되는 관통홀(2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100, 100')보다 각각의 포장용 용기의 개별적인 이탈이 더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수용된 세 개의 포장용 용기 중 가장 아래층에 배치된 포장용 용기(C3)와 가운데에 배치된 포장용 용기(C2)가 각각 수용된 영역이 완전 격리된 것이 아니므로, 복수의 포장용 용기가 함께 끌려나오는 상황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의 경우, 포장용 용기의 상부가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의 관통홀(210)에 삽입되어 있어,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를 손상하지 않고 포장용 용기를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어렵다.
한편 포장용 용기를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로부터 이탈시킬 때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를 손상하게 되면 더 이상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를 포장용 용기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가 보관되는 공간의 미관을 위해 손상된 용기 보관용 구조체(200)를 그때마다 버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포장용 용기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복수의 포장용 용기 각각을 수용하는 수용 영역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포장용 용기 각각의 이탈이 용이한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종이 부재로부터 간편하게 제조 가능한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로서, 간이한 구조를 가져 제조가 간단한 종이 부재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간편한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로서, 상기 종이 구조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종이 구조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하면영역, 상기 종이 구조체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상면영역,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일측에 형성된 제1측벽부,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타측에 형성된 제2측벽부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영역을 분리하는 영역분리벽을 포함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종이 구조체 제조용 종이 부재로서, 상기 하면영역의 경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하면라인 및 제2하면라인, 상기 상면영역의 경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상면라인 및 제2상면라인, 상기 제2하면라인 및 상기 제1상면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부를 절곡하도록 구성된 제1측벽 절곡라인, 상기 제2측벽부의 제2하측벽 상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연장접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접착부 절곡라인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제2상측벽 상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상기 영역분리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분리벽 절곡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종이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하면라인 및 제2하면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하면영역을 형성하는 하면영역 형성단계, 상기 제1측벽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제1측벽부를 형성하는 제1측벽부 형성단계, 상기 제1상면라인 및 제2상면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상면영역을 형성하는 상면영역 형성단계, 상기 분리벽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영역분리벽을 형성하는 영역분리벽 형성단계, 상기 접착부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연장접착부를 형성하는 연장접착부 형성단계 및 상기 연장접착부를 상기 제2상측벽 상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구조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용기 보관용 구조체 및 용기 보관용 구조체 상에 포장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른 형태의 종래 기술의 용기 보관용 구조체 및 용기 보관용 구조체 상에 포장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에 포장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가 용기 수용영역을 형성한 상태 및 보관을 위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제조하는 각 과정에서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 및 이에 포장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는 종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종이 구조체(300) 상에 제품 홍보를 위한 문구 및 문양을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종이 구조체(300)로 포장용 용기(C)를 수용함으로써 포장용 용기를 외부 이물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는 그 형태 유지를 위해 어느 정도 두께 및 강성을 가진 종이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는 하면영역(310), 상면영역(320), 제1측벽부(330), 제2측벽부(340) 및 영역분리벽(350)을 포함한다. 또한 위 각 구성은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단일 종이 부재(500; 도 5 참조)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하면영역(310)은 종이 구조체(30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며, 종이 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면영역(320)은 종이 구조체(3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포장용 용기의 상면을 커버함으로써 포장용 용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면영역(320)의 존재로 인해 외부 이물이 포장용 용기의 상면에 직접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포장용 용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제1측벽부(330)는 종이 구조체(300)의 측벽을 형성한다. 제1측벽부(330)는 상면영역(320) 및 하면영역(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측면 방향으로의 포장용 용기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1측벽부(33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벽부(330)가 절곡된 라인을 기준으로 상부를 제1상측벽(331), 하부를 제1하측벽(332)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2측벽부(340)는 제1측벽부(330)와 함께 종이 구조체(300)의 측벽을 형성한다. 제2측벽부(340)는 상면영역(320) 및 하면영역(3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측면 방향으로의 포장용 용기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2측벽부(340)는 절곡 형태로 맞닿는 두 개의 벽으로 구성되며, 위 벽 중 절곡 영역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벽을 제2상측벽(341), 하부에 형성된 벽을 제2하측벽(342)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2측벽부(340) 중 제2상측벽(341)은 영역분리벽(350)과 연결된다. 즉, 영역분리벽(350)은 제2상측벽(341)으로부터 연장되며, 이후 자세히 설명할 내용과 같이 단순 접힘 방식으로 영역분리벽(350)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영역분리벽(350)은 종이 구조체(300) 내에 형성된 포장용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분리한다. 이때 영역분리벽(350)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된 수용영역들을 각각 제1수용영역(P1) 및 제2수용영역(P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제1수용영역(P1) 및 제2수용영역(P2)은 예시적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영역(P1)은 상면영역(320), 제1상측벽(331), 영역분리벽(350) 및 제2상측벽(341)에 의해 구획되고, 제2수용영역(P2)은 하면영역(310), 제1하측벽(332), 영역분리벽(350) 및 제2하측벽(342)에 의해 구획된다.
이와 같이 영역분리벽(350)에 의해 제1수용영역(P1) 및 제2수용영역(P2)이 형성되고, 이에 포장용 용기가 보관된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는 각각 분리된 수용영역에 보관되며, 이때 제1수용영역(P1)에 보관되는 포장용 용기와 제2수용영역(P2)에 보관되는 포장용 용기는 영역분리벽(350)에 의해 상호 접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포장용 용기는 이격 보관되므로, 각각의 포장용 용기 중 어느 하나를 종이 구조체(300)로부터 이탈시킬 때 다른 포장용 용기가 같이 끌려나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가 용기 수용영역을 형성한 상태 및 보관을 위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는 포장용 용기를 보관하려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부에 수용영역을 형성하도록 부피를 가진 상태로 존재한다.
한편, 종이 구조체(300)에 포장용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경우가 아닌, 종이 구조체(300) 자체를 보관 또는 운반하려는 경우에는 종이 구조체(300)의 부피를 최대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구조체(300)를 상면영역(320), 영역분리벽(350) 및 하면영역(310)이 서로 거의 맞닿도록 접힘 상태로 만들어 종이 구조체(300)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때 도 4b와 같이 접힘 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힘라인(L0)이 유용하게 기능한다. 즉, 종이 구조체(300)의 접힘 상태에서 접힘라인(L0)을 기준으로 종이 구조체(300)의 윗면과 아랫면이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윗면은 종이 구조체(300)의 상면영역(320), 제1상측벽(331), 그리고 제1하측벽(332) 중 접힘라인(L0)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아랫면은 종이 구조체(300)의 하면영역(310), 제2측벽부(340), 그리고 제1하측벽(332) 중 접힘라인(L0)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힘라인(L0)은 종이 구조체(300) 보관시 종이 구조체(300)가 완전히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제1하측벽(332) 상의 적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힘라인(L0)은 제1하측벽(332)과 제1상측벽(331)의 경계선, 그리고 제1하측벽(332)과 하면 영역의 경계선에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5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500)는 예시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이 부재(500)는 해당 형상으로 컷팅하고, 복수의 절곡 가능한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조가 가능한 바 그 제조 과정이 간단하다.
한편, 이때 예를 들어 복수의 절곡 가능한 라인은 위 라인을 따라 절곡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부재(500)는 제1하면라인(L11), 제2하면라인(L12), 제1상면라인(L21), 제2상면라인(L22), 제1측벽 절곡라인(L3), 분리벽 절곡라인(L4), 접착부 절곡라인(L5) 및 접힘라인(L0)을 포함한다.
제1하면라인(L11) 및 제2하면라인(L12)은 각각 하면영역(310)의 경계를 형성한다. 즉, 제1하면라인(L11)과 제2하면라인(L12) 사이에 형성된 영역은 종이 구조체(300)에서 하면영역(310)을 형성한다.
한편, 도 5로부터 포장용 용기는 윗면보다 아랫면이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제1하면라인(L11)과 제2하면라인(L12) 사이에 형성되는 하면영역(310)은 예시적으로 상면영역(320)보다는 적은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1상면라인(L21) 및 제2상면라인(L22)은 각각 상면영역(320)의 경계를 형성한다. 즉, 제1상면라인(L21)과 제2상면라인(L22) 사이에 형성된 영역은 종이 구조체(300)에서 상면영역(320)을 형성한다.
또한, 예시적으로 상면영역(320)은 하면영역(310)보다 넓은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포장용 용기의 형상을 상정하여 설계한 것이다.
제1측벽 절곡라인(L3)은 제1측벽부(330) 상에 형성되며, 종이구조체가 복수의 포장용기 수용에 적합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1측벽부(330)를 절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예를 들어 제1측벽 절곡라인(L3)은 제2하면라인(L12) 및 제1상면라인(L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구조체에 수용되는 포장용 용기는 하면보다 상면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측벽 절곡라인(L3)에 의해 제1측벽부(330)를 절곡시킴으로써 제1측벽부(330) 중 제1하측벽(332)이 상부로 갈수록 더 외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하였다.
분리벽 절곡라인(L4)은 제2상측벽(341)의 일측에 형성되며, 분리벽 절곡라인(L4)이 절곡됨으로써 영역분리벽(350)을 형성할 수 있다. 분리벽 절곡라인(L4)이 절곡되어 영역분리벽(350)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구조체(300)에서 포장용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영역이 제1수용영역(P1) 및 제2수용영역(P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접착부 절곡라인(L5)은 제2하측벽(342)의 일측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연장접착부(34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 절곡라인(L5)이 절곡되어 형성된 연장접착부(343)는 종이 구조체(3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상측벽(34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접힘라인(L0)은 제1하측벽(332) 상에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구조체(300)를 접힘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접힘라인(L0)은 예를 들어 제2하면라인(L12) 및 제1측벽 절곡라인(L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를 제조하는 각 과정에서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300)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구조체(300) 형성 과정은 하면영역 형성단계(S1), 제1측벽부 형성단계(S2), 상면영역 형성단계(S3), 영역분리벽 형성단계(S4), 연장접착부 형성단계(S5) 및 접착단계(S6)를 포함한다.
하면영역 형성단계(S1)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부재(500)의 제1하면라인(L11) 및 제2하면라인(L12)을 절곡하여 하면영역(310)을 형성한다.
제1측벽부 형성단계(S2)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하면영역(310)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측벽 절곡라인(L3)을 절곡하여 제1측벽부(330)를 형성한다.
상면영역 형성단계(S3)에서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면라인(L21) 및 제2상면라인(L22)을 절곡하여 상면영역(320)을 형성한다.
도 6d에는 영역분리벽 형성단계(S4) 및 연장접착부 형성단계(S5)가 모두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영역분리벽 형성단계(S4)에서는 분리벽 절곡라인(L4)을 절곡하여 영역분리벽(350)을 형성하고, 연장접착부 형성단계(S5)에서는 접착부 절곡라인(L5)을 절곡하여 연장접착부(343)를 형성한다.
접착단계(S6)에서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접착부(343)를 제2상측벽(341)에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구조체(300)를 완성한다. 이때 연장접착부(343)는 예를 들어 제2상측벽(341)의 접착영역 상에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500: 종이 부재
310: 하면영역
320: 상면영역
330: 제1측벽부
340: 제2측벽부
350: 영역분리벽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로서,
    상기 종이 구조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종이 구조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하면영역;
    상기 종이 구조체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상면영역;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일측에 형성된 제1측벽부;
    상기 하면영역 및 상기 상면영역의 타측에 형성된 제2측벽부;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영역을 분리하고, 상기 종이 구조체의 일단에 형성된 영역분리벽을 포함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는 제2상측벽 및 상기 제2상측벽의 하부에 상기 제2상측벽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분리벽은 상기 제2상측벽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측벽의 단부에는 연장접착부가 연장되며, 상기 연장접착부는 상기 제2상측벽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는 제1상측벽 및 제1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측벽 상에는 상기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가 접힘 보관되도록 구성된 접힘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분리벽은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영역을 제1수용영역 및 제2수용영역으로 분리하며, 상기 제1수용영역 및 상기 제2수용영역은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6. 제1항의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용 종이 부재로서,
    상기 하면영역의 경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하면라인 및 제2하면라인;
    상기 상면영역의 경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상면라인 및 제2상면라인;
    상기 제2하면라인 및 상기 제1상면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부를 절곡하도록 구성된 제1측벽 절곡라인;
    상기 제2측벽부의 제2하측벽 상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연장접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접착부 절곡라인;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제2상측벽 상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상기 영역분리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분리벽 절곡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절곡라인 및 상기 제2하면라인 사이에 형성되며, 절곡되어 상기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접힘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부재.
  8. 제6항의 종이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하면라인 및 제2하면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하면영역을 형성하는 하면영역 형성단계;
    상기 제1측벽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제1측벽부를 형성하는 제1측벽부 형성단계;
    상기 제1상면라인 및 제2상면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상면영역을 형성하는 상면영역 형성단계;
    상기 분리벽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영역분리벽을 형성하는 영역분리벽 형성단계;
    상기 접착부 절곡라인을 절곡하여 상기 연장접착부를 형성하는 연장접착부 형성단계; 및,
    상기 연장접착부를 상기 제2상측벽 상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구조체 제조 방법.
KR1020190031636A 2018-10-17 2019-03-20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 KR20200043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3605 2018-10-17
KR1020180123605 2018-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253A true KR20200043253A (ko) 2020-04-27

Family

ID=7046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36A KR20200043253A (ko) 2018-10-17 2019-03-20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32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7530A1 (en) A product package utilizing an information indicator held in a product tray
KR20200043253A (ko)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부재, 및 용기 보관용 종이 구조체 제조방법
JP6715544B2 (ja) 包装箱
JP3184603U (ja) 包装用箱
KR101899873B1 (ko) 즉시 진열형 포장박스
JP6065482B2 (ja) 仕切板付きトレー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JP5173376B2 (ja) 展示用包装箱
JP4892242B2 (ja) 包装容器
KR102145684B1 (ko) 악세서리용 포장 박스
JP5935623B2 (ja) 展示機能付き包装箱
JP2017114511A (ja) 蓋箱
JP5067842B2 (ja) コップ収納ケース
JP2019131295A (ja) 包装箱および該包装箱用のブランクシート
US20090120817A1 (en)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JP6917740B2 (ja) 包装箱、該包装箱の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包装体
JP3148048U (ja) 包装用ケース
JP3225263U (ja) 商品陳列用箱、消しゴム陳列用箱、並びに、消しゴム入り陳列用箱
JP6198784B2 (ja) 包装用容器
JP7090378B2 (ja) 包装容器
JP2017210271A (ja) 物品包装箱
JP4965134B2 (ja) 陳列用パッケージ
JP6622064B2 (ja) 包装箱
JP6522302B2 (ja) 包装用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