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848A -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 Google Patents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848A
KR20200041848A KR1020200041264A KR20200041264A KR20200041848A KR 20200041848 A KR20200041848 A KR 20200041848A KR 1020200041264 A KR1020200041264 A KR 1020200041264A KR 20200041264 A KR20200041264 A KR 20200041264A KR 20200041848 A KR20200041848 A KR 2020004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helmet
accid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빈
Original Assignee
조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빈 filed Critical 조영빈
Priority to KR102020004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848A/ko
Publication of KR2020004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5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좌우방 주시를 위하여 헬멧이 움직일 경우 해당 방향의 반대방향의 영상을 포커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Smart Helmet including Head Up Display and Blackbox of 360-degree Video and Image}
본 발명은 스마트 헬멧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black box function)의 활성화를 사용자의 터치나 음성으로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정면과 후면에 장착되는 어안렌즈가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60도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고, 실시간 영상전송 및 외부 충격시 응급 알림 등의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헬멧(helmet)은 주로 사용자의 머리,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는데, 오토바이, 싸이클, 경주용 차량, 각종 야외 활동 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헬멧은 좌우 및 후방이 막혀 있는 기밀, 수밀 또는 내압의 헤드장비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써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개폐 가능한 투명 쉴딩부를 두어 사용자가 착용시 외부의 바람, 이물질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전방의 환경을 주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운행 수단 중에서도 오토바이는 차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므로 인력 및 물자를 소량으로 운송하는 운행 수단이다. 오토바이는 기동성이 우수하고 스피드를 즐길 수 있으나, 차량과 다르게 사용자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탑승하고 있으므로 대형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탑승 시에는 안전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안전 헬멧을 항상 착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토바이 운행시에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은데, 종래에는 사고가 날 경우, 사고 당사자의 진술 외에 증거자료가 부족하여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토바이에도 전후방 블랙박스 장착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블랙박스의 촬영 각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많아서 상황 확인이 어려울 때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오토바이 운행 중 전화가 오는 경우, 운행을 정지한 다음 헬멧을 벗고 전화 통화를 해야 하거나 아예 통화가 불가능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핸드프리 단말의 장착도 시도되고 있다.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에서 운전중인 운전자는 속도, 연료 및 도로교통정보 등을 재빨리 파악하기가 힘들며, 시야를 다른 곳을 두는 짧은 시간동안에도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륜차 사고의 대부분의 경우가 속도계 및 후방을 보기 위해 사이드 미러에 시야를 두거나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지 않아 갈림길에서 우왕좌왕하다가 발생하곤 한다.
자동차에 비해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는 이러한 측면에서 빠른 대처가 힘들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해 헬멧을 착용하고 있어야 하므로 주위 시야에 큰 제약이 생기게 된다. 특히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동차보다 안전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가벼운 접촉사고일지라도 중상 또는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에는 여러 가지 돌발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돌발 상황의 대표적인 예로는 2 차 사고가 있다. 2차 사고란, 앞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고속으로 주행하던 뒷차량이 이를 인지하지 못해 앞차량의 사고 지역에서 추가적인 사고를 야기하는 것으로, 고속도로에서 특히 많이 발생 된다.
이러한 2차 사고는 근원적으로 앞차량의 사고에 대한 정보를 뒷차량이 인지하지 못하는데서 기인한다. 현재 차량에는 V2X 기술의 일종인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간 통신) 기술이 탑재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현존하는 V2V 기술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정보전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앞차량의 사고 상황에 대한 정 보를 직접적으로는 알려주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재의 V2X 또는 V2V 기술에 의하더라도 상술한 2차 사고 가 실질적으로 예방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9343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303607호(발명의 명칭: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0052999호(발명의 명칭: 오토바이 블랙박스용 카메라 및 카메라 장착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354882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일체형 오토라이트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9749181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HUD 블랙박스가 구비된 헬멧) 한국등록특허 제10-1781025호(발명의 명칭: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의 공기반시설이 양방향 교차 통신하는 종합 교통정보 시스템)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헬멧의 전면과 후면에 어안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오토바이 운전자 주변의 다양한 영상을 떨림없이 촬영할 수 있는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헬멧의 페이스 쉴드에 운전에 필요한 네비게이션 정보와 후방 차량의 접근, 전방의 사고 상황 인식 등의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HUD 시스템과 V2X 기술로 수신하거나 목격한 사고 상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어안렌즈를 포함한 전방 및 후방 카메라를 통한 360도 전방향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자이로센서의 방향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및 상기 블랙박스 촬영 영상을 단안 혹은 양안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센서;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운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측정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넘을 경우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저용량 데이터로 변환하고, 추출된 상기 저용량 데이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어안렌즈를 장착하여, 넓은 광각을 확보함으로써 정면 방향과 후면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양측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면 360도 전방향 영상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360도 영상에서 상기 측정된 자이로센서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블랙박스 촬영 영상을 헬멧 내부에 부착된 단안 혹은 양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센싱 수단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 수단이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자이로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와 반대인 측방 및 후방의 영상을 헬멧 내측에 장착된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온도와 습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과 위치 감지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저용량 데이터로 변환하고, 추출된 상기 저용량 데이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어안렌즈를 장착하여, 넓은 광각을 확보함으로써 정면 방향과 후면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양측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면 360도 전방향 영상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360도 영상에서 상기 측정된 자이로센서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블랙박스 촬영 영상을 헬멧 내부에 부착된 단안 혹은 양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어안렌즈를 포함하여 헬멧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증거 자료 확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 360도 전방향의 영상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확보된 증거 자료를 근거로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헬멧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60도 전방향 영상을 촬영한 것을 헬멧 내측에 장착된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벗어난 측면 혹은 후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의 구성 수단을 나타내는 제 3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센서를 통한 충격 및 사고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및 측정된 센서 값을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주기 각도에 따른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주시 각도 및 충격 및 사고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및 측정된 센서 값을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헬멧(100)은 통신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10), 출력부(170), 전원부(140), 음성인식부(190), 블랙박스부(120), 및 저장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헬멧 본체(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블랙박스부(120)는 스마트헬멧(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블랙박스부(120)는 넓은 광각을 제공하는 어안렌즈(121)와 촬영을 위한 전방/후방 카메라로 구성된 영상모듈(122), 그리고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모듈(122) 전면에는 상기 어안렌즈(121)가 장착되며, 이러한 영상모듈(122)와 어안렌즈는(121)는 헬멧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수단은 예컨대, 스마트 헬멧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3), 내부의 숩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34), 스마트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31), 스마트 헬멧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된 블랙박스 기능에 따라 영상과 위치정보를 저장부(18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온도센서(133)와 습도센서(134)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위치정보모듈(154)과 블랙 박스부(120)와 위치정보모듈(154)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박스제어부(123)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가속도센서(131)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의 활성화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 영상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30)의 센서 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박스제어부(123)를 통해서 사고 발생 시점 이전 일정 시간 부터 사고 발생 이후 일정시간까지의 영상을 추출하여 저용량 영상으로 변환한 뒤, 그 추출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143)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통신부(141)는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 진다. 외부의 기기와 연동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1)는 예컨대,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5th Generation)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모듈(151) 혹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등의 무선인터넷통신모듈(153),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모듈(15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상기 스마트헬멧(100)과 사용자 단말기, 상기 스마트헬멧(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스마트헬멧(100)과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상기 스마트헬멧(100)과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GPS 수신기와 같은 위치정보모듈(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인터페이스(150)는 스마트헬멧(100)에 연결되는 모든 내부 및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유선인터페이스(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모듈(151) 혹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52), 혹은 무선인터넷통신모듈(153), 혹은 위치정보모듈(154)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헬멧(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헬멧(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유선인터페이스(155)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모듈(151)은 스마트헬멧(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유선인터페이스(155)를 통하여 이동통신모듈(151)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142)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마이크(161)와 터치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스마트헬멧(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61)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도시되지 않음)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스마트헬멧(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스마트헬멧(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기계식 버튼(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또는 터치센서(162)를 내장한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162)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식 입력수단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센서(162)는, 터치식 입력수단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62)는, 터치패널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센서(16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0)는 터치식 입력수단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랙박스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영상모듈(122)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부(170)는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에 대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나 사용자가 근거리통신모듈(152)로 사용자 개인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통화 등의 응용 기능을 사용할 때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70)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71)이거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HUD(172)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UD(172)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헬멧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만약 HUD(172)가 글래스(glass : 안경형) 또는 HMD 형태로 구성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HUD(172)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UD(172)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기 위한 증강현실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HUD(172)는 'Head Up Display' 의 준말로,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시키지 않은 채 원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하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스마트헬멧(100)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HUD(172)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HUD(172)는 프리즘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71)는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8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171)는 스마트헬멧(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저장부(180)는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비디오 신호 뿐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도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80)은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80)는 스마트헬멧(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데, 크기가 작아야 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헬멧(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이란, 지능형 교통체계로써,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전자, 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도로 교통 이용뿐만 아니라, 운전자들에게 안전과 편의성을 도모하고, 나아가 경제적 손실까지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교통 체계를 의미한다.
상술한 ITS가 근래에 대두 됨에 따라,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각종 센서 등의 정보전달 장치가 차량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차량과 차량, 또는 차량과 인프라 등이 통신 가능한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도 등장하였다.
V2X 기술은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첨단 교통관리 시스템),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첨단 교통정보 시스템),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 AVHS(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s) 등의 기술이 구현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 근래에 집중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V2X 기술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 예방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V2X 통신은 사용자 차량이 주행하면서 획득한 주변 차량, 도로 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자동 제어 및 안전 운행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V2X 통신의 목표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운전자의 편의성이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만 장착하고 있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실시간 교통 상황, 근처의 사고 상황, 사용자 차량의 주변의 교통 흐름 정도가 지원되지만, 차량 운행 중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의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다음으로, 운전자의 안전성이다. 차량간 통신이 가능하면, 차량간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속도, 가속도, 브레이크 동작 정보, GPS 좌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주변 차량으로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 차량은 주변 차량의 사고 위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운전자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헬멧(100)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헬멧(100)의 상기 제어부(110)는 전원부(140)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전원 절약 모드를 구동(201)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헬멧(100)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센싱 수단은 헬멧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203).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은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헬멧의 임계치 이하로 움직이면(204), 사용자가 헬멧을 드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헬멧을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33)와 습도센서(134)를 사용할 수 있다(205).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6).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위치정보모듈의 활성화(207)와 블랙박스부(120)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208).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블랙박스부(120)의 기능 활성화에 따라 촬영 수단으로부터 헬멧의 전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상응하는 영상을 입력 받아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209). 이때,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헬멧의 임계치 이상으로 움직이면(204), 복수의 피크값이 측정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사고 시의 시간 전과 사고 후의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록된 영상만을 추출하고 위치정보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용량 데이터로 변환한다(211).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추출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21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의 구성 수단을 나타내는 제 3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스마트헬멧(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어안렌즈(121)과 영상센서(122)로 구성된 카메라가 장착되고,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HUD(172)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헬멧을 착용한 후 귀에 근접해지는 측면에 스피커(171)가 장착되고, 입에 근접해지는 전면에 마이크(16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블랙박스제어부(123), 센서부(130), 저장부(180), 통신부(150), 음성인식부(190), 전원부(140)를 포함한 스마트 장치(310)이 일측에 장착된다.
스마트장치(310)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탈부착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설명된 스마트헬멧(100)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내장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러한 기기들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스마트헬멧(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어안렌즈(121)과 영상센서(122)로 구성된 카메라가 장착되고, 사용자의 양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HUD(172)가 양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헬멧을 착용한 후 귀에 근접해지는 측면에 스피커(171)가 장착되고, 입에 근접해지는 전면에 마이크(16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블랙박스제어부(123), 센서부(130), 저장부(180), 통신부(150), 음성인식부(190)를 포함한 스마트 장치(310)이 일측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센서(131)를 통한 충격 및 사고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501) 및 측정된 센서 값(502)을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 이때 차량의 이동 중 도로 등에 의한 진동으로 측정된 센서 값(503)은 임계치(502)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임계치(501)를 넘어서는 경우는 사고 혹은 다른 이유 등으로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선 각도의 회전에 따른 주변 환경 영상을 HUD(172) 디스플레이 표시를 위한 스마트헬멧(100)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헬멧(100)의 상기 제어부(110)는 전원부(140)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전원 절약 모드를 구동(201)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헬멧(100)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헬멧(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검색을 음성으로 말하면 음성인식부(190)에서 음성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내비게이션부(191)을 통해서 경로 검색을 하고, 경로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센싱 수단은 차량의 이동과 헬멧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정보모듈(154), 가속도센서(131)과 자이로센서(132)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은 가속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를 넘지 않으면(204)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되, 헬멧의 임계치 이하로 움직이면(204), 내비게이션부(191)의 정보가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해야 하는 상황인지 판단(304)하고, 헬멧의 시야가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판단(305)을 한다.
이때 내비게이션부(191)가 좌회전을 안내(304)하고 자이로센서가 좌측으로 회전하면(305) 블랙박스제어부(123)은 우측 측면과 후방측 영상을 포커싱하거나 확대하여 HUD(172)에 표시한다(30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센서(132)를 통한 사용자의 주시 각도 및 충격 및 사고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701) 및 측정된 센서 값(703)을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 이때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가 목을 좌우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측정된 센서 값(703)은 임계치(701)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임계치(701)를 넘어서는 경우(703)는 사고 혹은 다른 이유 등으로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헬멧 본체 110: 제어부
120: 블랙박스부 121: 어안렌즈
122: 영상모듈(전방/후방카메라) 123: 블랙박스제어부
130: 센서부 131: 가속도센서
132: 자이로센서 133: 온도센서
134: 습도센서
140: 전원부
150: 통신부 151: 이동통신모듈
152: 근거리통신모듈 153: 무선인터넷통신모듈
154: 위치정보모듈 155: 유선인터페이스
160: 입력부 161: 마이크
162: 터치센서
170: 출력부 171: 스피커
172: HUD
180: 저장부 190: 음성인식부
191: 내비게이션부

Claims (9)

  1. 스마트 헬멧에 있어서,
    이륜차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되, 그 전면은 주행시 외기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쉴드부를 구성한 본체;
    이륜차 주행에 따라 변동되는 위치좌표 값을 센싱하고 상기 위치좌표값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모듈,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 상기 HUD의 실시간 영상 조사 각도 및 떨림 각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센싱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헬멧의 착용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되, 전면에 구비된 전방카메라 및 후면에 구비된 후방카메라와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모듈 값의 메타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인가받아 저장하는 저장부와 영상 저장, 전송을 제어하는 블랙박스부;
    상기 본체의 쉴드부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인가받은 실시간 영상과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HUD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
    상기 본체의 쉴드부 내측에 설치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본체의 쉴드부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의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동통신 모듈 혹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내비게이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정보통신 단말기 혹은 플랫폼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제어부, 전원부, 상기 센서부, 상기 블랙박스부를 포함하며 방수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스마트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헬멧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충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움직임과 차량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온습도센서, 자이로센서를 포함하고,
    이동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앞단에 설치되되, 광각을 넓히기 위해 구비된 어안렌즈;
    상기 어안렌즈를 통해서 촬영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은 정면과 후면의 영상을 하나로 연결하여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 블랙박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HUD가 상기 본체 전면의 내측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되,
    수직 및 수평으로 조절되는 브라켓과 힌지를 통해 좌우, 상하 일정 유격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단안 혹은 양안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마이크로 프로젝트를 통하여 HUD에 영상을 표출하되, 상기 위치정보모듈의 현재 위치 정보와 맞도록 내비게이션 길 안내를 표출하거나 후방 영상을 표출할 수 있는 HUD,
    제어 명령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 및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는 상기 스피커,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전화받기/음악재생/일시정지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음성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지도 정보, 길안내 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길안내 기능을 음성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
  6. 제2 항,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센싱 수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의 온습도 센서의 측정정보와 가속도 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헬멧을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 전력 절감을 위하여 상기 출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블랙박스부의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미착용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를 감지하여 사고상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부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실시간 촬영된 영상과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모듈 값의 메터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시간별로 기록하는 단계;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의 가속도 센서를 측정된 상기 충격의 임계치 이상이 측정되고 복수의 피크치가 측정되는 경우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사고 시의 시간 전과 사고 후의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록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모듈 값의 메타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용량 영상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저용량 영상 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8. 제5,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를 감지하여 사고상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부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출력부의 HUD 기능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음성으로 명령을 내려서 상기 음성인식부가 음성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내비게이션부의 경로 검색을 제어하는 단계;
    내비게이션부를 통한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영상과 음성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센서에 임계치 범위내의 측정 결과이면서, 내비게이션이 좌회전 혹은 우회전 안내를 하는 상황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이로센서에 회전하는 측정 결과가 입력될 경우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과 후방 영상을 포커싱하거나 확대하여 상기 출력부의 HUD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자이로센서의 회전하는 측정 결과가 임계치 이상이 측정되고 복수의 피크치가 측정되는 경우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사고 시의 시간 전과 사고 후의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록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모듈 값의 메타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용량 영상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저용량 영상 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9. 제7,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설정된 전화번호나 경찰서, 소방서로 긴급 전화를 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KR1020200041264A 2020-04-04 2020-04-04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KR2020004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64A KR20200041848A (ko) 2020-04-04 2020-04-04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64A KR20200041848A (ko) 2020-04-04 2020-04-04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48A true KR20200041848A (ko) 2020-04-22

Family

ID=7047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64A KR20200041848A (ko) 2020-04-04 2020-04-04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8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40A (ko) * 2020-09-22 2022-03-30 여태환 Ar 글래스를 이용하여 이륜차에 대한 경로 제공 및 운전자 특정 운전 정보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45472A (ko) * 2021-09-28 2023-04-04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헬맷
CN116211015A (zh) * 2023-05-09 2023-06-06 之江实验室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骑行头盔
KR20230094792A (ko) * 2021-12-21 2023-06-28 양진호 사물인터넷 기반 전동 킥보드 제어 헬멧 시스템
CN116409414A (zh) * 2022-11-24 2023-07-11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摩托车及拍摄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43B1 (ko)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303607B1 (ko) 2012-11-12 2013-09-2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KR101354882B1 (ko) 2012-02-02 2014-01-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일체형 오토라이트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81025B1 (ko) 2017-03-21 2017-10-23 박세만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의 공공기반시설이 양방향 교차 통신하는 종합 교통정보 시스템
KR101974918B1 (ko) 2017-09-01 2019-08-23 김연태 스마트 hud 블랙박스가 구비된 헬멧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43B1 (ko)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354882B1 (ko) 2012-02-02 2014-01-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일체형 오토라이트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03607B1 (ko) 2012-11-12 2013-09-2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KR101781025B1 (ko) 2017-03-21 2017-10-23 박세만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의 공공기반시설이 양방향 교차 통신하는 종합 교통정보 시스템
KR101974918B1 (ko) 2017-09-01 2019-08-23 김연태 스마트 hud 블랙박스가 구비된 헬멧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40A (ko) * 2020-09-22 2022-03-30 여태환 Ar 글래스를 이용하여 이륜차에 대한 경로 제공 및 운전자 특정 운전 정보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45472A (ko) * 2021-09-28 2023-04-04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헬맷
KR20230094792A (ko) * 2021-12-21 2023-06-28 양진호 사물인터넷 기반 전동 킥보드 제어 헬멧 시스템
CN116409414A (zh) * 2022-11-24 2023-07-11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摩托车及拍摄控制系统
CN116211015A (zh) * 2023-05-09 2023-06-06 之江实验室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骑行头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1848A (ko)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CN108957761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头戴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6747551B2 (ja) 眼鏡型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通知方法
US20170060130A1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70076140A1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person
US20180222473A1 (en) Collision avoidance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US20160381292A1 (en) Dash cam
US20140031001A1 (en) Headset Computer With Handsfree Emergency Response
KR10213458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40130321A (ko)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604086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WO2018026247A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77523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협력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45332A (ko) 차량용 hmd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1160539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7682542B (zh) 一种障碍物告警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3312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llaborative enhanced sensing
JP2021117126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5517B1 (ko)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US20170054900A1 (en) Monitor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with same
KR102314196B1 (ko)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N112315098B (zh) 智能头盔及系统
KR2022006078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TW202126516A (zh) 行車警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