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620A -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620A
KR20200041620A KR1020180121923A KR20180121923A KR20200041620A KR 20200041620 A KR20200041620 A KR 20200041620A KR 1020180121923 A KR1020180121923 A KR 1020180121923A KR 20180121923 A KR20180121923 A KR 20180121923A KR 20200041620 A KR20200041620 A KR 2020004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deposit
cash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030B1 (ko
Inventor
이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
Priority to KR102018012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0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rotary means, e.g. rollers, drums, cylinders or ball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an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금이 투입되는 입금부와, 현금이 배출되는 출금부와, 입금부의 하류에 설치되며 입금된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입금수납부와, 출금부의 상류에 설치되며 출금되는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출금수납부와, 입금부와 입금수납부 사이 및 출금수납부와 출금부 사이를 연장해서 동일한 반송로에서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금수납부와 출금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하고 하나의 동일한 반송부에 의해 각각의 입금부와 출금부에서 입금반송과 출금반송을 처리함으로써, 입출금장치의 사이즈를 콤팩드하게 소형화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양한 무인시설에서의 현금의 입출금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AUTOMATED TELLER MACHINE COMPRISING SINGLE BELT SYSTEM}
본 발명은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금이 입출금 처리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자동지급기(CDU;Cash Dispenser Unit)와 지폐자동입출금기(BRM; Billing Recycling Machine)등이 있다. 이 중에서 지폐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지폐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자동입출금기는 지폐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특히,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표 및 현금을 출금하거나, 또는 현금의 입출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창구의 영업종료 후에도 시간 연장하여 가동할 수 있고, 또한 백화점, 슈퍼마켓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무인 운용될 수 있어 그 설치대수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지폐의 입출금을 처리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이외에도 현금 및 수표를 동시에 입출금 처리할 수 있는 입출금기기가 등장하고 있어 고객의 금융거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여기서, 입출금장치는 수표 및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메커니즘과 반송되는 수표 및 지폐를 감별하고 수납하는 고도의 감별인식 및 처리 기술이 요구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핵심 부품이다.
이와 같은 입출금장치의 경우, 통상 수표 입출금부 및 지폐 입출금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고객의 금융 거래시 수표 및 지폐를 각각의 입출금부를 통해 입금하거나 출금하도록 하고 있으나, 최근에 들어 고객의 금융거래 편의를 위해 수표 및 지폐를 혼재하여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단일 입출금부를 구비하는 입출금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일 입출금부를 구비하는 입출금장치는, 고객과의 금융거래 과정에 있어, 통상 수표의 입금거래시 입금 수표에 입금확인정보를 인쇄하고, 수표의 출금 거래시에는 출금 수표에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입출금장치 내부에 입금수표용 인자부와 출금수표용 인자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 입출금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입출금기기는 지폐가 동일한 단일 입출금부의 수용공간에 입위 상태로 스택됨에 따라 지폐의 시인성이 저하되므로, 고객이 입출금부에서 지폐를 미수취하는 경우기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수표와 지폐의 입금계수를 신속히 수행하기 위해 수표 일시저장부와 지폐 일시저장부를 별개의 모듈로 구성하였으나, 이 경우 입출금장치의 내부에 수표 일시저장부와 지폐 일시저장부의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입출금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에 불리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1692호 (2010년12월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279호 (2011년05월0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0254호 (2008년09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입출금장치의 사이즈를 콤팩드하게 소형화로 구성하는 동시에 무인상점, 무인 티켓 및 식권 발매기, 무인 주차요금기 등과 같이 다양한 무인시설에서의 현금의 입출금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출금시 혼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입출금 처리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연장하여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배치하여 반송부의 반송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구동효율을 최적화하고 구동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출금처리를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위폐나 오동작에 의한 입출금을 방지할 수 있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구분하여 배치하여 입출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입출금 반송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금이 입출금 처리되는 현금 입출금장치로서, 현금이 투입되는 입금부(10); 현금이 배출되는 출금부(20); 상기 입금부(10)의 하류에 설치되며, 입금된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입금수납부(30); 상기 출금부(20)의 상류에 설치되며, 출금되는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출금수납부(40); 및 상기 입금부(10)와 상기 입금수납부(30) 사이 및 상기 출금수납부(40)와 상기 출금부(20) 사이를 연장해서 동일한 반송로에서 반송하는 반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금부(10)는, 상기 출금부(20)의 상방에서 현금을 투입하도록 현금입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출금부(20)는, 상기 입금부(10)의 하방에서 현금을 배출하도록 현금출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금수납부(30)는, 상기 입금부(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부(50)의 상행 반송로를 따라 현금이 반송되어 입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출금수납부(40)는, 상기 출금부(2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부(50)의 하행 반송로를 따라 현금이 반송되어 출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송부(50)는, 상행 반송로와 하행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벨트; 상기 반송벨트의 상행 반송로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반송시키는 상행롤러; 상기 반송벨트의 하행 반송로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반송시키는 하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송부(50)는, 상기 상행 반송로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금여부를 판별하는 입금판별수단; 및 상기 하행 반송로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출금여부를 판별하는 출금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송부(50)는, 상기 입금판별수단 및 상기 출금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벨트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행롤러는, 상기 반송벨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상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상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행롤러는, 상기 반송벨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하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하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금수납부와 출금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하고 하나의 동일한 반송부에 의해 각각의 입금부와 출금부에서 입금반송과 출금반송을 처리함으로써, 입출금장치의 사이즈를 콤팩드하게 소형화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양한 무인시설에서의 현금의 입출금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금부와 출금부를 별도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출금시 혼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입출금 처리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에서 상행 반송로에 의해 입금반송을 처리하고 하행 반송로에 의해 출금반송을 처리함으로써,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연장하여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배치하여 반송부의 반송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구동효율을 최적화하고 구동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의 반송로 상에 입금판별수단 및 출금판별수단을 각각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출금처리를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위폐나 오동작에 의한 입출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의 반송로 상에 상행롤러 및 하행롤러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금처리함으로써,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구분하여 배치하여 입출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입출금 반송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전방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후방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나타내는 내부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입금처리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출금처리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전방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후방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를 나타내는 내부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입금처리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의 출금처리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는, 입금부(10), 출금부(20), 입금수납부(30), 출금수납부(40) 및 반송부(50)를 포함하되 각각 개별적으로 별도 설치되어, 현금이 입출금 처리되는 비환류식 현금 입출금장치이다.
입금부(10)는, 현금이 투입되는 현금의 입금수단으로서, 출금부(20)의 상방에서 현금을 투입하도록 현금입금구(12)가 형성되어 있고, 현금입금구(12)의 하류에는 입금롤러(11)가 설치되어 투입된 현금을 반송부(50)로 이송하게 된다.
출금부(20)는, 현금이 배출되는 현금의 출금수단으로서, 입금부(10)의 하방에서 현금을 배출하도록 현금출금구가 형성되어 있고, 현금출금구의 상류에는 출금롤러(21)가 설치되어 반송부(50)에 의해 배출되는 현금을 현금출금구로 이송하게 된다.
입금수납부(30)는, 입금부(10)의 하류에 설치되며 입금처리된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저장수단으로서, 입금부(10)와 반송부(50)에 의해 투입되어 입금처리된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입금수납부(30)는, 입금부(10)의 상방에 설치되어 반송부(50)의 상행 반송로(50a)를 따라 현금이 반송되어 입금처리되며, 수납된 현금은 입금수납고에 적재되어 저장된다.
출금수납부(40)는, 출금부(20)의 상류에 설치되며 출금되는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저장수단으로서, 반송부(50)와 출금부(20)에 의해 배출되어 출금처리되는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출금수납부(40)는, 출금부(20)의 하방에 설치되어 반송부(50)의 하행 반송로(50b)를 따라 출금되는 현금이 적재되어 저장된 출금수납고와 이로부터 인출하는 인출롤러(41)와 출금롤러(42)로 이루어지며 이들에 의해 낱장의 현금이 반송되어 출금처리된다.
반송부(50)는, 입금부(10)와 입금수납부(30) 사이 및 출금수납부(40)와 출금부(20) 사이를 연장해서 동일한 반송로에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벨트(51), 상행롤러, 하행롤러, 구동모터(54), 입금판별수단(55), 출금판별수단(56) 및 제어기(5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반송벨트(51)는, 상행 반송로(50a)와 하행 반송로(50b)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수단으로서, 이러한 반송벨트(51)로는 고무벨트나 실리콘벨트 등과 같이 2열의 탄성재의 벨트로 이루어지져 현금과 밀착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반송벨트(51)는, 입금부(10)를 통해서 입금된 현금을 입금수납부(30)로 반송하도록 주행하는 상행 반송로(50a)와, 이 상행 반송로(50a)의 하류에 연장 형성되며 출금수납부(40)로부터 배출된 현금을 출금부(20)로 반송하도록 주행하는 하행 반송로(50b)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동일 반송계를 따라서 주행하게 된다.
상행롤러는, 반송벨트(51)의 상행 반송로(50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입금하도록 반송시키는 롤러부재로서, 반송벨트(51)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상행롤러(52a)와, 반송벨트(51)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상행롤러(52b)로 이루어져 있다.
하행롤러는, 반송벨트(51)의 하행 반송로(50b)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출금하도록 반송시키는 롤러부재로서, 반송벨트(51)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하행롤러(53a)와, 반송벨트(51)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하행롤러(53b)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모터(54)는, 반송벨트(5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반송벨트(51)와 상행롤러와 하행롤러에 벨트나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입금판별수단(55)은, 상행 반송로(50a)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금여부를 판별하는 감별수단으로서, 상행 반송로(50a)의 상류에서 입금부(10)를 통해서 투입되는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금여부를 식별하도록 화상이나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을 사용하는 화상센서 또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출금판별수단(56)은, 하행 반송로(50b)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출금여부를 판별하는 감별수단으로서, 하행 반송로(50b)의 상류에서 출금부(20)로부터 배출되는 현금의 진위여부 및 출금여부를 식별하도록 화상이나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을 사용하는 화상센서 또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기(57)는, 입금판별수단(55) 및 출금판별수단(56)의 판별결과에 의거해서 현금을 반송하거나 회송하도록 반송벨트(51)의 주행방향을 변경하거나 상행롤러 및 하행롤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구동모터(54)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이러한 제어기로는, 반송벨트(51)의 주행방향을 전진이나 후진으로 변경하도록 구동모터(54)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거나, 일정구간에만 반송하도록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금수납부와 출금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하고 하나의 동일한 반송부에 의해 각각의 입금부와 출금부에서 입금반송과 출금반송을 처리함으로써, 입출금장치의 사이즈를 콤팩드하게 소형화로 구성하는 동시에 무인상점, 무인 티켓 및 식권 발매기, 무인 주차요금기 등과 같이 다양한 무인시설에서의 현금의 입출금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금부와 출금부를 별도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출금시 혼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입출금 처리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에서 상행 반송로에 의해 입금반송을 처리하고 하행 반송로에 의해 출금반송을 처리함으로써,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연장하여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배치하여 반송부의 반송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구동효율을 최적화하고 구동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의 반송로 상에 입금판별수단 및 출금판별수단을 각각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출금처리를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위폐나 오동작에 의한 입출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반송부의 반송로 상에 상행롤러 및 하행롤러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금처리함으로써, 입금반송 구간과 출금반송 구간을 단일의 반송벨트 상에 구분하여 배치하여 입출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입출금 반송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입금부 20: 출금부
30: 입금수납부 40: 출금수납부
50: 반송부

Claims (10)

  1. 현금이 입출금 처리되는 현금 입출금장치로서,
    현금이 투입되는 입금부(10);
    현금이 배출되는 출금부(20);
    상기 입금부(10)의 하류에 설치되며, 입금된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입금수납부(30);
    상기 출금부(20)의 상류에 설치되며, 출금되는 현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출금수납부(40); 및
    상기 입금부(10)와 상기 입금수납부(30) 사이 및 상기 출금수납부(40)와 상기 출금부(20) 사이를 연장해서 동일한 반송로에서 반송하는 반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부(10)는, 상기 출금부(20)의 상방에서 현금을 투입하도록 현금입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부(20)는, 상기 입금부(10)의 하방에서 현금을 배출하도록 현금출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수납부(30)는, 상기 입금부(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부(50)의 상행 반송로를 따라 현금이 반송되어 입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수납부(40)는, 상기 출금부(2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부(50)의 하행 반송로를 따라 현금이 반송되어 출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50)는,
    상행 반송로와 하행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벨트;
    상기 반송벨트의 상행 반송로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반송시키는 상행롤러;
    상기 반송벨트의 하행 반송로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금을 반송시키는 하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50)는,
    상기 상행 반송로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입금여부를 판별하는 입금판별수단; 및
    상기 하행 반송로에 설치되어 현금의 진위여부 및 출금여부를 판별하는 출금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50)는,
    상기 입금판별수단 및 상기 출금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벨트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행롤러는,
    상기 반송벨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상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상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행롤러는,
    상기 반송벨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외부 하행롤러; 및
    상기 반송벨트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내부 하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KR1020180121923A 2018-10-12 2018-10-12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KR10210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23A KR102109030B1 (ko) 2018-10-12 2018-10-12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23A KR102109030B1 (ko) 2018-10-12 2018-10-12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20A true KR20200041620A (ko) 2020-04-22
KR102109030B1 KR102109030B1 (ko) 2020-05-19

Family

ID=7047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923A KR102109030B1 (ko) 2018-10-12 2018-10-12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0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033B2 (ja) * 1993-03-17 1998-09-1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2005293540A (ja) * 2004-03-09 2005-10-20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処理装置
KR100860254B1 (ko) 2002-02-06 2008-09-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입출금장치
KR100997466B1 (ko) * 2007-05-24 2010-12-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KR101001692B1 (ko) 2008-08-13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032279B1 (ko) 2008-11-19 2011-05-0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현금 처리 장치 및 현금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033B2 (ja) * 1993-03-17 1998-09-1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0860254B1 (ko) 2002-02-06 2008-09-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입출금장치
JP2005293540A (ja) * 2004-03-09 2005-10-20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処理装置
KR100997466B1 (ko) * 2007-05-24 2010-12-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KR101001692B1 (ko) 2008-08-13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032279B1 (ko) 2008-11-19 2011-05-0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현금 처리 장치 및 현금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030B1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3701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KR102109030B1 (ko) 동일 반송계를 구비한 현금 입출금장치
AU2020343703C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JP261433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73916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6832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675923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3272107B2 (ja) 貨幣入出金装置
JPS63228394A (ja) 自動取引装置
JPH11259730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259723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1191288A (ja) 還流式現金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