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87A -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87A
KR20200041487A KR1020180121566A KR20180121566A KR20200041487A KR 20200041487 A KR20200041487 A KR 20200041487A KR 1020180121566 A KR1020180121566 A KR 1020180121566A KR 20180121566 A KR20180121566 A KR 20180121566A KR 20200041487 A KR20200041487 A KR 2020004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household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환
Original Assignee
정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환 filed Critical 정일환
Priority to KR102018012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487A/ko
Publication of KR2020004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일정 구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건물 중 계약이 이루어진 건물들에 대한 통합 관리하며, 전문적 지식부족 또는 허술한 관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많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 출동을 통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며 정기 관리를 통하여 시설물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어 고객의 재산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정 구역에 위치한 다수의 건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회사에 설치되는 건물 통합 관리 서버;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에서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건물 관리자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대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대인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차하여 생활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차인 단말; 및 건물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출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동하는 비상 업체에 근무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비상 출동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일정 구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건물 중 계약이 이루어진 건물들에 대한 통합 관리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문적 지식부족 또는 허술한 관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많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 출동을 통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며 정기 관리를 통하여 시설물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어 고객의 재산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유치원, 어린이집, 숙박시설, 빌딩 등과 같은 건물 또는 건축물의 유지보수와 같은 관리를 위해 건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건물의 관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건물을 체계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이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시행하는 시설관리, 설비관리, 청소관리 등 각종 관리 정보를 기록 유지하여 시설물의 내구 연한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건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정보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관리, 공사관리, 업체 관리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건물 또는 건축물의 보일러에 고장이 발생하여 교체하는 경우 관리회사는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업체는 건물 관리 시스템의 업체관리 항목에 등록된다. 업체가 보일러 공사를 진행하면 공사관리에 의해 작업 진도가 건물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확인되며 공사가 완료된 경우 작업관리에 결과를 등록한다.
또, 아파트나 대형 빌딩 등의 건물 관리는 관리사무소에서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 공터, 단지 내의 도로, 상하수도관리, 공용전기 공급시설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각 부재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부재를 교체하도록 건물을 관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많은 건물들이 산재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는 분산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보안 관리는 보안 업체에서 관리하고, 소방 안전 관리, 가스 안전 관리, 전기 안전 관리 및 시설 보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건물 내에서 위급하고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 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76801 A KR 10-2014-0119930 A KR 10-2015-0110985 A KR 10-2017-0132538 A KR 10-2018-0001060 A
본 발명은 전문적 지식부족 또는 허술한 관리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많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 출동을 통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며 정기 관리를 통하여 시설물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어 고객의 재산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구역에 위치한 다수의 건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회사에 설치되는 건물 통합 관리 서버;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에서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건물 관리자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대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대인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차하여 생활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차인 단말; 및 건물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출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동하는 비상 업체에 근무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비상 출동 단말;을 포함하고, 건물 통합 관리 서버가 다수의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안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각각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통합 관리 서버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임대 정보를 기초로 임차료 납부 여부 및 임대 계약 기간 만료 여부를 관리하는 임대 정보 관리부,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관리비를 정산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비 정보 관리부,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된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세대 별로 사용자가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 임차인 단말에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비상 상황 관리부 및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안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세대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비상 출동 단말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안전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문적 지식부족 또는 허술한 관리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많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 출동을 통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며 정기 관리를 통하여 시설물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어 고객의 재산상 손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건물은 빌딩, 아파트를 제외한 공동 주택, 주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 건물 관리자 단말(200), 임대인 단말(300), 임차인 단말(400) 및 비상 출동 단말(500)을 포함한다.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회사에 설치된 서버이다. 이때, 건물 각각에는 세대 별로 다양한 안전 정보 수집 장치(예를 들어,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 가스 누출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객체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안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각각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차인과 임대인 사이에서 발생되는 임대 정보(예를 들어, 임차료, 임대 계약 기간)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건물의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임대차 계약이 성사되면, 임대인 단말(300)로부터 임대차 정보(예를 들어, 임대 기간, 임대료, 임대료 지급일, 임대료 납부 계좌 등)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료 지급일이 도달되기 전에 임대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만일,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금융 기관(미도시됨)과 연동하여 임대료 지급일이 경과되어도 건물주의 계좌에 임대료가 입금되지 않으면 임대료 연체료가 포함된 임차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고 임대인 단말(300)에 임대료 미입금 안내 메시지를 송부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 기간이 만기되기 전에 임대 기간 종료 안내 메시지를 임대인 단말(300) 및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임차인 및 임대인이 임대 만기전에 이 사실을 인지하고 임대계약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관리비를 정산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먼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 사용료를 산출한 후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공동 전기료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공동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 사용료를 산출한 후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공동 전기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인건비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주 및 건물 관리자(예를 들어, 청소부 등) 사이의 노동 계약서를 건물주 단말(미도시됨)으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합산하여 인건비를 산출할 수 있다.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위치하는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미도시됨)로부터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가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이유는 특정 건물에 비상 상황이 발생 시 해당 건물의 세대에 위치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우선적으로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A의 2층 B에서 연기 감지 시 건물 A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세대에 머무르는 임차인 단말(400)에 입출입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입출입 관리용 AP로부터 수신된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세대의 입출입 정보가 특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24시간)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세대를 감시 대상 세대로 결정한다.
이때, 입출입 관리용 AP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식별자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세대 별 입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입출입 관리용 AP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입출입 관리용 AP가 설치된 세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감시 대상 세대에 대해서 해당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예를 들어, 선풍기, 에어컨 등)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고 외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감시 대상 세대에 대해서 해당 세대의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이 전기 사용 추이 그래프 상의 최저 사용 구간, 적정 사용 구간 및 초과 사용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감시 대상 세대의 전기 사용량이 최저 사용 구간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한 후에 외출하였다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감시 대상 세대의 전기 사용량이 전기 사용 추이 그래프 상의 적정 사용 구간 또는 초과 사용 구간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전기 제품 지속 사용 메시지를 감시 대상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 요금이 많이 나오더라도 그 이유를 사전에 미리 인지하고 있을 수 있도록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에 대해서 비상 시 밖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통로에 설치된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객체 감지 정보 및 객체 감지 센서 식별자를 포함하는 객체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객체 감지 메시지에서 객체 센서 식별자를 추출하고, 객체 센서 식별자별 설치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객체 센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설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설치 정보를 기초로 객체 센서가 설치된 건물을 확인하고, 객체 센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에 위치하는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객체 제거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건물 A의 3층 302호에서 301호로 이동하는 이동 통로에 자전거가 세워져 있는 경우,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객체 감지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객체 감지 정보 및 객체 감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302호 및 302호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객체 제거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문 각각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로부터 충격 값을 수신하고 충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해당 세대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비상 출동 단말(500)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세대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비상 출동 단말(500)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가스 누출 감지 센서로부터 가스 농도 값을 수신하고 가스 농도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해당 세대의 가스 누출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비상 출동 단말(500)에 가스 검침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로부터 화재 안전 장치 구비 이미지(예를 들어, 소화기 이미지 등)를 수신하면, 화재 안전 장치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 안전 장치 교체 메시지를 해당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민원 정보를 수집하여 민원 정보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건물 각각의 세대의 민원이 처리되도록 한다.
또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건물 정보(예를 들어, 준공일, 시설물 별 설치일, 시설물 별 보수일, 시설물 별 점검일 등)을 기초로 시설 별 점검 여부 및 보수 여부를 한다.
건물 관리자 단말(200)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에서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건물 관리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대인 단말(300)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대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임대인 단말(3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대인 단말(300)은 임차인과의 계약이 성사되면, 임대차 정보(예를 들어, 임대 기간, 임대료, 임대료 지급일, 임대료 납부 계좌 등)를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따라서,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임대인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임대차 정보를 이용하여 임대 기간 만료 여부, 임대료 납부 여부 등을 관리하기 때문에 임대인이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임차인 단말(400)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대해서 임대인과의 계약하에 임차하여 거주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임차인 단말(4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차인 단말(400)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입출입할 때마다 해당 세대 별로 설치된 출입 관리용 AP와 통신하여 출입 관리용 AP에 입출입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임차인 단말(400)은 비콘을 통해 출입 관리용 AP와 통신하여 출입 관리용 AP에 입출입 정보를 제공한다.
비상 출동 단말(500)은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출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동하는 비상 업체에 근무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비상 출동 단말(5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비상 업체는 보안 업체, 소방 업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임대 정보 관리부(110),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 비상 상황 관리부(130), 안전 관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임대 정보 관리부(11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임대 정보(예를 들어, 임차료, 임대 계약 기간)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임대 정보 관리부(110)는 복수의 건물의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임대차 계약이 성사되면, 임대인 단말(300)로부터 임대차 정보(예를 들어, 임대 기간, 임대료, 임대료 지급일, 임대료 납부 계좌 등)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임대 정보 관리부(11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료 지급일이 도달되기 전에 임대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만일, 임대 정보 관리부(110)는 금융 기관(미도시됨)과 연동하여 임대료 지급일이 경과되어도 건물주의 계좌에 임대료가 입금되지 않으면 임대료 연체료가 포함된 임차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고 임대인 단말(300)에 임대료 미입금 안내 메시지를 송부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임대 정보 관리부(11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 기간이 만기되기 전에 임대 기간 종료 안내 메시지를 임대인 단말(300) 및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임차인 및 임대인이 임대 만기전에 이 사실을 인지하고 임대계약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관리비를 정산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먼저,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 사용료를 산출한 후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는 건물 각각의 공동 전기료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공동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 사용료를 산출한 후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비 정보 관리부(120)는 건물 각각의 인건비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주 및 건물 관리자(예를 들어, 청소부 등) 사이의 노동 계약서를 건물주 단말(미도시됨)으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합산하여 인건비를 산출할 수 있다.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위치하는 입출입 관리용 AP로부터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이유는 특정 건물에 비상 상황이 발생 시 해당 건물의 세대에 위치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우선적으로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입출입 관리용 AP로부터 수신된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세대의 입출입 정보가 특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24시간)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세대를 감시 대상 세대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감시 대상 세대에 대해서 해당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예를 들어, 선풍기, 에어컨 등)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고 외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감시 대상 세대에 대해서 해당 세대의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전기 사용량이 전기 사용 추이 그래프 상의 최저 사용 구간, 적정 사용 구간 및 초과 사용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감시 대상 세대의 전기 사용량이 최저 사용 구간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한 후에 외출하였다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감시 대상 세대의 전기 사용량이 전기 사용 추이 그래프 상의 적정 사용 구간 또는 초과 사용 구간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전기 제품 지속 사용 메시지를 감시 대상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 요금이 많이 나오더라도 그 이유를 사전에 미리 인지하고 있을 수 있도록한다.
또한,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건물 각각에 대해서 비상 시 밖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통로에 설치된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객체 감지 정보 및 객체 감지 센서 식별자를 포함하는 객체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객체 감지 메시지에서 객체 센서 식별자를 추출하고, 객체 센서 식별자별 설치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객체 센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설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비상 상황 관리부(130)는 설치 정보를 기초로 객체 센서가 설치된 건물을 확인하고, 객체 센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에 위치하는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에 객체 제거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건물 각각에 대해서 비상 시 밖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통로에 이동에 방해되는 객체가 놓여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비상 시 이동 통로를 통해 신속히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 관리부(14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문 각각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로부터 충격 값을 수신하고 충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해당 세대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보안 업체 단말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 관리부(14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세대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소방 업체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 관리부(14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가스 누출 감지 센서로부터 가스 농도 값을 수신하고 가스 농도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해당 세대의 가스 누출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가스 관리 업체 단말에 가스 검침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 관리부(14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400)로부터 화재 안전 장치 구비 이미지(예를 들어, 소화기 이미지 등)를 수신하면, 화재 안전 장치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 안전 장치 교체 메시지를 해당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
또한, 안전 관리부(14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민원 정보를 수집하여 민원 정보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건물 각각의 세대의 민원이 처리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건물의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임대차 계약이 성사되면, 임대인 단말(300)로부터 임대차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료 지급일이 도달되기 전에 임대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400)에 제공한다(단계 S320).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금융 기관(미도시됨)과 연동하여 임대료 지급일이 경과되어도 건물주의 계좌에 임대료가 입금되지 않으면(단계 S330) 임대료 연체료가 포함된 임차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고 임대인 단말(300)에 임대료 미입금 안내 메시지를 송부한다(단계 S3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건물 각각의 세대에 위치하는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미도시됨)로부터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410).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세대의 입출입 정보가 특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24시간) 변경되지 않으면(단계 S420), 해당 세대를 감시 대상 세대로 결정한다(단계 S430).
건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감시 대상 세대에 대해서 해당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외출 시 전기 제품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고 외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건물 통합 관리 서버
110: 임대 정보 관리부
120: 관리비 정보 관리부
130: 비상 상황 관리부
140: 안전 관리부
200: 건물 관리자 단말
300: 임대인 단말
400: 임차인 단말
500: 비상 출동 단말

Claims (5)

  1. 일정 구역에 위치한 다수의 건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회사에 설치되는 건물 통합 관리 서버;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에서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건물 관리자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대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대인 단말;
    건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건물 각각의 세대를 임차하여 생활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임차인 단말; 및
    건물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출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동하는 비상 업체에 근무하는 사람이 보유하는 비상 출동 단말;을 포함하고,
    건물 통합 관리 서버가 다수의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안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각각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2.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임대 정보를 기초로 임차료 납부 여부 및 임대 계약 기간 만료 여부를 관리하는 임대 정보 관리부;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관리비를 정산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하는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비 정보 관리부;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된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세대 별로 사용자가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해당 세대에 머무르는 임차인 단말에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비상 상황 관리부;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안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세대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비상 출동 단말에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안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정보 관리부는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차인들과 건물주들 사이에서 임대차 계약이 성사되면, 임대인 단말로부터 임대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료 지급일이 도달되기 전에 임대료 납부 요청 메시지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고,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임대차 정보를 기초로 임대 기간이 만기되기 전에 임대 기간 종료 안내 메시지를 임대인 단말 및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비 정보 관리부는
    상기 건물 각각의 세대 별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상기 전기 사용량에 따라 산출된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세대 별 전기료를 산출하고, 건물 각각의 공동 계량기에 설치된 전기량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고, 상기 전기 사용량에 따라 산출된 전기 사용료와 함께 전기 기본료를 포함한 공동 전기료를 산출하고, 건물주 및 건물 관리자 사이의 노동 계약서를 기초로 사이의 노동 계약서를 기초로 인건비를 산출하고, 상기 세대 별 전기료, 상기 공동 전기료 및 상기 인건비를 이용하여 관리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 관리부는
    상기 입출입 관리용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된 건물 각각의 세대 별 입출입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세대의 입출입 정보가 특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세대를 감시 대상 세대로 결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세대의 비상 상황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80121566A 2018-10-12 2018-10-12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41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66A KR20200041487A (ko) 2018-10-12 2018-10-12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66A KR20200041487A (ko) 2018-10-12 2018-10-12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87A true KR20200041487A (ko) 2020-04-22

Family

ID=7047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66A KR20200041487A (ko) 2018-10-12 2018-10-12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48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801A (ko) 2009-12-28 2011-07-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을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9930A (ko)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150110985A (ko) 2014-03-24 2015-10-05 남종우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
KR20170132538A (ko)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우연티엔이 공용건물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060A (ko)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801A (ko) 2009-12-28 2011-07-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을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9930A (ko)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150110985A (ko) 2014-03-24 2015-10-05 남종우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
KR20170132538A (ko)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우연티엔이 공용건물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060A (ko)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429B1 (en) Determining status of building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s sensor data
US7062389B2 (en) Enterprise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060142961A1 (en) Enterprise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5529869A5 (ko)
Azizi et al.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n academic buildings for space use efficiency using occupancy and booking data
KR102122588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10928B1 (ko) 중소형 공동주택 관리 대행 방법 및 시스템
KR102122589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140121001A (ko) 네트워크 기반 생활환경 주변의 방사선 측정 및 관리시스템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28282B1 (ko)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KR20200041487A (ko) 복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CN113992728A (zh) 智能水表的远程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Vásquez-Hernández et al. Standardizing system of posthandover defects for the construction sector in Colombia
JP470757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サービスに対する課金料金算出方法
KR20160116625A (ko) 태양광 발전 설비의 대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41260A (ko) 공동주택의 에너지 수요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10924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KR102492849B1 (ko) 스마트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63999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KR20150125770A (ko) 공동주택 하자코드 분류를 이용한 입주민-관리자-시공사간 연계 관리 기능
KR101362400B1 (ko) 통합소방제어시스템
JP2020057205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Zhan et al. Encouraging energy conservation in campus dormitory via monitoring and policies
KR20220122228A (ko) 건물의 운전 데이터를 이용한 자재 수명 연산 및 이를 활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