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282B1 -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282B1
KR102028282B1 KR1020180050509A KR20180050509A KR102028282B1 KR 102028282 B1 KR102028282 B1 KR 102028282B1 KR 1020180050509 A KR1020180050509 A KR 1020180050509A KR 20180050509 A KR20180050509 A KR 20180050509A KR 102028282 B1 KR102028282 B1 KR 10202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ity
rate
water
gas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린
김지효
김주현
손병일
김영훈
이재규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282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13 priority patent/WO20192120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01R31/04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에 과금된 수도요금,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을 이용하여 전력량계의 오결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로부터 수도사용량을 독출하여 수도요금을 산출하는 수도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가스계량기로부터 가스사용량을 독출하여 가스요금을 산출하는 가스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전기사용량을 독출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는 전기요금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수도요금 또는 가스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산출된 전기요금을 비교하여 전기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와 표준 전기 사용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오결선 판단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Integrated remote meter reading fault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가에 과금된 수도요금,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을 이용하여 전력량계의 오결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는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빌딩이나 공장과 같은 다양한 건물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기 공급업체에 의해 고객의 건물 내부에 부착된 후, 전력량계의 단자와 전선을 연결함으로써 전기를 건물에 공급하고 공급된 전력량을 측정한다.
전력량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입배전선로를 통해 인입배선을 전력량계 입력단에 결선하고 전력량계 출력단에 고객 측의 부하를 결선하는데, 이러한 전력량계의 설치는 현장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와 전력량계가 위치한 현장 환경의 열악함 등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선체결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고 오결선이 되거나, 개방(Open)상태로 남아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도 1은 이러한 전력량계 오결선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각각의 수용가에 수도계량기(W1, W2), 가스계량기(G1, G2), 전력량계(E1, E2)가 각각 설치된다. 주로, 수도계량기(W1, W2)와 가스계량기(G1, G2)는 수용가의 외부에 노출되며, 수용가 별로 각각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301호 수용가의 수도계량기(W1)와 302호의 수도계량기(W2)는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어, 301호의 수도계량기(W1)가 302호에 설치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이는 가스계량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전력량계(E1, E2)는 다수의 수용가가 위치한 복도나 계단 등에 설치된 동일한 배전반에 설치되는데, 전술한 설치 상의 문제로 301호의 전력량계(E1)가 302호에 결선되고, 302호의 전력량계(E2)가 301호에 결선되는 오결선의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각각의 수용가에서의 전기사용량에 따른 적절한 전기요금의 산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4615호
본 발명은 수용가에 과금된 수도요금,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을 이용하여 전력량계의 오결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로부터 수도사용량을 독출하여 수도요금을 산출하는 수도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가스계량기로부터 가스사용량을 독출하여 가스요금을 산출하는 가스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전기사용량을 독출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는 전기요금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수도요금 또는 가스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산출된 전기요금을 비교하여 전기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와 표준 전기 사용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오결선 판단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도사용량, 가스사용량, 전기사용량은, 상기 수도계량기, 상기 가스계량기, 상기 전력량계와 통신 연결된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독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사용지수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요금 대비 수도요금 또는 전기요금 대비 가스요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사용지수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사용량 또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사용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수도요금 또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가스요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인당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사용량 또는 1인당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사용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를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로 나누어, 상기 수용가의 구성원 수를 추정하고, 상기 오결선 판단모듈은 추정된 구성원 수를 기초로 상기 수용가의 정상 사용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선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수용가의 전기요금 또는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상기 수용가의 구성원에게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알리는 오결선 알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내의 구성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력량계에 오결선 검출을 위한 별도의 기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수용가에 과금된 수도요금,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을 이용하여 전력량계의 오결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량계 오결선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의 오결선 판단을 위한 예시를 보여주는 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은, 수도요금 산출모듈(100), 가스요금 산출모듈(200), 전기요금 산출모듈(300),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400), 오결선 판단모듈(500), 오결선 알림모듈(600)을 포함한다.
수도요금 산출모듈(100)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W1, W2)로부터 수도사용량을 독출하여 수도요금을 산출한다. 가스요금 산출모듈(200)은 수용가에 설치된 가스계량기(G1, G2)로부터 가스사용량을 독출하여 가스요금을 산출한다. 전기요금 산출모듈(300)은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E1, E2)로부터 전기사용량을 독출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한다.
수도사용량, 가스사용량, 전기사용량은 검침원이 각각의 수용가를 방문하여 수도계량기(W1, W2), 가스계량기(G1, G2), 전력량계(E1, E2)로부터 독출하여 수동으로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수도계량기(W1, W2), 가스계량기(G1, G2), 전력량계(E1, E2)와 통신 연결된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독출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용가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400)은 산출된 수도요금 또는 가스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산출된 전기요금을 비교하여 전기 사용지수를 산출한다.
전기 사용지수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지수로서 수용가에서의 전기요금 대비 수도요금 또는 전기요금 대비 가스요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용가에서의 1일 평균 수도요금이 1000원이고, 1일 평균 전기요금이 500원인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500원/1000원 = 0.5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용가에서의 1일 평균 도시가스요금이 2000원이고, 1일 평균 전기요금이 2500원인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2500원/2000원 = 1.25로 산출될 수 있다.
또는, 전기 사용지수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사용량 또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사용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에서의 1일 평균 수도사용량이 200리터이고, 1일 평균 전기사용량이 80kWh인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80kWh/200l = 0.4(kWh/l)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용가에서의 1일 평균 도시가스 사용량이 20m3이고, 1일 평균 전기사용량이 20kWh인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20kWh/20m3= 1(kWh/m3)로 산출될 수 있다.
전기 사용지수는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요금(또는 수도사용량)을 기준으로 하느냐 또는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요금(또는 가스사용량)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를 표준 전기 사용지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전기 오결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되는 전기 사용지수로서, 공신력 있는 기관의 통계에 의해 산출된 1인당 평균 수도요금(또는 수도사용량), 1인당 평균 가스요금(또는 가스사용량), 1인당 평균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지수이다. 즉,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수도요금 또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가스요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에 의해 산출된 1인당 1일 평균 수도요금이 200원이고, 1인당 1일 평균 전기요금이 100원인 경우,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00원/200원 = 0.5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계에 의해 산출된 1인당 1일 평균 수도사용량이 200리터이고, 1인당 1일 평균 전기사용량이 50kWh인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50kWh/200l = 0.25(kWh/l)로 산출될 수 있다.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요금(또는 수도사용량)을 기준으로 하느냐 또는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요금(또는 가스사용량)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계절별/요일별/시간별로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400)에서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를 표준 전기 사용지수로 나누면, 해당 수용가의 구성원 수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구성원 수에 의한 수도요금, 가스요금, 전기요금의 정상 사용범위를 정할 수 있다.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와 설정된 표준 전기 사용지수를 이용하여 해당 수용가의 구성원 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구성원 수를 고려하여 해당 수용가의 정상 사용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란, 전기 사용지수와 표준 전기 사용지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일정한 범위 내에서의 사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절별/요일별/시간별로 관리자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 기준 표준 전기 사용지수가 2이고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가 0.5 ~ 2.0인 상태에서, 어느 수용가의 요금 기준 전기 사용지수가 3이면, 3/2 = 1.5로 산출되어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해당 수용가의 전기 사용지수는 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동일한 조건에서 어느 수용가의 전기 사용지수가 5인 경우, 5/2 = 2.5로 산출되어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해당 수용가의 전기 사용지수는 정상 사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실제로 전기 오결선이 발생한 것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요금 또는 사용량으로부터 전기 오결선의 가능성이 있음을 판단하는 것이다.
특히,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서로 이웃하는 수용가에서의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요금(또는 수도사용량) 또는 가스요금(또는 가스사용량)이 비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여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301호의 전기요금은 2만원이고 수도요금이 5만원이면, 전기 사용지수는 2만/5만 = 0.4로 산출되고, 302호의 전기요금이 5만원이고 수도요금이 2만원이면 전기 사용지수는 5만/2만 = 2.5로 산출된다. 여기서, 현재의 수도계량기 설치 실태상, 수도계량기는 각각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301호의 수도계량기(W1)가 302호에 설치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따라서, 수도요금(또는 수도사용량)은 해당 수용가의 구성원들의 사용량에 따라 산출된 것이며, 통계상 1인의 평균 수도요금 및 전기요금이 각각 1만원이라고 가정하면, 301호의 구성원 수는 5명인 것으로 추정하고, 302호의 구성원 수는 2명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도 구성원 수에 맞도록 301호에는 5만원, 302호에는 2만원으로 산출될 것이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301호의 전기요금(E)은 2만원, 수도요금(W)은 5만원으로 산출되면, 301호의 전기 사용지수(E/W)는 0.4이고, 302호의 전기요금은 5만원 수도요금은 2만원으로 산출되면, 302호의 전기 사용지수(E/W)는 2.5이다.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통계상 1인의 평균 전기요금/수도요금이므로 1로 산출된다. 301호의 경우, (전기 사용지수)/(표준 전기 사용지수) = 0.4/1 = 0.4, 302호의 경우, 2.5/1 = 2.5가 되어,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양 수용가 모두 상기에서 예시한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0.5 ~ 2.0)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오결선 판단모듈(500)의 판단 결과, 어느 수용가의 전기요금(또는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수용가는 전기 오결선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오결선 알림모듈(600)은 시스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 또는 청각적인 알림수단으로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시스템과 수용가 세대주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경우에는, 오결선 알림모듈(600)은 해당 세대주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축 건물인 경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301호는 입주하였으나, 302호는 미입주한 상태인 경우, 301호의 수도요금은 5만원이나, 전기요금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기 사용지수는 0만/5만 = 0.0으로 산출되고, (전기 사용지수)/(표준 전기 사용지수) = 0.0/1 = 0.0이 되어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301호는 상기에서 예시한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0.5 ~ 2.0)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동 주택의 어느 수용가가 일시적인 공실인 경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이사로 인해 302호가 공실이 된 경우, 관리 사무소에서 302호가 이사 나간 날짜와 향후 새로운 세대가 이사 들어올 날짜를 입력하고, 해당 기간 내에 전기요금(또는 전기 사용량)이 발생한 경우, 오결선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302호가 일시적인 공실인 기간 동안, 수도요금은 0원이고, 전기요금이 1만원이면, 전기 사용지수는 1만/0 = ∞(무한대)로 산출되고, (전기 사용지수)/(표준 전기 사용지수) = (∞)/1 = ∞가 되어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302호는 상기에서 예시한 기설정된 정상 사용범위(0.5 ~ 2.0)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달) 동안의 사용요금(또는 사용량)을 이용하여 오결선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특정 시간대의 사용요금(또는 사용량)을 이용하여 오결선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현대인의 생활 패턴상, 7시 ~ 9시의 출근 시간대에는 전기, 수도, 가스의 사용량이 집중된다. 따라서, 이 시간대에서의 전기 대비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면, 전기의 오결선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수도요금 산출모듈(100), 가스요금 산출모듈(200), 전기요금 산출모듈(300)은 원격 검침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요금 또는 사용량을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는 출근 시간대의 전기, 수도, 가스 사용요금 또는 사용량을 이용하여 전기 오결선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시간대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서 전기 오결선을 판단하나, 실질적인 전기 오결선 판단 과정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용가 내에 구성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센서(미도시)를 추가하여 전기 오결선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요금 산출모듈(100), 가스요금 산출모듈(200), 전기요금 산출모듈(300)은 원격 검침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요금 또는 사용량을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는 재실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 수도, 가스 사용요금 또는 사용량을 이용하여 전기 오결선 여부를 판단한다.
어느 수용가 내의 구성원이 모두 외출하여 재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구성원이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소비되는 전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인 전기 사용량은 없게 된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소비되는 전기는, 냉장고, 밥통 등 음식물의 보관 유지를 위한 전기 소비를 의미한다. 만약, 이웃하는 수용가와 전기 오결선이 발생한 경우, 재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구성원이 없는 경우라도 이웃 수용가에서 상당한 전기 소비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전기요금이 발생한다. 따라서, 오결선 판단모듈(500)은 재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구성원이 없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값 이상의 전기요금이 발생한 경우, 비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오결선 알림모듈(600)에 의해 전기 오결선 가능성이 감지된 경우, 시스템 관리자 또는 수용가 주민은 전기 배전반을 체크하여 전기 오결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오결선 여부를 확인하였는데 실제 오결선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다른 계량기의 검침 오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수도 계량기나 가스 계량기를 검침하는 경우, 수도 계량기 또는 가스 계량기에서의 기계적인 결함 또는 검침수단의 통신선 결함 등을 유추하여 이들 장비의 정상 작동에 대해 확인토록 하여 부적절한 과금에 대해 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도요금 산출모듈 200 : 가스요금 산출모듈
300 : 전기요금 산출모듈 400 :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
500 : 오결선 판단모듈 600 : 오결선 알림모듈

Claims (9)

  1.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로부터 수도사용량을 독출하여 수도요금을 산출하는 수도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가스계량기로부터 가스사용량을 독출하여 가스요금을 산출하는 가스요금 산출모듈;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전기사용량을 독출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는 전기요금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수도요금 또는 가스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산출된 전기요금을 대비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수도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독출된 전기사용량을 대비하여 전기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와 표준 전기 사용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전기요금 또는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의 전기 오결선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오결선 판단모듈
    을 포함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도사용량, 가스사용량, 전기사용량은,
    상기 수도계량기, 상기 가스계량기, 상기 전력량계와 통신 연결된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수도요금 또는 1인당 전기요금 대비 가스요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는 1인당 전기사용량 대비 수도사용량 또는 1인당 전기사용량 대비 가스사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사용지수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전기 사용지수를 상기 표준 전기 사용지수로 나누어, 상기 수용가의 구성원 수를 추정하고,
    상기 오결선 판단모듈은 추정된 구성원 수를 기초로 상기 수용가의 정상 사용범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결선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수용가의 전기요금 또는 전기사용량이 정상 사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상기 수용가의 구성원에게 전기 오결선 가능성을 알리는 오결선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내의 구성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KR1020180050509A 2018-05-02 2018-05-02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KR10202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09A KR102028282B1 (ko) 2018-05-02 2018-05-02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PCT/KR2018/009313 WO2019212093A1 (ko) 2018-05-02 2018-08-14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09A KR102028282B1 (ko) 2018-05-02 2018-05-02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282B1 true KR102028282B1 (ko) 2019-10-02

Family

ID=6838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09A KR102028282B1 (ko) 2018-05-02 2018-05-02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282B1 (ko)
WO (1) WO20192120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3663A (zh) * 2020-12-17 2021-04-09 南方电网海南数字电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电费抄表核算分析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7010B (zh) * 2021-02-08 2022-05-24 国网上海市电力公司 基于电费出账风险管控的用电信息采集数据二次研判方法
CN112994245A (zh) * 2021-03-31 2021-06-18 湖南小快智造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用电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541A (ja) * 2004-06-03 2005-12-15 Hitachi Ltd 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データの妥当性判定方法および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システム
KR20170014615A (ko) 2015-07-30 2017-02-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오결선 검출이 가능한 전력량계 및 오결선 검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509A (ja) * 2001-03-05 2002-09-13 Toyo Keiki Co Ltd オンラインメータ監視方法
KR20040089155A (ko) * 2003-04-10 2004-10-21 주식회사 남전사 오결선 검출 및 경보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KR101008451B1 (ko) * 2008-10-31 2011-01-14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09024B1 (ko) * 2010-11-25 2012-02-20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접촉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541A (ja) * 2004-06-03 2005-12-15 Hitachi Ltd 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データの妥当性判定方法および電力または電力量の計測システム
KR20170014615A (ko) 2015-07-30 2017-02-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오결선 검출이 가능한 전력량계 및 오결선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3663A (zh) * 2020-12-17 2021-04-09 南方电网海南数字电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电费抄表核算分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093A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282B1 (ko)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KR10144861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US8234017B2 (en) Electronic smart meter enabling demand response and method for demand response
CN110945368A (zh) 用于利用完整性检查分析来检测电力盗窃的系统和方法
US20150212138A1 (en) Method for detecting open-circuit faults i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KR101301554B1 (ko) 통합 cmd센서를 이용한 고장 및 열화진단 기능의 고압반,저압반,분전반,모터제어반
KR20110101476A (ko) 전력량 검출장치
CN110914694A (zh) 检测电力盗窃的系统和方法
KR2011007685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70112465A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내에서 재해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27032A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200089473A (ko)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대분전반
JP3733910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KR20030075263A (ko) 수도 가스의 검침, 방재와 보안정보를 처리하는 에스아이유를 내장한 전력량계
KR101022288B1 (ko) 무정전 설치가 가능한 분리형 자기장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동 산출하는 온실가스 측정장치
KR20110052773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US8890711B2 (en) Safety utility reconnect
KR20110076858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495230B1 (ko) 통신 출력 횟수 확인을 위한 카운터 단말기
CN111328375A (zh) 使用仪表数据解集来检测电力盗窃的系统和方法
KR101610299B1 (ko) 장애발생 고압전력량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5210A (ko)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050041557A (ko) 결선상태 체크기능을 갖는 전자식 전력랑계 및 그 전자식전력량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JP5370566B1 (ja) 結線状態診断装置および結線状態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