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993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993B1
KR102639993B1 KR1020220151573A KR20220151573A KR102639993B1 KR 102639993 B1 KR102639993 B1 KR 102639993B1 KR 1020220151573 A KR1020220151573 A KR 1020220151573A KR 20220151573 A KR20220151573 A KR 20220151573A KR 102639993 B1 KR102639993 B1 KR 10263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m
swimming pool
artificial intelligence
peop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주)천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천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5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이상징후 감시 동작이 다수의 센서 및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토대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공용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관리자에게 업로드되게 하여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센싱부, 데이터베이스부 및 제2 데이터베이스부, 인공지능모듈이 탑재되는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 및 이동형 공기청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Apartment house information communicated upload system using AI}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에서의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이상징후 감시 동작이 다수의 센서 및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토대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공용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관리자에게 업로드되게 하여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 아파트는 아파트에 홈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서, 아파트의 공지사항, 편의 서비스, 입주민간의 소통, 커뮤니터 시설의 조회 및 예약, IoT 서비스 등 아파트 생활과 관련된 서비스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아파트 등 홈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경우, 해당 공동주택에서의 각종 정보통신 기기 및 시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에는 냉난방 설비, 조명기구, 승강기 및 각종 배관 등이 설치되며, 이의 관리는 통상적으로 관리자가 상주하면서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관리자가 직접 해당 설비를 보수하거나 전문적인 보수 전문가에게 보수를 의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동주택의 각종 설비로부터 자동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중앙 감시반인 PC에 업로드하여, 관리자가 PC의 데이터만을 보고도 해당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는 관리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다시 말해 공동주택에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적용한 공동주택 관리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DDC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DDC는 건물의 각종 설비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중앙 감시반인 PC에 업-로드하는 장비를 말한다. 즉, DDC는 건물 내의 각종 설비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이상(오작동 내지 기타 이상)이 발생하면 중앙 감시반인 PC로 상태이상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PC는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설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알람 메시지를 띄우게 되며, 이를 확인한 시설 관리자가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설비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건물 내의 시설 관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들어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적용을 위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감시 및 그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이 다수의 센서 및 딥 러닝 수행 능력의 인공지능모듈 그리고 이를 통해 산출되는 데이터들의 해당 공동주택 단지 내 정보통신망을 통한 업로드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86089호(2020.12.04.공고),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2246812호(2021.04.30.공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 제어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2369907호(2022.03.03.공고),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용기기 이용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이상징후 감시 동작이 다수의 센서 및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토대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공용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관리자에게 업로드되게 하여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에 대한 공기 질 관리가 기존의 송풍기 및 배풍기에 의한 기계 환기에 더하여 자율주행차량 기술을 이용한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정화 기능을 통해 보다 고효율로 관리됨에 따라,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 내 공기 청정도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인 수영장 및 헬스장에 대한 입주민들의 이용 현황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 기능을 통해 분석되면서 매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가 산출되고, 이렇게 산출되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에 해당하는 인원을 외부인들로 채워 그 이용료를 통해 수영장 및 헬스장을 이용하지 않는 입주민들에게 유지비 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공동주택 단지의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사는 시설물(이하 “공용시설물”)들에 설치되되, 상기 공용시설물의 종류별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당 공용시설물의 작동상태 내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이하 “관리정보”라 함)를 사전 설정된 측정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외부 전송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공용시설물별 사전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공용시설물별 저장되는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센싱부에서 획득된 시각(이하 “센싱시각”)을 기준으로 순차적 정렬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며, 상기 공용시설물별 이상작동, 고장, 유지보수 내지 사고 정보가 그 발생 시각 및 상기 센싱시각을 기준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상기 관리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를 토대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공용 시설물별 이상징후 판단용의 이상 판별 기준값을 도출하는 인공지능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이상 판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용 시설물별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된 공용 시설물의 해당 이상징후 정보를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업로드시키는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시설물 중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센싱부에는 복수의 공기 질 측정모듈이 포함되되,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은 상기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사전 구획된 단위측정구역별 해당 단위측정구역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공기 질 측정모듈 각각은 포름알데하이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5), 일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 내지 제4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별 일련번호가 사전에 부여되어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 각각은 상기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에 등록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상기 지하주차장 내부에 대한 공기 청정용의 이동형 공기청정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공기청정장치는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별 설치되어 해당 공기 질 측정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들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상기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중계기,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별 상기 지하주차장 내 위치정보가 상기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로부터 상기 공기 질 측정모듈의 상기 일련번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일련번호와 매핑된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다음, 검출된 위치정보가 포함된 단계적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단계적 동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적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 후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청정 본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와; 상기 지하주차장의 사각 주차구역들 중 상기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의 미작동 시 대기 공간으로 사전 지정된 전용주착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은 상기 단위측정구역별 상기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상기 무선통신모듈들 중 해당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에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이상징후 감시 동작이 다수의 센서 및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토대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공용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관리자에게 업로드되어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에 대한 공기 질 관리가 기존의 송풍기 및 배풍기에 의한 기계 환기에 더하여 자율주행차량 기술을 이용한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정화 기능을 통해 보다 고효율로 관리됨에 따라,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 내 공기 청정도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인 수영장 및 헬스장에 대한 입주민들의 이용 현황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 기능을 통해 분석되면서 매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가 산출되고, 이렇게 산출되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에 해당하는 인원을 외부인들로 채워 그 이용료를 통해 수영장 및 헬스장을 이용하지 않는 입주민들에게 유지비 환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서 공기 질 측정모듈 및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세부 구성 및 그 설치 상태를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서 커뮤니티 시설 중심의 서비스 운영 및 그 과정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서 공기 질 측정모듈 및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세부 구성 및 그 설치 상태를 예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에서 커뮤니티 시설 중심의 서비스 운영 및 그 과정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센싱부(100), 데이터베이스부(200) 및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이동형 공기청정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00)는 공동주택 단지(10)의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사는 시설물(이하 “공용시설물(20)”)들에 설치되되, 이러한 센싱부(100)는 공용시설물(20)의 종류별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당 공용시설물(20)의 작동상태 내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이하 “관리정보”라 함)를 사전 설정된 측정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외부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관리정보가 공용시설물(20)별 사전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고, 공용시설물(20)별 저장되는 상기 관리정보는 센싱부(100)에서 획득된 시각(이하 “센싱시각”)을 기준으로 순차적 정렬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며, 공용시설물(20)별 이상작동, 고장, 유지보수 내지 사고 정보가 그 발생 시각 및 상기 센싱시각을 기준으로 해당 공용시설물(20)의 상기 관리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부(200)의 정보를 토대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공용 시설물(20)별 이상징후 판단용의 이상 판별 기준값을 도출하는 인공지능모듈(310)이 탑재된다. 그리고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센싱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이상 판별 기준값을 비교하여 공용 시설물(20)별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된 공용 시설물(20)의 해당 이상징후 정보를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업로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공용시설물(20) 중 지하주차장(21)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센싱부(100)에는 복수의 공기 질 측정모듈(110)이 포함되며, 이러한 공기 질 측정모듈(110)은 지하주차장(21)을 대상으로 사전 구획된 단위측정구역(A)별 해당 단위측정구역(A)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공기 질 측정모듈(110) 각각은 포름알데하이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5), 일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 내지 제4 측정센서(111∼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 질 측정모듈(110)별 일련번호가 사전에 부여되어 공기 질 측정모듈(110) 각각은 상기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에 등록된다.
이동형 공기청정장치(500)는 지하주차장(21) 내부에 대한 공기 청정용의 용도이며, 이러한 이동형 공기청정장치(500)는 무선통신모듈(510),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520) 및 전용주착구역(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510)은 공기 질 측정모듈(110)별 설치되어 해당 공기 질 측정모듈(110)의 제1 내지 제4 측정센서(111∼114)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520)는 중계기(521), 저장부(522), 제어부(523) 및 공기청정 본체부(5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계기(521)는 무선통신모듈(510)들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상기 측정값을 수신하여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하고,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저장부(522)는 공기 질 측정모듈(110)별 지하주차장(21) 내 위치정보가 상기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제어부(523)는 중계기(521)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로부터 공기 질 측정모듈(110)의 상기 일련번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일련번호와 매핑된 위치정보를 저장부(522)로부터 검출한 다음, 검출된 위치정보가 포함된 단계적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공기청정 본체부(524)는 상기 단계적 동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적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 후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한다.
전용주착구역(530)은 지하주차장(21)의 사각 주차구역들 중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520)의 미작동 시 대기 공간으로 사전 지정된 주차구역이다.
그리고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의 인공지능모듈(310)은 상기 단위측정구역(A)별 이동형 공기청정장치(500)의 무선통신모듈(510)들 중 해당 무선통신모듈(5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500)에 전달하고, 이렇게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500)에 전달된 상기 작동제어신호가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520)의 중계기(521)로 전송된다.
그리고 공용시설물(20)에는 커뮤니티 시설(22)인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이 포함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은 제2 데이터베이스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커뮤니티 시설(22)에 대한 공동주택 단지(10)의 세대별 이용정보가 세대별 동호수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제2 인공지능모듈(320)이 탑재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 인공지능모듈(320)은 제2 데이터베이스부(600)의 정보를 토대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 각각에 대한 월 이용자 수를 이전 3개월 동안의 월별 이용자 수를 토대로 개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제2 인공지능모듈(320)을 통해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월 이용자 수와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사전 설정된 규정사용인원을 비교하여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외부인 할당 인원의 수(이하 “외부 할당인원수”)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상기 외부 할당인원수를 공동주택 단지(10)의 관리서버(30)에 업로드시킨다.
또한,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상기 외부 할당인원수에 따른 외부인 이용료 합계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산출기준에 따라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유지비 환급금 총액 및 세대 지급 유지비 환급금을 각각 산출한 다음, 산출된 상기 유지비 환급금 총액은 관리서버(30)에 업로드시키고, 산출된 상기 세대 지급 유지비 환급금은 수영장(22a) 또는 헬스장(22b)을 이용하지 않은 세대들의 월패드(40)에 각각 업로드시킨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 단지의 공용시설물들에 대한 이상징후 감시가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동 감시될 수 있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공용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해당 공용시설물의 관리자에게 전달되게 하여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에 대한 공기 질 관리가 기존의 송풍기 및 배풍기에 의한 기계 환기에 더하여 자율주행차량 기술을 이용한 이동형 공기청정장치의 정화 기능을 통해 보다 고효율로 관리됨에 따라,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 내 공기 청정도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사전 구획한 단위측정구역별 공기 질 측정모듈을 설치한 후, 이를 통해 측정되는 단위측정구역별 공기 질에 따라 자율주행차량 기술이 적용된 이동형 공기청정장치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선택된 단위측정구역에 대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따라서 순간적으로 공기 질이 나빠진 지하주차장 내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신속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면서 해당 영역의 나쁜 공기 질이 지하주창장 내 주변 영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인 수영장 및 헬스장에 대한 입주민들의 이용 현황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 기능을 통해 분석되면서 매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가 산출되고, 이렇게 산출되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에 해당하는 인원을 외부인들로 채워 그 이용료를 통해 수영장 및 헬스장을 이용하지 않는 입주민들에게 환급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공동주택 단지의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유지비는 해당 공동주택 단지의 입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징수하므로, 수영장 및 헬스장을 이용하지 않는 입주민들도 유지비를 내야하는 데 따른 불만이 있을 수 있는바, 해당 수영장 및 헬스장의 이용 인원 수가 그 규정사용인원을 모두 채우는 상태로 항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부인들의 이용료를 통해 미사용 입주민들에 대한 유지비 환급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 단지 20 : 공용시설물
21 : 지하주차장 22 : 커뮤니티 시설
22a : 수영장 22b : 헬스장
30 : 관리서버 40 : 월패드
100 : 센싱부 110 : 공기 질 측정모듈
111 : 제1 측정센서 112 : 제2 측정센서
113 : 제3 측정센서 114 : 제4 측정센서
200 : 데이터베이스부 300 :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
310 : 인공지능모듈 320 : 제2 인공지능모듈
40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500 : 이동형 공기청정장치
510 : 무선통신모듈 520 : 자율주행차량형 공기청정기
521 : 중계기 522 : 저장부
523 : 제어부 524 : 공기청정 본체부
530 : 전용주차구역 600 : 제2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2)

  1. 공동주택 단지(10)의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사는 시설물(이하 “공용시설물(20)”) 중에서 커뮤니티 시설(22)인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을 대상으로, 상기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에 대한 상기 공동주택 단지(10)의 세대별 이용정보가 세대별 동호수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부(600);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부(600)의 정보를 토대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 각각에 대한 월 이용자 수를 이전 3개월 동안의 월별 이용자 수를 토대로 개별 산출하는 기능의 제2 인공지능모듈(320)이 탑재되는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서버(300)는, 상기 제2 인공지능모듈(320)을 통해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월 이용자 수와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사전 설정된 규정사용인원을 비교하여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외부인 할당 인원의 수(이하 “외부 할당인원수”)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상기 외부 할당인원수를 상기 공동주택 단지(10)의 관리서버(30)에 업로드시키고, 산출된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상기 외부 할당인원수에 따른 외부인 이용료 합계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산출기준에 따라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별 유지비 환급금 총액 및 세대 지급 유지비 환급금을 각각 산출한 다음, 산출된 상기 유지비 환급금 총액은 상기 관리서버(30)에 업로드시키고, 산출된 상기 세대 지급 유지비 환급금은 수영장(22a) 또는 헬스장(22b)을 이용하지 않은 세대들의 월패드(40)에 각각 업로드시키며,
    상기 공동주택 단지(10) 내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에 대한 입주민들의 이용 현황이 제2 인공지능모듈(320)의 딥 러닝 기능을 통해 분석되면서 매월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가 산출되고, 산출된 잔여 이용 가능 인원수에 해당하는 인원을 외부인들로 채워 그 이용료를 통해 수영장(22a) 및 헬스장(22b)을 이용하지 않는 입주민들에게 환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2. 삭제
KR1020220151573A 2022-11-14 2022-11-14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KR10263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73A KR102639993B1 (ko) 2022-11-14 2022-11-14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73A KR102639993B1 (ko) 2022-11-14 2022-11-14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993B1 true KR102639993B1 (ko) 2024-02-23

Family

ID=9004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573A KR102639993B1 (ko) 2022-11-14 2022-11-14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9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05B1 (ko)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 청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102186089B1 (ko) 2020-06-17 2020-12-04 (주)코아브릿지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246812B1 (ko) 2020-08-20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 제어 시스템
KR2021005150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지하주차장 환경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2369907B1 (ko) 2020-04-29 2022-03-03 주식회사 대림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용기기 이용 방법
KR20220047435A (ko) *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이동형 공기청정기
KR20220077994A (ko)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에스투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내 공기질 측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5215A (ko) * 2021-02-10 2022-08-17 (주)청파이엠티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05B1 (ko)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 청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5150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지하주차장 환경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2369907B1 (ko) 2020-04-29 2022-03-03 주식회사 대림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용기기 이용 방법
KR102186089B1 (ko) 2020-06-17 2020-12-04 (주)코아브릿지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246812B1 (ko) 2020-08-20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 제어 시스템
KR20220047435A (ko) *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이동형 공기청정기
KR20220077994A (ko)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에스투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내 공기질 측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5215A (ko) * 2021-02-10 2022-08-17 (주)청파이엠티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2348B1 (en) Determining status of building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s sensor data
JP4005328B2 (ja)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US201601042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welling maintenance analytics on insured property
US20180150806A1 (en) Systems for Actively Monitoring Lift Devices and Maintaining Lif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1183108A (zh) 用于管理和监控起重系统和建筑设施的系统和方法
JP2008518863A (ja) エレベータまたはエスカレータ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装置
US20160132839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facilities maintenance scheduling
KR10240318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2588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CN112686649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建筑设备管理系统
JP6947683B2 (ja) ビル保守システム及びビル保守支援方法
CN107195014A (zh) 一种基于二维码扫描的定点定期巡检方法及系统
KR102122589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63999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업로드 시스템
KR102022010B1 (ko)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EP34573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temperature sensors
JP7054264B1 (ja) ダクト汚れ監視システム
KR20200079652A (ko) 에너지시스템용 ar기반 운영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47810B1 (ko) 제트팬 유지 관리 시스템
CN116523498A (zh) 基于ai的电力设施巡视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KR101096593B1 (ko) 원격 측정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센서네트워크 미들웨어 시스템
JP2004265159A (ja) 保守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5209030A (ja) 火災感知器および火災感知器のメ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
KR101131046B1 (ko) 기록물 보존소의 실내환경 관리 및 오염물질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