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953A -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953A
KR20200040953A KR1020180120325A KR20180120325A KR20200040953A KR 20200040953 A KR20200040953 A KR 20200040953A KR 1020180120325 A KR1020180120325 A KR 1020180120325A KR 20180120325 A KR20180120325 A KR 20180120325A KR 20200040953 A KR20200040953 A KR 20200040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ver window
opening
pollu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647B1 (ko
Inventor
성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47B1/ko
Priority to US16/565,644 priority patent/US11428967B2/en
Priority to CN201910958404.4A priority patent/CN111028670B/zh
Publication of KR2020004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5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photoconducting or a ferro-electric layer, the properties of which can be optically or electrically varied
    • G02F1/1351Light-absorbing or blocking layers
    • G02F2001/133311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는, 투명 윈도우; 상기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갖는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140)은 상기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차광층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된다.
커버 윈도우는 투명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의 베젤을 정의하는 차광층을 갖는다. 차광층은 표시 패널에 표시된 영상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커버 윈도우의 차광층은 또한, 표시 장치의 카메라, 근접 센서, 지문 인식 센서 등 각종 수광 센서를 위한 개구부를 갖는다.
커버 윈도우의 차광층은 운반 및 조립 과정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의 배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되고, 표시 장치와의 결합 직전에 보호 필름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 필름의 점착제가 차광층의 개구부 내로 전이되고, 보호 필름의 제거 시에도 전이된 점착제가 개구부 내에 잔류할 수 있다. 개구부 내에 잔류하는 점착제는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을 차단 또는 교란시켜 수광 센서의 센싱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를 위한 개구부 내의 점착제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는, 투명 윈도우; 상기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갖는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140)은 상기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차광층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차광층 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40 dynes/c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20 dynes/c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90도 이상의 물 접촉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25도 이상의 헥사데칸 접촉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불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화합물은, 퍼플루오르폴리에터 (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플루오르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및 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터코폴리머(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된 접착력 개선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력 개선층은 SiO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미세 돌기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오염방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오염방지층은 제1 점착제로 서로 점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제2 점착제로 점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오염방지층은 서로 점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차광층과 평면상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수광 센서; 및 표시 패널 및 수광 센서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명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갖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차광층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광 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2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반투과성 재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수광 센서는 평면상 상기 개구부와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층의 개구부를 오염방지층으로 덮음으로써 점착제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00)가 결합된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버 윈도우(100)가 조립된 상태의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의 오염방지층(14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00)가 결합된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버 윈도우(100)가 조립된 상태의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a,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커버 윈도우(100),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전면 보호 부재(210), 커버 윈도우 부재의 배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개구부 보호 부재(220) 및 배면 보호 부재(23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커버 윈도우 부재(CWP)에 포함된 각각의 부재, 층, 박막 또는 필름의 배면은 조립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을 향하는 면 또는 표시 장치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지칭하고, 그 전면은 배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 또는 표시 장치의 외부를 향하는 면을 지칭하며, 그 측면은 그 전면 및 배면과 접하는 면을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바디(30) 및 커버 윈도우(1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홈버튼(35), 통화용 스피커(34), 카메라 렌즈(31), 근접 센서 수광부(32), 표시 패널(33), 기타 수광부(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는, 홈버튼(35), 통화용 스피커(34), 카메라 렌즈(31), 근접 센서 수광부(32) 및 표시 패널(33)과 각각 평면상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통화용 스피커 개구부(11), 홈버튼 개구부(12), 카메라 렌즈 개구부(21), 근접 센서 개구부(22), 영상 표시 개구부(23)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화용 스피커 개구부(11) 및 홈버튼 개구부(12)는 커버 윈도우(100) 전체를 관통하는 개구부(10)로서, 통화용 스피커(34), 홈버튼(35) 등은 커버 윈도우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 개구부(21), 근접 센서 개구부(22), 영상 표시 개구부(23) 등은 커버 윈도우(100)를 관통하지 않는 개구부로서, 차광층(130)에 정의된 개구부(2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 센서, 카메라 렌즈 등의 기타 센서(36)는 영상 표시 개구부(23) 내의 일부 영역(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 카메라 렌즈 등의 기타 센서(36)를 위한 개구부는 따로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31) 또는 근접 센서 수광부(32)도 영상 표시 개구부(23) 내의 일부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31) 또는 근접 센서 수광부(32)는 표시 패널(33)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31) 또는 근접 센서 수광부(32)를 위한 개구부(21-1, 22-1)는 따로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커버 윈도우(100)가 결합되는 표시 장치(DD)에 따라, 커버 윈도우(100)의 개구부(10, 20)의 형상, 위치, 크기,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 보호 부재(210)는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며,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전면 보호 부재(210)는 커버 윈도우(1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다소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보호 부재(210)는 전면 보호 필름(211) 및 점착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보호 필름(21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212)는 전면 보호 필름(211)의 배면에 도포되며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보호 부재(210)는 표시 장치의 조립 전/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부(20)를 덮는 개구부 보호 부재(220)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부 보호 부재(220)는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 전부를 덮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 보호 부재(220)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 및 점착제(2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222)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의 전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점착제(222)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222)는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개구부 보호 부재(220)는 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박막 시트 또는 마스킹 테이프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보호 부재(220)는 표시 장치의 조립 전에 제거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 전체를 덮는 배면 보호 부재(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면 보호 부재(230)의 일부는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배면 및 개구부 보호 부재(22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을 직접 덮는다.
배면 보호 부재(23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보호 부재(230)는 표시 장치(DD)의 조립 전에 제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면 보호 부재(230)는 배면 보호 필름(231) 및 점착제(2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보호 필름(231)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232)는 배면 보호 필름(231)의 전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점착제(232)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232)는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점착제(232)는 개구부 보호 필름의 배면과 배면 보호 필름의 전면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232)는 개구부 보호 필름에 의해 덮이지 않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과 배면 보호 필름의 전면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보호 부재(230)는 표시 장치(DD)의 조립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 윈도우(100)는 커버 윈도우 부재(CWP)에서 표시 장치(DD)의 조립시에 제거되는 전면 보호 부재(210), 개구부 보호 부재(220) 및 배면 보호 부재(230)를 제외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투명 윈도우(110), 투명 윈도우(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학층(120)과,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차광층(130) 및 오염방지층(140)을 포함한다.
투명 윈도우(110)는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정의하고 그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 각종 센서(31-36)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가급적 적은 변형을 유발하고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투명 윈도우(110)는 그 상하에 배치되는 광학층(120), 차광층(130) 및 오염방지층(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 윈도우(11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강화 유리, 플라스틱,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110)는 서로 부착된 둘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윈도우(110)는 표시 패널(33)의 영상,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 지문 인식 센서 등을 위한 광 또는 기타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 윈도우(110)는 통화용 스피커 개구부(11), 홈버튼 개구부(12) 등의 개구부(10)를 가질 수 있다. 통화용 스피커 개구부(11) 및 홈버튼 개구부(12)등의 개구부(10)는 투명 윈도우(110)를 관통할 수 있다.
광학층(120)은 투명 윈도우(110)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투명 윈도우(110)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광학층(120)은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121)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122)과, 지문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1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G(Anti-Glare) 코팅층(121)은 빛 굴절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평광판 원리 및 패턴각인 기술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AR(Anti-Reflective) 코팅층(122)은 반사광 방지를 위한 것으로, 굴절율과 반사율을 함께 낮추어 줌으로써 투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AF(Anti-Finger) 코팅층(123)은 지문 방지를 위한 것으로, 하드코트제의 습성을 올리는 방향으로 설계하여 지문 성분이 부착되더라도 습성이 펴져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AF(Anti-Finger) 코팅층(123)은 후술하는 오염방지층(140)과 동일한 재료,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130)은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차광층(130)은 단층 또는 다층의 차광층(1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130)은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1 차광층(132) 및 제1 차광층(132)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2 차광층(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층(132)은 표시 패널(33)의 영상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 카메라 렌즈(31)의 주변, 근접 센서의 수광부(32)의 주변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도포된 블랙 잉크일 수 있다. 제2 차광층(131)은 제1 차광층(132)을 보강하여 차광률을 높인다.
차광층(130)은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0)를 갖는다. 개구부(20)는 카메라 개구부(21), 근접센서 개구부(22) 및 영상 표시 개구부(23) 등에 대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광층(130)의 개구부(21)는 카메라 모듈(41)의 카메라 렌즈(31)와 평면상 중첩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카메라 개구부(21)를 예로 들고 있으나, 도 4 내지 도 6의 개구부(21)는 근접센서 개구부(22) 및 영상 표시 개구부(23)는 물론 임의의 개구부에 대응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은 차광층(130)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오염방지층(140)은 평면상 개구부(21)를 둘러싸는 차광층(130)의 측면 및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은 평면상 개구부(21)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은 개구부(21)에서 소정의 거리 d1 이내의 영역 전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d1은 1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d1은 10m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염방지층(140)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은 개구부 보호 핌름(221)의 전면에 도포된 점착제(222)가 개구부 보호 핌름(221)의 박리 시에 커버 윈도우(100)의 개구부(21) 영역에 전이되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과 점착제(222) 간의 접착력은 투명 윈도우(110)와 점착제(222) 간의 접착력 보다 현저히 낮다. 개구부 보호 필름(221)의 전면에서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으로 점착제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과 점착제(222) 간의 접착력은 오염방지층(140)과 투명 윈도우(110) 간의 접착력 보다 현저히 낮아, 오염방지층(140)이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에서 점착제(222)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과 점착제(222) 간의 접착력은 오염방지층(140)의 발수 및 발유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의 발수 및 발유 특성이 강할수록 오염방지층(140)과 점착제(222) 간의 접착력은 약해지며, 따라서 점착제(222)가 개구부(21) 영역에 잔류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오염방지층(140)의 발수 및 발유 특성은, 오염방지층(140)에 대한 액체의 접촉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은 차광층(130)의 배면 및 투명 윈도우(110) 배면보다 큰 물 접촉각 및 헥사데칸 접촉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의 물 접촉각은 80도 이상이고, 헥사데칸 접촉각은 25도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의 물 접촉각은 90도 이상이고, 헥사데칸 접촉각은 30도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의 물 접촉각은 100도 이상이고, 헥사데칸 접촉각은 40도 이상이다.
또한, 접촉각은 오염방지층(140)의 표면에너지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방지층(140)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은 차광층(130) 및 투명 윈도우(110)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의 표면 에너지는 40 dynes/c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의 표면 에너지는 30 dynes/cm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의 표면 에너지는 20 dynes/cm 이하이다.
오염방지층(140)의 표면에너지는 Zisman 곡선법을 이용한 액체 임계 표면 장력 측정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오염방지층(140)의 표면에너지는 Owen-Wendt 식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액체 접촉각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접촉각은 오염방지층(140)의 표면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방지층(140)은 미세한 돌기(141)들의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돌기(141) 사이의 거리는 나노미터 스케일 또는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을 갖는다.
오염방지층(140)은 표면 에너지가 낮은 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불소 화합물은 퍼플루오르폴리에터 (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플루오르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및 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터코폴리머(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은 50 중량% 이상의 불소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의 물질은 불소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물 및 헥사데칸 접촉각 또는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은 폴리에틸렌,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은 10 nm 내지 20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오염방지층(140)의 두께가 200 nm를 초과하면 개구부(21)에서의 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방지층(140)은 8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염방지층(140)은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 보호 부재(220)는 오염방지층(140)의 배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오염방지층(14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오염방지층(140)의 배면 전체 및 오염방지층(140)에 덮이지 않은 차광층(130)의 배면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 보호 필름(221)의 전면 전체에 도포된 점착제(222)는 오염방지층(140)의 배면 및 오염방지층(140)에 덮이지 않은 차광층(130)의 배면과 접촉한다. 오염방지층(140)에 덮이지 않은 차광층(130)과 개구부 보호 필름(221) 사이의 점착제(222)는 평면상 오염방지층(140)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222)와 오염방지층(140)과의 낮은 접착력으로 인해 오염방지층(140) 상에 점착제(222)가 잔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222)와 차광층(130) 사이의 높은 접착력으로 인해, 개구부 보호 필름(221)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개구부(21)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오염방지층(140) 보다는 작고, 개구부보다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는 투명 윈도우(110)와 차광층(1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층(160) 및 차광층(130)과 오염방지층(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제1 층(160) 및 제2 층(17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160) 및 제2 층(170)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층(160)은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160)은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층(160)의 배면 상에 개구부(21)를 갖는 차광층(130)이 배치된다. 개구부(21)는 제1 층(160)을 노출시킨다.
차광층(130)의 배면 및 개구부(21)에 의해 노출된 제1 층(160)의 배면 상에 제2 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170)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170) 상에 오염방지층(140)이 배치된다.
제1 층(160) 및 제2 층(17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임의의 기능성 박막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160) 또는 제2 층(170)은 비산방지 필름일 수 있다.
투명 윈도우(110)가 강화 유리인 경우, 비산방지 필름은, 강화유리가 충격을 받아 깨질 때, 강화유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160) 또는 제2 층(170)은 하드 코팅층일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차광층(130)의 전면 및/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차광층(130)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하드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나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계열의 고관능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오염방지층(140)은 오염방지층(140)의 피복성을 개선하기 위한 접착력 개선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층(150)은 오염방지층(140)과 직접 접하는 투명 윈도우(110), 제1 층(160), 제2 층(170) 또는 차광층(13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오염방지층(140)은 불소 화합물 등의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기 고분자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 윈도우(110), 제1 층(160), 제2 층(170) 또는 차광층(130)에 대한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접착력 개선층(150)은 오염방지층(140)과 투명 윈도우(110), 제1 층(160), 제2 층(170) 또는 차광층(1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층의 면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오염방지층(140)과 투명 윈도우(110), 제1 층(160), 제2 층(170) 또는 차광층(130)의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는 오염방지층(14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층(150)은 오염방지층(140)과 오염방지층(140)이 피복될 투명 윈도우(110), 제1 층(160), 제2 층(170) 또는 차광층(130)과 모두 친화력 있는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력 개선층(150)은 산화규소(SiO2)로 구성된 실리카 산화막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과 오염방지층(140) 사이에 점착제(222)가 배치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부(20)을 덮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그 전면에 점착제(222)가 도포되지 않으며, 차광층(140) 및 방오층(150)의 배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개구부 보호 필름(221)은 그 일면에 점착제(222)가 도포되지 않은 박막 시트 또는 마스킹 테이프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 부재(CWP)는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 전체를 덮는 배면 보호 부재(230)를 포함한다. 배면 보호 부재(230)의 일부는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개구부 보호 부재(220)의 배면 및 개구부 보호 부재(22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을 직접 덮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배면 보호 부재(230)는 배면 보호 필름(231) 및 점착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232)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의 배면과 배면 보호 필름(231)의 전면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232)는 개구부 보호 필름(221)에 의해 덮이지 않은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과 배면 보호 필름(231)의 전면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과 배면 보호 필름(231)의 전면을 서로 부착시키는 점착제(232)는 평면상 개구부 보호 필름(221)을 둘러싼다.
따라서, 개구부 보호 필름(221)는 배면 보호 부재(230)에 의해 커버 윈도우(10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개구부(22)는 도 3a의 근접 센서 수광부(32)를 위한 근접 센서 개구부(2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는 도 3a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대응할 수 있다. 근접 센서 수광부는 적외선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00)는 제3 차광층(133)을 더 포함한다.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제1 층(160), 제1 차광층(132), 제2 차광층(131)이 차례로 배치된다. 제1 차광층(132) 및 제1 차광층(131)은 개구부(22)를 포함하고, 개구부(22)는 평면상 근접 센서 모듈(42)의 근접 센서 수광부(32)와 중첩한다.
제3 차광층(133)은 제1 차광층(132) 및 제2 차광층(131)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3 차광층(133)은 개구부(22)에 인접한 제1 차광층(132) 및 제2 차광층(131)의 측면과 제2 차광층(131)의 배면 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평면상으로 제3 차광층(133)의 면적은 개구부(22)의 면적보다 크다.
제3 차광층(133)은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반투과성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차광층(133)의 배면 상에 제2 층(170), 접착력 개선층(150) 및 오염방지층(140)이 차례로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개구부(23)는 도 3a의 표시 패널(33)을 위한 영상 표시 개구부(23)에 대응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a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지문 인식 센서, 카메라 등의 센서(46)를 위한 수광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6)는 표시 패널(33)의 영상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6)는 표시 패널(33)을 관통하는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6)는 표시 패널(33)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33)은 수광부(36)를 위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카메라 렌즈(36)는 평면상 영상 표시 개구부(23)의 일부 영역(B)과 중첩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차광층(130)은 영상 표시 개구부(23)에 대응하는 개구부(23)를 포함하고, 평면상 수광부(36)는 영상 표시 개구부(23) 내에 배치된다.
차광층(130)과 오염방지층(14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윈도우(110)의 배면 상에 제1 층(160) 및 차광층(130)이 차례로 배치된다. 차광층(130)은 영상 표시 개구부(23)에 대응하는 개구부(23)를 포함하고, 개구부(23)는 평면상 표시 패널(33)의 영상 표시 영역과 실질적으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부(23)의 일부 영역(B)는 평면상 수광부(36)와 중첩한다.
차광층(130) 및 개구부(23)에 의해 노출된 제1 층(160) 상에 제2 층(170)이 배치되고, 제2 층(170) 상에 접착력 개선층(150) 및 오염방지층(140)이 차례로 배치된다.
오염방지층(140) 및 접착력 개선층(150)은 개구부 내의 일부 영역(B)에만 배치된다. 평면상 오염방지층(140) 및 접착력 개선층(150)은 개구부(23) 전체의 면적보다 작고, 카메라 렌즈(36)와 중첩하는 개구부(23)의 일부 영역(B)의 면적보다는 크다. 오염방지층(140) 및 접착력 개선층(150)은 평면상 차광층(130)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개구부(23) 내에 배치된 수광부와 중첩하는 영역에 오염방지층(140)이 배치됨으로써, 배면 보호 부재(230)의 점착제(222)가 영상 표시 개구부 내의 수광부와 중첩하는 영역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커버 윈도우 부재: CWP 표시 장치: DD
커버 윈도우: 100
투명 윈도우: 110 광학층: 120 인쇄층: 130 오염방지층: 140
접착력 개선층: 150 제1 층: 160 제2 층: 170

Claims (20)

  1. 투명 윈도우;
    상기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갖는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차광층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차광층 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커버 윈도우 부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40 dynes/c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20 dynes/c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90도 이상의 물 접촉각을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25도 이상의 헥사데칸 접촉각을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화합물은,
    퍼플루오르폴리에터 (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플루오르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및 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터코폴리머(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투명 윈도우 상에 배치된 접착력 개선층을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개선층은 SiO2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미세 돌기 패턴을 갖는, 커버 윈도우 부재.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오염방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오염방지층은 제1 점착제로 서로 점착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제2 점착제로 점착되는, 커버 윈도우 부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오염방지층은 서로 점착되지 않는, 커버 윈도우 부재.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차광층과 평면상 중첩하지 않는, 커버 윈도우 부재.
  18. 표시 패널;
    수광 센서; 및
    표시 패널 및 수광 센서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명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갖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상기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차광층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투명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2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반투과성 재질인,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수광 센서는 평면상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20325A 2018-10-10 2018-10-10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58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25A KR102582647B1 (ko) 2018-10-10 2018-10-10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6/565,644 US11428967B2 (en) 2018-10-10 2019-09-10 Cover window including anti-pollution layer at opening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958404.4A CN111028670B (zh) 2018-10-10 2019-10-10 显示装置的盖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25A KR102582647B1 (ko) 2018-10-10 2018-10-10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953A true KR20200040953A (ko) 2020-04-21
KR102582647B1 KR102582647B1 (ko) 2023-09-25

Family

ID=7015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325A KR102582647B1 (ko) 2018-10-10 2018-10-10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8967B2 (ko)
KR (1) KR102582647B1 (ko)
CN (1) CN1110286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2887B2 (en) 2021-01-19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Anti-fingerprint coating compound, display protective layer including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splay protective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1025S1 (en) * 2017-08-10 2018-10-16 Apple Inc. Housing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TWI719823B (zh) * 2020-02-05 2021-02-21 聚積科技股份有限公司 板上封裝顯示元件及其製造方法
CN114503537B (zh) * 2020-06-24 2023-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2405A1 (en) * 2005-05-05 2006-11-23 Larry Brumwell Protective cover system
KR20070119624A (ko) * 2005-02-03 2007-12-20 유니버시티 오브 노스캐롤라이나 앳 채플 힐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낮은 표면 에너지 고분자물질
KR20120137955A (ko) * 2011-06-13 2012-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63570A (ko) * 2011-12-07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85037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105700A (ko) * 2016-03-09 2017-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80037102A (ko) * 2016-10-03 2018-04-11 김영수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7155B (zh) * 2008-05-28 2013-04-03 高通Mems科技公司 具有光转向微结构的光导面板、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1262252B1 (ko) * 2011-10-18 201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E102012102161A1 (de) * 2012-03-14 2013-09-19 Ewald Dörken Ag Antifouling-Bahn
KR20140003046A (ko)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327531B1 (ko) 2012-10-10 2013-11-08 (주)디씨엠플러스 정전식 액정디스플레이 보호용 강화유리커버
KR101698144B1 (ko) * 2013-07-11 2017-01-19 핑거프린트 카드즈 에이비 보호코팅이 달린 지문감지 디바이스
KR102171599B1 (ko) * 2014-05-27 2020-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000382B (zh) * 2014-07-22 2020-04-28 因特瓦克公司 具有改进的耐刮擦/耐磨性和疏油性质的用于玻璃的涂层
KR102313489B1 (ko) * 2015-01-21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064103A (ko) * 2015-11-30 2017-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10176355B2 (en) * 2015-12-03 2019-01-08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sensor for integration in a display
KR101907253B1 (ko) 2016-03-25 2018-10-12 (주)엘지하우시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538093B1 (ko) * 2016-06-28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3380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624A (ko) * 2005-02-03 2007-12-20 유니버시티 오브 노스캐롤라이나 앳 채플 힐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낮은 표면 에너지 고분자물질
US20060262405A1 (en) * 2005-05-05 2006-11-23 Larry Brumwell Protective cover system
KR20120137955A (ko) * 2011-06-13 2012-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63570A (ko) * 2011-12-07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85037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105700A (ko) * 2016-03-09 2017-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80037102A (ko) * 2016-10-03 2018-04-11 김영수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2887B2 (en) 2021-01-19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Anti-fingerprint coating compound, display protective layer including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splay protectiv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28967B2 (en) 2022-08-30
US20200117029A1 (en) 2020-04-16
CN111028670B (zh) 2023-09-01
KR102582647B1 (ko) 2023-09-25
CN111028670A (zh)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647B1 (ko)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1833785B2 (en) Low reflectance optical web
US10481735B2 (en) Augmented optical waveguide for use in an optical touch sensitive device
US20060279558A1 (en) Touc input screen using a light guide
US20030133207A1 (en) Optical filter
US10838126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infrared blocking filters
TWI596757B (zh) 窗口及具有該窗口之顯示裝置
TW201310090A (zh) 具有可撓性玻璃偏光片之電子裝置
KR20150006910A (ko)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용 투명 패널
CN210200172U (zh) 保护板及显示装置
KR20160022426A (ko) 표시장치
US10353496B2 (en) Touch panel
KR20180128114A (ko) 표시 장치
KR101139539B1 (ko)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CN111767901B (zh) 显示装置
TW202219829A (zh) 取像裝置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CN113098994A (zh) 显示装置
KR20220030355A (ko) 표시 모듈
JP2011039422A (ja) 表示装置の保持構造
KR2018006585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210101771A (ko) 선반 조명장치
KR20210104514A (ko) 표시장치
KR20220133348A (ko)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70418A (ko)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