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253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253B1
KR101907253B1 KR1020160036031A KR20160036031A KR101907253B1 KR 101907253 B1 KR101907253 B1 KR 101907253B1 KR 1020160036031 A KR1020160036031 A KR 1020160036031A KR 20160036031 A KR20160036031 A KR 20160036031A KR 101907253 B1 KR101907253 B1 KR 10190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ating layer
display
display cov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792A (ko
Inventor
김경택
이승훈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3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253B1/ko
Priority to PCT/KR2016/014415 priority patent/WO2017164485A1/ko
Publication of KR2017011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bstract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인쇄층과, 하드 코팅층과, 디스플레이 커버층, 및 광학 코팅층을 포함한다. 인쇄층은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된다. 하드 코팅층은 인쇄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인쇄층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커버층은 하드 코팅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광학 코팅층은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과, 지문 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MANUFACTURINF METHOD OF COVER WINDOW F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는 휴대 전화,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고경도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강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훼손하지 않기 위한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됨에 따라 커버 윈도우도 그에 대응하여 곡면형상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 윈도우는 대부분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있어 곡면형상으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화유리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46620 (2013.05.08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하드 코팅층과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수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곡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인쇄층과, 하드 코팅층과, 디스플레이 커버층, 및 광학 코팅층을 포함한다. 인쇄층은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된다. 하드 코팅층은 인쇄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인쇄층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커버층은 하드 코팅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광학 코팅층은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과, 지문 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은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된 인쇄층을 형성한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쇄층을 보호하도록 인쇄층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드 코팅층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한다.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상부에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과, 지문 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코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 코팅층과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수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곡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사출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사출시 발생하는 복굴절을 최소화하여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상부에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과, 지문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코팅층을 배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록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100)는 인쇄층(110)과, 하드 코팅층(120)과, 디스플레이 커버층(130), 및 광학 코팅층(140)을 포함한다.
인쇄층(110)은 제조사의 로고나 색상이 도색되는 곳으로,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1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쇄층(110)에 디스플레이 홀(111)이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홀(11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하드 코팅층(120)은 인쇄층(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인쇄층(110)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드 코팅층(120)은 5 ~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드 코팅층(12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표면경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두께가 30㎛를 초과할 경우 표면경도의 확보에는 유리하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드 코팅층(120)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나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계열의 고관능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Isocyanate group)과 아크릴(Acrylic)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Methacrylic monomer)의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과의 반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ester acrylate oligomer)는 포화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을 아크릴레이트화 시킨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하드 코팅층(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5 ~ 2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표면경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두께가 20㎛를 초과할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이 수지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강화유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층보다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여 곡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광학 코팅층(140)은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141)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142)과, 지문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G(Anti-Glare) 코팅층(141)은 빛 굴절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평광판 원리 및 패턴각인 기술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AR(Anti-Reflective) 코팅층(142)은 반사광 방지를 위한 것으로, 굴절율을 낮추어 반사율을 함께 낮추어 줌으로써 투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F(Anti-Finger) 코팅층(143)은 지문 방지를 위한 것으로, 하드코트제의 습성을 올리는 방향으로 설계하여 지문 성분이 부착되더라도 습성이 펴져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코팅층(140)은 5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광학 코팅층(14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표면경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사출압축 성형(Injection Compression M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 내에 수지를 사출 충전한 뒤 약간 열려있는 상부 금형에 압축력을 가하여 금형을 완전히 닫고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성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출압축 성형을 통해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형성하게 되면 치수 정밀도가 높으며, 사출시 발생하는 복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내열성, 시인성, 투명성의 특징이 있으며, 전기 절연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강화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제조할 경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는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약 97%의 광투과율을 지니고 있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소재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제조할 경우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100)는 하드 코팅층(120)과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수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곡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사출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사출시 발생하는 복굴절을 최소화하여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의 상부에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141)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142)과, 지문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코팅층(140)을 배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200)은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210)와,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220)와,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230)와,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240)를 포함한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210)는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111)이 형성된 인쇄층(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하드 코팅층 (120) 사이에 배치되므로 별도의 접착물 없이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이 가능하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220)는 인쇄층(110)을 보호하도록 인쇄층(110)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120)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드 코팅층(120)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계열의 고관능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드 코팅층(120)은 표면경도를 확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5 ~ 3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230)는 하드 코팅층(120)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사출압축 성형(Injection Compression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 내에 수지를 사출 충전한 뒤 약간 열려있는 상부 금형에 압축력을 가하여 금형을 완전히 닫고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성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출압축 성형을 통해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을 형성하게 되면 치수 정밀도가 높으며, 사출시 발생하는 복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은 표면경도를 확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5 ~ 2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240)는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의 상부에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141)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142)과, 지문 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코팅층(140)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 코팅층(140)은 디스플레이 코팅층(130)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광학 코팅층(140)을 접착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이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층(130)의 표면에 광학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학 코팅층(140)은 표면경도를 확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crack)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5 ~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커버 윈도우
110.. 인쇄층
120.. 하드 코팅층
130.. 디스플레이 커버층
140.. 광학 코팅층
141.. AG(Anti-Glare) 코팅층
142.. AR(Anti-Reflective) 코팅층
143.. AF(Anti-Finger) 코팅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앙에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도록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코팅층의 상부에 수지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상부에 빛 굴절 차단을 위한 AG(Anti-Glare) 코팅층과, 반사광 방지를 위한 AR(Anti-Reflective) 코팅층과, 지문 방지를 위한 AF(Anti-Finger)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층은 사출압축 성형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광학 코팅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층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36031A 2016-03-25 2016-03-25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190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031A KR101907253B1 (ko) 2016-03-25 2016-03-25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PCT/KR2016/014415 WO2017164485A1 (ko) 2016-03-25 2016-12-09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031A KR101907253B1 (ko) 2016-03-25 2016-03-25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792A KR20170113792A (ko) 2017-10-13
KR101907253B1 true KR101907253B1 (ko) 2018-10-12

Family

ID=5990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031A KR101907253B1 (ko) 2016-03-25 2016-03-25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253B1 (ko)
WO (1) WO20171644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8967B2 (en) 2018-10-10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including anti-pollution layer at opening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88B1 (ko) * 2018-01-11 2020-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기재의 제조 방법
KR102594548B1 (ko) 2019-01-02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60032B1 (ko) 2019-01-10 2024-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88536A (ko) 2019-01-14 2020-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79836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259A (ko) * 2006-09-29 2008-04-04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2298B1 (ko) * 2007-10-04 2010-02-16 주식회사 두성테크 휴대기기용 표시패널
KR20130075249A (ko) * 2011-12-27 2013-07-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기능성이 부여된 고경도 필름
KR20130075248A (ko) * 2011-12-27 2013-07-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기능성이 부여된 고경도 필름
KR20160008722A (ko) * 2014-07-14 2016-01-25 (주)엘지하우시스 곡면형 커버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8967B2 (en) 2018-10-10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including anti-pollution layer at opening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792A (ko) 2017-10-13
WO2017164485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2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1669026B1 (ko)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곡면형 표시 장치
KR102124047B1 (ko) 커버 윈도우
KR10208867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3979228A1 (en) Flexible display cover plate, flexible display modul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TWI522690B (zh) 複合式導光板與顯示裝置
KR10147247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10723105B2 (en) Decorative layer-attach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CN104662497A (zh) 动态触觉界面和方法
WO2007089054A1 (en) Protective glass comple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223016A1 (en)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0706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제작 방법
US20190011606A1 (en) Method for strengthening cover lens
KR102279018B1 (ko) 3중 적층 포밍시트
KR20140126824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13120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KR20110105751A (ko)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기판
US20100330331A1 (en) Panel for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087966B1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801762B2 (ja) 表示装置
KR20140142564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5642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
KR102509978B1 (ko) 복합시트와 이중층을 가지는 휴대통신기기 하우징용 백커버의 제조방법
KR101517681B1 (ko) 디스플레이 보호용 액정보호필름
US11543563B2 (en) Optical functional resin panel having layers of increasing surface hard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