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71A - 선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선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71A
KR20210101771A KR1020200016137A KR20200016137A KR20210101771A KR 20210101771 A KR20210101771 A KR 20210101771A KR 1020200016137 A KR1020200016137 A KR 1020200016137A KR 20200016137 A KR20200016137 A KR 20200016137A KR 20210101771 A KR20210101771 A KR 20210101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shelf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수
윤홍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0001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771A/ko
Priority to US17/798,444 priority patent/US20230107268A1/en
Priority to PCT/US2021/016533 priority patent/WO2021162924A1/en
Priority to CN202180020376.7A priority patent/CN115280061A/zh
Priority to EP21753369.4A priority patent/EP4103878A1/en
Publication of KR2021010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오염 부위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선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서로 대향되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의 가장자리에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이어주는 제3 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굴절률(n1)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도광판;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표면 상에 배치되는 선반;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선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3 표면의 적어도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선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 조명장치{SHELF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오염 부위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선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은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도가 좋은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광학적인 굴절률이 높은 매질에서 낮은 매질로 빛이 진행할 때 나타나는 전반사 효과를 이용하여 빛을 내부로 퍼트린다. 도광판 내부를 이동하는 빛은 광추출 사이트(site)를 만나면 굴절되어 도광판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도광판을 선반으로 사용하게 되면, 선반 전체를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냉장고나, 매장의 상품 전시용 선반에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때, 선반의 경우, 사용자가 수시로 만지게 되며, 이로 인해, 지문이나, 액체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특히, 도광판은 오염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표면에 지문이 묻으면, 지문이 묻은 부위가 빛을 외부로 뽑아내는 광추출 사이트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빛이 도광되지 않는 상태, 즉, 광원이 오프 상태에서는 잘 보이지 않던, 예컨대, 지문과 같은 약한 흔적도 빛이 도광되는 경우 그 부위가 밝게 빛나게 된다. 즉, 지문이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선반 역할을 하게 되는 도광판에 올려진 상품이 아니라 선반 자체가 주목 받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의 도광판의 경우, 도광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게 지문을 닦아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도광판을 실제 선반 조명장치에 적용하여 상품화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0426호(2017.09.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오염 부위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선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접촉이 이루어지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을 향하는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반대되는 제2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의 가장자리에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이어주는 제3 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굴절률(n1)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도광판; 상기 선반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1 표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3 표면의 적어도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도광판 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선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은 하기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선반 조명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2 표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3 굴절률(n3)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점착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굴절률(n2)와 상기 제3 굴절률(n3)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고,
n2≥n3이면 n4n2 또는 n3≥n2이면 n4=n3 (n4=n2≥n3 또는 n4=n3≥n2),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은 하기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은 42.6도 이하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굴절률(n2)은 상기 제1 굴절률(n1)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굴절률(n2)은 1.45 이하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도광판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점착층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점착층은 UV 수지 및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저굴절 물질 후보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점착층은 3~3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액상의 수지를 사용하여 점착하는 경우 액상의 수지를 3~30㎛ 두께로 도포할 수 있고, 필름 형태로 성형된 점착층을 사용하는 경우는 필름 형태로 성형된 점착층의 두께는 20~3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그리고 선반 조명장치는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광산란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기판과 이의 상, 하측에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기판을 구비하고, 이들 기판 사이에 도광판을 이루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물질로 이루어진 저굴절층을 배치하는 한편,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을 제한함으로써,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분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오염 영역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지문이나 음식물 등으로 인한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과 선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조명을 통해 선반 위에 올려져 있는 제품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어,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100)는 선반 기능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여, 조명을 통해 선반 위에 올려져 있는 제품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조명장치이다. 예를 들어, 선반 조명장치(100)는 냉장고 내부 선반이나 전시장의 제품 전시용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조명장치(100)는 도광판(110), 선반(120), 커버(122), 제1 점착층(130), 제2 점착층(132) 및 광원(1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광판(110)은 빛을 도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구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광판(110)은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도광판(110)은 서로 대향되는 제1 표면(111)과 제2 표면(112) 및 제1 표면(111)과 제2 표면(112)의 가장자리에 이어져 형성되어 제1 표면(111)과 제2 표면(112)을 이어주는 제3 표면(1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표면(111)은 광원(140)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도광판(110)의 상면(도면기준)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표면(112)은 제1 표면(111)과 마찬가지로, 광원(140)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도광판(110)의 하면(도면기준)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100)는 도광판(110)의 제1 표면(111)과 제2 표면(112) 양측으로 빛을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3 표면(1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100)가 측면 발광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광원(140)과 마주하게 되는 도광판(1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도면기준)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광판(110)은 제1 굴절률(n1)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광판(110)은 유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광판(110)이 유리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광판(110)의 굴절률(n1) 값은 1.51이 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도광판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탄성률(elastic modulus)이 높아야 덜 휘어지므로, modulus가 높은 소재가 도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을 선반으로 사용시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유리보다 심하다. 따라서, 도광판으로는 플라스틱보다는 유리가 선호될 수 있고, 유리 중에서는 도광판 전용으로 개발된 IRIS 유리가 좋을 수 있으며, 저철분 유리도 사용 가능하다.  일반 건축용 유리의 경우, 녹색 변색의 문제가 있어, 사용은 가능하지만, 선호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소재가 도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광판(110)의 제2 표면(112) 상에는 도광판(110) 내부에서 도광되는 빛을 외부로 뽑아 내기 위한 다수의 광점이 형성되어 광산란 패턴(150)을 이룬다. 광산란 패턴(150)의 두께는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두꺼워지면 점착층의 두께도 광산란 패턴(150)의 두께 이상으로 두꺼워져야 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광산란 패턴은 제1 표면(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광산란 패턴은 제1 표면(111) 및 제2 표면(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광산란 패턴은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예컨대 백색의 수지를 스크린 프린팅, 잉트젯 프린팅 또는 스프레이 프린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광산란 패턴은 패턴은 제1 표면(111) 또는 제2 표면(112) 상에서 예컨대 닷트 패턴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닷트 패턴의 각 닷트의 단면은 예컨대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광산란 패턴은 예컨대 기계적으로 표면을 긁어 내거나 레이저 등으로 표면을 녹이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음각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광산란 패턴은 제1 표면(111) 또는 제2 표면(112) 상에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 메쉬 패턴 또는 닷트 패턴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패턴의 각 단위체는 예컨대 V자 형상, 사각형 형상, 반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광산란 패턴은 잉크젯 프린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렌즈를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렌즈는 제1 표면(111) 또는 제2 표면(112) 상에서 닷트 패턴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반(120)은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도광판(110)과 분리된 영역, 즉,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선반(120) 상에는 제품이 올려지고 이에 따라 사람의 지문이나 음식물 혹은 액체 등의 물질이 묻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120)은 도광판(110)의 제1 표면(111) 상에 배치된다. 즉, 선반(120)은 도면기준으로, 도광판(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반(120)은 PET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커버(122)가 도광판(110)의 제2 표면(112) 상에 배치된다. 즉, 커버(122)가 도면 기준으로, 도광판(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커버(122)는 PET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각각, 도광판(110)과 선반(120)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 결과,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오염 영역, 즉, 선반(120) 측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즉, 빛의 직접적인 출광은 오직 도광판(110)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문이나 음식물 등으로 인한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분리된 상태에서 선반 기능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100)는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을 구비한다.
제1 점착층(130)은 도광판(110)의 제1 표면(111)과 선반(120) 사이에 배치되어 도광판(110)과 이의 상측(도면기준)에 배치되어 있는 선반(120)을 접합시킨다. 또한, 제2 점착층(130)은 도광판(110)의 제2 표면(112)과 커버(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광판(110)과 이의 하측(도면기준)에 배치되어 있는 커버(122)를 접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1 점착층(130)은 제2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32)은 제3 굴절률(n3)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점착층(130)을 이루는 물질의 제2 굴절률(n2) 및 제3 굴절률(n3)은 도광판(110)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률(n1)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도광판(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저굴절층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률(n2)은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UV 수지 및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저굴절 물질 후보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이 PSA로 이루어진 경우, 제2 점착층(130)의 굴절률(n2) 값 및 제3 점착층의 굴절률(n3) 값은 1.35로, 도광판(110)을 이루는 유리의 굴절률(n1) 값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3㎛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점착층의 단가가 고가임을 고려할 때, 두께가 두꺼워지면 코스트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굴절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을 구비하게 되면, 전체적인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선반 조명장치(100)를 좀 더 단순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원(140)은 선반 조명장치(100)가 측면 발광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정의되는 제3 표면(113)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원(140)으로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분리된 상태에서 선반 기능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저굴절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을 구비하고, 이와 함께 광원(140)으로부터 방출되어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도광판(110)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을 제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광원(140)으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110)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들(θ1, θ2, ...)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n4는 n2≥n3이면 n4=n2 또는 n3≥n2이면 n4=n3 (n4=n2≥n3 또는 n4=n3≥n2)이다. 즉, n2와 n3 중 더 큰 값이 n4이고, n2와 n3가 같다면 n4=n2=n3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광판(110)은 유리로 이루어지고, 이때 도광판(110)의 굴절률(n1)은 1.51이다. 또한,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은 PSA로 이루어지고, 이때 제1 점착층(130) 및 제2 점착층(132)의 굴절률(n2)은 1.35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원(140)으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110)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은 sin-1(sin(cos-1(1.35/1.51))*1.51) = 42.6도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도광판(110)과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선반(120) 사이에 도광판(110)을 이루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층(130)을 배치하는 것과 함께 광원(140)으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110)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을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사용되는 LED package는 60도 이상의 각도로도 빛이 상당량 방출되므로, 방출각을 제한하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거나, 입사각이 더 좁게 제한된 LED package를 조달하여 사용하면 된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지문이나 음식물 등이 묻은 혹은 묻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큰 오염 영역인 선반(120)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출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지문이나 음식물 등으로 인한 표면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광판만으로 이루어지는 선반에서는 빛이 도광판 내부를 진행하는 도중 도광판 표면의 오염 영역을 만나게 되면, 오염 영역에 도달한 빛의 많은 양이 외부로 출광되어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광판을 진행하면서 도광판의 표면을 통하여 균등하게 출광된 빛이 제1 점착층(130) 및 선반(120)을 지나 오염 영역을 만나게 되더라도, 그 오염 영역에 도달한 빛의 양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지문 등이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선반 조명장치(100)는 커버(122) 및 제2 점착층(13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하측으로부터 접촉이 허용되지 않는 구조의 선반 조명장치에서는, 커버(122) 및 제2 점착층(132)이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위 수학식 1을 만족하여야 한다. 도광판(11)의 제2 표면(112)이 공기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굴절률이 약 1이므로, 일반적으로 제1 점착층(130)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보다 클 것이므로,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은 식이 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선반 조명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반사판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사판이 있으면 도광이 어려워진다. 다만 반사판이 선반 조명장치의 구성부가 아닌 별도의 구성부로서, 선반 조명장치와 격리되어 (복층 유리처럼) 설치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선반 조명장치(100)는 상하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양면 발광형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어떠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선반 조명장치(100)는 한면으로만 빛을 발광하는 단면 발광형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선반 조명장치(100)는 투명 조명장치일 수도 있고 불투명 조명장치일 수도 있다. 선반 조명장치(100)는 산란이 심한 조명장치일 수 도 있고, 산란이 적당한 조명장치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명장치(100)는 조명과 선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조명을 통해 선반 위에 올려져 있는 제품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어,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는 다중 종속항이 다른 다른 종속항에 인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일부 국가의 실무에 부합되게 작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다른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을 배제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선반 조명장치 110; 도광판
111; 제1 표면 112; 제2 표면
113; 제3 표면 120; 선반
122: 커버 130: 제1 점착층
132; 제2 점착층 140; 광원
150; 광산란 패턴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접촉이 이루어지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을 향하는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반대되는 제2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의 가장자리에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이어주는 제3 표면을 포함하며, 제1 굴절률(n1)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빛의 도광이 이루어지는, 도광판;
    상기 선반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1 표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3 표면의 적어도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도광판 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선반 조명장치.
    Figure pa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2 표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3 굴절률(n3)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점착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굴절률(n2)와 상기 제3 굴절률(n3)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고,
    n2≥n3이면 n4n2 또는 n3≥n2이면 n4=n3,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θ2)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선반 조명장치.
    Figure pat000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은 42.6도 이하인 선반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률(n2)은 상기 제1 굴절률(n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선반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률(n2)은 1.45 이하인 선반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선반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반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UV 수지 및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저굴절 물질 후보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선반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3㎛ 이상의 두께를 갖는 선반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인 선반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광산란 패턴을 더 포함하는 선반 조명장치.
KR1020200016137A 2020-02-11 2020-02-11 선반 조명장치 KR20210101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37A KR20210101771A (ko) 2020-02-11 2020-02-11 선반 조명장치
US17/798,444 US20230107268A1 (en) 2020-02-11 2021-02-04 Shelf lighting device
PCT/US2021/016533 WO2021162924A1 (en) 2020-02-11 2021-02-04 Shelf lighting device
CN202180020376.7A CN115280061A (zh) 2020-02-11 2021-02-04 搁架照明装置
EP21753369.4A EP4103878A1 (en) 2020-02-11 2021-02-04 Shelf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37A KR20210101771A (ko) 2020-02-11 2020-02-11 선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71A true KR20210101771A (ko) 2021-08-19

Family

ID=7729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37A KR20210101771A (ko) 2020-02-11 2020-02-11 선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07268A1 (ko)
EP (1) EP4103878A1 (ko)
KR (1) KR20210101771A (ko)
CN (1) CN115280061A (ko)
WO (1) WO20211629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26B1 (ko) 2010-09-24 2017-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351B1 (ko) * 1991-12-03 1997-05-23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US8684588B2 (en) * 2008-06-04 2014-04-01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guide elements for display device
WO2010005655A2 (en) * 2008-07-10 2010-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scoelastic lightguide
KR101653015B1 (ko) * 2008-12-25 2016-08-31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광원장치용 도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53251A (ko) * 2016-09-21 2019-05-1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엣지 조사 도광판들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JP2018120090A (ja) * 2017-01-25 2018-08-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棚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26B1 (ko) 2010-09-24 2017-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80061A (zh) 2022-11-01
US20230107268A1 (en) 2023-04-06
WO2021162924A1 (en) 2021-08-19
EP4103878A1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904B1 (ko) 도광 기능을 갖는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TWI471636B (zh) 觸控顯示裝置
TWI518564B (zh) Touch display with front light module
US9535205B2 (en) Display device
TWI533040B (zh) 顯示裝置
CN207799711U (zh) 生物特征辨识模组
KR201800377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139545B2 (en) Front ligh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reof
US20140055418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optical touch panel thereof
US10571621B2 (e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RU2012127562A (ru) Прозрачный излучающий оконный элемент
JP2007178792A5 (ko)
US11808967B2 (en) Light deflec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use
US20160349433A1 (en) Illuminated window display
US8770772B1 (en) Luminous keyboard
US20140233258A1 (en) Backlight module
US20220137285A1 (en) Optical structure for light-emitting diode device and light-emitting diode device for lighting application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771A (ko) 선반 조명장치
KR102029617B1 (ko) 화이트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필름 일체형 도광판을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KR20090064264A (ko) 반사형 표시 장치
US11181679B2 (en) Front 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4606135B2 (ja) 液晶表示装置
US1096585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355211B1 (ko) 윈도우 패널
TWI779409B (zh) 顯示裝置及其支撐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