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955A -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955A
KR20120137955A KR1020110057143A KR20110057143A KR20120137955A KR 20120137955 A KR20120137955 A KR 20120137955A KR 1020110057143 A KR1020110057143 A KR 1020110057143A KR 20110057143 A KR20110057143 A KR 20110057143A KR 20120137955 A KR20120137955 A KR 2012013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device
texture
ceramic layer
textu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955A/ko
Publication of KR2012013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8Physical treatment to alter the texture of the substrate surface, e.g. grinding, polis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가짐에 따라, 영구적으로 기판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표시장치는 정보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표시장치의 예로서는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는 TV,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 및 전자제품의 표시부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표시장치의 기판은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로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장치용 기판의 표면에 불소계 폴리머를 코팅하였으나, 불소계 폴리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되어 오염 방지 기능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영구적으로 표면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표시장치용 기판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판의 표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구비하여 표면 오염을 영구히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의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용 기판은 적어도 일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쳐부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쳐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세라믹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층은 AZO 또는 GZO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해결 수단의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된 기판을 투명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된 기판을 투명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마된 기판을 에천트에 딥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을 에천트에 디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층은 AZO 또는 GZO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은 표면에 텍스쳐부를 구비하여 표면의 소수성화를 구현함에 따라 표면의 이물질 오염을 영구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연마공정 및 투명화 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된 텍스쳐부를 갖는 기판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텍스쳐부를 갖는 세라믹층을 구비한 기판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용 기판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100)은 투명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한 기판의 예로서는 유리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기판(100)의 일면에 텍스쳐부(110)를 가질 수 있다. 텍스쳐부(110)는 기판(10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다수의 음각패턴 또는 양각 패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0)은 텍스쳐부(110)에 의해 표면 에너지를 낮출 수 있어, 기판(100)의 표면은 소수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00)의 표면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용 기판(100)이 액정표시장치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경우, 표시장치용 텍스쳐부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100)의 타면 상에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공정 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형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용 기판(100)은 완성된 표시장치의 외측면에 별도로 부착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판(100)의 표면 구조의 변경을 통해 기판(100)의 표면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영구적으로 기판의 표면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200)은 투명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한 기판의 예로서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기판(200)의 일면에는 텍스쳐부(220)를 갖는 세라믹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층(210)을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AZO(aluminum zinc oxide) 및 GZO(gallium zinc oxide)등일 수 있다.
이때, 기판(200)의 일면에 텍스쳐부(220)를 갖는 세라믹층(210)을 구비함에 따라, 기판(200)의 표면 에너지를 낮출 수 있다. 즉, 기판(200)의 표면은 텍스쳐부(220)에 의해 소수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00)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판(200)에 텍스쳐부(220)를 갖는 별도의 세라믹층(210)을 구비하여 기판(200)의 표면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영구적으로 기판의 표면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기판(100)을 제공한다.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기판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0)을 제공한 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기판(100)의 일면을 연마하여 텍스쳐부(110)를 형성한다. 기판(100)의 텍스쳐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연마공정의 예로서는 샌드 블러스트(sandblast)법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일면에 텍스쳐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연마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연마된 이물질로 인해 기판(100)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된 기판(100)을 투명화시키기 위한 투명화 처리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투명화 처리 공정은 연마된 기판(100)을 에천트(300)에 디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에천트(300)는 연마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용액, 예컨대 불산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판의 텍스쳐부는 연마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마 공정을 수행한 기판은 에천트를 이용한 투명화처리를 통해 텍스쳐부를 가지며 투명해질 수 있다.
도 6은 연마공정 및 투명화 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된 텍스쳐부를 갖는 기판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유리기판의 표면에 샌드 플러스트 공정을 수행한 후, 불산 용액으로 투명화 공정을 거칠 경우, 유리 기판의 표면에 텍스쳐부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텍스쳐부를 형성하기 전 및 후에 유리기판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텍스쳐부를 가지기 전 유리기판의 접촉각은 66°였으나, 텍스쳐부를 형성한 후 유리기판의 접촉각은 90°로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유리기판의 표면에 텍스쳐부를 형성할 경우, 유리기판의 표면이 소수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기판(200)을 제공한다. 기판(200)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을 제공한 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기판(200)의 일면에 세라믹층(2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세라믹층(210)은 기판(200)상에 AZO(aluminum zinc oxide) 및 GZO(gallium zinc oxide)을 성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세라믹층(210)을 포함하는 기판(200)을 에천트 용액(400)에 딥핑한다. 여기서, 에천트 용액(400)에 세라믹층(210)이 딥핑될 경우, 세라믹층(210)을 구성하는 결정립계 사이로 에천트 용액이 침투되어 도 9에서와 같이, 세라믹층(210) 표면에 텍스쳐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천트 용액(400)은 세라믹층(210)의 재질 및 형성하고자 하는 텍스쳐부(220)의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텍스쳐부를 갖는 세라믹층을 구비한 기판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유리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세라믹층을 에천트 용액에 딥핑한 후에 세라믹층의 표면에 텍스쳐부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세라믹층은 AZO를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었다. 또한, 에천트 용액은 AZO를 식각시킬 수 있는 산 용액, 즉 초산, 질산 및 인산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유리기판과 텍스쳐부를 갖는 세라믹층을 구비한 유리기판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유리기판의 접촉각은 66°였으나, 텍스쳐부를 갖는 세라믹층을 형성한 후 유리기판의 접촉각은 90°로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유리기판의 표면이 텍스쳐부를 갖는 세라믹층에 의해 소수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200 : 기판
210 : 세라믹층
110, 220 : 텍스쳐부

Claims (9)

  1. 적어도 일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갖는 표시장치용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부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표시장치용 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세라믹층에 형성된 표시장치용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층은 AZO 또는 GZO로 형성된 표시장치용 기판.
  5.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소수성을 갖는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된 기판을 투명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된 기판을 투명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마된 기판을 에천트에 딥핑하여 수행되는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을 에천트에 디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층은 AZO 또는 GZO로 형성하는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10057143A 2011-06-13 2011-06-13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37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43A KR20120137955A (ko) 2011-06-13 2011-06-13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43A KR20120137955A (ko) 2011-06-13 2011-06-13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55A true KR20120137955A (ko) 2012-12-24

Family

ID=4790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143A KR20120137955A (ko) 2011-06-13 2011-06-13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953A (ko) * 2018-10-10 2020-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953A (ko) * 2018-10-10 2020-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0436B1 (en) Method for preparing a display substrate
KR101552974B1 (ko) 양면 패턴된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71641B2 (en) Color filter substrate used in a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5172492A1 (zh)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9626017B2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TW20064357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evices manufactured thereby
US9445506B2 (en) Preparation method of patterned film,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ATE439335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ansparenten elements mit unsichtbaren elektroden
US10054814B2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20180116118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이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179425A1 (en) Packag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led display device
TWI596751B (zh) 軟性顯示器與其製法
EP2261736A3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CN205333894U (zh) 镜头保护膜
JP2016520205A (ja) 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作方法、当該アレイ基板を備える表示装置
WO2019091155A1 (zh) 触摸屏的制造方法、显示装置
KR101543832B1 (ko) 글래스 기판 및 글래스 기판의 제조 방법
CN106449660A (zh) 一种阵列基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7479230B (zh) 用于显示器与触控面板的超细铜质网线及其制造方法
KR20120137955A (ko)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23078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417926B2 (ja) ガラス基板の平坦化方法
KR101725733B1 (ko) 기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9865223B2 (en) Optoelectronic modulation stack
KR20180054139A (ko) 패턴을 갖는 투명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