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573A -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573A
KR20200040573A KR1020180120661A KR20180120661A KR20200040573A KR 20200040573 A KR20200040573 A KR 20200040573A KR 1020180120661 A KR1020180120661 A KR 1020180120661A KR 20180120661 A KR20180120661 A KR 20180120661A KR 20200040573 A KR20200040573 A KR 2020004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food waste
crushing
opening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0573A/ko
Publication of KR2020004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 분쇄장치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제1 보관장치 및 제2 보관장치; 이송관에 구비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제1 보관장치 또는 제2 보관장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분쇄장치와 제1 보관장치 또는 제2 보관장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부; 및 분쇄장치의 구동 및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최근 발효된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Waste food treatment system for a vessel 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오랜 기간 동안 항해를 해야 하는 선박에서는 선박 내에서의 활동에 의해 다양한 쓰레기가 배출된다.
이때, 선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주방에 설치된 음식물 분쇄기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극지 운항 시 음식물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treaty, Marine Pollution Treaty)에 따라 그대로 해양에 방출되었다. 이러한 경우,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해양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습식의 쓰레기는 장시간 저장함에 있어 악취와 벌레 등 비위생적인 형태로 부패됨에 따라 선박에서도 습식 쓰레기의 처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으로써, 선박 내에서 발생된 쓰레기를 처리하고자 하는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장치, 파쇄장치를 통해 파쇄된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로, 이송되는 쓰레기가 집하되는 저류장치, 파쇄장치 또는 이송관로 또는 저류장치에 연결되어 이송관로 내의 쓰레기를 저류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저류장치에 연결된 탈취관으로 유입되는 기체에서 냄새를 탈취하는 탈취장치, 저류장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류장치에 집하된 쓰레기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 투입구와 파쇄장치와 이송관로와 저류장치와 이송장치와 탈취장치와 탈수장치의 상호 연통 관계를 조절하는 밸브부재, 파쇄장치, 저류장치, 이송장치, 탈취장치, 탈수장치와 밸브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극지 운항 시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최근 발효된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선박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해양구조물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1630호 (2011.10.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과 아울러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FPSO, RIG 등)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최근 발효된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가능한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제1 보관장치 및 제2 보관장치;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제1 보관장치 또는 상기 제2 보관장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장치와 상기 제1 보관장치 또는 상기 제2 보관장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부; 및 상기 분쇄장치의 구동 및 상기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과 아울러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FPSO, RIG 등)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발효된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엔진룸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은 분쇄장치(10), 이송관(20), 밸브부(30), 제1 보관장치(40), 제2 보관장치(50), 저장장치(60), 제어장치(70)를 포함한다.
분쇄장치(10)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장치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주방(Galley)에 설치된다. 이때, 분쇄장치(10)에 의해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및 극지운항 안정규정(Polar code)와 같은 정해진 규정에 따라 정해진 구역에 배출되어야 하므로, 25mm이하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쇄장치(10)는 상부에 투입구(도면 미도시)가 형성된 일반적인 음식물 분쇄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관(20)은 분쇄장치(1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1 보관장치(40) 또는 제2 보관장치(50)로 이송되는 관으로써, 각 끝단이 분쇄장치(10), 제1 보관장치(40) 및 제2 보관장치(50)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이송관(20)은 일반적인 이송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1 보관장치(40) 및 제2 보관장치(50)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송관(20)을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쇄장치(1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후술할 밸브부(30)의 개폐동작 없이 제1 보관장치(40) 또는 제2 보관장치(50)에 선택적으로 직접 이송될 수 있다.
밸브부(30)는 이송관(20)에 구비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제1 보관장치(40) 또는 제2 보관장치(50)로 이송하기 위하여 분쇄장치(10)와 제1 보관장치(40) 또는 제2 보관장치(50)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밸브부(30)는 일반적인 3방 밸브로 이루어지고, 컨트롤 모터(도면 미도시)의 회전 운동에 따라 개폐된다. 예컨대, 제1 보관장치(40) 방향의 밸브가 개방된 경우, 분쇄장치(10)와 제1 보관장치(40)가 연결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20)을 통해 제1 보관장치(40)로 이송된다.
이와는 달리, 제2 보관장치(50) 방향의 밸브가 개방된 경우, 분쇄장치(10)와 제2 보관장치(50)가 연결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20)을 통해 제2 보관장치(50)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밸브부(30)는 후술할 제어장치(70)의 개폐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컨트롤 모터가 회전하여 이송관(20)의 연결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70)를 이용하여 밸브부(3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기술은 해당 분야의 기술자가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보관장치(40)는 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보관장치(40)는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엔진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보관장치(40)는 후술할 배출펌프(43)를 통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선외로 배출해야 하므로, 엔진룸에서 선외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관장치(40)는 상부에 이송관(20)이 연결되고, 밸브부(30)의 개폐동작에 따라 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보관한다.
이와 같은, 제1 보관장치(40)는 레벨센서(41), 배출관(42)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벨센서(41)는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1 보관장치(4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레벨센서(41)는 일반적인 포인트 레벨센서 또는 정전 용량 레벨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레벨센서(41)는 제1 보관장치(40)의 내부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제1 보관장치(40)의 상부에 설치된 레벨센서(4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상한선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 보관장치(40)의 하부에 설치된 레벨센서(4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하한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따라, 레벨센서(41)는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위를 확인하여 수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벨센서(41)로부터 생성된 수위 측정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주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 측정정보는 제어장치(70)에 설치된 통신부(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로 송수신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가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배출관(42)은 일단이 제1 보관장치(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면에 연결되며,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후술할 배출펌프(4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관이다. 이러한 배출관(42)은 통상적인 배출관으로써, 배출펌프(43) 및 배출밸브(44)가 일측에 구비된다.
배출펌프(43)는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레벨센서(41)의 수위 측정정보에따라 상한선을 넘기는 경우,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다. 이후, 배출펌프(43)는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레벨센서(41)의 수위 측정정보에 따라 하한선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구동이 중지된다.
이와같은, 배출펌프(43)는 일반적인 오수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펌프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밸브(44)는 배출펌프(43)가 원활하게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로써, 공지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보관장치(50)는 상부에 연결된 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보관장치(50)는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엔진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관장치(50)는 양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 가열관(54)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가열관(54)은 엔진룸의 폐열로 인해 가열된 유체가 이동하는 관으로써, 일반적인 스팀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열관(54)은 가열된 유체가 이동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열관(54)은 열을 발산하게 되어 제2 보관장치(50)의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제2 보관장치(50) 내부에 위치한 가열관(55)은 중앙이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관(55)을 코일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2 보관장치(50) 내부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열관(54)의 일측에는 가열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56)가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밸브(56)는 일반적인 게이트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56)는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및 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관장치(50)는 가열관(54,55)을 통해 내부에 보관된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보관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내부에 건조되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후술할 개폐부(53)를 통해 후술할 저장장치(60)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은 제2 보관장치(50)는 습도센서(51), 순환팬(52), 개폐부(53)를 포함한다.
습도센서(51)는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2 보관장치(5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센서(51)는 일반적인 건습식 습도센서 또는 세라믹 습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않고, 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습도센서(51)로부터 생성된 습도 측정정보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습도 측정정보는 제어장치(70)에 설치된 통신부(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로 송수신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가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순환팬(52)은 제2 보관장치(50)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어 폐열에 의해 발생한 열을 흡입하여 내부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순환팬(52)은 엔진룸의 폐열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제2 보관장치(50)의 내부로 바람을 일으켜 보냄으로써 제2 보관장치(5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이러한 순환팬(52)은 일반적인 축류 송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축류 송풍기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환팬(52)은 습도센서(51)에서 생성된 습도 측정정보에 따라 제어장치(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즉,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 측정정보가 일정 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순환팬(52)은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반대로,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 측정정보가 일정 값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순환팬(52)은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구동이 중지된다.
따라서, 제2 보관장치(5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는 엔진룸의 폐열에 의한 가열 및 순환팬(52)의 내부 순환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개폐부(53)는 제2 보관장치(5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습도센서(51)의 습도 측정정보에 따라 개폐된다. 이러한 개폐부(53)는 통상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53)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53)는 리프트로 이루어져 제어장치(70)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제2 보관장치(50)에 건조되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장치(60)에 낙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부(53)는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 측정정보가 일정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 측정정보가 일정 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개방되어 제2 보관장치(50)에 건조되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장치(60)로 낙하시킨다.
여기서 저장장치(60)는 개폐부(53)가 개방됨에 따라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형태의 저장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저장장치(60)는 제2 보관장치(50)로부터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게 된 경우, 패킹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캡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60)는 제2 보관장치(50)로부터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제2 보관장치(5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7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주방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요청한 입력에 따라 분쇄장치(10)의 구동 및 밸브부(3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장치(70)는 레벨센서(41)의 수위 측정정보에 따라 배출펌프(43)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장치(70)는 습도센서(51)의 습도 측정정보에 따라 순환팬(52)의 구동 및 개폐부(53)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장치(7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컨트롤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7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쇄장치(10)의 구동 및 밸브부(30)의 개폐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이던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은 제1 보관장치(40)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였다가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처리방식과, 제2 보관장치(40)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고, 엔진룸의 폐열 및 순환팬(52)을 이용해 건조시키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장치(60)에 패킹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처리하는 저장처리방식으로 대별된다.
상술한 배출처리방식 및 저장처리방식은 정해진 규정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배출처리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주방에 설치된 분쇄장치(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분쇄장치(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25mm이하로 분쇄된다.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장치(10)에 연결된 이송관(20)으로 전달된다.
이송관(20)으로 전달된 음식물 쓰레기는 밸브부(30)를 거쳐 제1 보관장치(40)로 이송된다. 이때, 밸브부(30)는 제2 보관장치(50)방향의 밸브만 폐쇄되고, 다른 방향의 밸브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관장치(40)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레벨센서(41)를 통해 수위가 측정된다. 이때, 레벨센서(41)를 통해 측정된 수위는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분쇄장치(10)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제1 보관장치(40)에 보관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선박이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할 수 있는 지역에 진입한 경우, 제1 보관장치(40)에 분쇄되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펌프(43)를 통해 배출관(42)으로 이송되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저장처리방식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주방에 설치된 분쇄장치(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분쇄장치(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25mm이하로 분쇄된다.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장치(10)에 연결된 이송관(20)으로 전달된다.
이송관(20)으로 전달된 음식물 쓰레기는 밸브부(30)를 거쳐 제2 보관장치(50)로 이송된다. 이때, 밸브부(30)는 제1 보관장치(40)방향의 밸브만 폐쇄되고, 다른 방향의 밸브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관장치(50)로 이송되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보관장치(50)에 구비된 가열관(54,55) 및 순환팬(52)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제2 보관장치(50)에 설치된 습도센서(51)가 제2 보관장치(50)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는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습도센서(51)로부터 측정된 습도에 따라 제2 보관장치(50)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70)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53)가 개방됨과 아울러, 개페밸브(56)가 가열관(54,55)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순환팬(52)의 구동이 중지된다.
개폐부(53)가 개방되고, 가열관(54,55)이 차단되며, 순환팬(52)의 구동이 중지되는 경우, 제2 보관장치(50)에 건조되어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장치(60)로 낙하된다.
저장장치(60)는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고, 패킹저장 한다.
이후, 선박이 항구에 입항하게 되면 저장장치(60)에 패킹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는 항구에서 하역 후 처리된다.
그러나, 선박은 운항이 지연 또는 연장되어 항구에 입항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은 저장장치(60)에 패킹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항구에 직접 하역하여 처리하지 않고, 보급선(Supply vessle)을 이용하여 하역 및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일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과 아울러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FPSO, RIG 등)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발효된 극지운항 안전규정(Polar code) 및 북극해 항로 요건(Northern sea route requirement)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엔진룸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0: 분쇄장치 20: 이송관
30: 밸브부 40: 제1 보관장치
50: 제2 보관장치 60: 저장장치
70: 제어장치

Claims (4)

  1.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제1 보관장치 및 제2 보관장치;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제1 보관장치 또는 상기 제2 보관장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장치와 상기 제1 보관장치 또는 상기 제2 보관장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부; 및
    상기 분쇄장치의 구동 및 상기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보관장치는,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센서의 수위 측정정보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배출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보관장치는,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폐열에 의해 가열된 유체가 이동하는 가열관;
    상기 폐열에 의해 발생한 열을 흡입하여 내부 순환시키는 순환팬;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생성된 습도 측정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순환팬의 구동 및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20180120661A 2018-10-10 2018-10-10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200040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61A KR20200040573A (ko) 2018-10-10 2018-10-10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61A KR20200040573A (ko) 2018-10-10 2018-10-10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73A true KR20200040573A (ko) 2020-04-20

Family

ID=7046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61A KR20200040573A (ko) 2018-10-10 2018-10-10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05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630A (ko) 2010-04-05 2011-10-12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630A (ko) 2010-04-05 2011-10-12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선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8420B2 (en) 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US9976805B2 (en) Processing system intended to dehydrate food waste
EP2394962A1 (en) A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a back-pressure formation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4248294A (en) Solar hot water heating system
SE0950809A1 (sv) Besparing av tappvätska i ett vätskefördelningssystem
US20130032298A1 (en) Automated method for waste dehydration rate assessment through condensate monitoring
KR20200040573A (ko) 선박용 또는 해양구조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US5433842A (en) Marine sewage treatment system
NO329191B1 (no) Toalettsystem
CA2844621C (en) Energy saving pump and control system for the pump
KR202000165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813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04962U (ko)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1531016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US5718374A (en) Heating device
KR100952909B1 (ko) 선박용 온수 공급시스템
KR102194213B1 (ko) 선박 슬러지 펌프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20976746U (zh) 一种船舶生活污水收集处理装置
KR102020550B1 (ko) 인덕션 온수히터를 이용한 선박 거주구 난방 및 청수 생성 시스템
JPH10325161A (ja) 高架水槽の凍結防止方法及び装置
JP3901337B2 (ja) 下水圧送装置
KR20100099956A (ko) 온수 가열시스템
WO1995020132A9 (en) Heating device
KR100824411B1 (ko)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